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91861A - 속경성 타입 도막방수재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방수층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속경성 타입 도막방수재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방수층 시공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91861A
KR20090091861A KR1020080017059A KR20080017059A KR20090091861A KR 20090091861 A KR20090091861 A KR 20090091861A KR 1020080017059 A KR1020080017059 A KR 1020080017059A KR 20080017059 A KR20080017059 A KR 20080017059A KR 20090091861 A KR20090091861 A KR 200900918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proof
waterproof layer
waterproofing
adhesive solution
co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70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971201B1 (ko
Inventor
송병창
Original Assignee
송병창
주식회사 아키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병창, 주식회사 아키벤 filed Critical 송병창
Priority to KR10200800170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1201B1/ko
Publication of KR200900918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18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12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1201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00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45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 C04B41/52Multiple coating or impregnating multiple coating or impregnating with the same composition or with compositions only differing in the concentration of the constituents, is classified as single coating or impregn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00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45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 C04B41/4505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applica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속경성 타입 도막방수재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층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표면조직이 다공질인 구조물 표면에 핀홀(관통 미세기공) 발생을 최대한 억제하고, 들뜸현상 및 탈락 현상을 방지하여 수밀한 방수층을 형성할 수 있는 속경성 타입 도막방수재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층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방수기반재를 설치하는 방수기반재 설치단계; 상기 방수기반재 끝단부 내측부터 인접하는 수직부재 또는 천정부재 표면의 이물질을 제거하고, 표면을 거칠게 처리하는 표면처리단계; 상기 표면처리된 표면에 접착용 고무 고형분 20% 이상의 접착용액을 도포하는 접착용액 도포단계; 상기 접착용액이 도포된 표면에 접착용액과 시멘트가 혼합된 혼합 접착용액을 도포하는 혼합접착용액 도포단계; 상기 방수기반재 및 혼합 접착용액이 도포된 부분에 속경성 타입 도막방수재를 가로, 세로로 번갈아 교차하면서 스프레이 연속분사하여 연속이음된 방수층을 형성하는 방수층 형성단계; 상기 형성된 방수층에 상도(Top-Coat)재를 도포하여 마감하는 마감처리단계로 이루어져 있다.

Description

속경성 타입 도막방수재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층 시공방법{Method for partial attachment waterproofing on a vertical or horizontal plane of construction continuously, with quick spray type liquid membrane}
본 발명은 속경성 타입 도막방수재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층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시멘트 모르타르나 콘크리트 등과 같이 표면조직이 다공질인 구조물 표면에 접착용액, 혼합 접착용액 및 속경성 도막방수재를 순차적으로 도포하여, 연속된 방수층을 형성함으로써, 균열발생이나 외기온 변화 또는 변동하중에 따른 국부응력의 전달을 해소하고, 강력한 접착력을 확보하며, 수밀하고 내구성을 구비한 속경성 타입 도막방수재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층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설 구조물의 옥상이나 외벽, 또는 바닥 등과 같이 물과 직접 면하는 장소에서는 물이 구조물 내부로 침투하지 않도록 방수층을 설치하고 있으며, 옥상 등과 같이 외기에 면하는 장소, 특히 시멘트 모르타르나 콘크리트 등과 같이 다공질의 소재를 방수바탕으로 하는 장소에서는 이후 방수층에 발생하는 방수층의 부풀어 오름의 원인이 되는 방수바탕 함유 수분의 배출과, 방수층의 찢김이나 파단 등과 같은 결함발생의 원인이 되는 방수바탕에서의 균열발생이나 균열부 또는 구조체 이음매(구조줄눈, 신축줄눈 등)에서의 외기온 변동이나 하중 변동에 따른 신축거동에 의한 국부응력의 방수층으로의 전달을 해소할 수 있도록 방수바탕에 합성고분자 계열의, 또는 아스팔트 계열의 각종 시트상의 소재를 방수 기반재로 하여 각종 접착제나 기타 고정철물과 같은 고정 수단을 사용하여 부분적으로 방수바탕에 고정하면서 먼저 깐 다음, 그 위를 아스팔트나 우레탄, 아크릴, 또는 에폭시와 같은 도막계열의 방수재, 특히 최근에는 수직면에서도 흘러내림 없이 균일한 두께의 방수층을 손쉽게 만들 수 있는 특징을 가진 분사 도포 후 3초 ~ 1시간 이내에 경화되는 특성을 가진 아스팔트나 아크릴, 또는 폴리우레아나 하이브리드 및 폴리우레탄 타입의 속경성 도막 방수재를 도포하여 방수바탕과 부분적으로 절연(또는 접착)된 방수층을 만들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방수층 시공시 문제가 되는 것은 방수바탕 처리가 거의 불필요한 방수 기반재(층) 설치가 끝나는 끝 단부에서부터 구조물에 설치되는 각종 설비물의 기초나 파라펫 등과 같은 수직부재 면, 또는 천정 등과 같은 수평부재 면과 연속된 방수층을 만들기 위한 방수바탕 처리로, 특히, 시멘트 모르타르나 콘크리트 등과 같이 다공질 소재표면의 경우, 도 1 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면에 공기로 채워진 다량의 미세 공극을 가지고 있으며, 그 위를 도 1 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밀한 도막 방수재를 도포하거나, 또는 일반적으로 고온 가열 분사되는 속경성 도막 방수재를 스프레이 도포하게 되면, 폐쇄된 표면의 미세 공극 내부의 공기가 가열 기화 팽창하여 방수층에 미세한 구멍(일반적으로는 핀 홀이라고 부름)을 만들어 누수결함의 원인을 제공한다.
또한, 도 1 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의 수밀한 방수층의 영향으로 미세공극 내부 공기는 수평으로 기화 팽창하여 주변의 방수바탕 표면조직을 붕괴시켜 상부 방수층과 방수바탕과의 접착력을 현저하게 저하시켜, 수직부위 모서리에서 발생하는 바람에 의한 부압에 따른 방수층 날림이나 유실의 원인이 되기도 하므로, 이 부분에서의 접착처리 방법에 의해 부분절연(또는 부분접착)되는 방수층의 성패가 좌우되기도 한다.
또한, 도 1 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기온도 상승에 따라 다공질의 시멘트 모르타르나 콘크리트 방수바탕 내부로부터 지속적으로 공급되어지는 수분의 기화 팽창압 등에 의해 방수층의 탈락이나 부풀어 오름 등과 같은 결함이 발생된다.
따라서 종래부터 이 부분의 처리를 위하여 다양한 방법이 개발 또는 제안되고 있으나, 그다지 효과를 발휘하지 못하거나, 또는 효과가 있다 하더라도 작업이 복잡하거나 많은 비용이 소요되어 실용성이 현저히 떨어지고 있다.
