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9979B1 - 흡음패널용 방수 마감시트 - Google Patents

흡음패널용 방수 마감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9979B1
KR102579979B1 KR1020210153990A KR20210153990A KR102579979B1 KR 102579979 B1 KR102579979 B1 KR 102579979B1 KR 1020210153990 A KR1020210153990 A KR 1020210153990A KR 20210153990 A KR20210153990 A KR 20210153990A KR 102579979 B1 KR102579979 B1 KR 1025799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sound
finishing
absorbing
waterproo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39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68480A (ko
Inventor
한경주
Original Assignee
한경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경주 filed Critical 한경주
Priority to KR10202101539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9979B1/ko
Publication of KR202300684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84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99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99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next to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22Non-woven fabric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24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preventing damage to building parts or finishing work during construction
    • E04G21/24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preventing damage to building parts or finishing work during construction for temporarily covering the whole worksite, e.g. building, trenc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1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acoustical properties
    • B32B2307/102Insul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16Reflectiv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24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preventing damage to building parts or finishing work during construction
    • E04G2021/248Tarpauli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흡음패널용 방수 마감시트에 관한 것으로서, PE 재질로 된 것으로서 필름 형태를 이루는 마감층(11) 및 상기 마감층(11)의 배면에 형성된 것으로서 PET(폴리에스터) 섬유가 부직포 형태를 가지는 부직포베이스층(12)을 포함하고; 상기 부직포베이스층(12)의 상부면은 상기 마감층(11)의 배면에 부분 함침되어 상기 마감층(11)과 한몸체를 이루고, 상기 마감층(11)에 함침되지 않은 나머지 하부면은 부직포 섬유 형태로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흡음패널용 방수 마감시트{Waterproof finishing sheet}
본 발명은 방수 마감시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부직포로 된 흡음패널을 감쌈으로써 흡음패널이 방수 및 컬러 구현 기능을 갖도록 기능성을 부여한, 흡음패널용 방수 마감시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을 시공할 때 작업자가 통행할 수 있는 시스템 비계를 설치하고, 시공 과정에서 발생되는 먼지가 주위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건물 측면을 감싸는 차양막을 설치한다. 차양막은 통상 망사 형태로 되거나 수많은 구멍이 형성된 비닐 재질로 되며, 차양막을 설치함으로써 시공 과정에서 발생되는 먼지의 비산을 최소화할 수 있다.
그런데 차양막은 시공 과정에서 발생되는 먼지의 비산을 일부 줄일 수는 있으나 현장에서 발생되는 소음이 주위 한경으로 퍼지는 것을 줄일 수 없었고, 건설 현장 주위에 거주하는 사람들은 소음 및 먼지에 노출되는 됨에 따라 주위에 거주하는 사람들의 민원 대상이 되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시스템 비계에 직사각형 형태의 흡음패널을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적층하여 건물 측면을 가리고, 이에 따라 시공 과정에서 발생되는 소음이 외부로 전달되는 것을 줄이기 위한 시도를 하고 있다. 이러한 흡음패널은 부직포를 압착 가공하여 구현된다.
그런데 상기 흡음패널은 부직포 재질로 되어 있기 때문에 비나 눈이 올 때, 물기를 흡수함으로써 무거워지고, 이에 따라 형태 변형이 일어나면서 흡음패널과 다른 흡음패널 사이가 벌어지거나 자중 증가에 의하여 무너지게 되고, 이에 따라 소음이 외부로 전달되는 것을 막을 수 없게 되었다.
