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7250B1 - 건축 단열재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건축 단열재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7250B1
KR101377250B1 KR1020120017029A KR20120017029A KR101377250B1 KR 101377250 B1 KR101377250 B1 KR 101377250B1 KR 1020120017029 A KR1020120017029 A KR 1020120017029A KR 20120017029 A KR20120017029 A KR 20120017029A KR 101377250 B1 KR101377250 B1 KR 1013772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surface
insulating material
heat insulating
insulation
bui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170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95526A (ko
Inventor
윤정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앤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앤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앤피
Priority to KR10201200170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7250B1/ko
Publication of KR201300955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955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72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72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75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having a basic insulating layer and at least one covering laye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388Separate connect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62Exterior insulation of exterior walls
    • E04B1/7629Details of the mechanical connection of the insulation to the wal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8Heat insulating elements
    • E04B1/80Heat insulating elements slab-shape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2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ccommodating service installations or utility lines, e.g. heating conduits, electrical lines, lighting devices or service outl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 단열재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단열재를 건물에 시공하는데 있어서 복사열을 반사 차단하여 건물 내부 온도가 외부 온도 변화에 영향을 적게 받을 수 있도록 효과적으로 단열재를 건물 벽면에 시공하는 건축 단열재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표면에 반사층을 갖는 단열재(100)를 건물 벽면(200)에 시공하는 건축 단열재 시공방법에 있어서, 단열재(100)를 설치하기 위한 대응 벽면(200)에 간격을 두고 떨어진 상태로 단열재(100)를 지지하기 위하여 단열재(100)가 결합되는 다수 개의 간격유지부재(500)들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단계를 통하여 벽면(200)에 설치된 간격유지부재(500)들을 중심으로 단열재(100)를 벽면(200) 방향으로 압박하여 간격유지부재(500)에 단열재(100)를 밀착시켜 벽면(200)을 따라 단열재(100)를 시공하는 단계; 상기 단계를 통하여 벽면(200)에 시공된 단열재(100)의 일부에 절결부(103)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단계를 통하여 형성된 절결부(103)를 따라 벽면(200)에 앵커(600)를 설치하고 그 앵커(600)에 외부 마감재(300)를 지지 고정하는 고정브라켓(601)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단계를 통하여 벽면(200)에 설치된 고정브라켓(601)을 중심으로 외부 마감재(300)를 시공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건축 단열재 시공방법{CONSTRUCTION METHOD FOR COMPLEX INSULATION FOR CONSTRUCTION}
본 발명은 건축 단열재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단열재를 건물에 시공하는데 있어서 복사열을 반사 차단하여 건물 내부 온도가 외부 온도 변화에 영향을 적게 받을 수 있도록 효과적으로 단열재를 건물 벽면에 시공하는 건축 단열재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 시공시 벽의 단열을 위해 사용되는 단열재는 건물의 벽면에 부착하여 열 이동을 막기 위해 사용된다.
단열재는 건물의 내외 벽에 시공되어 냉기, 열기, 복사열 등을 반사 차단하여 건축물의 내부 온도가 외부 온도 변화에 의한 영향을 적게 받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그리고, 열의 불필요한 유출과 유입을 방지하여 에너지 손실을 줄이며 표면 이슬 맺힘 및 실내 온도의 편향 분포 그리고 왜곡을 방지하여 쾌적한 실내 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기능 한다.
예를 들면, 건물의 벽 표면에는 결로가 발생 된다. 표면 결로는 수분을 포함한 대기의 온도가 이슬점 이하로 떨어져 대기에 함유된 수분이 물체 표면에서 물방울로 맺히는 일종의 물 맺힘 현상이다. 결로는 습도가 높을수록 쉽게 발생 되고, 건축물의 바닥과 벽체 표면에 얼룩을 형성하며 부패 원인이 되어 곰팡이 등을 발생시킨다.
건물 표면 결로는 겨울철에 주로 발생 하지만 여름철에도 발생 된다. 여름철에는 주로 건물 지하실과 같은 곳에서 발생할 수 있다. 여름철에는 외부 영향으로 건물 지상부 벽체 온도가 높아지지만 지하부 벽체는 외부의 영향을 거의 받지 못하므로 결로가 발생한다.
