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3938B1 - 건물 옥상의 노출형 방수층 시공방법 및 방수층 구조 - Google Patents
건물 옥상의 노출형 방수층 시공방법 및 방수층 구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63938B1 KR101963938B1 KR1020160160008A KR20160160008A KR101963938B1 KR 101963938 B1 KR101963938 B1 KR 101963938B1 KR 1020160160008 A KR1020160160008 A KR 1020160160008A KR 20160160008 A KR20160160008 A KR 20160160008A KR 101963938 B1 KR101963938 B1 KR 10196393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rethane
- sheet
- waterproof
- waterproof sheet
- composite waterproof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1/00—Roof covering, as far as not restricted to features covered by only one of groups E04D1/00 - E04D9/00; Roof covering in ways not provided for by groups E04D1/00 - E04D9/00, e.g. built-up roofs, elevated load-supporting roof coverings
- E04D11/02—Build-up roofs, i.e. consisting of two or more layers bonded together in situ, at least one of the layers being of watertight composi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a layer of water-setting substance, e.g. concrete, plaster, asbestos cement, or like builders' material
- B32B13/1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a layer of water-setting substance, e.g. concrete, plaster, asbestos cement, or like builders' material next to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6—Sealings
- E04B1/665—Sheets or foils impervious to water and water vapor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6—Sealings
- E04B1/68—Sealings of joints, e.g. expansion joints
- E04B1/6809—Reverse side strip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2—Synthetic macromolecular fibres
- B32B2262/0276—Polyester fibr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2/00—Composition or structural features of fibres which form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2/02—Synthetic macromolecular fibres
- B32B2262/0292—Polyurethane fibr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26—Permeability to liquids, absorption
- B32B2307/7265—Non-perme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음의 단계를 포함하는 노출형 옥상 방수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a) 옥상 바닥면에 복합 방수 시트(10)를 까는 단계; (b) 상기 복합 방수 시트(10) 사이 조인트 및 상기 옥상 바닥면과 상기 복합 방수 시트(10) 사이에 우레탄 하도(20)를 도포하는 단계; (c) 상기 복합 방수 시트(10) 사이 조인트 및 상기 옥상 바닥면과 상기 복합 방수 시트(10) 사이에 우레탄 조인트 중도(33)를 도포하는 단계; (d) 상기 복합 방수 시트(10) 사이 조인트에 고탄성 보강 시트(40)를 부착하는 단계; (e) 우레탄 중도 1차(31) 코팅 단계; (f) 우레탄 중도 2차(32) 코팅 단계; (g) 규사(60) 살포 단계; 및 (h) 우레탄 상도(50) 코팅 단계. 본 발명의 방법으로 시공한 노출형 방수 구조체는 방수 구조체의 내구성이 현저한 것은 물론, 시공 방법이 간단하고, 시공 비용이 저렴한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건물 옥상의 방수층 시공방법 및 방수층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우레탄 하도층 상부에 방수 시트가 위치하고, 상기 방수 시트 상부에 우레탄 중도층이 위치하며, 상기 우레탄 중도층 상부에 우레탄 상도층이 위치하는 옥상의 방수층 시공방법 및 방수층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시멘트 콘크리트가 철근 또는 철골과 결합하여 입체적인 구조물을 형성하면서 완성되는 모든 건축물은 소정 목적 높이의 마지막 단계에서 외측 상면에 해당하는 옥상 구조물이 형성된다. 상기 옥상은 위치에 따른 고유 명칭으로, 건축물의 기초에서부터 일체로 연결되는 연속 구조물의 상부 외면에 해당되는 부분을 의미한다.
상기 옥상 구조물은 일반적으로 그 기초적 형태가 평면 바닥 모양이나, 활용목적에 따라 그 용도가 다양한 방식으로 증가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옥상 구조물은 전체 구조물의 외면에 해당하는 구조물이기 때문에 최상층의 내부 공간장소의 안전한 사용을 보장하는 기능적 조건을 근본적으로 필요로 한다. 다시 말해서, 눈, 비, 추위, 더위, 햇볕, 바람과 같은 자연현상과 재해로부터의 안전이 보장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어떠한 형태나 어떠한 용도의 옥상 구조물이라도 눈, 비에 의한 물이 아래의 내부공간으로 침투되는 누수를 완전하게 방지하는 것이 가장 중요한 필수적인 사항일 뿐만 아니라, 추위 및 더위와 같은 외부기온으로부터의 영향을 최소화하는 기능의 사항, 즉 옥상구조물은 외부와의 접촉면이 크고 햇볕에 정면으로 노출되는 부분인 만큼 기온차이에 따른 영향을 가장 많이 받는 부분임으로 보온단열도 필수적인 조건의 사항으로 된다.