예를 들어, 그라인더나 쇠 브러쉬 등을 사용하여 방수바탕 표면에 부착한 이물질을 제거한 다음, 그 위를 솔이나 로울러 등을 사용하여 일반적으로 비중이 약 1.1~1.2 정도의 접착제(프라이머)를 도포하고, 상부도포 도막 방수재와 같은 재질의 비중 약 1.3 정도의 도막 방수재를 약 0.1㎜∼0.5㎜ 정도가 되게 얇게 1차 도포한 다음, 24시간 정도 충분히 양생한 후, 상기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면에 발생한 핀 홀을 다음 도 2 와 같이 비중이 약 1.7 정도로 큰 실란트 등으로 다시 메운 다음, 그 위를 소정 두께가 되도록 방수재를 도포하는 방법이 있으나, 육안으로 핀 홀을 하나하나 찾기에는 너무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또한, 표면에 발생한 핀 홀을 육안으로 하나하나 확인하면서 메워야 하기 때문에 작업이 상당히 번거로우며, 또한, 이러한 세세한 작업을 거친다 하더라도 나중에 누수의 원인이 되는 누락된 핀 홀이 반드시 발생하게 됨은 물론, 양생시간 동안 표면에 새롭게 부착한 먼지나 이물질 등에 의하여 상부도포 방수층과 탈락하는 결함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또 다른 방법으로, 방수바탕 표면에 부착한 이물질을 제거한 다음, 그 위를 솔이나 로울러 등을 사용하여 비중이 약 1.1~1.2 정도의 접착제(프라이머)를 도포하고, 처음부터 비중이 약 1.7 정도로 큰 수밀한 실란트를 고무 주걱이나 쇠 흙손 등으로 도포하여 방수바탕 표면 미세공극 내부 공기의 기화 팽창압을 무거워진 자체 질량으로 해소하는 방법이 있으나, 실란트의 자체 질량보다 작은 미세공극 내부 공기의 기화 팽창압에는 대응이 가능하나, 이보다 큰 기화 팽창압을 가지는 공극에는 대응하지 못하여 도 1 과 같이 핀 홀이 발생하거나 또는 도 1 와 같이 기화 팽창압이 수평으로 확산하여 일정면적의 방수층이 방수바탕 표면층과 함께 들뜨는 사례가 빈발하고 있으며, 특히, 천정면과 같은 수평부재에서는 전기와 같은 결함 외에 도 3 과 같이 중력이 더해져 보다 손쉽게 방수층이 방수바탕으로부터 탈락하기도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표면조직이 다공질인 구조물 표면에 접착용액을 도포하고, 이에 시멘트가 혼합된 혼합접착용액을 문질러 도포하여 방수층의 핀홀(관통 미세기공) 발생을 최대한 억제하고, 방수층의 들뜸현상 및 탈락 현상을 방지하며, 수밀한 방수층을 형성할 수 있는 속경성 타입 도막방수재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층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다공질 구조물 표면에 방수기반재를 설치하고, 이에 연속이음된 방수층을 형성하여, 부분접착 및 부분절연 방수층을 형성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표면의 균열발생이나, 외기온 변화, 변동하중에 따른 국부응력의 방수층 전달을 차단하고, 방수바탕이 함유하고 있는 수분의 기화 팽창에 따른 방수층의 부풀어 오름 결함을 예방할 수 있는 부분접착 또는 부분절연된 방수층을 형성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고형분 20% 이상의 접착용액 및, 접착용액/포틀랜드시멘트로 이루어진 혼합 접착용액을 순차적으로 바탕표면에 적정량 문질러 도포하거나, 다수번 스프레이 도포하여 다공질 방수바탕 표면의 미세기공에 들어있는 공기를 최대한 치환하여 빼내고, 이를 통해 방수층의 접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속경성 타입 도막방수재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층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접착용액과 포틀랜드 시멘트를 비중 약 3.0 이상정도로 되도록 적정비율로 혼합하여 표면 미세공극 내부의 공기를 혼합 접착용액의 질량이나 도포마찰 점도를 이용하여 치환하여 빼 내거나 눌러둘 수 있는 속경성 타입 도막방수재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층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방수기반재 끝단부에서부터 인접하는 수직부재와 만나는 모서리 부분까지 고형분 20% 이상의 접착용액을 도포하여, 강력한 접착력을 확보함으로써, 방수층의 들뜸 및 유실을 방지할 수 있는 속경성 타입 도막방수재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층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접착용액과 혼합 접착용액을 도포하고, 이에 방수층을 형성하도록 되어 있어, 방수층을 접착 일체화하고, 이를 통해 방수층 자체의 질량을 높여 방수층의 들뜸이나 유실의 원인이 되는 풍력에 대한 저항성도 향상시키며, 강풍에 의하여 구조물의 모서리 부분에서 발생하는 부압에 의한 인력에도 견딜 수 있는 내구성을 구비한 속경성 타입 도막방수재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층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건축구조물의 수평부재 하부면에 기화 휘발되는 세정제로 표면이 엣칭 세정처리된 플렌지를 방수바탕에 설치하여 속경성 타입 도막방수재의 부착력을 향상시킨 속경성 타입 도막방수재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층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속경성 타입 도막방수재를 가로/세로로 번갈아 교차되도록 스프레이 분사하여, 연속 형성된 방수층이 균일한 물성치를 구비하는 속경성 타입 도막방수재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층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연속 형성된 방수층에 엠보를 형성하여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는 속경성 타입 도막방수재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층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방수기반재를 설치하는 방수기반재 설치단계; 상기 방수기반재 끝단부 내측부터 인접하는 수직부재 또는 천정부재 표면의 이물질을 제거하고, 표면을 거칠게 처리하는 표면처리단계; 상기 표면처리된 표면에 접착용 고무 고형분 20% 이상의 접착용액을 도포하는 접착용액 도포단계; 상기 접착용액이 도포된 표면에 접착용액과 시멘트가 혼합된 혼합 접착용액을 도포하는 혼합접착용액 도포단계; 상기 방수기반재 및 혼합 접착용액이 도포된 부분에 분사 후 10초∼30초 이내에 경화되는 속경성 타입 도막방수재를 가로, 세로로 번갈아 교차하면서 스프레이 연속분사하여 연속이음된 방수층을 형성하는 방수층 형성단계; 상기 형성된 방수층에 상도(Top-Coat)재를 붓이나 로울러 또는 스프레이 로 도포하여 마감하는 마감처리단계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방수층 형성단계 이전에 필요에 따라 천정부재의 경우, 기화 휘발되는 세정제로 표면이 엣칭 세정처리된 플랜지를 방수바탕에 설치하는 플랜지 설치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방수층 형성단계 후, 방수층에 대하여 10ㅀ∼80ㅀ로 