건물 벽체 표면에 단열재를 효과적으로 시공하면 열 매질의 이동을 둔화시키고 동시에 결로를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단열은 열이 흐르는 물체의 열 저항값을 크게 해서 열류량을 작게 하는 것이며 건물의 경우 열관류율을 작게 하는 것이다.
열관류율은 일정 두께를 갖는 부재의 양 표면이 각각 유체에 접하고 양 유체에 온도차가 있을 경우 고온에서 저온 측으로 부재를 통해 열이 흘러가는 것을 말하며 이것은 재료의 열전도와 양 표면의 열전달과의 조합으로 볼 수 있다.
단열을 위해 열관류율을 작게 하기 위해서는 단열 재료의 두께를 크게 하거나 열전도율이 낮은 재료를 선정하는 등 여러 방법이 있지만 비용과 시공성 등이 우선적으로 고려되기 때문에 열전도율이 낮은 재료가 선택되고 시공은 건물 벽체에 매입 시공하는 방법이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판형 부피 단열재인 스티로폼, 글라스 울 등이 많이 사용되었고 새로운 단열 재료들의 개발과 함께 판형 단열재의 사용은 줄었으며 스치로폼 표면에 알루미늄 호일을 적층하여 기능을 강화한 반사형 단열재의 사용이 증가하였다.
알루미늄 호일은 낮은 방사율을 가지는 재료로써 복사열 에너지를 반사해서 단열작용을 한다.
알루미늄 호일은 스치로폼의 한쪽 면에만 부착하는 것보다 양쪽 면에 부착하는 것이 더 효과적이다. 그렇게 하면 양면은 더 높은 반사율을 지니게 된다. 알루미늄 호일을 통해 반사되는 열에너지가 닫혀 있는 공기와 충돌을 일으켜 열에너지가 감소하여 열의 이동을 차단하며 더운 쪽에 위치한 반사면은 일반적으로 결로가 발생하지 않으므로 열 저항을 계속 유지시킬 수 있고 투습 저항체의 역할도 기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알루미늄 호일의 설치 개수에 따라 열적 성능을 파악할 수 있다. 즉, 동일한 두께의 공기층에 알루미늄 호일이 접촉한 호일의 개수에 따라 열적 성능은 일반적으로 증가하는데 이는 알루미늄 호일 사이에 형성된 공기층 속에 갇힌 열에너지가 이동하면서 알루미늄 호일의 반사 작용으로 인해 이동이 불가능해 지는데 따른 것으로 볼 수 있다.
일반적으로 알루미늄 호일을 이용한 반사 단열재는 알루미늄 호일 사이에 부직포와 폴리에틸렌 홈을 접착하여 제조되었다. 이러한 단열재는 벽체와 알루미늄 호일 사이의 공기층 사이에서만 열을 반사하여 단열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반사형 단열재와 관련된 다양한 기술이 알려져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등록번호 제0583381호에 개시된 기술은 '복합기능 반사 보온 단열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기술로서 폴리에스터 필름층과 알루미늄 호일층, 부직포, 폴리에틸렌폼 사이에 폴리에틸렌 수지를 열 융착 시키는 단열재에 관한 것이다.
또 다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592052호에는 '폴리우레탄 폼을 이용한 다층 구조의 반사형 단열재'가 개시되어 있다, 이 기술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알루미늄 호일층(21)(22)을 양면에 두어 양면에서 열을 반사시키고, 폴리우레탄 발포제층(23)(24)과 폴리에스테르 부직포층(25), 에어버블층(26)을 형성하여 단열하는 열반사형 단열재(20)로서, 양면의 알루미늄 호일층(21)(22)과 에어버블층(26)을 통해 열반사 성능을 좋게 하여 단열효과를 좋게 하고 결로 현상을 줄일 수 있도록 된 것이다.
또한, 스티로폼과 알루미늄 호일 시트 사이에 공기층이 형성되도록 스티로폼에 공간을 만든 반사형 단열재가 알려져 있다. 상기 기술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열을 반사시키는 제1 알루미늄 호일층(31), 제1 알루미늄 호일층(31) 일면에 접착된 폴리에스테르 부직포층(32), 폴리에스테르 부직포층(32) 일면에 접착되어 열을 차단하는 제2 알루미늄 호일층(33), 제1 및 제2 알루미늄 호일층(31)(33) 그리고 폴리에스테르 부직포층(32)을 지지하면서 열을 차단하는 고분자 발포제층(34), 고분자 발포제층(34)의 이면에 접착되어 열 전도를 차단하고 반사시키는 제3 알루미늄 호일층(35), 그리고 발포수지(39) 및 제4 알루미늄 호일층(45)으로 구성되어 있고, 고분자 발포제층(34)에는 열전달을 차단하기 위하여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는 가로 세로 방향의 지지대(36)를 통해 연속 반복적으로 형성되어 각 공간이 독립된 공기 유동 공간(37)을 갖는 사각형 에어포켓(38)이 구성되어 있다.