또한, 현재의 건축물은 그 단위가 대형화됨에 따라 옥상의 공간장소에 대한 활용성 및 경제적 가치를 새롭게 인식하고 있고, 내부 실내 생활환경의 쾌적성 증가 요구에 따른 에너지소요 유지비용도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옥상 구조물에 있어 누수방지 및 보온단열을 위한 형태 또는 방식에 있어 다음 사항 등이 검토되어야 한다.
건축물의 외면을 이루는 구조물 중, 4방 외벽과 같은 부분은 수직 방향으로 존재하는데 비하여, 옥상 구조물은 최상층에 수평방향으로 구성되며, 외부로 노출되어 있으므로 눈, 비, 태양광, 바람, 추위, 더위 등의 자연현상으로부터 가해지는 물리적 화학적인 영향을 가장 많이 받는다. 다시 말해서, 눈, 비와 같은 물, 더욱이 공해로 인한 산성비와 같은 외부 유체는, 시멘트 콘크리트구조물 조직 자체의 물리적 특성인 모세관현상으로 아무리 작은 틈새나 공간에도 침투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영하의 온도로 내려가면 액체상태인 유체는 고체화되어 부피가 팽창하면서 주변 조직에 물리적인 힘을 가해 구조물 조직을 파괴하고 부식시키는 원인을 제공한다.
또한, 계절에 따른 혹한이나 혹서에 따른 기온은 고체형태의 옥상구조물 부피에 열 수축팽창 자극을 반복하게 되어 조직의 피로도를 증가 누적시켜 옥상구조물을 파괴시킨다. 이러한 현상은 앞서 언급한 물리적인 특성과 결합하여 가해지면 그 영향은 촉진되고 확대된다. 더욱이, 태양광(햇볕)은 뜨거운 열과 자외선으로 인한 자극의 영향도 제공한다. 구조물 조직의 물리적 특성에는 열에 대한 전도성과 축열성이 있기 때문에, 태양광의 열에 따른 열팽창수축의 자극과 내부 실내의 열환경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치는 자극뿐만 아니라 자외선의 화학작용은 조직성분의 변화까지 일으킨다.
따라서 옥상구조물은 자연현상으로부터 안전성이 유지되고, 에너지 낭비도 방지되어야 하며, 공간장소로서의 활용기능 보장을 요구한다. 이러한 조건을 충족시키기 위하여 현재 사용되고 있는 자재 및 시공실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일반적으로 옥상방수를 위해서 시공하는 방수공법은 다양하다. 또한, 방수공법에 이용되는 방수시트들도 방수공법의 종류에 따라 그 재질 및 특성을 달리하고 있다. 그러나 옥상방수에 적용하는 대부분의 방수공법에서 방수시트 의 상부에 폴리우레탄 등의 방수용 조성물을 도말 하는 노출형 방수공법과 방수시트의 상부에 폴리우레탄 등의 방수용 조성물을 도말한 다음 다시 보호 콘크리트 등으로 피복하는 비노출형 방수공법이 공통적으로 시공되고 있다.
그러나 도 1에 도시한 비노출식의 종래의 방수공법은 기존 콘크리트 구조물 및 방수층이 상호 결합되어져 있다가 세월이 경과되면서 계절의 변화와 습도 및 기온의 변화에 따라 신장율의 차이점으로 인하여 방수층이 부풀어 오르거나 터지고 또 방수층 내의 콘크리트 수분이 유입되면 수분으로 인하여 콘크리트층이 부식 또는 산화되어 방수상태가 해제되어 누수는 물론 건물 수명이 단축되는 폐단이 되풀이 되는 문제점이 있어 왔다.
또한, 도 1에 도시한 종래의 노출식 방수공법은 보호 콘크리트의 면정리를 하고 접착제로 사용하는 프라이머를 롤라 등을 이용하여 일회로 얇게 발라주는 정도의 공법으로 일관되어 있기 때문에 접착의 강도나 포괄적 부착력이 없기 때문에 방수층의 일부가 파손될 경우 방수층 밑으로 수분이 침투하여 번지게 되므로 일부분 하자발생으로 인하여 전체적으로 확대되기 때문에 일정한 하자부위를 식별할 수 없으므로 하수 보수를 처리하기가 매우 어려운 실정이다. 실예로 시공된 방수층 일부를 떼어보면 장판지 일어나듯이 힘없이 떨어져 일어나는 것을 알 수 있는데, 이는 보호 콘크리트층과 방수층을 접착시키는 프라이머의 양과 질 또는 시공방법의 한계이다.