또한 부직포는 특성상 컬러를 부여하기가 용이하지 않기 때문에 부직포로 된 흡음패널은 대부분 짙은 회색을 가지게 되고, 이러한 흡음패널을 주위 외관을 해치는 원인이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시스템비계에 설치되는 흡음패널을 감쌈으로써 물기를 흡수하지 않도록 하고, 컬러로 구현할 수 있어 주위 외관을 해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시공과정에서 발생되는 소음이 외부로 전달되는 것을 감소시키는, 흡음패널용 방수 마감시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흡음패널용 방수 마감시트는, PE 재질로 된 것으로서 필름 형태를 이루는 마감층(11) 및 상기 마감층(11)의 배면에 형성된 것으로서 PET(폴리에스터) 섬유가 부직포 형태를 가지는 부직포베이스층(12)을 포함하고; 상기 부직포베이스층(12)의 상부면은 상기 마감층(11)의 배면에 부분 함침되어 상기 마감층(11)과 한몸체를 이루고, 상기 마감층(11)에 함침되지 않은 나머지 하부면은 부직포 섬유 형태로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마감층(11)은 20~100 ㎛ 의 두께를 가지고, 상기 부직포베이스층(12)은 30~100g/㎡ 의 중량비를 가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마감층(11)은 블루 컬러 또는 그린 컬러를 가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마감층(11)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입사되는 광을 광원으로 그대로 반사하는 재귀반사층(13)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흡음패널용 방수 마감시트(10)에 있어서, 마감층(11)이 PE 로 된 필름 형태를 이루기 때문에 방수 기능을 가지게 되고, 비록 PE 재질의 마감층(11) 자체는 내구성이 약하지만 PET 부직포로 된 부직포베이스층(12)이 한몸체가 됨으로써 강한 내구성을 가지게 되며, 더 나아가 마감층(11)의 컬러 구현성이 우수하다. 따라서 방수 마감패널(10)은 흡음패널(20)을 감싸서 흡음패널 고유의 기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다용도 마감재가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방수 마감시트(10)는 부직포베이스층(12)을 가지기 때문에 흡음패널(20)의 흡음층(24)에 견고하게 합지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바람이나 충격에도 방수 마감시트(10)가 흡음층(24)으로부터 분리된 후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흡음층(24)을 외부의 가혹한 환경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방수 마감시트(10)로 감싸여진 흡음패널(20)은 컬러를 가지기 때문에, 흡음패널(20)로 시공중인 건물을 감쌀 경우 주위 미관이 해쳐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주위의 사람들이 느끼는 눈의 피로도를 줄일 수 있다라는 작용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흡음패널용 방수 마감시트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2는 도 1의 방수 마감시트를 제조하는 일련을 공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도 1의 흡음패널용 방수 마감시트의 상부면에 재귀반사층이 형성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4는 도 1의 방수 마감시트가 감싸여지는 흡음패널의 단면도.
도 5는 도 4의 흡음패널이 적층 설치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흡음패널용 방수 마감시트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 "상부" 나 "상"이라고 기재된 것은 접촉하여 바로 위에 있는 것뿐만 아니라 비접촉으로 위에 있는 것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 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한다. 또한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흡음패널용 방수 마감시트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방수 마감시트를 제조하는 일련을 공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흡음패널용 방수 마감시트(10)는, PE 재질로 된 것으로서 필름 형태를 이루는 마감층(11)과, 마감층(11)의 배면에 형성된 것으로서 PET(폴리에스터) 섬유가 부직포 형태를 가지는 부직포베이스층(12)을 포함한다.
마감층(11)은 PE 로 이루어져 부직포베이스층(12)의 상부면에 필름형태를 이루게 되고, 이에 따라 자체적으로 방수기능을 가진다.
마감층(11)은 특정 컬러, 바람직하게는 블루 컬러나 그린 컬러를 가지며, 컬러 구현은 후술할 T 다이(T)로 투입되는 PE 원액에 블루 안료나 그린 안료를 혼합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따라서 마감층(11)의 컬러 구현이 매우 용이하다.
부직포베이스층(12)은 PET(폴리에스터) 섬유가 부정방향(不定方向)으로 배열 및 접착된 부직포로 이루어진다. 부직포베이스층(12)은 PET 섬유로 되기 때문에 내구성이 매우 우수하고, 공정수분율이 0.4% 이어서 흡습성이 작고 건조속도가 매우 빠르다.
여기서 부직포베이스층(12)의 상부면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감층(11)의 배면에 부분 함침되어 마감층(11)과 한몸체를 이루고, 마감층(11)에 함침되지 않은 나머지 하부면은 부직포 섬유 형태로 노출된다. 즉, 부직포베이스층(12)의 상부면 일부가 마감층(11) 배면에 함침되어 한몸체를 이루고, 용착되지 않는 나머지 부분은 부직포 섬유 형태로 마감층(11)의 하부측으로 노출되는 것이며, 따라서 어떠한 경우에도 마감층(11)은 부직포베이스층(12)으로부터 분리되지 않게 된다. 이는 마감층(11)과 부직포베이스층(12)이 독립적으로 제작된 후 상호 부착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이를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마감층(11)을 이루는 PE 의 융점은 70~90 ℃ 정도이고, 부직포베이스층(12)을 이루는 융점은 255℃ 정도로서, PE의 융점이 PET 의 융점보다 현저히 작다.
