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2019B1 - 옥상 방수구조 및 방수공법 - Google Patents
옥상 방수구조 및 방수공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572019B1 KR102572019B1 KR1020210074169A KR20210074169A KR102572019B1 KR 102572019 B1 KR102572019 B1 KR 102572019B1 KR 1020210074169 A KR1020210074169 A KR 1020210074169A KR 20210074169 A KR20210074169 A KR 20210074169A KR 102572019 B1 KR102572019 B1 KR 10257201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lab
- exhaust pipe
- rooftop
- groove
- waterproof layer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4078 waterproofing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40
- 238000007872 degass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3
- 239000011810 insulating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
- 229920005749 polyurethane resin Polymer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39000003973 pain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1
- 238000009413 insul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9000012212 insulato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29920000178 Acrylic resin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9000004925 Acrylic resi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11900 installation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5000020637 scallop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6
- 241000237509 Patinopecten sp.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29920002803 thermoplastic polyurethan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10923 batch production Methods 0.000 claims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Chemical compound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abstract description 8
- 230000008602 cont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9000010426 asphal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29920001971 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4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5060 rub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JOYRKODLDBILNP-UHFFFAOYSA-N Ethyl urethane Chemical compound CCOC(N)=O JOYRKODLDBIL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7547 de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9422 external ins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2774 insulation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745 nonwoven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904 solv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1201 Ginkgo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41000218628 Ginkgo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8100 Ginkgo biloba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390 adhesive tap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FACXGONDLDSNOE-UHFFFAOYSA-N buta-1,3-diene;styrene Chemical compound C=CC=C.C=CC1=CC=CC=C1.C=CC1=CC=CC=C1 FACXGONDLDSNOE-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667 flo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21 internal ins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2635 polyureth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814 polyuretha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468 styrene butadiene styrene block co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23 venti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41000237503 Pectinid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1 Polyprop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43 Polyprop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56 catabol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248 coa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09 conta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162 cor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97 corro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60 corro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731 degrad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704 evapo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20 evap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35 fi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595 infilt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764 infil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774 longter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51 othe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155 polyprop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52 repeti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467 substitu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61 swel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074 turgor pressur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34 vaporiz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16 vaporiz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1/00—Roof covering, as far as not restricted to features covered by only one of groups E04D1/00 - E04D9/00; Roof covering in ways not provided for by groups E04D1/00 - E04D9/00, e.g. built-up roofs, elevated load-supporting roof coverings
- E04D11/02—Build-up roofs, i.e. consisting of two or more layers bonded together in situ, at least one of the layers being of watertight composition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3/00—Special arrangements or devices in connection with roof coverings; Protection against birds; Roof drainage ; Sky-lights
- E04D13/17—Ventilation of roof cover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D13/172—Roof insulating material with provisions for or being arranged for permitting ventilation of the roof covering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24—Structural elements or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rmal insulation
- Y02A30/254—Roof garden systems; Roof coverings with high solar reflectance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80/00—Architectural or constructional elements improving the thermal performance of buildings
- Y02B80/32—Roof garden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슬래브의 바탕면과 방수층 사이의 절연 부분에서 발생하는 수증기나 압력 등 기체 성분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탈기시킬 수 있는 옥상 방수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슬래브의 바탕 표면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8~12mm 깊이로 형성된 배치홈, 상기 배치홈 속에 삽입된 배기관, 상기 배기관과 연결된 채로 상기 슬래브의 가장자리를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설치된 탈기장치, 상기 배기관을 커버하면서 상기 슬래브의 바탕 표면에 깔린 단열재, 상기 단열재 위에 폴리우레탄 수지를 2mm 이내의 두께로 도포하여 형성된 방수층 및 상기 폴리우레탄 수지 방수층 위에 차열 도료를 1mm 이내의 두께로 도포하여 형성된 차열층을 포함하는 옥상 방수구조를 개시한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슬래브의 바탕 표면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8~12mm 깊이로 형성된 배치홈, 상기 배치홈 속에 삽입된 배기관, 상기 배기관과 연결된 채로 상기 슬래브의 가장자리를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설치된 탈기장치, 상기 배기관을 커버하면서 상기 슬래브의 바탕 표면에 깔린 단열재, 상기 단열재 위에 폴리우레탄 수지를 2mm 이내의 두께로 도포하여 형성된 방수층 및 상기 폴리우레탄 수지 방수층 위에 차열 도료를 1mm 이내의 두께로 도포하여 형성된 차열층을 포함하는 옥상 방수구조를 개시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단열 및 차열성능을 갖는 건축물의 옥상 방수구조 및 방수공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슬래브의 바탕면과 방수층 사이의 절연 부분에서 발생하는 수증기나 가스, 압력 등 기체 성분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탈기시켜 방수층의 표면이 공기 팽창압에 의해 부풀어 오르거나 들뜨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옥상 방수구조 및 방수공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단열 및 방수하자는 사용자에게 거주공간의 제한이나 실내 환경의 오염에 따른 불쾌감을 주며, 가장 큰 문제로는 누수에 의한 성능저하로 건축물의 안전과 내구성에 중대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
방수공사의 하자를 줄이기 위해서 방수층은 기본적으로 수밀성과 내열성을 갖추어야 하고 바탕 콘크리트의 균열과 거동 등에 추종할 수 있어야 하며, 단열층은 흡수율이 낮고 크기와 두께의 변동이 없으며 열전도율이 작고 고온에 내구성이 있어야 한다.
