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01315A - 복합단열재 - Google Patents

복합단열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01315A
KR20180001315A KR1020160080293A KR20160080293A KR20180001315A KR 20180001315 A KR20180001315 A KR 20180001315A KR 1020160080293 A KR1020160080293 A KR 1020160080293A KR 20160080293 A KR20160080293 A KR 20160080293A KR 20180001315 A KR20180001315 A KR 201800013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uminum foil
composite
heat
panel
urethane fo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02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정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그린인슐레이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그린인슐레이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그린인슐레이터
Priority to KR10201600802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01315A/ko
Publication of KR201800013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131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75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having a basic insulating layer and at least one covering laye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8Heat insulating elements
    • E04B1/80Heat insulating elements slab-shaped
    • E04B1/803Heat insulating elements slab-shaped with vacuum spaces included in the slab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2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 E04C2/28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at least one of the materials being insulating
    • E04C2/29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at least one of the materials being insulating composed of insulating material and sheet met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3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 E04C2/3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composed of two or more spaced sheet-like parts
    • E04C2/3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composed of two or more spaced sheet-like parts spaced apart by transversely-placed strip material, e.g. honeycomb pane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24Structural elements or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rmal insulation
    • Y02A30/242Slab shaped vacuum insul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80/00Architectural or constructional elements improving the thermal performance of buildings
    • Y02B80/10Insulation, e.g. vacuum or aerogel ins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열재 자체가 구조물의 외장재 또는 냉장창고 내벽 단열재로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단열재의 내구 수명을 연장시키는 동시에 열도전율을 최소화하여 단열효과를 최대화할 수 있도록 한 복합단열재에 관한 것으로, 상기 복합단열재는 내부의 온도 또는 외부의 공기 또는 수분이 내부로 유입되지 않게 차단할 수 있도록 고진공 상태로 심재 및 밀봉필름을 압축하여 이루어지는 진공패널과; 내부의 온도가 외부로 전달 또는 외부의 온도가 내부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진공패널을 감싸도록 외측에 설치되는 우레탄폼과; 내부의 온도가 외부로 전달되어 내부의 열이 손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우레탄폼 일측에 설치되는 알루미늄호일; 및 알루미늄호일이 설치된 우레탄폼의 다른 면에 설치되는 PVC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Description

복합단열재{Composite Insulated Panel}
본 발명은 복합단열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단열재 자체가 구조물의 외장재 또는 냉장창고 내벽 단열재로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단열재의 내구 수명을 연장시키는 동시에 열도전율을 최소화하여 단열효과를 최대화할 수 있도록 한 복합단열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에 사용되는 복합 단열재는 건축물의 벽면에 부착하여 열이동을 막을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건축물의 내,외벽에 시공되어 냉기,열기,복사열을 반사 차단하여 건축물의 내부온도가 외부 온도 변화에 의한 영향을 적게 받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건축물에 사용하는 단열재는 열의 유출과 불필요한 열의 유입을 방지하여 에너지 절약을 촉진하며 표면 결로나 실내 온도의 편향 분포 및 왜곡을 방지하여 쾌적한 실내 온도가 확보될 수 있도록 설계된다.
건축물에는 표면 결로가 발생 된다. 표면 결로는 수분을 포함한 대기의 온도가 이슬점 이하로 떨어져 대기에 함유된 수분이 물체 표면에서 물방울로 맺히는 일종의 물 맺힘 현상이다. 결로는 습도가 높을수록 쉽게 발생되고, 건축물의 바닥과 벽체 표면에 얼룩을 형성하고 부패 원인이 되며 곰팡이 등을 발생시킨다.
건축물 표면 결로는 겨울철에 주로 발생하지만 여름철에도 발생 된다. 여름철에는 주로 건물 지하실과 같은 곳에서 주로 발생할 수 있다. 여름철에는 외부의 영향으로 건물 지상 부분의 벽체는 온도가 높아지지만, 지하실의 벽체는 외부의 영향을 거의 받지 못하므로 결로가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건축물 벽체 표면에 부착하는 단열재를 효과적으로 이용하면 열 매질의 이동을 둔화시키고 동시에 결로를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단열은 열이 흐르는 물체의 열 저항값을 크게 해서 열류량을 작게 하는 것이며, 건물의 경우에는 열관류율을 작게 하는 것이다.