상기 방수 마감시트(10)를 제조하기 위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직포(11b)를 이송시키는 컨베이어(C) 상에 PE 액을 장폭으로 토출시키는 노즐이 형성된 T 다이(T)가 배치된 제조장치를 이용한다. 이러한 제조장치를 이용하여, 컨베이어(C)를 타고 이송되는 부직포(12a)의 표면으로 T 다이(T)로부터 PE액(11a)을 장폭으로 도포하고, 이후 PE액(11a)이 도포된 부직포(12a)는 다수의 가압 및 냉각용 롤러조립체(R)를 통과하면서 PE액(11a)이 부직포(12a) 상부면으로 침투되면서 경화되고,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통하여 마감층(11) 배면에 부직포베이스층(12)의 상부면이 부분 함침된 본 발명의 방수 마감시트(10)가 완성되는 것이다.
여기서, PE 액의 융점이 PET 재질의 부직포베이스층(12)의 융점보다 낮으므로, PE 액(11a)이 부직포베이스층(12)에 도포되더라도 부직포베이스층(12)은 부직포 섬유의 형태 및 특성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마감층(11)은 PE 로 되어 있기 때문에 내구성이 약하지만 PET 부직포로 된 부직포베이스층(12)에 의하여 내구성이 보강되며, 이에 따라, 후술할 흡음패널(20)을 감싸는 마감시트로서의 기능을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마감층(11)은 20~100 ㎛ 의 두께, 바람직하게는 40㎛ 의 두께를 가지며, 부직포베이스층(12)은 30~100g/㎡ 의 중량비, 바람직하게는 50 g/㎡ 의 중량비를 가진다. 부직포베이스층(12)은 중량비가 50 g/㎡ 일 경우 두께로 환산하였을 5 ㎛ 내외의 두께를 가지게 된다. 이에 따라 부직포베이스층(12)의 상부면이 마감층(11)의 배면에 함침되더라도, 마감층(11)의 두께가 부직포베이스층(12)에 비하여 두껍기 때문에 마감층(11)의 상부면은 매끈한 필름 형태를 이루게 된다.
마감층(11)의 두께가 20㎛ 이하일 경우, 부직포베이스층(12)의 두께가 상대적으로 두꺼워짐에 의하여 함침되는 부직포베이스층(12)에 의하여 부분적으로 구멍이 형성될 수 있고, 이 경우 방수 기능을 상실할 수 있다. 그리고 마감층(11)의 두께가 100㎛ 이상이 되면 마감층(11)의 두께가 과도하게 커지기 때문에, 후술할 흡음층(22)의 전면, 제1,2기공층(21)(23)의 측면에 부직포베이스층(12)을 열 융착시킬 때, 두꺼운 마감층(11)을 통하여 열이 충분히 전달되지 않게 되어 부직포베이스층(12)은 견고하게 열융착이 되지 않는다.
도 3은 도 1의 흡음패널용 방수 마감시트의 상부면에 재귀반사층이 형성된 것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흡음패널용 방수 마감시트(10)는, 마감층(11)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입사되는 광을 광원으로 그대로 반사하는 재귀반사층(1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재귀반사층(13)은 마감층(11)의 상부면에 마이크로 단위의 유리구슬을 균일하게 코팅 처리하여 구현된다. 이러한 재귀반사층(13)에 의하여, 방수 마감시트(10)로 감싸여진 흡음패널(20)로 시공중인 건물의 측면을 가리게 될 때, 야간에도 건물의 위치를 식별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방수 마감시트가 감싸여지는 흡음패널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흡음패널이 적층 설치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여기서, 도 1 및 도 2에서와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 기능을 하는 동일 부재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방수 마감시트(10)가 감싸여지는 흡음패널(20)은, 다수의 기공이 형성된 제1기공층(21)의 표면에 스톤분말(돌가루)이 도포 및 함침되어 구현되는 것으로서 주위로부터 전달되는 소음을 반사하는 스톤차음층(22)과, 스톤차음층(22)에 적층되는 제2기공층(23)과, 제2기공층(23)에 적층되는 것으로서 소음을 흡음하는 부직포 재질로 된 흡음층(24)을 포함한다.