관련 지적재산 문헌을 살펴보면, KR 특허출원번호 제10-2005-0073079호(발명의 명칭 : 건물 옥상의 통기 절연형 방수층 현장 속성시공방법과방수층 구조)에서는 건물 옥상 방수 바탕 면을 평탄하게 조정하는 바탕조정단계; 상기 건물 옥상 방수 바탕면에 다수개의 기반시트를 일측이 서로 포개지도록 설치하여 기반층을 형성하는 기반층 형성단계; 상기 기반시트의 겹쳐진 부분을 건물 옥상 방수 바탕면에 바탕 고정재로 부분 고정하는 기반층 고정단계; 상기 바탕고정재가 설치된 기반층의 겹쳐진 부분을 접착 고정재로 부착하는 이음부분 처리단계; 상기 기반층에 속경성 도막 방수재를 스프레이 분사하여 방수피막을 형성하는 방수피막 형성단계; 상기 방수피막 표면에 대하여 소정 경사각도를 유지하고 속경성 도막 방수재를 스프레이에 의해 흩뿌려, 미끄럼방지를 위한 엠보싱 가공처리하는 엠보싱층 처리단계; 상기 엠보싱 처리된 방수피막에 상도(Top-Coat)재를 도포하여 상도재층 형성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물 옥상의 통기 절연형 방수층 현장 속성시공방법에 대해 개시하고 있고,
KR 특허출원번호 제 10-2004-0069637호(발명의 명칭 : 옥상벽을 갖는 옥상 구조물의 바닥 시스템에 있어서, 단열 및 방수 처리된 옥상 바닥층; 상기 옥상 바닥층의 상면에 구비되는 소정 높이를 갖는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에 의하여 지지되고, 격자형태로 이루어지는 프레임부재; 및 상기 프레임부재에 고정되고, 상기 옥상 바닥층의 전체면에 대응하여 상기 옥상 바닥층을 커버하는 방수단열 패널부재를 포함한 초단열 및 다중방수기능을 갖는 옥상 구조물의 바닥 시스템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술한 특허 문헌의 경우 방수 구조체의 내구성이 충분하지 못하고, 구조체 공사에 많은 비용과 시간이 발생하는 문제를 충분히 해결할 수 없었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다수의 논문 및 특허문헌이 참조되고 그 인용이 표시되어 있다. 인용된 논문 및 특허문헌의 개시 내용은 그 전체로서 본 명세서에 참조로 삽입되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수준 및 본 발명의 내용이 보다 명확하게 설명된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기존의 노출형 방수 시공방법으로 제작한 방수 구조체의 경우 방수 구조체에 발생하는 크랙의 대부분이 각각의 방수 시트 사이의 공간인 조인트 부분에서 발생한다는 것을 발견하여 이를 해결하기 위해 예의 연구 노력하였다. 그 결과, 각각의 방수 시트 사이의 공간에 계절에 따른 온도 변화 및 일교차에 기인한 방수 구조체의 수축 및 팽창에 대응할 수 있는 유격 공간을 확보한 다음, 상기 유격 공간을 연결하는 고탄성 보강 시트를 접착할 경우 상술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사실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노출형 옥상 방수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방법으로 제조한 노출형 옥상 방수 구조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이점은 하기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 청구범위 및 도면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된다.
본 발명은 옥상 방수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기존의 노출형 방수 시공방법으로 제작한 방수 구조체의 경우 방수 구조체에 발생하는 크랙의 대부분이 각각의 방수 시트 사이의 공간인 조인트 부분에서 발생한다는 것을 발견하여 이를 해결하기 위해 예의 연구 노력하였다. 그 결과, 각각의 방수 시트 사이의 공간에 계절에 따른 온도 변화 및 일교차에 기인한 방수 구조체의 수축 및 팽창에 대응할 수 있는 유격 공간을 확보한 다음, 상기 유격 공간을 연결하는 고탄성 보강 시트를 접착할 경우 상술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다음의 단계를 포함하는 노출형 옥상 방수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a) 옥상 바닥면에 복합 방수 시트(10)를 까는 단계;
(b) 상기 복합 방수 시트(10) 사이 조인트 및 상기 옥상 바닥면과 상기 복합 방수 시트(10) 사이에 우레탄 하도(20)를 도포하는 단계;
(c) 상기 복합 방수 시트(10) 사이 조인트 및 상기 옥상 바닥면과 상기 복합 방수 시트(10) 사이에 우레탄 조인트 중도(33)를 도포하는 단계;
(d) 상기 복합 방수 시트(10) 사이 조인트에 고탄성 보강 시트(40)를 부착하는 단계;
(e) 우레탄 중도 1차(31) 코팅 단계;
(f) 우레탄 중도 2차(32) 코팅 단계;
(g) 규사(60) 살포 단계; 및