열관류율은 일정 두께를 갖는 부재의 양 표면이 각각 유체에 접하고 양 유체에 온도차가 있을 경우 고온에서 저온 측으로 부재를 통해 열이 흘러가는 것을 말하며, 이것은 재료의 열전도와 양 표면의 열전달과의 조합이라고할 수 있다.
단열을 위해 열관류열을 작게 하기 위해서는 재료의 두께를 크게 하는 것, 열전도율이 낮은 재료를 산정하는 것등이 있지만, 비용과 시공성 등이 우선적으로 고려되기 때문에 열전도율이 낮은 재료가 선택되고 시공은 건물벽체에 매립 시공하는 방법이 일반적으로 사용되었다.
종래에는 이같이 판형 부피 단열재인 스티로폼, 글라스 울 등이 많이 사용되었지만 새로운 단열 재료들의 개발과 함께 판형 단열재의 사용을 줄고 있다.
건축용 복합 단열재에서 반사형 단열재로서 알루미늄 호일을 이용하는 구조가 알려져 있다.
알루미늄 호일을 방사에 대해 낮은 방사율을 가지는 재료로써, 복사열 에너지를 반사해서 단열작용을 하는 것이며, 금속 표면의 반사율과 방사율을 표 1과 같다.
Material 반사율
(reflectivity in %)
평균방사율
(average emittance ε)
알루미늄호일(Aluminium foil) 92 ~ 97 0.05
알루미늄시트(Aluminium sheet) 80 ~ 95 0.12
알루미늄코팅페이퍼(Aluminium coated paper) 75 ~ 84 0.20
도금강(sheet galvanized) 70 ~ 80 0.25
알루미늄페인트(Aluminium paint) 30 ~ 70 0.50
반사형 단열재는 반사 표면의 반사율과 방사율이 중요하다. 즉, 반사형 단열재의 값은 반사율이 95 ~ 97%가 가장 바람직하고, 방사율이 0.03 ~ 0.05 이내가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알루미늄 호일의 반사율과 방사율의 값이 가장 바람직한 것을 알 수 있다.
알루미늄 호일은 공기층의 한쪽 면에만 부착하는 것보다 양쪽 면에 부착하는 것이 더 효과적이다. 왜냐하면, 양면 다 높은 반사율을 지니게 되고, 알루미늄 호일을 통해 반사되는 열에너지가 닫혀있는 공기와 충돌을 일으켜 열에어니가 감소하여 열의 이동을 차단하고, 더운 쪽에 위치한 반사면은 일반적으로 결로가 발생하지 않으므로 열 저항을 계속 유지시킬 수 있고 투습 저항체의 역할도 할 수 있기 때문이다.
구성도 열전도율(W/㎡K) 열관류저항(㎡K/W)
공기층 1OT + AL Foil 0.03137 0.3192
AL Foil + 공기층 10T + AL Foil 0.2181 0.4585
공기층 10T + AL Foil + 공기층 10T+ AL Foil 0.03310 0.6247
AL Foil + 공기층 10T + AL Foil
+ 공기층 10T + AL Foil
0.2715 0.7540
표 2는 열전도율 측정기를 이용하여 알루미늄 호일과 공기층의 구성을 측정한 결과이다. 공기층 사이에 알루미늄 호일의 개수에 따라 열적 성능을 파악할 수 있다. 즉, 동일한 두께의 공기층에 알루미늄 호일이 접촉한 호일의 개수에 따라 열적 성능이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일반적으로 알루미늄 호일을 이용한 반사 단열재는 알루미늄 호일 사이에 부직포와 폴리에틸렌 폼을 접착하여 제조되었다.