제1기공층(21) 및 제2기공층(23)은 다수의 기공이 형성된 수지발포체로 이루어지며, 스톤분말 및 접착제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스톤차음층(22)이 얇은 패널 형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스톤차음층(22)은 건물 시공과정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시공 건물측으로 반사시킴으로써, 소음이 주위 외부 환경으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한다. 이러한 스톤차음층(22)은 접착제와 혼합되어 제1기공층(21)의 표면과 한 몸체가 됨으로써, 단단한 내구성을 가지게 되고, 이에 따라 가로 1m, 세로 1.8m 의 규격 크기로 구현되었을 때 여러개의 흡음패널이 다수개 적층되면서 세워질 때 인가되는 하중을 견딜 수 있게 된다.
흡음층(24)은 제2기공층(23)에 적층되는 것으로서, 스톤차음층(22)에 차음되지 않고 투과한 소음을 흡음한다. 흡음층(24)은 부직포 섬유가 부정형 방향으로 적층 접착되어 구현되며, 흡음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10~20mm 의 두께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흡음패널(20)을 이루는 흡음층(24)은 본 발명의 방수 마감시트(10)의 부직포베이스층(12)에 비하여 융점이 작으면서 비교적 저렴한 PP(폴리프로필렌) 재질로 된다. 이에 따라, 방수 마감시트(10)를 흡음층(24)에 열융착시킬 때, 흡음층(24)의 표면이 용융되면서 상대적으로 융점이 높아 용융되지 않는 PET 재질의 부직포베이스층(12)에 견고하게 합지된다.
상기 방수 마감시트(10)가 흡음층(24)의 전면과, 제2기공층(23), 스톤차음층(22) 및 제1기공층(21)의 측면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마감시트(10)를 열융착시킬 경우, 부직포베이스층(12)이 흡음층(24)의 전면, 제2기공층(23), 스톤차음층(22) 및 제1기공층(21)의 측면에 한몸체로 융착되며, 결과적으로 제1기공층(21)의 전면을 제외한 나머지 면은 방수 마감시트(10)에 의하여 완전히 실링되게 감싸여진다. 이에 따라, 흡음층(24)은 외부 환경과 완벽하게 차단된 상태가 되고, 흡음패널(20)이 건물을 시공하는 오랜 기간동안 외부에 설치된 상태에서 비나 눈에 노출되더라도, 두꺼운 흡음층(24)으로 물기가 유입되지 않게 되는 방수환경이 유지된다.
이와 같이 흡음층(24)을 방수시키는 것은 다음과 같이 기술적으로 매우 큰 의미가 있다.
흡음층(24)이 물기를 흡수하게 될 경우 소음을 흡음하는 기능이 현저히 저하되어 소음이 외부로 전달되는 것을 충분히 방지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흡음층(24)이 고유의 흡음 기능을 유지하게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방수 마감시트(10)는 흡음층(24)이 물기를 흡수할 수 없는 환경을 만드는 것이다.
또한 흡음층(24)이 물기를 흡수하게 될 경우 무게가 상당히 증가하게 된다. 이 경우 여러개로 적층된 흡음패널(20)은 자체 무게가 증가되어 결국 붕괴되게 될 가능성이 커진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흡음패널용 방수 마감시트(10)에 있어서, 마감층(11)이 PE 로 된 필름 형태를 이루기 때문에 방수 기능을 가지게 되고, 비록 PE 재질의 마감층(11) 자체는 내구성이 약하지만 PET 부직포로 된 부직포베이스층(12)이 한몸체가 됨으로써 강한 내구성을 가지게 되고, 더 나아가 마감층(11)의 컬러 구현성이 우수하다. 따라서 방수 마감패널(10)은 흡음패널(20)을 감싸서 흡음패널 고유의 기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다용도 마감재가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방수 마감시트(10)는 부직포베이스층(12)을 가지기 때문에 흡음패널(20)의 흡음층(24)에 견고하게 합지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바람이나 충격에도 방수 마감시트(10)가 흡음층(24)으로부터 분리된 후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흡음층(24)을 외부의 가혹한 환경으로부터 안전하게 보호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방수 마감시트(10)로 감싸여진 흡음패널(20)은 컬러를 가지기 때문에, 흡음패널(20)로 시공중인 건물을 감쌀 경우 주위 미관이 해쳐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주위의 사람들이 느끼는 눈의 피로도를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10 ... 방수 마감시트 11 ... 마감층
11a ... 부직포 12 .... 부직포베이스층
12a ... PE 액 13 ... 재귀반사층
20 ... 흡음패널 21 ... 제1기공층
22 ... 스톤차음층 23 ... 제2기공층
24 ... 흡음층

Claims (4)

  1. 다수의 기공이 형성되고 수지발포체로 이루어진 기공층과, 스톤분말(돌가루)로 이루어지고 소음 전달을 최소화하는 스톤차음층과, PP 재질의 부직포 섬유로 이루어지고 상기 스톤차음층을 투과한 소음을 흡음하는 흡음층이 적층되어 형성된 흡음패널을 감쌈으로써 방수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흡음패널용 방수 마감시트로서,