현재 건축물 옥상의 슬래브와 같은 노출면의 방수시공에는 아스팔트 시트(단섬유부직포, 연실필름 및 미연신필름 등의 심재에 스트레이트 아스팔트와 APP(Atactic Polypropylene) 또는 SBS(Styrene butadiene styrene)를 함침하거나 피복하여 제조)나 고무 시트를 이용한 방수공법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아스팔트 시트를 이용한 방수공법은 콘크리트 슬래브의 바탕면에 바로 시공할 경우 실내외의 온도차 등으로 콘크리트 슬래브에서 생기는 자유수의 수증기나 습기가 기화되는 현상으로 인한 팽압을 견디지 못하여 슬래브에서 부풀어 올라 들뜨는 이른바 에어 포켓 현상을 유발하고, 심한 경우 아스팔트 시트가 찢어지는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아스팔트 시트 위에 폴리우레탄 수지를 도포하여 폴리우레탄층을 형성하기 때문에 용제가 포함된 폴리우레탄층과 아스팔트 시트 간의 상호 친화력이 매우 낮아서 쉽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고무 시트를 이용한 방수공법은 고무 시트와 이웃하는 고무 시트를 연결하는 이음매가 쉽게 부풀거나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건축물 옥상의 단열공법은 크게 내단열과 외단열로 구분된다. 옥상 슬래브의 아래쪽 실내부분에 시공하는 내단열 공법은 시공과 유지관리가 비교적 간편하나 단열이 연속적으로 이어지지 못하는 구조적 단점을 가지고 있어 열교 현상 등으로 인한 단열성능의 저하 및 결로 발생 위험 증대, 에너지 손실 등의 여러 가지 문제점이 노출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반해 옥상 슬래브의 위쪽 바깥부분에 시공하는 외단열 공법은 단열이 연속됨으로써 열교 현상 방지, 구조체의 내구성 향상, 실내 온도변화가 적어 거주자의 쾌적성이 증대되는 등의 장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외단열 공법은 시공 후 옥상 부위에 방수의 결함으로 인한 습기 침투ㆍ균열 등의 결함이 발생하면 그 단열성능도 연동하여 급격히 저하되는 단점을 가지고 있으므로 시공의 정밀도가 엄격히 요구되어 작업성이 상당히 떨어질 수밖에 없다.
더욱이 슬래브에 공기가 통하지 않아 습기에 의한 부식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습기가 기화되는 현상으로 발생하는 수증기 및 수분이 제대로 배출되지 않아 슬래브와 단열층 사이에 에어 포켓이 생기고, 이는 수축과 팽창의 반복에 의한 균열, 열이나 온도에 의한 거동 등 방수층의 손상을 가져오기 때문에 장기간의 내구성을 장담할 수 없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콘크리트 슬래브 위를 방수층과 단열층을 동시에 시공하는 즉, 방수기능과 에너지절약 측면에서의 단열기능, 특히 외부 기온의 변화에 따른 구조체의 거동을 방지하는 기능을 동시에 만족하는 합리적이고 경제적인 구조 및 공법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여기서 상술한 배경기술 또는 종래기술은 본 발명자가 보유하거나 본 발명을 도출하는 과정에서 습득한 정보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의의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님을 밝힌다.
