KR200277701Y1 - 콘크리트 바닥체용 지지패널조립체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바닥체용 지지패널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7701Y1
KR200277701Y1 KR2020020007226U KR20020007226U KR200277701Y1 KR 200277701 Y1 KR200277701 Y1 KR 200277701Y1 KR 2020020007226 U KR2020020007226 U KR 2020020007226U KR 20020007226 U KR20020007226 U KR 20020007226U KR 200277701 Y1 KR200277701 Y1 KR 20027770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sound insulation
panel assembly
leg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722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정권
Original Assignee
박정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정권 filed Critical 박정권
Priority to KR202002000722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770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770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7701Y1/ko

Links

Landscapes

  • Floor Finish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콘크리트 바닥체용 지지패널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지지패널 조립체(10)는, 플랜지부(12a) 및 레그부(12b)로 형성된 지지레그(12)가 하부면에 다수개 성형되어 있는 지지판(11)과, 상기 지지레그의 일부분이 관통되게 삽입되는 삽입슬롯(16)이 지지레그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방음단열재(15)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지지판(11)의 상면에는 상부층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다수개의 돌출리브(14)가 더 구비된다. 또한, 상기 플랜지부(12a)가 방음단열재(15)의 상면에 접촉되어 간섭받는 것에 의하여 지지레그(12)의 일부분인 레그부(12b)만 삽입슬롯(16)에 관통되게 삽입되어 조립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상기 방음단열재(15)의 상부 및 하부에 별도의 공간(S1,S2)이 형성되어 콘크리트 바닥체의 방음 및 단열 특성을 높여주면서도 상부층의 강도를 극대화할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콘크리트 바닥체용 지지패널조립체{Support panel assembly for concrete bottom}
본 고안은 콘크리트 바닥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콘크리트 바닥체를 형성하는 지지패널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건물의 내부는 다수개의 공간으로 구성되는데, 이들 공간은 벽체에 의해 구획된다. 특히 건물의 층과 층 사이는 콘크리트 바닥체에 의해 구획된다. 이와 같은 벽체와 콘크리트 바닥체는 공간사이 또는 외부와의 사이에서 열이 전달되거나 소음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단열과 방음을 위한 구성을 구비하게 된다.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콘크리트 바닥체의 단면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바닥체의 하부에는 콘크리트층(1)이 형성된다. 상기 콘크리트층(1)은 바닥체의 골조를 형성하는 것이다.
상기 콘크리트층(1)의 상부에는 방음단열층(3)이 형성된다. 상기 방음단열층(3)은 일반적으로 기포콘크리트로 형성된다. 이와 같은 방음단열층(3)은 바닥체를 통해 소리나 열이 전달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상기 방음단열층(3)은 소리와 열의 전달을 차단하는 특징이 좋은 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방음단열층(3)의 상부에는 배관(5)이 설치된다. 상기 배관(5)의 예로서 보일러관이 있다. 상기 배관(5)이 설치된 방음단열층(3)의 상부에는 상부층(7)이 형성된다. 상기 상부층(7)은 모르타르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배관(5)을 고정하고 바닥체의 외관을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상부층(7)의 표면은 정밀하게 마감되는 것이 필요하다.
상기 상부층(7)의 표면에는 외장재(9)가 부착된다. 상기 외장재(9)의 예로서 장판이나 목재판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종래 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상기 방음단열층(3)은 방음과 단열 성질이 좋은 재질을 사용하여야 한다. 하지만 상기 기포콘크리트를 사용하면 상대적으로 방음과 단열특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기포콘크리트로 방음과 단열특성을 높여주기 위해서는 방음단열층(3)의 두께를 두껍게 해야 하나, 원하는 방음과 단열특성을 얻기 위해서는 전체 바닥체의 두께가 너무 두꺼워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상기 방음단열층(3)으로 기포콘크리트가 아닌 단열재를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방음단열재로는 비닐재질로서 내부에 기포가 형성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상기와 같은 비닐재질의 단열재는 단단하지 않아 그 상부에 위치되는 배관(5)의 위치가 정확하게 설정되지 않고, 상부층(7)을 단단하게 지지하지 못한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상부층(7)이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에 의해 쉽게 파손된다.