이러한 단열재는 벽체와 알루미늄 호일 사이의 공기층 사이에서만 열을 반사하여 단열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반사형 단열재와 관련된 다수의 기술이 알려졌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등록번호 제0583381호에 개시된 기술은 '복합기능 반사 보온 단열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기술로서, 폴리에스터 필름층과 알루미늄 호일층, 부직포, 폴리에틸렌폼 사이에 폴리에틸렌 수지를 열융착 시키는 단열재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부직포와 폴리에틸렌 폼을 알루미늄 호일에 수지를 이용하여 접착하여 알루미늄 호일의 한 면만 열을 반사시킬 수 있어 단열재의 성능이 저하됨은 물론이고 온도차에 의해 실내외의 결로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 다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등록번호 제0397724호에 개시된 기술은 '복합 구조의 건설용 단열재'에 관한 기술로서,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알루미늄 박층(11)과, 상기 알루미늄 박층(11)에 적층되는 폴리에틸렌층(12)또는 폴리스티렌층(13)과, 상기 폴리에틸렌층(12) 또는 폴리스티렌층(13)에 적층되는 폴리스티렌층(13) 또는 폴리에틸렌층(12)을 포함하고, 상기 폴리에틸렌층(12)의 두께는 약3mm 내지 10mm 이고, 폴리스티렌층(13)의 두께는 약 2mm 내지 3mm 이며, 상기 단열재(10) 전체의 적층 두께는 약 5mm 내지 13mm이고, 상기 단열재(10)는 폴리스티렌층(13) 또는 폴리에틸렌층(12) 상에 제공되어 외부 환경으로부터 단열재를 보호하는 보호층(14)을 포함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기술은 알루미늄 박층(11)이 있는 한 면을 통해 열을 반사시켜 단열재의 성능이 저하되고 온도차에 의해 결로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다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592052호의 기술은, '폴리우레탄 폼을 이용한 다층 구조의 반사형 단열재'에 관한 기술로서, 외측 양면에 열을 반사 및 차단할 수 있도록 위치되는 알루미늄 호일층(21)(22)을 형성하고, 양측알루미늄 호일층(21)(22) 내면에 각각 접착되는 폴리우레탄 발포제층(23)(24)을 형성하며, 일측의 폴리우레탄발포제층(23) 일면에 폴리에스테르 부직포(25)를 접착하고, 폴리에스테르 부직포(25)와 다른 일측의 폴리우레탄발포층(24) 사이에 에어버블층(26)을 형성하여 단열재(20)를 구성한 것이다.
상기 기술은 양면의 알루미늄 호일층(21)(22)을 이용하여 양면에서 열을 반사시키고, 폴리우레탄 발포제층(23)(24)과 폴리에스테르 부직포층(25), 에어버블층(26)을 두어 단열하는 열반사형 단열재(20)로서, 양면의 알루미늄 호일층(21)(22)과 에어버블층(26)을 통해 열반사 성능을 좋게 하여 단열효과를 개선하고 결로 현상을 줄일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그러나 상기 기술은 양면의 알루미늄 호일층(21)(22)을 이용하여 양면에서 열을 반사시키고, 폴리우레탄 발포제층(23)(24)과 폴리에스테르 부직포층(25), 에어버블층(26)을 두어 단열하는 열반사형 단열재이지만 에어버블층(26)이 조밀한 통공 형상으로 되어 있고, 시공 전후 외부로부터 내, 외압이 가해지면 에어버블층(26)의 공간이 변형되어 공기 유동 단면적이 줄어들어 열전도율이 급격히 증가하여 열기와 냉기 차단효과가 떨어지고, 이로인해 결로현상을 충분히 제어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고, 제조가 어려우며, 변형이 발생 되어 시공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 밖에 결로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알루미늄 호일에 무수히 많은 미세한 통공을 형성하는 반사형 단열재도 알려졌으나 이러한 단열재는 통공을 형성하기 위한 복잡한 제조 작업이 필요하고 다수의 통공 형성에 의하여 구조적으로 알루미늄 호일의 강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선행기술로 공개특허공보 제2012-005246호(2012.01.16. 