소정 경사각도를 유지하고 속경성 타입 도막 방수재를 스프레이에 의해 흩뿌려 미끄럼 방지를 위한 엠보를 형성하는 엠보싱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건설 구조물, 특히, 다공질의 시멘트 모르타르나 콘크리트 등을 방수바탕으로 하는 건설 구조물에 본 발명자들의 이전 발명, 즉, 등록특허 제 10-0411990호, 제10-0640073호, 제10-0746853호 및 제 10-0793073호와 같이, 방수 기반재(층)를 깔고, 그 위를 스프레이 분사 후, 3초 ~ 1시간 이내에 경화되는 특성을 가진 속경성 도막 방수재를 분사 도포하여 방수바탕과 부분접착, 또는 부분 절연된 방수층을 설치함에 있어, 부분접착 또는 부분 절연된 방수층과 수직부재가 만나는 모서리 부분에서 발생하는 부(-)압에 의한 부분접착, 또는 부분 절연된 방수층 끝 단부의 들뜸이나, 또는 이로 인한 방수층 전체의 유실을 방지하기 위한 강력한 접착력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다공질의 시멘트 모르타르나 콘크리트 방수바탕 표면에 무수히 존재하는 미세공극 내부 공기의 40℃ 정도 이상으로 가열 분사되는 속경성 도막 방수재의 사용상의 특성에 따른 기화 팽창압에 의한 상부 방수층의 핀 홀(관통 미세기공) 발생을 최대한 억제하여 수밀한 방수층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공질의 시멘트 모르타르나 콘크리트 방수바탕 표면에 무수히 존재하는 미세공극 내부 공기의 가열 기화 팽창압의 수평전이에 따른 미세공극 조직의 붕괴에 의한, 또는 외기온도 상승에 따라 다공질의 시멘트 모르타르나 콘크리트 방수바탕 내부로부터 지속적으로 공급되어지는 수분의 기화 팽창압 등에 따른 방수층의 탈락이나 부풀어 오름 등과 같은 결함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방수층을 만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공질의 시멘트 모르타르나 콘크리트 방수바탕의 균열이나, 구조 조인트나 ExP.Joint 등 이음부분에서의 열적 거동에 의한 신축변형과 이에 따른 국부응력이나 피로응력으로부터 방수층을 보호하기 위하여 부분 절연시킨 방수층과 구조물에 설치되는 각종 설비를 위한 기초나 파라펫 등과 같은 수직면, 또는 천정 등과 같은 수평 하부면과 연속 이음된 방수층을 형성하여 구조물 전체의 수밀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방수층 표면에 요철(엠보싱)가공이 가능하여, 보행에서의 미끄러짐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표면에 상도(Top-Coat)재를 도포하여 자외선 등에 의한 방수층의 변색을 방지하여 내구성이 우수한 방수층을 만들 수 있는 등, 많은 효과가 있다.
도 1 은 다공질 방수바탕 표면 미세공극 내부 공기의 거동을 보인 예시도
도 2 는 종래 핀홀 상부 실란트 처리를 보인 예시도
도 3 은 천정 하부면 방수층의 탈락결함 발생을 보인 예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다공질 방수바탕 표면 미세공극 처리를 보인 예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방수층 시공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시공방법을 보인 블록예시도
도 7 은 방수기반재 끝 단부와 수직부재 면에서 발생하는 바람의 거동을 보인 예시도
도 8 은 본 발명 실시예 2 에 따른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9 는 본 발명 비교예 1 에 따른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10 은 본 발명 비교예 2 에 따른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11 은 본 발명 비교예 3 에 따른 구성을 보인 예시도
도 12 는 부압저항성 평가 시험장치를 보인 예시도
도 13 은 표면 미세공극 내부공기의 거동이 부착력에 미치는 영향평가 시험장치를 보인 예시도
도 14 는 본 발명에 따른 천정면 플랜지 설치상태를 보인 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상도(Top-Coat)재 (20,20`): 속경성 도막방수재
(30,30`): 혼합 접착용액 (40,40`): 접착용액
(50,50`): 방수기반재 (60) : 접착수단
(70) : 플랜지 (100) : 방수 바탕
(200) : 바람 (300) : 프라이머층
(400) : 방수층 (410) : 핀홀
(500) : 실란트 (600) : 부압저항성 평가 시험장치
(610) : 가스켓 (620) : 열방사 가열램프
(630) : 아크릴제 뚜껑(커버) (640) : 진공펌프
(700) : 부하량 평가장치 (710) : 시험체 지지대
(720) : 열방사 가열램프 (730) : 아크릴제 뚜껑(커버)
(740) : 수조 (71) : 진공펌프
본 발명은 건설 구조물, 특히, 다공질의 시멘트 모르타르나 콘크리트 등을 방수바탕으로 하는 건설 구조물에 본 발명자들의 이전 발명, 즉, 등록특허 제 10-0411990호, 제10-0640073호, 제10-0746853호 및 제 10-0793073호와 같이, EVA, ECB, PVC나 EPDM등과 같은 합성고분자계열 시트나 아스팔트 계열 시트, 폴리에스터, 나일론, 유리섬유 등으로 만들어지는 직포나 부직포, 또는 부틸이나 고무 아스팔트 및 액상 실란트 등으로 표면처리 가공된 시트 상의 소재를 방수 기반재(층)로 하고, 그 위를 고무 아스팔트나 아크릴 또는 폴리우레아, 하이브리드 및 폴리우레탄의 분사 후 3초∼60초 이내에 경화되는 특성을 가진 속경성 방수재를 분사 도포하여 방수바탕과 부분접착, 또는 부분 절연된 방수층을 설치함에 있어서, 방수 기반재 끝 단부와 구조물 표면에 설치되는 각종 설비를 위한 기초나 파라펫 등과 같은 수직부재 표면과 연속 이음된 방수층을 설치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연계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다공질 방수바탕 표면 미세공극 처리를 보인 예시도를,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방수층 시공상태를 보인 예시도를,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시공방법을 보인 블록예시도를, 도 14 는 본 발명에 따른 천정면 플랜지 설치상태를 보인 예시도를 도시한 것으로, 본 발명은 방수기반재를 설치하는 방수기반재 설치단계(S100); 상기 방수기반재 끝단부 내측부터 인접하는 수직부재 또는 천정부재 표면의 이물질을 제거하고, 표면을 거칠게 처리하는 표면처리단계(S200); 상기 표면처리된 표면에 접착용 고무 고형분 20% 이상의 접착용액을 도포하는 접착용액 도포단계(S300); 상기 접착용액이 도포된 표면에 접착용액과 시멘트가 혼합된 혼합 접착용액을 도포하는 혼합접착용액 도포단계(S400); 상기 방수기반재 및 혼합 접착용액이 도포된 부분에 분사 후 3초∼60초 이내에 경화되는 속경성 타입 도막방수재를 가로, 세로로 번갈아 교차하면서 스프레이 연속분사하여 연속이음된 방수층을 형성하는 방수층 형성단계(S500); 상기 형성된 방수층에 상도(Top-Coat)재를 붓이나 로울러 또는 스프레이로 도포하여 마감하는 마감처리단계(S600)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플랜지 설치단계(S450) 및 엠보싱 형성단계(S550)를 더 포함한다.