(h) 우레탄 상도(50) 코팅 단계.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옥상’은 건물 또는 이와 유사한 구조물의 최상층 부분을 의미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방수 시공이 필요한 어떠한 장소도 이에 포함되는 것으로 본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조인트’는 마주하는 복합 방수 시트 사이의 공간을 포함하는 것은 물론, 마주하는 상기 복합 방수 시트 각각의 단부 5 cm 내지 10 cm 부분의 양면(아랫면 및 윗면) 모두를 포함하는 의미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우레탄 하도’는 우레탄 조성물을 이용한 노출형 옥상 방수 방법에 있어서, 우레탄 조성물의 성분 차이에 의해 나머지 우레탄 조성물(우레탄 중도 및 우레탄 상도)과 구분되고, 옥상 바닥면 상부에 도포되는 우레탄 조성물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우레탄 중도’는 우레탄 조성물을 이용한 노출형 옥상 방수 방법에 있어서, 우레탄 조성물의 성분 차이에 의해 나머지 우레탄 조성물(우레탄 하도 및 우레탄 상도)과 구분되고, 우레탄 하도층 내지는 복합 방수 시트 상부에 도포되는 우레탄 조성물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우레탄 상도’는 우레탄 조성물을 이용한 노출형 옥상 방수 방법에 있어서, 우레탄 조성물의 성분 차이에 의해 나머지 우레탄 조성물(우레탄 하도 및 우레탄 중도)과 구분되고, 우레탄 중도층 상부에 도포되는 우레탄 조성물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고탄성 보강 시트’는 선택적으로 시트의 일면에 점착 조성물이 도포될 수 있고, 탄성 직물이 시트 양면 내지 일면에 결착되어 있는 물체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결착’은 어떤 물체가 결합 방법의 차이에 상관없이 특정 물체에 결합되어 있는 그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상기 단계 (a)의 복합 방수 시트(10) 사이의 거리는 바람직하게는 1.0 mm 내지 30.0 mm일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mm 내지 20.0 mm일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8.0 mm 내지 12.0 mm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복합 방수 시트(10) 사이의 거리를 일정 간격으로 유지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구성이다. 왜냐하면, 주기적 기온 변화에 의해 상기 복합 방수 시트의 길이 및 폭이 늘어났다 줄어드는 과정에서 우레탄 방수층에 균열이 발생할 수 있는데, 상기 복합 방수 시트 사이의 거리를 일정 간격으로 유지할 경우 길이 변화에 의한 완충 공간을 확보하여 우레탄 방수층의 균열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복합 방수 시트 사이의 거리가 1.0 mm 미만일 경우 방수층 균열 방지를 위한 완충 기능이 떨어질 우려가 있고, 상기 복합 방수 시트 사이의 거리가 30.0 mm를 초과할 경우 방수 기능이 떨어질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상기 단계 (a)의 복합 방수 시트(10)의 폭은 바람직하게는 20 cm 내지 300 cm일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cm 내지 200 cm일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80 cm 내지 120 cm일 수 있다.
상기 단계 (a)의 복합 방수 시트의 폭이 20 cm 미만일 경우 방수 기능이 떨어지고, 방수 시공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으며, 상기 복합 방수 시트의 폭이 300 cm를 초과할 경우 방수 시트 양산 단가가 증가하고, 작은 면적의 건물 옥상에는 시공이 어려운 문제가 존재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상기 단계 (a)의 복합 방수 시트(10)는 바람직하게는 중심부의 SBS(Styrene- Butadiene-Styrene) 개질 고무 아스팔트 시트를 중심으로 상부에는 우레탄 섬유를 이용하여 제조한 직물을 가열하여 융착하고, 하부에는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이용하여 제조한 직물을 가열하여 융착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SBS(Styrene- Butadiene-Styrene) 개질 고무 아스팔트 시트를 사용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구성이다. 왜냐하면, SBS 개질 고무 아스팔트 시트를 사용할 경우 일반적인 고무 시트 내지는 합성수지 시트를 사용하는 것과 비교하여 소성변형 저항성, 피로균열 저항성, 장기공영성, 저온균열 저항성, 수분 저항성, 미끄럼 저항성 및 접착성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SBS 개질 고무 아스팔트 시트를 사용할 경우 일반적인 고무 시트 내지는 합성수지 시트를 사용하는 것과 비교하여 방수 구조체의 내구성을 20% 이상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중심부의 SBS 개질 고무 아스팔트 시트를 중심으로 상부에는 우레탄 섬유를 이용하여 제조한 직물을 가열하여 융착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구성이다. 