    PE 재질로 된 것으로서 필름 형태를 이루는 마감층(11) 및 상기 마감층(11)의 배면에 형성된 것으로서 상기 흡음층의 PP 재질보다 융점이 높은 PET(폴리에스터) 섬유가 부직포 형태를 가지는 부직포베이스층(12)을 포함하고,
    상기 부직포베이스층(12)의 상부면은 상기 마감층(11)의 배면에 부분 함침되어 상기 마감층(11)과 한몸체를 이루고, 상기 마감층(11)에 함침되지 않은 나머지 하부면은 부직포 섬유 형태로 노출되고,
    상기 마감층(11)은 20~100 ㎛ 의 두께를 가지고,
    상기 부직포베이스층(12)은 30~100g/㎡ 의 중량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음패널용 방수 마감시트.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층(11)은 블루 컬러 또는 그린 컬러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음패널용 방수 마감시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층(11)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입사되는 광을 광원으로 그대로 반사하는 재귀반사층(13)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음패널용 방수 마감시트.
KR1020210153990A 2021-11-10 2021-11-10 흡음패널용 방수 마감시트 KR1025799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3990A KR102579979B1 (ko) 2021-11-10 2021-11-10 흡음패널용 방수 마감시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3990A KR102579979B1 (ko) 2021-11-10 2021-11-10 흡음패널용 방수 마감시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8480A KR20230068480A (ko) 2023-05-18
KR102579979B1 true KR102579979B1 (ko) 2023-09-19

Family

ID=865455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3990A KR102579979B1 (ko) 2021-11-10 2021-11-10 흡음패널용 방수 마감시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997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84960A (ja) * 2002-08-22 2004-03-18 Suminoe Textile Co Ltd ホットカーペット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15216A (ko) * 2004-08-12 2006-02-16 주식회사 삼웅 재귀반사 기능과 축광 기능을 겸비한 안전용 시트의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84960A (ja) * 2002-08-22 2004-03-18 Suminoe Textile Co Ltd ホットカーペッ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8480A (ko) 2023-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40065507A1 (en) Five-layer sound absorbing pad: improved acoustical absorber
KR101005542B1 (ko) 다기능 건축용 단열방수복합시트와 이를 이용한 복합방수구조
KR102109184B1 (ko) 폴리우레아 및 폴리프로필렌 패널을 이용한 복합방수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JP2010261212A (ja) アスファルトルーフィングとこれを用いた屋根構造
KR102579979B1 (ko) 흡음패널용 방수 마감시트
KR101431380B1 (ko) 조인트 절연형 삼중 복합방수공법
JP2010275842A (ja) 屋根用下地材とこれに使用される透湿性野地板
KR101184848B1 (ko) 고무발포층을 가지는 단열재 및 그 제조방법
TWM635778U (zh) 隔音墊密封結構
TWM635777U (zh) 隔音墊多層次結構
JP6744644B1 (ja) ツリーハウスの雨漏り防止構造
JP3063151B2 (ja) 直貼り床用緩衝部材
JP6411760B2 (ja) 建築下地用防水シート
KR101446505B1 (ko) 복합단열패널
KR101856760B1 (ko) 다기능 공동주택 건축용 단열방수복합 외장패널의 시공방법
EP2826620B1 (en) An under tile multilayer sheet for waterproofing a roof of a building, wherein said roof includes a metal roof covering.
CN206917069U (zh) 一种建筑墙用的复合板
JP2001341219A (ja) テントシート地
KR102470737B1 (ko) 방수시트 및 이의 시공방법
CN205875432U (zh) 建筑物外墙用的防火隔热珍珠岩保温板
CN210767272U (zh) 一种防老化的改性沥青防水卷材
CN217079197U (zh) 一种新型玻璃纤维真空绝热板芯材
CN211341513U (zh) 一种防老化型岩棉复合板
CN211897939U (zh) 一种复合吸声板
EP1624120A2 (en) Multilayer sheath particularly for insulating walls and lofts of building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