상기 기술은 반사율을 높여 단열성능을 향상시키고 에어포켓(38)을 통해 온도차에 의한 결로 현상을 억제할 수 있도록 하고, 단열재 시공 전후 내,외압에 대한 변형을 줄여 공기 유동 면적 축소에 따른 열전도율 증가를 막아 단열재 표면에 나타나는 결로 현상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이 종래의 반사형 단열재들은 여러 가지 구조와 다양한 기능 소재들의 적층 구조로 알려져 있으나 건물 벽면에 시공할 때에는 공통적으로 직접 벽면에 접착수단을 통해 접착하는 방법으로 시공된다.
도 3은 종래의 반사형 단열재 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식도로서, 건물의 벽면(40)에 반사형 단열재(50)를 접착재(60)로 접착시키고 단열재(50)의 표면은 마감재(70)로 처리하여 된 것으로, 반사층(51)(52)은 각각 벽면(40)과 마감재(70)에 대응하여 위치한다. 여기서, 반사층(51)(52)은 통상적으로 알루미늄 호일 이며, 마감재(70)는 천연 및 인조 석재 그리고 여러 가지 건축용 마감패널이다. 미설명 부호 '80'은 통상의 폴리에스테르 부직포 및 발포제로 되는 '단열부재'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반사형 단열재 시공방법에 따르면 반사층(51)(52)이 각각 벽면(40)과 마감재(70)에 밀착되어 있으므로 공기 유동 공간과 반사공간이 없어 단열 효과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즉, 반사층(51)(52)이 외표면에 있는 단열재(50)는 복사열을 반사시켜 단열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으나 각각의 반사층(51)(52)이 벽면(40)과 마감재(70)에 밀착되어 있으므로 열 반사 성능이 떨어지는 동시에 벽면(40)의 내외부 온도차에 의해 결로 현상을 억제하는데 미흡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단열재를 건물 벽면에 시공하는데 있어서 냉기와 열기 그리고 복사열을 반사 차단하여 건물 내부 온도가 외부 온도 변화에 영향을 받지 않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건축 단열재를 벽면에 시공하는데 있어서 단열재와 벽면 사이에 반사 및 공기 유동 공간을 갖도록 시공함으로써 단열 효과를 개선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건축 단열재를 벽면에 시공하는데 있어서 벽면의 내외부 온도차에 의한 결로 현상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단열재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건축 단열재 시공방법은,
표면에 반사층을 갖는 단열재를 건물 벽면에 설치하기 위한 대응 벽면에 간격을 두고 떨어진 상태로 단열재를 지지하기 위하여 단열재가 결합되는 다수 개의 간격유지부재들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단계를 통하여 벽면에 설치된 간격유지부재들을 중심으로 단열재를 벽면 방향으로 압박하여 간격유지부재에 단열재를 밀착시켜 벽면을 따라 단열재를 시공하는 단계;
상기 단계를 통하여 벽면에 시공된 단열재의 일부에 절결부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단계를 통하여 형성된 절결부를 따라 벽면에 앵커를 설치하고 그 앵커에 외부 마감재를 지지 고정하는 고정브라켓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단계를 통하여 벽면에 설치된 고정브라켓을 중심으로 외부 마감재를 시공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에 있어서,
상기 벽면에 시공하여 벽면과 단열재의 사이 간격을 유지시키는 간격유지부재는 판상체를 성형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벽면에 밀착되는 플랜지가 있고 그 플랜지로부터 절곡되어 벽면과 단열재 사이 간격을 유지시키는 간격유지용 헤드를 일체형으로 구비하는 본체로 이루어지는 한편 상기 본체에서 절곡 가능하도록 일체로 형성되고 단열재를 꼽아서 결합할 수 있도록 첨단이 뾰족한 침 형상으로 이루어진 침형 절곡핀으로 이루어진 간격유지부재를 사용하여 벽면과 단열재 사이의 간격을 유지시키도록 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간격유지부재의 본체에는 침형 절곡핀을 손으로 잡고 펼쳐서 절곡시킬 수 있는 펼침용 홈이 형성되어 침형 절곡핀을 절곡 시킬 때 펼침용 홈에 손가락을 넣어 펼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간격유지부재를 벽면에 설치하는 단계에서 간격유지용 헤드에 접혀진 상태로 위치하는 침형 절곡핀을 전면 수평 방향으로 펼쳐서 절곡 시킨 뒤 침형 절곡핀에 단열재를 밀어넣어 고정시켜 단열재를 간격유지부재의 표면을 따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표면에 반사층을 갖는 단열재를 건물 벽면에 시공하는 건축 단열재 시공방법에 있어서,