상기 방수기반재 설치단계(S100)는 부분접착, 또는 부분 절연된 방수층을 만들기 위한 수단인 방수 기반재(50)를 부분적으로 접착제 또는 고정 철물 등과 같은 접착수단(60)을 사용하여 설치하는 것으로, 본 발명자들의 이전 발명, 즉, 등록특허 제 10-0411990호, 제10-0640073호, 제10-0746853호 및 제 10-0793073호에서 상세히 설명하고 있으므로, 방수기반재 설치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표면처리단계(S200)는 설치된 방수기반재(50)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방수바탕(100), 특히, 다공질의 시멘트 모르타르나 콘크리트 방수바탕 부분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단계로, 쇠 브러쉬나 그라인더 등으로 표면에 부착한 레이턴스(비중차이로 부유하는 미립시멘트나 골재표면에 부착한 이물질에 의한 접착력이 현저히 떨어지거나, 또는 접착을 방해하는 층)나 도장 등과 같은 접착에 장애가 되는 이물질을 제거하고, 또한 표면을 요철상태로 만들어 접착면적을 넓게 한다.
즉, 상기 표면처리단계(S200)는 구조물 표면에 설치되는 각종 설비 기초나 파라펫 등과 같은 수직 부재 면, 또는 천정 등과 같은 수평부재 하부 면과 연속된 방수층을 만들기 위한 방수바탕, 특히 시멘트 모르타르나 콘크리트 등과 같은 다공질 소재의 표면에 부착한 레이턴스 등과 같은 이물질을 그라인더나 솔 등으로 제거한다.
또한, 상기 표면처리단계(S200)는 방수바탕과 부분접착, 또는 부분 절연된 방수층을 만들기 위한 수단인 방수 기반재(50)의 끝 단부에서 방수기반재 내측방향으로 약 10㎜∼100㎜ 폭 부분에 대해서도 이물질을 제거하고, 표면을 요철상태로 만들어 접착면적을 넓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접착용액 도포단계(S300)는 이물질이 제거된 방수바탕(100) 표면에 접착용액(40)을 도포하는 단계로, 다공질의 방수바탕(100) 표면 미세기공에 들어 있는 공기를 최대한 치환하여 빼낼 수 있도록, 또는 방수 기반재(50)의 끝 단부 안쪽으로 약 10㎜∼100㎜ 폭이 방수 바탕에 접착될 수 있도록 아크릴이나 에폭시, 또는 우레탄계열의 접착용 고무 고형분 20% 이상의 접착용액(일반적으로는 프라이머)을 0.1㎏/㎡∼0.3㎏/㎡ 정도 솔이나 로울러로 여러번 문질러 도포하거나, 또는 스프레이로 여러 번 반복 도포한다. 이때, 상기 접착용액(40)은 비중이 약 1.1∼1.2 정도를 구비한다.
즉,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크릴이나 에폭시, 또는 우레탄 계열의 접착용 고무 고형분 20% 이상, 비중이 약 1.1∼1.2 정도의 접착용액(40)을 0.1㎏/㎡∼0.3㎏/㎡ 정도 솔이나 로울러, 또는 스프레이 등으로 표면에 도포하게 되면, 표면 미세공극 내부에 있는 핀 홀 발생의 원인이 되는 공기가 치환되어 최대한 빠지게 되며, 접착력이 향상된다.
상기 혼합 접착용액 도포단계(S400)는 접착용액을 도포한 부분에 상기 접착용 고무 고형분 20% 이상의 접착용액(40)과 포틀랜트 시멘트를 중량비로 1 : 0.1 ∼ 1 : 3 이 되도록 혼합한 혼합 접착용액(30)을 0.1㎏/㎡∼1.0㎏/㎡ 정도 솔이나 로울러 등으로 전면을 더 도포하는 단계로, 전동 혼합기 등을 사용하여 상기 접착용액(40)과 포틀랜트 시멘트를 균일하게 혼합하여 혼합 접착용액(30)을 형성하고, 상기 혼합 접착용액(30)을 솔 또는 로울러 등으로 도포하거나, 스프레이 분사하여 도포한다.
이때, 상기 솔이나 로울러 등으로 도포할 때에는 다수 번 문질러 다공질의 방수바탕(100) 표면 미세기공에 들어 있는 아직 치환되지 않은 나머지 공기를 최대한 빼낼 수 있도록 하고, 스프레이로 분사 도포할 경우, 다수 번 반복 분사 도포하여 방수바탕 표면 미세기공에 들어 있는 아직 치환되지 않은 나머지 공기의 기화 팽창압에도 견딜 수 있는 질량이 되도록 0.1㎜∼1.0㎜ 정도의 두터운 막을 만드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즉, 도 4 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착용 고무 고형분 20% 이상의 접착용액(일반적으로는 프라이머)과 포틀랜트 시멘트를 중량비로 1 : 0.1 ∼ 1 : 3이 되도록 혼합한 혼합 접착용액을 0.1㎏/㎡∼1.0㎏/㎡ 정도 솔이나 로울러 등으로 전면을 더 도포하여 전기 비중이 약 1.1~1.2 정도로 가벼운 접착용액을 도포하여도 제거되지 않은 나머지 표면 미세공극 내부의 공기를 비중을 약 3.0 이상 정도로 무겁게 한 포틀랜트 시멘트 혼합 접착용액의 질량이나 도포마찰 점도를 이용, 치환하여 빼내거나 또는 눌러 두면, 방수바탕 표면 미세공극 내부 공기의 기화 팽창압 대부분을 자체 질량으로 해소할 수 있으며, 만약 상기 혼합 접착용액의 질량보다 큰 압력이 발생하더라도 일반적으로 수(기)밀한 도막 방수재나 실란트 등과는 달리, 도 4 의 (d)와 같이 혼합 접착용액 내부에 존재하는 포틀랜트 시멘트 경화체 내부의 극도로 미세한 세공을 통하여 압력이 분산, 또는 해소되므로 종래방법과 같이 방수층의 수밀성에 영향을 미치는 핀 홀 발생이나, 표면 미세공극 내부 공기의 수평 전이 기화 팽창압에 의한 방수층이 들뜨는 문제발생이 거의 없으며, 특히, 상부 도포 방수층과 접착 일체화하여 방수층 자체의 질량을 높여 방수층의 들뜸이나 유실의 원인이 되는 풍력에 대한 저항성도 향상시켜 강풍에 의하여 구조물의 모서리 부분에서 발생하는 부압에 의한 인력에도 견딜 수 있는 접착력을 가지게 하고, 또한, 핀 홀 발생도 제어할 수 있는 수밀하고 내구성이 있는 연속된 방수층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표면처리단계(S200), 접착용액 도포단계(S300) 및, 혼합 접착용액 도포단계(S400)를 통해, 우수한 접착력을 구비한 방수층을 형성하게 된다. 