한편, 상기 상부층(7)은 모르타르로 형성되는 층으로 그 응집력이 상대적으로 약해 내부에 크랙이 많이 생기게 된다. 이와 같이 상부층(7)의 내부에 크랙이 형성되면 외부의 충격에 의해 상부층(7)이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방음과 단열특성이 좋은 단열재를 사용하여 바닥체를 형성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모르타르로 형성되는 바닥체의 상부층을 보다 견고하게 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콘크리트 바닥체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콘크리트 바닥체용 지지패널 조립체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고안 실시예의 지지패널 조립체를 사용한 콘크리트 바닥체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지지패널 조립체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의 지지패널 조립체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지지패널 조립체 11 ..... 지지판
12,12' ..... 지지레그 12a ..... 플랜지부
12b ..... 레그부 13 ..... 고무캡
14 ..... 돌출리브 14' ..... 그물망
15 ..... 방음단열재 16,16' ..... 삽입슬롯
18 ..... 관통터널 20 ..... 외장재
30 ..... 상부층 31 ..... 배관
40 ..... 콘크리트층 S1,S2 ..... 공간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콘크리트 바닥체용 지지패널조립체는, 단면이 T자 형태로 이루어진 다수개의 지지레그가 하부면에 성형되어 있는 지지판과, 상기 지지레그의 일부분이 관통되게 삽입되는 삽입슬롯이 지지레그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방음단열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지지판의 하측에 방음단열재가 위치하게 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지지레그는, 삽입슬롯에 삽입되지 않고 방음단열재의 상면에 접촉되는 플랜지부와; 상기 플랜지부의 하측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게 성형되어 삽입슬롯으로 관통되게 삽입되는 레그부로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판의 상부면에는 상부층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보강부가 더 구비된다.
상기 보강부는 지지판의 상부면에 돌출되게 형성된 다수개의 돌출돌기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보강부는 지지판의 상면에 그물망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방음단열재의 내부에는 다수개의 관통터널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관통터널은 삽입슬롯을 간섭하지 않도록 삽입슬롯과 이격되는 위치에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하면, 방음단열재의 방음단열성능을 극대화하면서도 상부층의 강도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이점을 기대할 수 있게 된다.
다음에는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콘크리트 바닥체용 지지패널 조립체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에는 본 고안 실시예에 의한 콘크리트 바닥체용 지지패널 조립체가 분해된 상태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3에는 도 2에 도시한 지지패널 조립체가 콘크리트 바닥에 시공된 상태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실시예의 지지패널 조립체(10)의 지지판(11)은 사각형의 판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지지판(11)은 소정의 면적을 가지고 소정의 두께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지지판(11)의 면적은 사용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판(11)의 두께는 그 상부에 형성되는 상부층(30) 및 상기 상부층(30)에 가해지는 하중을 지지할 수 있을 정도로 형성된다.
상기 지지판(11)의 하면에는 다수개의 지지레그(12)가 직립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레그(12)는 단면이 T자 형태를 이루고 있다. 상기 지지레그(12)는 상기 지지판(11)을 콘크리트층(40)에 지지시켜 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기 지지판(11)에 가해지는 하중을 지지하게 된다. 이러한 지지레그(12)는, 후술하는 방음단열재(15)의 상면에 접촉되는 플랜지부(12a)와, 상기 플랜지부(12a)에서 길이방향으로 하측에 연장성형된 레그부(12b)로 구성되어진다.