단열재를 설치하기 위한 벽면에 간격을 두고 떨어진 상태로 단열재를 시공하기 위하여 단열재를 장착할 수 있는 막대형 간격유지부재들을 단열재를 지지할 수 있는 위치에 간격을 떨어뜨려 설치하는 단계;
상기 단계를 통하여 벽면에 설치된 막대형 간격유지부재들을 중심으로 단열재를 벽면 방향으로 압박하여 간격유지부재에 단열재를 밀착시키는 사전처리 부착 단계;
상기 사전부착 단계를 통해 막대형 간격유지부재를 따라 정렬된 단열재의 외부에서 막대형 간격유지부재를 중심으로 여러 개의 결속구를 박아 단열재를 막대형 간격유지부재에 부착하는 후처리 부착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벽면의 표면에 장착하여 벽면과 단열재의 사이 간격을 유지시키는 막대형 간격유지부재는 PE소재를 막대형으로 사출 성형하여 제작하고, 단열재가 부착되는 표면은 단열재를 사전처리로 부착하기 위하여 접착제가 도포된 점착층으로 표면 처리하여 제작한 것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단열재를 건물 벽면에 시공하는데 있어서 냉기와 열기 그리고 복사열을 반사 차단하여 건물 내부 온도가 외부 온도 영향을 적게 받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건축 단열재를 벽면에 시공하는데 있어서 반사 및 공기 유동 공간을 갖도록 시공함으로써 단열 효과를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건축 단열재를 벽면에 시공하는데 있어서 벽면의 내외부 온도차에 의한 결로 현상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건축 단열재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또 다른 건축 단열재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종래의 건축 단열재의 시공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축 단열재의 시공 설명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축 단열재 시공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 4의 A-A'선 단면도.
도 6의 (a)(b)(c)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축 단열재 시공 순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건축 단열재 시공 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시공 단면도.
이하,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축 단열재의 시공 설명도 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축 단열재 시공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 4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6의 (a)(b)(c)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축 단열재 시공 순서도 이다.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건축 단열재 시공 상태도 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시공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건축 단열재 시공방법은, 표면에 반사층을 갖는 단열재(100)를 간격유지부재(500)를 통해 건물 벽면(200)에 시공하는 것으로 표면에 반사층(101)(101a)을 갖는 단열재(100)를 건물 벽면(200)에 시공하는데 있어서 단열재(100)의 표면과 이와 대응되는 벽면(200) 그리고 외부 마감재(300)가 단열재(100)의 반사층(101)(101a)으로부터 간격유지부재(500)에 의해 일정 간격으로 벌어지도록 시공하여 벽면(200)과 외부 마감재(300)를 통해 방사되는 복사열에 대한 반사성능을 향상시키고 열전도를 낮춰 보온성능을 개선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건축 단열재 시공방법의 주요 공정은 다음과 같다.
먼저, 단열재(100)를 설치하기 위한 대응 벽면(200)에 간격을 두고 떨어진 상태로 여러 개의 간격유지부재(500)를 설치한다. 간격유지부재(500)는 벽면(200)과 단열재(100) 사이에 위치하여 벽면(200)과 단열재(100) 사이에 일정한 간격을 유지시킨다.
여기서, 단열재(100)는 부직포층, 폴리에스테르층, 에어포켓, 그리고 반사체로서 알루미늄 호일층 등을 구비하는 기능형 단열재 및 반사층을 갖는 다양한 단열재를 포함하는 의미이다. 도 5에 표기된 도면부호 '102'는 이러한 다양한 '단열층'을 나타낸다.