공개)"건축용 복합 단열재"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열을 반사시키는 제1 알루미늄 호일층(31), 제1 알루미늄 호일층(31) 일면에 접착된 폴리에스테르 부직포층(32), 폴리에스테르 부직포층(32) 일면에 접착되어 열을 차단하는 제2 알루미늄 호일층(33), 제1 및 제2 알루미늄 호일층(31)(33) 그리고 폴리에스테르 부직포층(32)을 지지하면서 열을 차단하는 고분자 발포제층(34), 고분자 발포제층(34)의 이면에 접착되어 열 전도를 차단하고 반사시키는 제3 알루미늄 호일층(35)을 포함하는 건축용 복합 단열재(30)에 있어서, 상기 제1 알루미늄 호일층(31)과 폴리에스테르 부직포층(32) 그리고 제2 알루미늄 호일층(33)이 접착제로 접착되고 이들을 고분자 발포제층(34)에 적층형으로 안착시켜 접착하기 위하여 제2 알루미늄 호일층(33)과 고분자발포제층(34) 사이에 층상으로 적층 되고 양면이 접착제(41)가 도포된 제1 양면접착테이프(40); 상기 제2 알루미늄 호일층(33)과 상기 제3 알루미늄 호일층(35) 사이에 위치하는 고분자 발포제층(34)에는 열전달을 차단하기 위하여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는 가로 세로 방향의 지지대(36)를 통해 연속 반복적으로 형성되어 개개의 공간이 독립된 공기 유동 공간(37)을 갖도록 형성된 사각형 에어포켓(38); 상기 고분자 발포제층(34)과 상기 제3 알루미늄 호일층(35)을 동시에 접착시키기 위하여 양면에 접착제(41)가 도포되고 고분자 발포제층(34)과 제3 알루미늄 호일층(35) 사이에 게재되어 고분자 발포제층(34)과 제3알루미늄 호일층(35)을 동시에 접착시키는 제2 양면접착테이프(42); 상기 고분자 발포제층(34)의 강도를 보강하고 지지하기 위해 제3 알루미늄 호일층(35)의 일면과 접착되는 발포수지(39); 상기 발포수지(39)를 제3 알루미늄 호일층(35)에 접착시키기 위하여 양에 접착제(41)가 도포되고 상기 발포수지(39)와 제3 알루미늄 호일층(35) 사이에 게재되어 발포수지(39)와 제3 알루미늄 호일층(35)을 동시에 접착시키는 제3 양면접착테이프(43); 상기 발포수지(39)의 일면에 접착테이프(44)로 접착되어 열을 반사시키는 제4 알루미늄 호일층(45)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단열재를 이루는 구성품이 많이 설치되기 때문에 기존의 단열재에 비해 단가가 상승하여 아파트, 주택 등을 포함하는 건축물 또는 창고, 냉장창고를 포함하는 기타 건축물의 건축 단가를 상승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단열재를 이루는 구성품이 많이 설치되기 때문에 단열재의 두께가 두껍게 구성되어 건축물의 내부 공간이 협소해지는 문제로 인하여 건축주들이 상기의 단열재를 선택하지 않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이 다수의 구성품으로 단열재를 구성함에 따라 제작하는 공정이 매우 복잡해지고, 그로 인하여 생산시간이 오래 걸려 기존의 단열재에 비해 많은 생산시간과 인력을 필요로 하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특허문헌 1: 등록특허공보 제0583381호 - 복합기능 반사 보온 단열재 및 그 제조방법 특허문헌 2: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397724호 - 복합 구조의 건설용 단열재 특허문헌 3: 등록특허공보 제0592052호 - 폴리우레탄 폼을 이용한 다층 구조의 반사형 단열재 특허문헌 5 : 공개특허공보 제2012-005246호 - 건축용 복합 단열재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외부의 온도가 내부로 전달되지 못하도록 진공패널을 이용하여 단열효과를 높임과 동시에 알루미늄 호일을 이용하여 내부의 온도가 외부로 빼앗겨 열손실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복합단열재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구성품의 개수를 최대한 줄여 작업성을 향상시킴은 물론 선행기술에 의해 생산되는 시간보다 짧은 시간에 복합단열재를 생산할 수 있도록 하여 단열재를 생산하는 생산 비용 및 투입되는 인원을 최대한 줄여 가격경쟁력을 갖는 복합단열재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복합단열재는 내부의 온도 또는 외부의 공기 또는 수분이 내부로 유입되지 않게 차단할 수 있도록 고진공 상태로 심재 및 밀봉필름을 압축하여 이루어지는 진공패널과; 내부의 온도가 외부로 전달 또는 외부의 온도가 내부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진공패널을 감싸도록 외측에 설치되는 우레탄폼과; 내부의 온도가 외부로 전달되어 내부의 열이 손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우레탄폼 일측에 설치되는 알루미늄호일; 및 알루미늄호일이 설치된 우레탄폼의 다른 면에 설치되는 PVC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다.