상기 지지판(11)의 하면에는 방음단열재(15)가 위치된다. 상기 방음단열재(15)는 상기 지지판(11)의 지지레그(12)가 삽입슬롯(16)을 관통하도록 삽입되어 체결되는 것에 의하여 조립된다. 이는 상기 지지레그(12)의 플랜지부(12a)가 삽입슬롯(16)에 삽입되지 않고 방음단열재(15)의 상면에 밀착되게 설치되며, 상기 플랜지부(12a)의 하측에 연장되어 있는 레그부(12b)가 삽입슬롯(16)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것에 의하여 가능하게 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즉, 상기 지지판(11)의 하면과 방음단열재(15)는, 플랜지부(12a)에 의하여 이격되게 위치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음단열재(15)는 상기 삽입슬롯(16)에 상기 지지레그(12)가 삽입되어, 상기 삽입슬롯(16)을 통하여 레그부(12b)가 돌출되는 범위에 의하여 상기 방음단열재(15)의 하면과 콘크리트층(40)이 접촉 또는 이격되는 간격이 결정되게 것이다. 이를 위하여, 상기 삽입슬롯(16)은, 레그부(12b)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상기 지지판(11)과 방음단열재(15) 사이에는 플랜지부(12a)의 길이(h1)에 해당하는 높이를 가지는 일정한 공간(S1)이 확보될수 있으며, 지지판(11)과 방음단열재(15)가 하나의 지지패널 조립체(10)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삽입슬롯(16)에 삽입고정되는 레그부(12a)의 길이(h2)가 삽입슬롯(16)의 높이(H)보다 길게 성형되어 있는 것에 의하여 방음단열재(15)와 콘크리트층(40) 사이에 공간(S2)이 존재하게 된다. 즉, 플랜지부(12a)가 방음단열재(15)의 상면에 접촉되어 간섭받는 것에 의하여 지지레그(12)의 일부분인 레그부(12b)만 삽입슬롯(16)에 관통되게 삽입되어 조립됨을 알 수 있다. 이로써, 상기 방음단열재(15)의 상부 및 하부에 별도의 공간(S1,S2)이 형성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방음단열재(15)에는 측면에서 관통되도록 관통터널(18)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관통터널(18)은 상기 방음단열재(15)의 내부에서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서로 교차하게 형성된다.
이와 같은 방음단열재(15)는 내부에 기포가 형성된 비닐이나, 고무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방음단열재(15)의 재질로는 다양한 것이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지지판(11)의 존재 때문에 그 경도가 제한되지 않는다. 따라서 유연하거나 탄성이 있더라도 방음단열특성이 좋다면 어떠한 것이라도 상관없다.
상기 지지판(11)의 상면에는 다수개의 돌출리브(14)가 일정 간격으로 열을 지어 형성된다. 상기 돌출리브(14)는 상기 지지판(11)의 상면에 직립되게 형성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돌출리브(14)는 상기 지지판(11)의 상면에 형성되는 상부층(30)의 강도를 보강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부층(30)을 형성하는 모르타르를 보강하여 보다 강력하게 응집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돌출리브(14)는 본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레그(12)와 같은 방향으로 형성하였으나 반드시 그러할 필요는 없다. 보다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지지레그(12)와 서로 교차되는 방향으로 형성하여 지지판(11)의 강도를 보강하도록 한다. 상기 돌출리브(14)는 지지판(11) 상에 안착되는 배관(31)을 안내하는 역할도 한다.
다음에는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지지패널 조립체를 사용하여 콘크리트 바닥체를 형성하는 것을 도 3을 참고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대부분 콘크리트 바닥체의 하부는 콘크리트층(40)으로 형성된다. 상기 콘크리트층(40)은 바닥체의 골조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기 콘크리트층(40)의 내부에 철골이 들어갈 수도 있다.
상기 콘크리트층(40)의 상부에는 상기 지지패널 조립체(10)가 안착된다. 상기 지지패널 조립체(10)는 다수개가 연속되게 놓여져 상기 콘크리트층(40) 전체를 덮게 된다. 이때, 상기 콘크리트층(40)의 상부의 수평을 맞추기 위해 별도로 콘크리층(40)의 상부에 모르타르로 층을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지지패널 조립체(10)가 콘크리트층(40)의 상부에 안착되면 상기 콘크리트층(40)의 상부에 방음단열재(15)가 위치되고, 상기 방음단열재(15)와 조립되는 지지판(11)은 지지레그(12)에 의해 콘크리트층(40) 상에 지지된다.