왜냐하면, 융착된 우레탄 섬유가 우레탄 중도층과 반응하여 상기 복합 방수 시트와 상기 우레탄 중도층과의 결합력을 유의적으로 강화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서 중심부의 SBS 개질 고무 아스팔트 시트를 중심으로 하부에는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이용하여 제조한 직물을 가열하여 융착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구성이다. 왜냐하면, 융착된 폴레에스테르 섬유 직물이 옥상 바닥면과의 마찰력을 증가시켜, 주기적 기온 변화에 의해 상기 복합 방수 시트의 길이 및 폭이 늘어났다 줄어드는 것을 유의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상기 단계 (d)의 고탄성 보강 시트(40)는 바람직하게는 우레탄씰을 이용하여 부착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상기 단계 (d)의 고탄성 보강 시트(40)의 폭은 바람직하게는 5 cm 내지 20 cm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상기 단계 (d)의 고탄성 보강 시트(40)는 바람직하게는 중심부의 폴리에스테르 시트를 중심으로 고무 섬유를 이용하여 제조한 직물을 결착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고탄성 보강 시트가 중심부의 폴리에스테르 시트를 중심으로 고무 섬유를 이용하여 제조한 직물을 결착한 것은 매우 중요한 구성이다. 왜냐하면, 주기적 기온 변화에 의해 상기 복합 방수 시트의 길이 및 폭이 늘어났다 줄어드는 과정에서 우레탄 방수층에 균열이 발생할 수 있는데, 폴리에스테르 시트에 고무 섬유 직물이 시트 양면 내지 일면에 결착될 경우 복합 방수 시트의 수축 내지 신장을 최대한 억제하여 복합 방수 시트의 수축 내지 신장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우레탄 방수층의 균열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본 발명의 방법에서 사용되는 고탄성 보강 시트는 탄성 직물이 시트 양면 내지 일면에 결착되어 있고, 폭이 10 cm인 고탄성 보강 시트를 가정할 경우, 상기 고탄성 보강 시트를 폭 방향으로 1000±100 N의 인장력을 가하면, 상기 고탄성 보강 시트의 폭이 5~10% 신장되고, 상기 인장력을 소멸시키면, 본래의 폭으로 회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우레탄 하도층, 방수 시트, 우레탄 중도층 및 우레탄 상도층을 포함하는 노출형 옥상 방수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우레탄 하도층 상부에 상기 방수 시트가 위치하고, 상기 방수 시트 상부에 우레탄 중도층이 위치하며, 상기 우레탄 중도층 상부에 상기 우레탄 상도층이 위치하고,
상기 방수 시트 사이 조인트 폭은 5 mm 내지 15 mm이며,
상기 방수 시트 사이 조인트는 고탄성 보강 시트를 접착하여 연결하고,
상기 방수 시트 사이 조인트 및 옥상 바닥면과 상기 방수 시트 사이에 우레탄 하도를 도포하며,
상기 우레탄 하도 상부에 우레탄 중도를 도포한 이후, 상기 방수 시트를 위치하고,
상기 방수 시트는 중심부의 SBS(Styrene- Butadiene-Styrene) 개질 고무 아스팔트 시트를 중심으로 상부에는 우레탄 섬유를 이용하여 제조한 직물을 가열하여 융착하고, 하부에는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이용하여 제조한 직물을 가열하여 융착한 것인 노출형 옥상 방수 구조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상기 고탄성 보강 시트는 바람직하게는 중심부의 폴리에스테르 시트를 중심으로 고무 섬유를 이용하여 제조한 직물을 결착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상기 고탄성 보강 시트는 바람직하게는 우레탄씰을 이용하여 부착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노출형 옥상 방수 구조체에 관한 사항은 대부분이 상술한 노출형 옥상 방수 시공방법과 공통되므로, 본 명세서가 과도하게 복잡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자세한 기재를 생략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본 발명은 다음의 단계를 포함하는 노출형 옥상 방수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a) 옥상 바닥면에 복합 방수 시트(10)를 까는 단계; (b) 상기 복합 방수 시트(10) 사이 조인트 및 상기 옥상 바닥면과 상기 복합 방수 시트(10) 사이에 우레탄 하도(20)를 도포하는 단계; (c) 상기 복합 방수 시트(10) 사이 조인트 및 상기 옥상 바닥면과 상기 복합 방수 시트(10) 사이에 우레탄 조인트 중도(33)를 도포하는 단계; (d) 상기 복합 방수 시트(10) 사이 조인트에 고탄성 보강 시트(40)를 부착하는 단계; (e) 우레탄 중도 1차(31) 코팅 단계; (f) 우레탄 중도 2차(32) 코팅 단계; (g) 규사(60) 살포 단계; 및 (h) 우레탄 상도(50) 코팅 단계.
(2) 본 발명의 방법으로 시공한 노출형 방수 구조체는 방수 구조체의 내구성이 현저한 것은 물론, 시공 방법이 간단하고, 시공 비용이 저렴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기존의 옥상 방수 방법을 나타낸다(좌 : 비노출형, 우 : 노출형).