그리고, 간격유지부재(500)의 설치 단계를 통하여 벽면(200)에 설치된 간격유지부재(500)를 중심으로 단열재(100)를 벽면(200) 방향으로 압박하여 간격유지부재(500)에 단열재(100)를 밀착시켜 벽면(200)을 따라 단열재(100)를 시공한다.
그리고, 단열재(100) 시공단계를 통하여 벽면(200)에 시공된 단열재(100)의 일부에 절결부(103)를 형성한다.
그리고, 단열재(100)에 형성된 절결부(103)에 대응되는 벽면(200)에 앵커(600)를 설치하고 그 앵커(600)에 외부 마감재(300)를 지지 고정하는 고정브라켓(601)을 설치한다.
그리고, 고정브라켓(601) 설치단계를 통하여 벽면(200)에 설치된 고정브라켓(503)을 중심으로 외부 마감재(300)를 시공하여 단열재(100)의 외부를 마감 처리하는 것으로 단열재(100)의 시공을 완료한다. 고정브라켓(601)에는 외부 마감재(300)를 받쳐주기 위한 받침턱(602)을 형성하여 외부 마감채(300)를 받쳐주는 형식으로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벽면(200)에 시공하여 벽면(200)과 단열재(100)의 사이 간격을 유지시키는 간격유지부재(500)는 판상체를 성형가공하여 제작된다.
간격유지부재(500)는 벽면(200)에 밀착되는 플랜지(501)가 있고 플랜지(501)로부터 절곡되어 벽면(200)과 단열재(100) 사이 간격을 유지시키는 간격유지용 헤드(502)를 일체형으로 구비하는 본체(503)로 이루어지는 한편 본체(503)에서 절곡 가능하도록 일체로 형성되고 단열재(100)를 꼽아서 결합할 수 있도록 첨단이 뾰족한 침 형상으로 이루어진 침형 절곡핀(504)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침형 절곡핀(504)을 손으로 잡고 펼쳐서 절곡시킬 수 있는 펼침용 홈(505)을 구비한다.
또한, 간격유지부재(500)를 벽면(200)에 설치하는 단계에서 간격유지용 헤드(502)에 접혀진 상태로 위치하는 침형 절곡핀(504)을 전면 수평 방향으로 펼쳐서 절곡 시킨 뒤 침형 절곡핀(504)에 단열재(100)를 밀어넣어 고정시켜 단열재(100)를 간격유지부재(500)의 표면을 따라 설치한다.
간격유지부재(500)의 침형 절곡핀(504)은 끝이 뾰족한 침형으로 가공하면 단열재(100)를 쉽게 관통한다. 단열재(100)의 소재는 단열을 위한 일반적 소재로서 부직포층을 구성하는 스치로폼 및 부직포층, 폴리에스테르층 등이 사용되므로 끝이 뾰족한 침형 절곡핀(504)이 있는 간격유지부재(500)에 단열재(100)를 밀어서 가압하면 두께와 무관하게 쉽게 관통하여 침형 절곡핀(504)에 고정된다.
간격유지부재(500)의 헤드(502) 두께에 따라 벽면(200)과 단열재(100)의 반사층(101)과의 공간 거리인 간격(L1)이 달라진다.
간격유지부재(500)의 헤드(502) 두께에 따라 벽면(200)과 단열재(100)의 반사층(101)과의 공간 거리인 간격(L1)이 달라진다. 따라서 단열재(100) 시공 조건에 맞춰 다양한 간격유지부재(500)를 선택하여 벽면(200)과 단열재(100)의 간격을 시공단계에서 조절할 수 있다.
도면에는 한 장의 단열재(100)에 두 개의 간격유지부재(500)가 결합 된 예로 표현되어 있으나 간격유지부재(500)의 수는 단열재(100)의 크기와 중량 그리고 시공하고자 하는 벽면(200)의 특성 등에 따라 설치 개수를 더 늘리거나 줄여도 된다.