이 때, 상기 지지레그(12)가 콘크리트층(40) 상에서 효과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레그부(12b)의 하단에 고무캡(13)을 별도로 부착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고무캡(13)에 의하여, 콘크리트층(40)과의 마찰계수를 증대시켜 지지패널 조립체(10)가 콘크리트층(40) 상에 완전하게 지지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물론, 상기지지레그(12)가 콘크리트층(40) 상에 완전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예를 들면, 상기 콘크리트층(40) 상에 지지레그(12)와 대응하는 위치에 오목한 홈을 성형하여 지지레그(12)를 삽입하거나, 지지레그(12)의 하단에 접착성분을 도포하여 콘크리트층(40) 상에 고정시킬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다음으로 상기 지지판(11) 상에 배관(31)을 안착시킨다. 상기 배관(31)을 안착시킨 후에 모르타르를 사용하여 상부층(30)을 형성하게 된다. 상기 상부층(30)은 바닥체의 표면을 형성하는 것으로 그 표면은 정밀하게 마감되어야 한다. 그리고 상기 상부층(30)의 표면에는 외장재(20)가 부착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서 상기 방음단열재(15)는 그 경도에 상관없이 가장 방음과 단열특성이 좋은 것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그 두께가 얇더라도 방음과 단열특성이 일정 값으로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음단열재(15)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형성되어 있는 공간(S1,S2)의 공기층은 방음과 단열작용을 하게 된다. 물론, 상기 방음단열재(15)의 내부를 형성된 기포(18a) 및 횡으로 관통하여 형성된 관통터널(18) 내부에 공기층도 마찬가지의 역할을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판(11)은 그 상부의 배관(31)과 상부층(30)의 하중 및 상부층(30)에 가해지는 하중을 지지하여 상기 방음단열재(15)로 전달되지 않게 한다. 따라서, 외부에서 가해지는 하중에 의해 상부층(30)의 하부가 손상되지 않으므로 상기 상부층(30)이 손상되지 않고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판(11)의 상면에 형성된 돌출리브(14)는 상기 상부층(30)을형성하는 모르타르가 보다 잘 응집되게 하여 내부에 크랙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따라서, 상부층(30)의 강도가 보다 강하게 된다.
한편, 도 4에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는 상기 지지판(11)의 하면에 형성되는 지지레그(12')가 횡단면은 십자형으로 이루어지고, 종단면은 T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함에 의해 지지레그(12')가 보다 강하게 지지판(11)을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알 수 있듯이 상기 지지레그(12')는 그 형상이나 위치 등이 다양하게 설계될 수 있다.
상기 지지레그(12')의 형상이 달라짐에 의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방음단열재(15)의 삽입슬롯(16')의 형상 또한 달라져야 한다. 즉, 상기 지지레그(12')가 삽입될 수 있도록 십자형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도 5에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지지판(11) 상에 돌출리브(14) 대신에 그물망(14')을 설치하였다. 상기 그물망(14')은 상기 지지판(11)의 상면에 위치되어 돌출리브(14)와 같은 역할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은 그물망(14')은 상기 지지판(11)의 상부에 모르타르로 형성되는 상부층(30)의 강도를 높여주는 역할을 하게 된다. 즉, 상기 그물망(14')의 사이로 모르타르가 침투되어 서로 응집되도록 하여 상부층(30)의 강도를 높여주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지지판(11)과 조립되는 방음단열재(15)의 상부 및 하부에 공간(S1,S2)을 형성하는 것에 의하여 효과적인 방음 및 단열을 기대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을 기본적인 기술적 요지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예를 들면,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지지레그 및 삽입슬롯의 횡단면이 직사각형으로 성형되어 있으나,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될 수 없음은 자명하고, 원형이나 삼각형, 오각형 등과 같은 여러 형태의 단면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 때, 지지레그의 레그부 단면형상에 대응하도록 삽입슬롯의 형상을 구성하여야 할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단차를 가지는 플랜지부와 레그부로 구성된 지지레그가 삽입슬롯에 부분적으로 삽입되어 방음단열재와 지지판이 조립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보다 단면적이 좁은 레그부만 삽입슬롯에 관통 삽입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로써, 지지판과 방음단열재는 플랜지부의 높이만큼 이격되게 위치되고, 삽입슬롯을 관통한 레그부가 방음단열재의 하면으로 돌출된 높이만큼 방음단열재와 콘크리트층 사이가 이격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하게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콘크리트 바닥체용 지지패널 조립체는 바닥체를 구성하는 방음단열층의 재질 특성에 상관없이 방음단열재의 상부에 형성되는 상부층을 견고하게 형성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방음단열층의 방음과 단열특성을 극대화하면서 상부층의 강도를 높여서 전체 바닥체의 강도 및 방음 단열 특성을 높여 줄 수 있게 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10)

  1. 단면이 T자 형태로 이루어진 다수개의 지지레그가 하부면에 성형되어 있는 지지판,
    상기 지지레그의 일부분이 관통되게 삽입되는 삽입슬롯이 지지레그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방음단열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바닥체용 지지패널 조립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의 상면에는 상부층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한 보강부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바닥체용 지지패널 조립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는 상기 지지판의 상면에 돌출되게 형성된 돌출돌기임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바닥체용 지지패널 조립체.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는 상기 지지판의 상면에 구비되는 그물망임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바닥체용 지지패널 조립체.