이를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7 은 방수기반재 끝 단부와 수직부재 면에서 발생하는 바람의 거동을 보인 예시도를 도시한 것으로, 부분접착, 또는 부분 절연된 방수층을 만들기 위한 각종 방수기반재(층)의 끝 단부와 구조물, 특히 다공질의 시멘트 모르타르나 콘크리트 등과 같은 방수바탕 표면에 설치되는 각종 설비를 위한 기초나 파라펫 등과 같은 수직부재 표면과 연속 이음 된, 또한, 부분접착 또는 부분 절연된 방수층과 수평부재가 만나는 모서리 부분에서 발생하는 부압은 일반적으로 다음의 [표1]과 같이, 지붕 코너, 즉, 수평이나 경사부재와 수직부재와 만나는 모서리 부에서는 풍력계수 최대 5.0 정도의 부(-)압이 발생하며, 이 때 필요로 하는 방수층의 방수바탕과의 접착력은 최대 순간 풍속 59㎧일 때 10.0㎪(10.2ㅧ10-2㎏f/㎠) 이상이 필요하며, 만약, 이를 만족하지 못할 경우, 또는 전기와 같이 방수바탕 표면 미세공극 내부 공기의 기화 팽창압에 의한 표면공극 조직의 붕괴에 따른 접착력 저하 결함이 발생할 경우 방수층의 단부나 방수층 전체가 바람에 유실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표1]
따라서 이러한 부분에서의 접착력 개선을 위해서는 전술하고 있는 다공질의 시멘트 모르타르나 콘크리트 표면에 존재하는 미세 공극과 미세공극 내부의 공기를 제어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할 수 있으며, 그 방법으로 먼저, 표면의 미세 공극이 완전히 들어나도록 쇠 브러쉬나 그라인더 등으로 표면에 부착한 접착력을 저해하는 레이턴스나 도장 등과 같은 이물질을 제거하고, 미세공극 내부 공기를 가능한 범위에서 빼 낼 수 있도록 접착 고형분 20% 이상의 접착제(프라이머)를 도포하여 치환한 다음, 미세한 기공을 가져 남아 있는 공기의 기화 팽창압을 일산, 또는 빼 낼 수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도록 포틀랜트 시멘트와 전기 접착 고형분 20% 이상의 접착제(프라이머)를 혼합한 혼합 접착제를 만들어 더 도포하게 되면 거의 완벽하게 표면에 존재하는 미세 공극과 미세공극 내부의 공기를 제어할 수 있게 되며, 또한, 전기와 같이 만든 혼합 접착용액의 비중은 3.0 이상이 되어 부분적으로 남아 있는 공기의 기화 팽창압에 저항하여 보다 접착력 향상에 기여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플랜지 설치단계(S450)는 혼합 접착용액 도포 후, 방수층 형성단계 전에 하는 것으로, 소정의 접착면적을 구비하고, 메틸알콜이나 에틸알콜, 또는 시너 등과 같은 기화 휘발성 소재로 표면이 엣칭 세정 처리된 플랜지(70)를 폭 0.3m∼1.5m 간격으로 앵커 등과 같은 고정철물로 방수바탕에 고정한다. 상기 플랜지(70)는 방수바탕에 고정되어 방수바탕으로부터의 혼합 접착용액 및 방수층의 탈락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방수층 형성단계(S500)는 혼합 접착용액 도포부분과, 본 발명자들의 이전 발명에 따라 설치된 방수바탕과 부분접착, 또는 부분 절연된 방수층을 만들기 위한 수단인 방수 기반재(50) 위를 포함한 전면에 고무 아스팔트나 아크릴 또는 폴리우레아, 하이브리드 및 폴리우레탄 계열의 분사 후 3초∼60초 이내에 경화되는 특성을 가진 속경성 도막방수재(20)를 소정의 두께가 되도록 가로, 세로로 번갈아 교차하면서 100∼4,000 psi의 압력으로 스프레이 분사 도포하여 수직면에서도 흘러내림 없이 평면부와 연속 이음된 방수층을 형성한다.
상기 엠보싱 단계(S550)는 속경성 도막방수재에 의한 방수층 형성단계 후, 방수층에 대하여 10ㅀ∼80ㅀ로 소정 경사각도를 유지하고 속경성 타입 도막 방수재를 스프레이에 의해 흩뿌려 미끄럼 방지를 위한 엠보를 형성한다.
상기 마감처리단계(S600)는 엠보싱 처리된 방수층에 필요에 따라 자외선 차단 등 방수층 보호가 가능한 상도(Top-Coat)재(10)를 붓이나 로울러 또는 스프레이 등으로 도포하여 마감한다. 이와 같은 마감처리 단계는 본 발명자들의 이전 발명, 즉, 등록특허 제 10-0411990호, 제10-0640073호, 제10-0746853호 및 제 10-0793073호에서 설명하고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건설 구조물, 특히, 다공질의 시멘트 모르타르나 콘크리트 등을 방수바탕으로 하는 건설 구조물에 본 발명자들의 이전 발명, 즉, 등록특허 제 10-0411990호, 제10-0640073호, 제10-0746853호 및 제 10-0793073호와 같이, 속경성 도막 방수재를 사용하여 방수바탕과 부분절연, 또는 부분 접착된 방수층을 만들기 위하여 깔아 두는 방수 기반재(층)의 끝 단부와 구조물, 특히 다공질의 시멘트 모르타르나 콘크리트 등과 같은 방수바탕 표면에 설치되는 각종 설비를 위한 기초나 파라펫 등과 같은 수직부재 표면, 또는 천정 등과 같은 수평부재 하부 면과 연속 이음되어져, 부분접착 또는 부분 절연된 방수층과 수평부재가 만나는 모서리 부분에서 발생하는 부압에 의한 부분접착, 또는 부분 절연된 방수층 끝 단부의 들뜸이나, 이로 인한 방수층 전체의 유실을 방지하기 위한 강력한 접착력 확보와, 또는, 다공질의 시멘트 모르타르나 콘크리트 표면의 미세공극 내부 공기의 기화 팽창압에 의한 상부 방수층의 핀 홀 발생을 최대한 억제하여 보다 수밀한 방수층을 설치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 1
중량 배합비로 시멘트 1: 모래 2의 시멘트 모르타르 판(폭 40㎜ㅧ길이 300㎜ㅧ두께 20㎜) 을 만든 다음, 표면을 전기와 같이 쇠 브러쉬로 문질러 바탕조정을 하였으며, 이를 이용하여 [표2]에서와 같이, 다양한 시험체를 형성하였다.