본 발명의 진공패널은, 글라스 울, 폴리우레탄, 실리카겔을 포함하는 심재와; 상기 심재를 내측에 인입시켜 고진공 상태로 압축할 수 있도록 심재의 외부에 설치되는 밀봉필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복합단열재는 아파트, 주택을 포함하는 건축물 또는 냉동창고, 식품보관창고를 포함하는 기타건축물의 내장재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복합단열재는, 아파트, 주택을 포함하는 건축물 또는 냉동창고, 식품보관창고를 포함하는 기타건축물의 외장재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우레탄폼은, 내측에 일정 크기로 설치되는 진공패널의 외부를 감싸도록 구성하여 PVC패널과 동일한 크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복합단열재는 진공패널에 의해 외부의 온도와 실내 온도가 서로 섞이지 않도록 하여 실내 환경이 쾌적하게 조성되므로 난방장치 또는 냉방장치의 가동율이 낮아져 난방비 또는 냉방비를 현저하게 아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복합단열재를 건축물의 내장재 또는 외장재로 사용하므로 별도의 내장마감재 또는 외장마감재를 사용하지 않아도 외관이 미려하게 이루어져 건축물의 실외 또는 실내 인테리어 시에 비용을 아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외기의 온도에 의해 실내의 온도가 변하지 않으므로 결로방지 및 단열 보온기능을 가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알루미늄호일에 의해 열 반사효과가 높아 단열성 내지는 보온 및 보냉성이 높을 뿐만 아니라, 내구성, 내열성, 내습성, 내한성, 내진성, 방음성, 방수성 등에 강하며, 이에 따라 건축용으로 사용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건축용 단열재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다른 건축용 단열재의 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종래의 또 따른 건축용 복합 단열재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결합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복합단열재의 구성을 나타낸 부분 절결 사시도.
도 5는 도 4의 복합단열재 결합 상태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도 5의 복합단열재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복합단열재가 건축물의 단열재로 사용하는 상태를 나타낸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복합단열재가 건축물의 내장재로 사용하는 상태를 나타낸 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의 복합단열재를 건축물의 외장재로 사용하는 상태를 나타낸 구성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복합단열재를 첨부된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복합단열재는 도 4 내지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성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복합단열재의 구성을 나타낸 부분 절결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복합단열재 결합 상태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5의 복합단열재 결합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복합단열재가 건축물의 단열재로 사용하는 상태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4 내지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복합단열재는 내부의 온도 또는 외부의 공기 또는 수분이 내부로 유입되지 않게 차단할 수 있도록 고진공 상태로 심재(111) 및 밀봉필름(112)을 압축하여 이루어지는 진공패널(110)과, 내부의 온도가 외부로 전달되거나 또는 외부의 온도가 내부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진공패널(110)을 감싸도록 외측에 설치되는 우레탄폼(120)과, 내부의 온도가 외부로 전달되어 내부의 열이 손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우레탄폼 일측에 설치되는 알루미늄호일(130) 및 알루미늄호일(130)이 설치된 우레탄폼(120)의 다른 면에 설치되는 PVC패널(1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진공패널(110)은 심재(111)와 밀봉필름(112)으로 구성되고, 상기 심재(111)는 글라스 울, 폴리우레탄, 실리카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밀봉필름(112)은 단열성을 갖는 여러 층의 금속 박막 필름이 적층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밀봉필름(112)은 가스 베리어 성이 우수한 금속박막의 적층구조로 이루어져 공기나 수분의 통과를 차단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시간이 지나도 진공도가 저하되지 않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밀봉필름(112)은 진공장치를 이용하여 내측을 진공상태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일측은 밀봉된 상태로 구성하고, 대향되는 쪽은 구멍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밀봉필름(112)의 내측이 고진공상태로 이루어지면 상기 구멍은 열융착 방식 등을 이용하여 밀봉시켜 내측에 진공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우레탄폼(120)은 진공패널(110)의 외부를 감싸도록 구성하기 위하여 일정 형틀의 내부에 우레탄폼(120)을 넣고 1차로 발포하고, 1차로 발포한 우레탄폼(120)에 진공패널(110)을 넣은 후 다시 2차로 우레탄폼(120)을 발포시켜 도면과 같이 내부에 밀봉패널(110)이 위치되도록 구성한다.
상기와 같이 밀봉패널(110)이 우레탄폼(120) 내측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알루미늄호일(130)을 우레탄폼(120) 일면에 접착제를 도포한 후 열 융착 방식을 통해 부착한다.
그리고 상기 PVC패널(140)은 우레탄폼에 알루미늄호일(130)을 열 융착에 의해 부착한 상태에서 대응되는 면에 접착제를 도포한 후 일정 압력을 가하여 부착되도록 설치한다.