도 2는 본 발명의 옥상 방수 방법을 이용하여 형성한 옥상 방수 구조체의 단면을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옥상 방수 방법의 1 단계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옥상 방수 방법의 2 단계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옥상 방수 방법의 3 단계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옥상 방수 방법의 4 단계를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의 옥상 방수 방법의 5 단계를 나타낸다.
도 8은 본 발명의 옥상 방수 방법의 최종 단계인 9 단계를 나타낸다.
도 9는 본 발명의 옥상 방수 방법에 사용되는 복합 방수 시트의 모습을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옥상 방수 방법을 이용하여 형성한 옥상 방수 구조체의 단면을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옥상 방수 방법의 1 단계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옥상 방수 방법의 2 단계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옥상 방수 방법의 3 단계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옥상 방수 방법의 4 단계를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의 옥상 방수 방법의 5 단계를 나타낸다.
도 8은 본 발명의 옥상 방수 방법의 최종 단계인 9 단계를 나타낸다.
도 9는 본 발명의 옥상 방수 방법에 사용되는 복합 방수 시트의 모습을 나타낸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는 종래의 비노출형 및 노출형 옥상 방수 방법이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공방법으로 구축한 노출형 옥상 방수 구조체의 단면이 도시되어 있으며, 도 3 내지 도 8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출형 옥상 방수 시공방법이 도시되어 있고, 도 9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방수 시트(10)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출형 옥상 방수 시공방법은 (a) 옥상 바닥면에 복합 방수 시트(10)를 까는 단계; (b) 상기 복합 방수 시트(10) 사이 조인트 및 상기 옥상 바닥면과 상기 복합 방수 시트(10) 사이에 우레탄 하도(20)를 도포하는 단계; (c) 상기 복합 방수 시트(10) 사이 조인트 및 상기 옥상 바닥면과 상기 복합 방수 시트(10) 사이에 우레탄 조인트 중도(33)를 도포하는 단계; (d) 상기 복합 방수 시트(10) 사이 조인트에 고탄성 보강 시트(40)를 부착하는 단계; (e) 우레탄 중도 1차(31) 코팅 단계; (f) 우레탄 중도 2차(32) 코팅 단계; (g) 규사(60) 살포 단계; 및 (h) 우레탄 상도(50) 코팅 단계를 포함한다. 이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a) 옥상 바닥면에 복합 방수 시트(10)를 까는 단계
먼저 옥상 바닥면은 단차, 요철, 레이턴스, 휨, 파손, 균열, 들뜸 및 곰보현상 등을 해결한다. 이후, 옥상 방수 시공 현장 여건에 맞춰 기준을 잡아 복합 방수 시트를 10 mm 간격으로 전체 바닥면에 깔아준다. 여기서, 상기 복합 방수 시트는 벽체와의 간격을 10 mm 내지 20 mm로 유지한다.
(b) 상기 복합 방수 시트(10) 사이 조인트 및 상기 옥상 바닥면과 상기 복합 방수 시트(10) 사이에 우레탄 하도(20)를 도포하는 단계
우레탄 하도는 상기 복합 방수 시트 사이 조인트, 상기 복합 방수 시트와 벽체와의 사이 및 모서리 부위에 붓, 롤러 및 스프레이 등을 사용하여 폭 120 mm로 균일하게 도포한다. 깔아둔 상기 복합 방수 시트는 양쪽으로 접어주고 상기 복합 방수 시트 속으로 접착면이 50 mm 내지 60 mm 정도 되게 도포한다. 수직부 벽체는 전체 부위에 도포한다.
(c) 상기 복합 방수 시트(10) 사이 조인트 및 상기 옥상 바닥면과 상기 복합 방수 시트(10) 사이에 우레탄 조인트 중도(33)를 도포하는 단계
상기 복합 방수 시트 사이 조인트, 상기 복합 방수 시트와 벽체와의 사이 및 모서리 부위에 우레탄 중도를 붓, 롤러 및 스프레이 등을 사용하여 폭 100 mm 내지 120 mm로 균일하게 도포한다. 양쪽으로 접어둔 상기 복합 방수 시트 속으로 우레탄 중도를 도포면이 50 mm 내지 60 mm 정도 되게 도포한다. 이후, 일정하게 형성된 조인트에 접어둔 복합 방수 시트를 바닥면과 접착 시킨다.
(d) 상기 복합 방수 시트 사이 조인트에 고탄성 보강 시트(40)를 부착하는 단계
시트 사이 조인트, 상기 복합 방수 시트와 벽체와의 사이 및 모서리 부위에 고탄성 보강 시트를 100 mm 폭으로 접착한다.