즉, 바탕조정된 위를 일반적인 비중이 1.2 정도인 우레탄고무 고형분 20% 이상의 접착제(프라이머)를 0.1㎏/㎡, 0.2㎏/㎡, 0.3㎏/㎡가 되도록 각각 도포한 시험체 및, 도포하지 않은 시험체를 만들고,
또한, 바탕조정후, 전기 우레탄고무 고형분 20% 이상의 접착제(이후 프라이머라 함)에 일반 포틀랜트 시멘트를 중량비로 1:0.1, 1:0.5, 1:1, 1:2, 1:3, 1:4 및 1:5가 되도록 각각 혼합하여 만든 혼합 접착용액을 전기 프라이머 도포 없이 직접 표면에 솔로 도포한 시험체를 만들며,
또한, 바탕조정후, 전기 프라이머를 0.1㎏/㎡, 0.2㎏/㎡, 0.3㎏/㎡가 되도록 각각 도포한 다음, 그 위를 전기 우레탄고무 고형분 20% 이상의 접착제(이후 프라이머라 함)에 일반 포틀랜트 시멘트를 중량비로 1:0.1, 1:0.5, 1:1, 1:2, 1:3, 1:4 및 1:5가 되도록 각각 혼합하여 만든 혼합 접착용액을 각각 솔로 도포한 시험체를 각각 만들었다.
상기와 같이 각각 형성된 시험체를 각각 4시간 상온(20℃ 정도)에서 양생시킨 다음, 그 위를 약 70℃정도로 가열 분사되어 10초 이내에 경화되는 속경성 폴리우레탄 도막 방수재를 스프레이 분사 도포하여 방수층을 만들고,
KS F 4934에서 정하고 있는 인장접착(Full Up 시험법)력 시험방법에 준하여 시험하였으며, 그 결과는 [표2]와 같다.
[표2]
상기 [표2]에서와 같이, 프라이머를 도포하지 않은 시험체 대부분에서는 다수의 핀 홀이 발생하고, 또한 부착력도 현저히 작으며, 또한 탈락 시 방수바탕 표면을 전혀 물고 떨어지는(바탕 응집파괴) 경향을 나타내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또한, 프라이머만 도포한 시험체에서도 다수의 핀 홀이 발생함과, 부착력도 그다지 좋지 않으며 또한 도포량이 작을 경우, 탈락 시 방수바탕 표면을 전혀 물고 떨어지는(바탕 응집파괴) 경향을 나타내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다.
반면, 프라이머 도포 없이 일반 포틀랜트 시멘트를 혼합하여 만든 혼합 접착용액을 도포한 시험체에서는 일부 포틀랜트 시멘트 혼합량이 작은 시험체에서 핀 홀 발생을 확인할 수 있으나, 나머지 시험체에서는 거의 핀 홀이 발생하지 않았으나, 접착력에서는 프라이머만 도포한 시험체와 일반 포틀랜트 시멘트를 혼합하여 만든 혼합 접착용액을 도포한 시험체와의 차이는 거의 확인할 수 없었으며, 일반 포틀랜트 시멘트의 혼합량이 1:4를 초과할수록 오히려 접착력이 저하됨을 알 수 있었다. 한편, 핀 홀 발생과 접착력을 동시에 고려할 경우, 프라이머 도포량과는 관계없이 프라이머 도포한 다음, 그 위를 프라이머와 일반 포틀랜트 시멘트를 혼합하여 만든 혼합 접착제를 더 도포하게 되면 핀 홀이 거의 발생하지 않으며, 특히, 프라이머 도포량을 0.1㎏/㎡∼0.3㎏/㎡로 한정한 범위 내에서는 그 위를 포틀랜트 시멘트 중량 배합비로 1:0.5∼1:3 정도로 조성된 혼합 접착용액을 적절하게 조합하여 도포하여 방수하면 15.0㎏f/㎠ 이상의 뛰어난 접착력도 얻을 수 있어 품질이 뛰어난 방수층을 만들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 2
다공질의 시멘트 모르타르나 콘크리트 표면의 미세공극 내부 공기의 기화 팽창압이 방수층의 부착력에 미치는 영향과, 이에 대응하여 장기간 부착력을 확보할 수 있는 바탕 조정 방법을 확인하기 위하여 KS F 2622에서 정하고 있는 방수층의 부압에 대한 저항성을 평가하기 위한 시험방법에 준하여,
도 8 과 같이, 28일 설계 기준 강도 240㎏f/㎠, 폭 1,000㎜ㅧ길이 1,000㎜ㅧ두께 200㎜ 의 콘크리트 판(80)을 만들어, 표면의 1/3에 나일론 수지 섬유사를 심재로 하여 그 표면을 폴리에스터 수지로 가열 압착하여 만든 부직포 표면에 우레탄 실란트 용액으로 코팅 처리한 부직포를 방수기반재(50`)로 하여 깐 다음, 방수 기반재(50`) 끝 단부 내측 50㎜부터 나머지 표면을 상기 실시예 1 과 같이 쇠 브러쉬로 문질러 바탕조정하고, 바탕 조정한 표면에 전기 [표2]의 시험결과를 반영하여 대표적인 조합으로 일반적인 비중이 1.2 정도인 우레탄고무 고형분 20% 이상의 접착제(40`)를 0.2㎏/㎡가 되도록 도포한 다음, 전기 우레탄고무 고형분 20% 이상의 접착제(이후 프라이머라 함)에 일반 포틀랜트 시멘트를 중량비로 1:0.1, 1:0.5, 1:1, 1:2, 1:3, 1:4 및 1:5가 되도록 각각 혼합하여 만든 혼합 접착용액(30`)을 솔로 더 도포한 다음, 방수 기반재(50`)을 포함한 전면 위를 70℃정도로 가열 분사되어 10초 이내에 경화되는 속경성 폴리우레탄 도막 방수재(20`)를 스프레이 분사 도포하여 연속된 방수층을 만들었다.
비교예 1
실시예 1 과 같은 방법으로 바탕 조정한 다음, 그 위를 도 9 와 같이 일반적인 비중이 1.2 정도인 우레탄고무 고형분 20% 이상의 접착제(40`)만 전기 [표2]에서의 결과를 반영하여 접착력이 가장 양호한 0.3㎏/㎡가 되도록 도포하고 속경성 폴리우레탄 방수재(20`)를 도포한 시험체를 만들었다.