상기 압력은 우레탄폼(130)에 PVC패널(140)이 부착될 수 있는 압력만을 가하여 부착되도록 하며, 이때 우레탄폼(130)에 크랙이 발생하거나 또는 파손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가압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복합단열재(100)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콘크리트 벽체와 블록 사이에 설치하여 실외의 온도가 실내로 전달되거나 또는 실내의 온도가 실외로 빼앗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단열재로 사용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복합단열재(100)는 아파트, 주택 등을 포함하는 건축물에 적용한 것을 통해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복합단열재가 건축물에 적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복합단열재(100)는 외부의 온도가 내부로 유입되지 못하도록 함과 동시에 내부의 온도가 외부로 빼앗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아파트, 주택 등을 포함하는 건축물의 벽체 내측 면에 설치한다.
상기 건축물의 벽체 내측 면에 설치할 할 때에는 우레탄폼(120)의 일면에 설치된 알루미늄호일(130)이 건축물의 벽면에 위치되도록 설치한 상태에서 별도의 고정부재 또는 고정볼트 등을 이용하여 고정한다.
그리고 상기 복합단열재(100)와 복합단열재(100) 사이로 유입 또는 배출되는 차가운 공기 또는 더운 공기를 차단할 수 있도록 별도의 테이프(미도시)를 이용하여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테이프의 부착하는 위치는 알루미늄호일(130)이 부착된 부분에 부착하여 외부에서 볼 때 부착된 테이프가 보이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건축물의 벽체에 설치한 상태에서 PVC패널(140)이 실내 쪽으로 위치되어 외관이 미려하게 되므로 별도의 석고패널, 합판 등을 이용하여 마감처리를 하지 않아도 되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복합단열재는 도 7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도 8과 같이 냉동창고 등을 포함하는 기타건축물에 적용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복합단열재가 냉동창고에 적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복합단열재(100)는 외부의 온도가 내부로 유입되지 못하도록 함과 동시에 내부의 온도가 외부로 빼앗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아파트, 주택 등을 포함하는 건축물의 벽체 외측 면에 설치한다.
상기 건축물의 벽체 외측 면에 설치할 할 때에는 우레탄폼(120)의 일면에 설치된 알루미늄호일(130)이 건축물의 외면에 위치되도록 설치한 상태에서 별도의 고정부재 또는 고정볼트 등을 이용하여 고정한다.
그리고 상기 복합단열재(100)와 복합단열재(100) 사이로 유입 또는 배출되는 차가운 공기 또는 더운 공기를 차단할 수 있도록 별도의 테이프(미도시)를 이용하여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테이프의 부착하는 위치는 알루미늄호일(130) 부착된 부분에 부착하여 외부에서 볼 때 부착된 테이프가 보이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건축물의 외벽에 설치한 상태에서 PVC패널(140)이 실외 쪽으로 위치되어 외관이 미려하게 되므로 별도의 마감재를 이용하지 하지 않아도 되는 이점이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복합단열재는 하기와 같은 이점을 갖는다.
첫째: 본 발명의 복합단열재(100)는 진공패널(110)에 의해 외부의 온도와 실내 온도가 서로 섞이지 않도록 하여 실내 환경이 쾌적하게 조성되므로 난방장치 또는 냉방장치의 가동율이 낮아져 난방비 또는 냉방비를 현저하게 줄일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의 복합단열재(100)를 건축물의 내장재 또는 외장재로 사용하므로 별도의 내장마감재 또는 외장마감재를 사용하지 않아도 외관이 미려하게 이루어져 건축물의 실외 또는 실내 인테리어 비용을 현저하게 아낄 수 있다.
셋째: 본 발명은 외기의 온도에 의해 실내의 온도가 변하지 않으므로 결로방지 및 단열 보온기능을 가지는 현저한 이점을 갖는다.