(e) 우레탄 중도 1차(31) 코팅 단계 및 (f) 우레탄 중도 2차(32) 코팅 단계
벽체 전체 및 바닥면 전체에 롤러나 쇠흙손을 이용하여 우레탄 중도를 일정한 두께로 균일하게 도포한다.
(g) 규사(60) 살포 단계 및 (h) 우레탄 상도(50) 코팅 단계
우레탄 중도가 도포된 바닥면 전체에 미끄럼 방지를 위해 상기 우레탄 중도가 건조되기 전에 규사(4호 내지 5호)를 규사 살포기를 이용하여 도포한다. 규사 살포량은 통상적으로 1.5 kg/m2 내지 2 kg/m2 정도 살포한다. 이후, 상기 우레탄 중도의 경화가 완료되면, 표면을 깨끗이 정리한 후 롤러, 스프레이 등을 사용하여 바닥 및 수직면에 우레탄 상도를 균일하게 도포한다. 이때, 우레탄 상도는 자외선 차단제가 포함된 제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노출형 옥상 방수 시공방법에 사용되는 복합 방수 시트(10)는 중심부의 SBS(Styrene- Butadiene-Styrene) 개질 고무 아스팔트 시트(10b)를 중심으로 상부에는 우레탄 섬유를 이용하여 제조한 직물(10c)을 가열하여 융착하고, 하부에는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이용하여 제조한 직물(10a)을 가열하여 융착한 것일 수 있다.
우레탄 섬유를 SBS 개질 고무 아스팔트 시트 상부에 융착할 경우 아스팔트 시트와 우레탄 중도와의 결합력을 증가시킬 수 있고,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SBS 개질 고무 아스팔트 시트 하부에 융착할 경우 복합 방수 시트와 옥상 바닥면과의 마찰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복합 방수 시트 10 우레탄 하도 20
우레탄 중도 30 우레탄 중도 1차 31
우레탄 중도 2차 32 우레탄 조인트 중도 33
고탄성 보강 시트 40 우레탄 상도 50
규사 60 바닥면 70
우레탄 중도 30 우레탄 중도 1차 31
우레탄 중도 2차 32 우레탄 조인트 중도 33
고탄성 보강 시트 40 우레탄 상도 50
규사 60 바닥면 70
Claims (10)
- (a) 옥상 바닥면에 복합 방수 시트(10)를 까는 단계;
(b) 상기 복합 방수 시트(10) 사이 조인트 및 상기 옥상 바닥면과 상기 복합 방수 시트(10) 사이에 우레탄 하도(20)를 도포하는 단계;
(c) 상기 복합 방수 시트(10) 사이 조인트 및 상기 옥상 바닥면과 상기 복합 방수 시트(10) 사이에 우레탄 조인트 중도(33)를 도포하는 단계;
(d) 상기 복합 방수 시트(10) 사이 조인트에 고탄성 보강 시트(40)를 부착하는 단계;
(e) 우레탄 중도 1차(31) 코팅 단계;
(f) 우레탄 중도 2차(32) 코팅 단계;
(g) 규사(60) 살포 단계; 및
(h) 우레탄 상도(50) 코팅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단계 (a)의 복합 방수 시트(10) 사이의 거리는 5 mm 내지 15 mm이며,
상기 단계 (a)의 복합 방수 시트(10)의 폭은 50 cm 내지 200 cm이며,
상기 단계 (a)의 복합 방수 시트(10)는 중심부의 SBS(Styrene- Butadiene-Styrene) 개질 고무 아스팔트 시트를 중심으로 상부에는 우레탄 섬유를 이용하여 제조한 직물을 가열하여 융착하고, 하부에는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이용하여 제조한 직물을 가열하여 융착한 것인
노출형 옥상 방수 시공방법.
- 삭제
- 삭제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d)의 고탄성 보강 시트(40)는 우레탄씰을 이용하여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출형 옥상 방수 시공방법.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d)의 고탄성 보강 시트(40)의 폭은 5 cm 내지 20 c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출형 옥상 방수 시공방법.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d)의 고탄성 보강 시트(40)는 중심부의 폴리에스테르 시트를 중심으로 고무 섬유를 이용하여 제조한 직물을 결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출형 옥상 방수 시공방법.
- 우레탄 하도층, 방수 시트, 우레탄 중도층 및 우레탄 상도층을 포함하는 노출형 옥상 방수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우레탄 하도층 상부에 상기 방수 시트가 위치하고, 상기 방수 시트 상부에 우레탄 중도층이 위치하며, 상기 우레탄 중도층 상부에 상기 우레탄 상도층이 위치하고,
상기 방수 시트 사이 조인트 폭은 5 mm 내지 15 mm이며,
상기 방수 시트 사이 조인트는 고탄성 보강 시트를 접착하여 연결하고,
상기 방수 시트 사이 조인트 및 옥상 바닥면과 상기 방수 시트 사이에 우레탄 하도를 도포하며,
상기 우레탄 하도 상부에 우레탄 중도를 도포한 이후, 상기 방수 시트를 위치하고,
상기 방수 시트는 중심부의 SBS(Styrene- Butadiene-Styrene) 개질 고무 아스팔트 시트를 중심으로 상부에는 우레탄 섬유를 이용하여 제조한 직물을 가열하여 융착하고, 하부에는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이용하여 제조한 직물을 가열하여 융착한 것인 노출형 옥상 방수 구조체.