  5. 제 1 항 내지 제 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음단열재의 내부에는 다수개의 관통터널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바닥체용 지지패널 조립체.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레그는 삽입슬롯에 삽입되지 않고 방음단열재의 상면에 접촉되는 플랜지부와, 상기 플랜지부의 하측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게 성형되어 삽입슬롯으로 관통되게 삽입되는 레그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바닥체용 지지패널 조립체.
  7. 제 1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방음단열재는 지지판과 플랜지부(12a)의 길이(h1)에 해당하는 높이만큼 이격되어 공간(S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바닥체용 지지패널 조립체.
  8. 제 1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레그의 레그부는 방음단열재의 하면으로 돌출되게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바닥체용 지지패널 조립체.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방음단열재의 하면에는 레그부가 돌출된 길이에 해당하는 높이만큼 공간(S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바닥체용 지지패널 조립체.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레그부의 하단에 고무캡(13)을 별도로 부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바닥체용 지지패널 조립체.
KR2020020007226U 2002-03-12 2002-03-12 콘크리트 바닥체용 지지패널조립체 KR20027770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7226U KR200277701Y1 (ko) 2002-03-12 2002-03-12 콘크리트 바닥체용 지지패널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7226U KR200277701Y1 (ko) 2002-03-12 2002-03-12 콘크리트 바닥체용 지지패널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7701Y1 true KR200277701Y1 (ko) 2002-06-07

Family

ID=731191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7226U KR200277701Y1 (ko) 2002-03-12 2002-03-12 콘크리트 바닥체용 지지패널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7701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5691B1 (ko) 2004-08-26 2007-01-09 한 선 유 다층 건물의 바닥구조
KR101222290B1 (ko) 2005-09-23 2013-01-16 주식회사 케이티 옥상 단열 및 방수층 보호를 위한 일사차단재의 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5691B1 (ko) 2004-08-26 2007-01-09 한 선 유 다층 건물의 바닥구조
KR101222290B1 (ko) 2005-09-23 2013-01-16 주식회사 케이티 옥상 단열 및 방수층 보호를 위한 일사차단재의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42880B1 (ko) 층간소음 방지를 위한 바닥시공방법
KR200404398Y1 (ko) 건축물의 바닥구조
US8622169B2 (en) Sound-insulating and vibration-isolating rubber pad and method for installing a sound-insulating and vibration-isolating floor using same
KR100684686B1 (ko) 층간차음재
KR200277701Y1 (ko) 콘크리트 바닥체용 지지패널조립체
JP2002138597A (ja) 間仕切り壁構造
KR200385010Y1 (ko) 층간차음재
KR20060067067A (ko) 칸막이용 석고보드 조립체
KR200250243Y1 (ko) 콘크리트 바닥체용 지지패널조립체
KR200414915Y1 (ko) 건물용 바닥 시공재
KR200423540Y1 (ko) 건축물의 층간소음 저감재
KR200411151Y1 (ko) 건축물의 바닥구조
JPH0336670Y2 (ko)
KR200423187Y1 (ko) 방음벽의 누음차단구조
KR101107753B1 (ko) 진동방지 및 내구성이 우수한 마루를 위한 마루틀 및 그것이 구비된 마루
KR200403459Y1 (ko) 건축물의 바닥구조
JP6480786B2 (ja) 遮音床構造
KR200352233Y1 (ko) 콘크리트 바닥체용 지지패널 조립체
WO2020209775A1 (en) A device for mounting of beam layouts
KR101825631B1 (ko) 차음 및 단열을 겸하는 데크플레이트
KR102387936B1 (ko) 바닥충격음 저감 에어 댐퍼 장치
JPH11100976A (ja) 断熱二重床の施工方法並びにそれに用いる断熱二重床ユニット及び断熱材付き床パネル
KR102422294B1 (ko) 층간소음 방진완충구조
KR200324657Y1 (ko) 콘크리트 바닥체용 지지패널 조립체
JP6928428B2 (ja) 遮音床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