넷째 본 발명의 알루미늄호일(130)에 의해 열의 반사효과가 높아 단열성 내지는 보온성 및 보냉성이 높을 뿐만 아니라, 내구성, 내열성, 내습성, 내한성, 내진성, 방음성, 방수성 등이 강하며, 이에 따라 건축용으로 사용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복합단열재
110: 진공패널
111: 심재
112: 밀봉필름
120: 우레탄폼
130: 알루미늄호일
140: PVC패널

Claims (5)

  1. 복합단열재에 있어서,
    상기 복합단열재(100)는
    내부의 온도 또는 외부의 공기 또는 수분이 내부로 유입되지 않게 차단할 수 있도록 고진공 상태로 심재(111) 및 밀봉필름(112)을 압축하여 이루어지는 진공패널(110)과;
    내부의 온도가 외부로 전달 또는 외부의 온도가 내부로 전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진공패널(110)을 감싸도록 외측에 설치되는 우레탄폼(120)과;
    내부의 온도가 외부로 전달되어 내부의 열이 손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우레탄폼(120) 일측에 설치되는 알루미늄호일(130); 및
    알루미늄호일(130)이 설치된 우레탄폼(120)의 다른 면에 설치되는 PVC패널(14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단열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패널(110)은
    글라스 울, 폴리우레탄, 실리카겔을 포함하는 심재(111)와;
    상기 심재(111)를 내측에 인입시켜 고진공 상태로 압축할 수 있도록 심재(111)의 외부에 설치되는 밀봉필름(12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단열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단열재(100)는
    아파트, 주택을 포함하는 건축물 또는 냉동창고, 식품보관창고를 포함하는 기타건축물의 내장재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단열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단열재(100)는
    아파트, 주택을 포함하는 건축물 또는 냉동창고, 식품보관창고를 포함하는 기타건축물의 외장재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단열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우레탄폼(120)은
    내측에 일정 크기로 설치되는 진공패널(110)의 외부를 감싸도록 구성하여 PVC패널(140)과 동일한 크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단열재.
KR1020160080293A 2016-06-27 2016-06-27 복합단열재 KR2018000131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0293A KR20180001315A (ko) 2016-06-27 2016-06-27 복합단열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0293A KR20180001315A (ko) 2016-06-27 2016-06-27 복합단열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1315A true KR20180001315A (ko) 2018-01-04

Family

ID=609978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0293A KR20180001315A (ko) 2016-06-27 2016-06-27 복합단열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0131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30569A (zh) * 2018-02-02 2019-08-16 惠州市和成机械设备有限公司 一种新型仿木建筑制品
CN111702426A (zh) * 2020-07-02 2020-09-25 安徽福瑞尔铝业科技有限公司 一种自带内保温系统的隔热铝单板及制造工艺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30569A (zh) * 2018-02-02 2019-08-16 惠州市和成机械设备有限公司 一种新型仿木建筑制品
CN111702426A (zh) * 2020-07-02 2020-09-25 安徽福瑞尔铝业科技有限公司 一种自带内保温系统的隔热铝单板及制造工艺
CN111702426B (zh) * 2020-07-02 2021-09-03 安徽福瑞尔铝业科技有限公司 一种自带内保温系统的隔热铝单板及制造工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7505B1 (ko) 건축용 복합 단열재
US4468423A (en) Insulating cell element and structures composed thereof
KR100741951B1 (ko) 건축물 내·외벽용 반사단열재
CA2211549C (en) Low emissivity, high reflectivity insulation
MX2014006503A (es) Panel de aislamiento de pared.
KR20150034393A (ko) 단열성능이 향상된 열반사형 단열재
KR20180001315A (ko) 복합단열재
Bhatia Heat loss calculations and principles
Kamal Material characteristics and building physics for energy efficiency
KR101616496B1 (ko) 건축물의 다기능 보온단열재가 부착된 패널
US11891798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vacuum thermal and acoustical insulation
CN102535661A (zh) 具有高热阻和热稳定性的内墙保温房屋
JP2006249769A (ja) 住宅の断熱・防湿・熱反射構造
CN110469004B (zh) 一种用于轻钢被动房的内墙连接结构
CN202577623U (zh) 具有高热阻和热稳定性的内墙保温房屋
JP5162434B2 (ja) 断熱壁構造およびこれを用いた断熱壁システム
JP2007239429A (ja) ビルディングの遮熱断熱工法
Lee et al. Analyses on performances of heat and multilayer reflection insulators
KR101377250B1 (ko) 건축 단열재 시공방법
CN206328878U (zh) 混凝土建筑物用隔热结构
JP3177570U (ja) 建築用断熱ボード及び建築用断熱ボードを用いた建築構造
CN215751222U (zh) 一种建筑用保温性真空绝热板
JP2008255733A (ja) 建造物の断熱構造及び断熱パネル
JPS647175B2 (ko)
CN219061075U (zh) 一种具有长效保鲜储存效果的冷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