-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고탄성 보강 시트는 중심부의 폴리에스테르 시트를 중심으로 고무 섬유를 이용하여 제조한 직물을 융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출형 옥상 방수 구조체.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고탄성 보강 시트는 우레탄씰을 이용하여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출형 옥상 방수 구조체.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60008A KR101963938B1 (ko) | 2016-11-29 | 2016-11-29 | 건물 옥상의 노출형 방수층 시공방법 및 방수층 구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60008A KR101963938B1 (ko) | 2016-11-29 | 2016-11-29 | 건물 옥상의 노출형 방수층 시공방법 및 방수층 구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60477A KR20180060477A (ko) | 2018-06-07 |
KR101963938B1 true KR101963938B1 (ko) | 2019-03-29 |
Family
ID=626215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60008A KR101963938B1 (ko) | 2016-11-29 | 2016-11-29 | 건물 옥상의 노출형 방수층 시공방법 및 방수층 구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63938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07743B1 (ko) | 2019-01-29 | 2020-05-07 | (주)케이엔방수건설 | 노출형 방수구조 시공방법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75151B1 (ko) * | 2012-12-21 | 2013-06-17 | 주식회사 아이디에프 이앤씨 | 특수 합성고분자시트를 이용한 복합방수공법 |
-
2016
- 2016-11-29 KR KR1020160160008A patent/KR101963938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75151B1 (ko) * | 2012-12-21 | 2013-06-17 | 주식회사 아이디에프 이앤씨 | 특수 합성고분자시트를 이용한 복합방수공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60477A (ko) | 2018-06-0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337618B1 (ko) | 개량 방수시트 및 이를 사용한 복합도막 방수시공방법 | |
ES2345582T3 (es) | Ensamblaje de lamina de sellado para superficies de construccion y procedimientos de fabricacion y aplicacion del mismo. | |
US3411256A (en) | Roof construction and method thereof | |
KR100640073B1 (ko) | 건물 옥상의 통기 절연형 방수층 현장 속성시공방법과방수층 구조 | |
US20030054127A1 (en) | Sealing sheet assembly for construction surfaces and methods of making and applying same | |
JPS61501217A (ja) | 軽量ル−フイング組織体 | |
KR100524221B1 (ko) | 통기성 방수시트를 이용한 통기성 방수구조 | |
KR100744727B1 (ko) | 건축 구조물의 도막 및 시트 이중 노출방수재 및 그의 시공방법 | |
KR101727716B1 (ko) | Pvc 노출방수시트 및 pvc 노출방수공법 | |
KR101710604B1 (ko) | 우레탄수지를 이용한 건물 옥상 슬라브의 방수시공방법 | |
KR100733502B1 (ko) | 방수시트용 신축 이음 패드와 이를 이용한 시트방수 공법 | |
KR101142857B1 (ko) | 개량방수시트와 이를 사용한 방수시공방법 및 방수구조 | |
KR101135165B1 (ko) | 복합 방수시트, 이를 이용한 방수시공방법 및 방수시공구조 | |
KR101963938B1 (ko) | 건물 옥상의 노출형 방수층 시공방법 및 방수층 구조 | |
US20020164447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weather protection for buildings under construction, and buildings integrally retaining that protective structure | |
KR101128760B1 (ko) | 풍압에 의한 파열을 방지하는 노출 지붕용 방수시트 시공방법 | |
US20080193778A1 (en) | Isolation Material | |
KR20180093571A (ko) | 노출형 섬유강화 플라스틱 방수층 시공방법 및 방수층 구조 | |
KR101133026B1 (ko) | 노출방수를 위한 고무 아스팔트 도막 및 방수시트의 3중 적층공법 | |
US20070163192A1 (en) | Multi-layer decoupling and sealing system | |
USRE31007E (en) | Roof construction and method thereof | |
KR101866333B1 (ko) | 노출형 아크릴기반 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시공방법 | |
BR112020014261B1 (pt) | Elemento de cobertura para pisos suspensos, e sistema de piso suspenso | |
KR100496627B1 (ko) | 방수층 접착방식이 개선된 복합방수층 시공 방법 | |
KR20000030818A (ko) | 옥상방수의 하자보수를 위한 패드 및 이의 시공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