단열재(100)에 형성하는 절결부(103)는 앵커(600)를 벽면(200)에 박아 넣기 위한 것으로 칼이나 예리한 도구를 사용하여 구멍을 뚫는 방법으로 현장 수작업으로 형성하거나 단열재(100) 시공 여건에 맞추어 단열재(100) 제조 과정에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고정브라켓(601)은 벽면(200)에 설치된 앵커(600)에 지지 되어 단열재(100)의 외부에서 밀착되는 외부 마감재(300)를 지지 고정하는 것으로 벽면(200)에 설치된 고정브라켓(601)을 중심으로 외부 마감재(300)를 안착하여 벽면(200)의 외부를 시공하여 단열재(100) 및 외부 마감 작업을 마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단열재 시공방법은, 단열재(100)를 벽면(200)에 시공하는데 있어서 간격유지부재(500)를 사용하여 단열재(100)를 중심으로 벽면(200)과 외부 마감재(300) 사이를 적절한 간격(L1)(L2)을 두어 시공할 수 있도록 한다.
간격유지부재(500)의 본체(503)를 구성하는 플랜지(501)와 침형 절곡핀(504) 그리고 헤드(502)는 판상형 철판을 사용하여 간단한 프레스 공정을 통해 일체형으로 제작가능하다.
단열재(100)를 벽면(200)과 외부 마감재(300) 사이에 각각 간격(L1)(L2)을 유지시켜 시공하기 위하여 침형 절곡핀(504)을 절곡하여 돌출시키고 그 돌출 길이에 해당하는 만큼 벽면(200)과 외부 마감재(300) 사이가 공간을 형성하도록 이격시켜 단열재(100)의 양면 간격(L1)(L2)을 유지시킨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건축 단열재 시공방법은 도 7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다.
즉, 표면에 반사층(101)(101a)을 갖는 단열재(100)를 건물 벽면(200)에 시공하는 건축 단열재 시공방법에 있어서, 단열재(100)를 설치하기 위한 벽면(200)에 간격을 두고 떨어진 상태로 단열재(100)를 시공하기 위하여 단열재(100)를 장착할 수 있는 막대형 간격유지부재(500a)들을 단열재(100)를 지지할 수 있는 위치에 간격을 떨어뜨려 설치한다.
그 다음 벽면(200)에 설치된 막대형 간격유지부재(500a)들을 중심으로 단열재(100)를 벽면(200) 방향으로 압박하여 간격유지부재(500a)에 단열재(100)를 밀착시키는 사전처리 부착 단계를 거친다.
그 후 사전부착 단계를 통해 막대형 간격유지부재(500a)를 따라 정렬된 단열재(100)의 외부에서 막대형 간격유지부재(500a)를 중심으로 여러 개의 결속구(610)를 박아 단열재(100)를 막대형 간격유지부재(500a)에 부착하는 후처리 부착단계로 건축 단열재를 시공한다.
이렇게 벽면(200)에 막대형 간격유지부재(500a)를 부착하여 시공하는 경우 위 실시 예로서 제시된 다른 간격유지부재(500)에 의한 벽면(200)과 단열재(100)간 간격 L1이 유지된다.
벽면(200)의 표면에 장착하여 벽면(200)과 단열재(100)의 사이 간격을 유지시키는 막대형 간격유지부재(500a)는 PE소재를 막대형으로 사출 성형하여 제작된다. 그리고 단열재(100)가 부착되는 표면은 단열재(100)를 사전처리로 부착하기 위하여 접착제(620)가 도포된 점착층(630)으로 표면 처리하여 제작한 것을 사용한다.
막대형 간격유지부재(500a)로서 PE 소재는 성형성이 우수하고 가벼워서 취급이 용이해 시공성이 양호하며 겉 표면에 접착제(620)를 도포하거나 접착층을 형성하여도 다른 금속 비금속 소재에 비해 안정적인 접착력을 유지하는데 유리하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 단열재 시공방법에 의하면, 반사층(101)(101a)을 갖는 여러 형식의 다양한 단열재(100)들의 고유 성능이 유지될 수 있도록 벽면(200)과 외부 마감재(300) 사이에 최적화된 상태로 단열재(100)를 시공하여 복사열에 대한 반사 성능과 보온 및 단열 성능 저하 없이 시공할 수 있도록 해준다.
단열재는 단열부재 이외에 알루미늄 호일을 반사층으로 두고 있다. 반사층은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열을 반사시켜 단열효과를 높히기 위한 것이었으나 실제로 건물 벽면에 시공되면 도 3에 참고로 나타낸 바와 같이 벽면과 알루미늄 호일 반사층이 직접 접촉하여 열 반사가 거의 불가능한 상태로 시공된다. 이로 인해 단열재 표면 결로 현상이 나타나고 전체적인 단열 성능도 실제 단열재 성능에 비해 저하되었다.