비교예 2
실시예 1 과 같은 방법으로 바탕 조정한 다음, 그 위를 도 10 와 같이 일반적인 비중이 1.2 정도인 우레탄고무 고형분 20% 이상의 접착제(40`)만 0.2㎏/㎡가 되도록 도포하고 속경성 폴리우레탄 방수재(20`)를 1차 도포한 다음, 표면에 발생한 핀 홀을 일반적인 비중 약 1.7 정도의 탄성 실란트(500)로 메운 다음(부분 도포), 그 위를 다시 속경성 폴리우레탄 방수재(20`)를 2차 도포한 시험체를 만들었다.
비교예 3
실시예 1 과 같은 방법으로 바탕 조정한 다음, 그 위를 도 11 과 같이 일반적인 비중이 1.2 정도인 우레탄고무 고형분 20% 이상의 접착제(40`)를 0.2㎏/㎡가 되도록 도포한 다음, 그 위를 일반적인 비중 약 1.7 정도의 탄성 실란트(500)로 전면 도포하고, 그 위를 속경성 폴리우레탄 방수재(20`)를 도포하여 시험체를 만들었다.
실시예 3
상기 실시예 2, 비교예 1 내지 3 에 의해 만든 시험체 표면에 도 12 와 같이 내부를 볼 수 있는 투명한 아크릴제 두껑(630)을 덮고, 방수층 표면 온도를 열방사 가열램프(620)로 약 60℃가 되도록 고온 가열하여 유지하고, 또한, 바탕과의 접착력이 약 1.0kgf/㎠(약 100.0kPa)에 상당하는 부압이 될 수 있도록 진공 펌프(640)로 흡인하여 방수층의 들뜸이나 부풀어 오름 현상 등과 같은 결함이 발생하는 시간을 기록하였으며, 그 결과는 [표3]과 같다.
[표3]
상기 [표3]에서와 같이, 우레탄 프라이머를 0.2㎏/㎡ 도포하고, 그 위를 전기 우레탄 프라이머와 포틀랜트 시멘트를 1:0.5~1:4.0으로 혼합한 혼합 접착용액을 도포한 시험체의 경우, 대부분 약 230시간 이상을 약 100.0 ㎪의 부압에 견딜 수 있는 반면, 비교 예(3)을 제외한 나머지 종래 방법의 경우 약 160시간 정도에 방수층이 들뜨는, 특히 방수 기반재(층) 끝 단부에서 시작되는 결함이 발생하고 있으며, 또한, 비교 예(3)의 경우, 약 285시간 부압에 견딘다 하더라도 방수바탕과 응집파괴하는 본 발명과는 달리, 수밀한 탄성 실란트 층과 방수층이 탈락하는 결함이 발생하여 결과적으로는 접착 내구성이 떨어진다고 할 수 있으며, 이러한 주된 원인은 다공질 방수바탕 표면 미세공극 내부 기화 수증기압의 수평전이에 따른 표면 조직의 붕괴나, 실란트 층 표면을 관통하는 핀 홀을 통한 바탕표면 공기의 이동이나 실란트 층 표면에 부착한 먼지 등과 같은 이물질이 접착력 저하의 원인이 되었다고 생각되며, 반면, 포틀랜트 시멘트를 혼합한 접착제를 사용하는 본 발명의 경우, 시멘트 경화체 내부에 존재하는 극 미세한 기공을 통하여 기화 팽창압이 일산완화되었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실시예 4
다공질 방수바탕 표면 공극내부 공기의 거동이 상부 방수층과의 부착력에 미치는 영향을 보다 명확하게 판단하기 위해, 도 13 과 같이 방수층 상부를 가열하여 포텐셜(위치)에너지 차이를 극대화시켜, 도 1 의 (d)와 같이 방수바탕 하부의 물이 다공질의 방수바탕을 관통하여 방수층 아래(프라이머 층 아래), 즉, 방수바탕 표면의 미세공극으로 이동하게 하여, 지속적인 기화 팽창압이 방수층에 가해질 수 있도록 하였다.
시험체는 전기 부압에 대한 저항성 평가를 위한 시험체 제작요령과 같이, 즉, 28일 설계 기준 강도 240㎏f/㎠의 콘크리트 판(폭 300㎜ㅧ길이 300㎜ㅧ두께 50㎜)을 만들고, 표면을 전기와 같이 쇠 브러쉬로 문질러 바탕조정하고, 그 표면에 상기 실시예 2,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3 과 같은 방법으로 시험체를 각각 제작하였다.
시험은 고온 가열이 가능하도록 제작한 투명 아크릴제 커버(730) 내부 온도(방수층 표면 온도)를 60℃로 하여 168시간 가열 한 다음, KS F 4934에서 정하고 있는 인장접착(Full Up 시험법)력 시험방법에 준하여 부착강도를 측정하고, 방수층 탈락면의 상태를 확인하였으며, 그 시험결과는 다음의 [표4]와 같다.
[표4]
상기 [표4]에서와 같이, 본 시험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프라이머와 포틀랜트 시멘트를 혼합한 혼합 접착용액을 도포한 시험체의 부착력이 전반적으로 종래의 바탕 처리방법과 비교하여 현저히 뛰어나며, 또한, 본 발명의 혼합비 1:0.1과, 나머지 종래의 바탕 처리방법 전부가 방수바탕 표면 미세 공극조직 내부 공기의 기화팽창 등과 같은 거동에 의하여 방수바탕과 프라이머 경계면에서 계면탈락하는 경향을 나타내는 반면, 본 발명의 경우, 이와 같은 영향을 거의 받지 않는, 즉, 방수바탕 표면을 물고 떨어지는 응집파괴를 나타내고 있고, 또한, 전기 [표2]에서와 같은 초기 부착력과 비교하여 대부분 14㎏f/㎠ 이상의 그다지 변화 없는 접착력을 발휘하고 있음은 결국, 장기적인 접착 내구성 측면에서는 종래의 바탕 처리방법과 비교하여 유리함을 나타낸다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Claims (8)

  1. 방수기반재를 설치하는 방수기반재 설치단계;
    상기 방수기반재 끝단부 내측부터 인접하는 수직부재 또는 천정부재 표면의 이물질을 제거하고, 표면을 거칠게 처리하는 표면처리단계;
    상기 표면처리된 표면에 접착용 고무 고형분 20% 이상의 접착용액을 도포하는 접착용액 도포단계;
    상기 접착용액이 도포된 표면에 접착용액과 시멘트가 혼합된 혼합 접착용액을 도포하는 혼합접착용액 도포단계;
    상기 방수기반재 및 혼합 접착용액이 도포된 부분에 분사 후 10초∼30초 이내에 경화되는 속경성 타입 도막방수재를 가로, 세로로 번갈아 교차하면서 스프레이 연속분사하여 연속이음된 방수층을 형성하는 방수층 형성단계;
    상기 형성된 방수층에 상도(Top-Coat)재를 붓이나 로울러 또는 스프레이 로 도포하여 마감하는 마감처리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경성 타입 도막방수재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층 시공방법.