본 발명은 벽면(200)과 단열재(100)가 간격유지부재(500)에 의해 일정한 간격(L1)으로 벌어져 있어 벽면(200)을 통해 방사되는 복사열이 단열재(100)의 반사층(101)을 통해 벌어진 간격(L1) 공간에서 반사되어 단열성능이 향상되고 공기 유동 공간을 제공하여 반사층(101)의 표면 이슬 맺힘 현상이 줄어든다.
마찬가지로 외부 마감재(300)와 단열재(100) 사이도 간격유지부재(500)에 의해 일정한 간격(L2)으로 벌어져 있어 외부 마감재(300)를 통해 방사되는 열이 단열재(100)를 통과하지 못하도록 하여 실내외 보온에 유리한 기능을 하게 된다.
또한, 벽면(200)과 단열재(100) 사이의 간격을 유지시키는 간격유지부재(500)는 도 7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은 다른 형식의 막대형 간격유지부재(500a)를 사용하여 일정한 간격(L1)으로 벌어진 상태로 시공할 수 있어 벽면(200)을 통해 방사되는 복사열이 단열재(100)의 반사층(101)을 통해 벌어진 간격(L1) 공간에서 반사시켜 단열성능을 개선할 수 있고 공기 유동 공간을 제공하여 반사층(101)의 표면 이슬 맺힘 현상을 줄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내,외부 표면상으로 알루미늄 호일층을 두어 반사율을 높여 단열성능을 향상시키고 결로 현상을 억제할 수 있는 단열재, 시공 전후 외부로부터 가해지는 내,외압에 대한 변형을 구조적으로 작게 하여 공기 유동 면적 변형 축소에 따른 열전도율 증가를 억제할 수 있는 단열재 등을 비롯하여 다양한 단열재들을 건물에 시공하는데 있어서 단열재(100) 표면을 중심으로 이와 대응하는 벽면(200) 및 외부 마감재(300)가 직접 단열재(100)와 접촉하지 않고 일정 거리 공간으로 벌어진 간격(L1)(L2)이 유지되도록 시공함으로서 안정된 단열성능을 나타내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 및 명세서를 통하여 발명의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하였으나 예시이다.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가 가능하다.
100: 단열재
101.101a: 반사층
103: 절결부
200: 벽면
300: 외부마감재
400.400a: 지지부재
401.401a: 구멍
402.402a: 슬롯
500.500a: 간격유지부재
501: 플랜지
502: 헤드
503: 본체
504: 침형절곡핀
505: 펼침용홈
600: 앵커
601: 고정브라켓
620: 접착제
630: 점착층

Claims (6)

  1. 표면에 반사층(101)(101a)을 갖는 단열재(100)를 건물 벽면 설치하기 위한 대응 벽면(200)에 간격을 두고 떨어진 상태로 단열재(100)를 지지하기 위하여 단열재(100)가 결합되는 다수 개의 간격유지부재(500)들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단계를 통하여 벽면(200)에 설치된 간격유지부재(500)들을 중심으로 단열재(100)를 벽면(200) 방향으로 압박하여 간격유지부재(500)에 단열재(100)를 밀착시켜 벽면(200)을 따라 단열재(100)를 시공하는 단계; 상기 단계를 통하여 벽면(200)에 시공된 단열재(100)의 일부에 절결부(103)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단계를 통하여 형성된 절결부(103)를 따라 벽면(200)에 앵커(600)를 설치하고 그 앵커(600)에 외부 마감재(300)를 지지 고정하는 고정브라켓(601)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단계를 통하여 벽면(200)에 설치된 고정브라켓(601)을 중심으로 외부 마감재(300)를 시공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건축 단열재 시공방법에 있어서,
    상기 벽면(200)에 시공하여 벽면(200)과 단열재(100)의 사이 간격을 유지시키는 간격유지부재(500)는 판상체를 성형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벽면(200)에 밀착되는 플랜지(501)가 있고 그 플랜지(501)로부터 절곡되어 벽면(200)과 단열재(100) 사이 간격을 유지시키는 간격유지용 헤드(502)를 일체형으로 구비하는 본체(503)로 이루어지는 한편 상기 본체(503)에서 절곡 가능하도록 일체로 형성되고 단열재(100)를 꼽아서 결합할 수 있도록 첨단이 뾰족한 침 형상으로 이루어진 침형 절곡핀(504)으로 이루어진 간격유지부재(500)를 사용하여 벽면(200)과 단열재(100) 사이의 간격을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단열재 시공방법.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유지부재(500)의 본체(503)에는 침형 절곡핀(504)을 손으로 잡고 펼쳐서 절곡시킬 수 있는 펼침용 홈(505)이 형성되어 침형 절곡핀(504)을 절곡 시킬 때 펼침용 홈(505)에 손가락을 넣어 펼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단열재 시공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유지부재(500)를 벽면(200)에 설치하는 단계에서 간격유지용 헤드(502)에 접혀진 상태로 위치하는 침형 절곡핀(504)을 침형 절곡핀(504)을 통해 전면 수평 방향으로 펼쳐서 절곡 시킨 뒤 침형 절곡핀(504)에 단열재(100)를 밀어넣어 고정시켜 단열재(100)를 간격유지부재(500)의 표면을 따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 단열재 시공방법.

  5. 삭제
  6. 삭제
KR1020120017029A 2012-02-20 2012-02-20 건축 단열재 시공방법 KR1013772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7029A KR101377250B1 (ko) 2012-02-20 2012-02-20 건축 단열재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17029A KR101377250B1 (ko) 2012-02-20 2012-02-20 건축 단열재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5526A KR20130095526A (ko) 2013-08-28
KR101377250B1 true KR101377250B1 (ko) 2014-03-21

Family

ID=492188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17029A KR101377250B1 (ko) 2012-02-20 2012-02-20 건축 단열재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725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99873B (zh) * 2019-07-26 2024-07-02 广东玉兰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墙面装饰结构及其施工方法
CN112726848A (zh) * 2021-01-21 2021-04-30 徐孝先 一种建筑用酚醛保温板外墙保温隔热系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54629A (ja) * 1998-11-20 2000-06-06 Nichiha Corp 壁の施工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54629A (ja) * 1998-11-20 2000-06-06 Nichiha Corp 壁の施工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95526A (ko) 2013-08-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82430B2 (en) Layered insulation system
KR100741951B1 (ko) 건축물 내·외벽용 반사단열재
US20100192498A1 (en) Building system
CN103733251B (zh) 蜂窝板层叠体的制造方法及蜂窝板层叠体
WO2008129281A2 (en) Insulating panel
WO2018018408A1 (zh) 阻断通过幕墙建筑热冷桥传热的结构及其施工方法
US20140209270A1 (en) Dynamic insulation systems
KR101377250B1 (ko) 건축 단열재 시공방법
JP2016037791A (ja) 遮熱及び断熱壁構造物の製造方法並びに遮熱及び断熱壁構造物
KR102685824B1 (ko) 고온 기후 대응형 열반사 단열재가 적용된 단열 벽체
KR100604411B1 (ko) 복합패널을 이용한 조립식 이중벽 칸막이의 시공 방법
JP5777079B1 (ja) サンド遮熱構造及びサンド遮熱材
DK2893097T3 (en) BUILDING ELEMENT FOR FACADE INSULATION AND PROCEDURE FOR ITS MANUFACTURING
KR20170103235A (ko) 난연 단열필름
JP2004143927A (ja) 暖房管の配管用断熱ボ−ド
JP5683897B2 (ja) 複合断熱材を用いた建築物、および建築物の断熱工法
EP2759656A1 (en) Exterior heat insulation cover panel
KR20180001315A (ko) 복합단열재
KR101616496B1 (ko) 건축물의 다기능 보온단열재가 부착된 패널
KR101261551B1 (ko) 반사형 단열재 제조 장치
JP3131958U (ja) 高機能型遮熱マット
KR20140085020A (ko) 건축물의 내단열 시공방법 및 이를 위한 복합기능 단열재
JP3177570U (ja) 建築用断熱ボード及び建築用断熱ボードを用いた建築構造
KR101080685B1 (ko) 단열 내장재 및 상기 단열 내장재를 구비하는 건축 구조체
JP3201771U (ja) 断熱防音パネ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