  2.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표면처리단계는 방수바탕과 부분접착, 또는 부분 절연된 방수층을 만들기 위한 수단인 방수 기반재의 끝 단부에서 방수기반재 내측방향으로 10㎜∼100㎜ 폭 부분부터 인접하는 수직부재 면이나 수평부재 하부면에 대하여 이물질을 제거하고, 표면을 거칠게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경성 타입 도막방수재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층 시공방법.
  3.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접착용액은 아크릴이나 에폭시, 또는 우레탄 계열의 비중 1.1∼1.2 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경성 타입 도막방수재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층 시공방법.
  4.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혼합 접착용액은 접착용 고무 고형분 20% 이상의 접착용액과 포틀랜트 시멘트를 중량비로 1 : 0.1 ∼ 1 : 3 이 되도록 혼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경성 타입 도막방수재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층 시공방법.
  5.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혼합 접착용액은 0.1㎜∼1.0㎜ 두께로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경성 타입 도막방수재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층 시공방법.
  6. 청구항 1 에 있어서;
    상기 속경성 도막방수재는 고무 아스팔트, 아크릴, 폴리우레아, 하이브리드, 또는 폴리우레탄 계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경성 타입 도막방수재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층 시공방법.
  7. 청구항 1 에 있어서;
    방수층 형성단계 이전에 필요에 따라 천정부재의 경우, 기화 휘발되는 세정제로 표면이 엣칭 세정처리된 플랜지를 방수바탕에 설치하는 플랜지 설치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경성 타입 도막방수재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층 시공방법.
  8. 청구항 1 에 있어서;
    방수층 형성단계 후, 방수층에 대하여 10ㅀ∼80ㅀ로 소정 경사각도를 유지하고 속경성 타입 도막 방수재를 스프레이에 의해 흩뿌려 미끄럼 방지를 위한 엠보를 형성하는 엠보싱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속경성 타입 도막방수재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층 시공방법.
KR1020080017059A 2008-02-26 2008-02-26 속경성 타입 도막방수재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방수층 시공방법 KR1009712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7059A KR100971201B1 (ko) 2008-02-26 2008-02-26 속경성 타입 도막방수재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방수층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7059A KR100971201B1 (ko) 2008-02-26 2008-02-26 속경성 타입 도막방수재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방수층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1861A true KR20090091861A (ko) 2009-08-31
KR100971201B1 KR100971201B1 (ko) 2010-07-20

Family

ID=412090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7059A KR100971201B1 (ko) 2008-02-26 2008-02-26 속경성 타입 도막방수재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방수층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120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67592A (zh) * 2018-08-24 2019-01-25 佛山市科顺建筑材料有限公司 一种墙面阴角预铺反粘防水卷材的施工方法
CN111501850A (zh) * 2020-04-25 2020-08-07 浙江欣成建设有限公司 一种防水防潮混凝土施工工艺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3257B1 (ko) 2023-06-08 2023-11-17 주식회사 넷폼알앤디 결로방지 복합단열시트 및 이를 이용한 노출 시트방수공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42870B2 (ja) * 1990-07-06 1999-08-30 三菱レイヨン株式会社 ゴムアスファルト系防水用組成物
KR20040027632A (ko) * 2004-02-18 2004-04-01 김복일 에폭시 또는 아크릴 에폭시 시멘트 몰탈을 이용한 방수,방식 공법
KR100640073B1 (ko) * 2005-08-10 2006-11-02 송병창 건물 옥상의 통기 절연형 방수층 현장 속성시공방법과방수층 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67592A (zh) * 2018-08-24 2019-01-25 佛山市科顺建筑材料有限公司 一种墙面阴角预铺反粘防水卷材的施工方法
CN111501850A (zh) * 2020-04-25 2020-08-07 浙江欣成建设有限公司 一种防水防潮混凝土施工工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71201B1 (ko) 2010-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08457B1 (ko) 저항형 단열재료와 반사형 보호 코팅재를 이용한 복합 도막 방수층 시공방법
KR100956489B1 (ko) 콘크리트 구조물에 대한 폴리우레아 방수 코팅공법
KR100947460B1 (ko) 폴리우레아 콘크리트 구조물에 대한 방수 코팅공법
KR100640073B1 (ko) 건물 옥상의 통기 절연형 방수층 현장 속성시공방법과방수층 구조
KR100969955B1 (ko) 속경성 타입 도막방수재를 이용한 금속재 경사지붕 방수층시공방법
KR100772329B1 (ko) 칙소성 우레탄과 섬유시트를 이용한 방수 및 바닥재시공방법
KR101062734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 방식 기능을 가지고 있는 침투형 보호코팅제 및 그 시공방법
KR101643519B1 (ko) 슈퍼마이크로 섬유를 이용한 바탕조정재
KR20060102384A (ko) 침투 발수 기능과 방수성을 가지는 실리콘 레진 에멀젼피막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141629B1 (ko) 실란화합물을 함유하여 습윤면 부착성능과 내구성을 향상시킨 실란변성 폴리우레아 수지 도막방수재 및 이를 이용한 방수?방식공법
KR100971201B1 (ko) 속경성 타입 도막방수재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방수층 시공방법
US20140342147A1 (en) Covering material for flooring and walls
US6769216B2 (en) Process of waterproofing construction surface and slit of construction surface
KR101643520B1 (ko) 슈퍼마이크로섬유 바탕조정재를 이용한 폴리우레아방수 코팅공법
PL210549B1 (pl) Sposób powlekania elementów budowlanych wykonanych na bazie cementu i powlekany element kształtowy na bazie cementu
KR20140133169A (ko) 침투형 보호코팅제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247690B1 (ko) 폴리우레아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 방수공법 및 이의 방수구조
KR101607811B1 (ko) 3중 복합방수 공법
KR100734176B1 (ko) 엠보 스프레이 코팅시스템을 이용하여 엠보싱 무늬층을형성하는 건물 옥상이나 바닥면의 우레탄도막형 방수공법
JP2005193142A (ja) 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表面被覆方法、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表面被覆構造
KR20000072868A (ko) 수용성 1액형 도막 방수제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한 복합 도막방수시공방법
KR100565908B1 (ko) 폴리우레아수지와 바탕조정재를 이용한 방수공법
KR101752706B1 (ko) 단열 및 난연성 블록을 이용한 건축물 표면의 방수구조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2484066B1 (ko) 침투성 폴리머 방수재 및 습윤면 속경성 폴리머 모르타르가 적층 도포된 도막방수 시스템 및 그 시공공법
KR101028953B1 (ko) 표면 처리 및 방수 시트를 이용한 복합식 방수 처리 공법 및 이에 의하여 시공된 방수 구조와 그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3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