이에 본 발명자는 상술한 제반 사항을 종합적으로 고려함과 동시에 기존의 옥상 방수공법이 지닌 기술적 한계 및 문제점들을 해결하려는 발상에서, 슬래브의 바탕면과 방수층 사이의 절연(bond breaking) 부분에서 발생하는 수증기나 압력(공기팽창압) 등 기체 성분을 배기관(vent pipe)과 탈기장치(air vent)를 통해 신속하고 원활하게 탈기시켜 방수층의 표면이 부풀어 오르거나 들뜨는 에어 포켓 현상 및 균열을 방지하고, 아울러 배기관의 구멍이 막히는 현상을 방지하고 단열 및 차열성능을 동시에 확보하는 효과를 도모할 수 있는 새로운 옥상 방수구조 및 방수공법을 개발하고자 각고의 노력을 기울여 부단히 연구하던 중 그 결과로써 본 발명을 창안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및 목적은 슬래브에서 발생하는 기체 성분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탈기하여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옥상 방수구조 및 방수공법을 제공하는 데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 및 목적은 배기관의 막힘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옥상 방수구조 및 방수공법을 제공하는 데 있는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및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 및 목적으로 국한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 및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새로운 착상을 구체화하면서 특정의 기술적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태양(aspect)에 따른 구체적인 수단은, 슬래브의 바탕 표면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8~12mm 깊이로 형성된 배치홈, 상기 배치홈 속에 삽입된 배기관, 상기 배기관과 연결된 채로 상기 슬래브의 가장자리를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설치된 탈기장치, 상기 배기관을 커버하면서 상기 슬래브의 바탕 표면에 깔린 단열재, 상기 단열재 위에 폴리우레탄 수지를 2mm 이내의 두께로 도포하여 형성된 방수층 및 상기 폴리우레탄 수지 방수층 위에 차열 도료를 1mm 이내의 두께로 도포하여 형성된 차열층을 포함하여 채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상 방수구조를 제시한다.
이로써 본 발명은 슬래브의 바탕면과 방수층 사이의 절연(bond breaking) 부분에서 발생하는 수증기나 압력(공기팽창압) 등 기체 성분을 배기관과 탈기장치를 통해 신속하고 원활하게 탈기시킬 수 있어 방수층의 표면이 부풀어 오르거나 들뜨는 에어 포켓 현상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온도변화에 따른 신축작용 시 크랙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태양(aspect)으로 상기 배기관은, 중심부에 상기 배치홈 내의 기체 성분을 탈기하기 위한 배출구멍이 형성되고, 둘레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상기 배출구멍과 통하는 잔구멍이 다수 뚫린 유공관부 및 상기 배치홈 내의 기체 성분이 상기 잔구멍을 통해 상기 배출구멍으로 탈기되도록 안내하고, 상기 잔구멍이 막히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유공관부의 바깥 둘레에 방사상으로 다수 형성된 은행잎 모양의 스캘럽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배기관의 잔구멍이 막히는 현상을 방지하여 절연(bond breaking) 부분에서 발생하는 기체 성분을 안정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태양(aspect)으로 상기 배치홈은 슬래브의 바탕 표면에 격자 모양으로 배열 형성되고, 상기 배치홈이 종횡으로 교차하는 부분에 위치되는 상기 배기관들은 열십자 모양의 커넥터로 연결하여 서로 통하도록 설치함으로써 배치홈(10) 내의 기체 성분을 밖으로 뽑아내는 과정이 보다 원활하고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태양(aspect)은 (A) 슬래브의 바탕 표면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8~12mm 깊이로 배치홈을 파내는 배치홈 형성공정, (B) 상기 배치홈 속에 배기관을 삽입하여 까는 배기관 배치공정, (C) 상기 슬래브의 바탕 표면 가장자리를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탈기장치를 다수 설치하고, 상기 탈기장치들과 상기 배기관을 연결하는 탈기장치 설치공정, (D) 상기 슬래브의 바탕 표면에 단열재를 까는 단열재 설치공정, (E) 상기 단열재 위에 2mm 이내의 두께로 폴리우레탄 수지를 도포하는 방수층 형성공정, (F) 상기 폴리우레탄 수지 방수층 위에 2mm 이내의 두께로 차열 도료를 도포하는 차열층 형성공정으로 이루어지는 옥상 방수공법을 제시한다.
이로써 본 발명은 단열 및 차열성능을 동시에 확보함은 물론 제 성능과 효율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고자 특유한 해결 수단이 기초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술사상 및 실시 예(embodiment)에 따르면, 슬래브의 바탕면과 방수층 사이의 절연(bond breaking) 부분에서 발생하는 수증기나 가스, 압력(공기팽창압) 등 기체 성분을 배기관과 탈기장치를 통해 신속하고 원활하게 탈기시키므로 방수층의 표면이 부풀어 오르거나 들뜨는 에어 포켓 현상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온도변화에 따른 신축작용 시 균열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배기관의 잔구멍이 막히는 현상을 방지하여 절연(bond breaking) 부분에서 발생하는 기체 성분을 안정적으로 제거할 수 있고, 이로 인해 배기관이 최적의 통기 상태를 유지하여 지속적이고 원활하게 기체 성분을 탈기시킬 수 있다.
아울러 단열 및 차열성능을 동시에 확보함은 물론 제 성능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국한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옥상 방수구조 중 일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옥상 방수구조의 구성요소 중 배기관과 커넥터를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옥상 방수구조의 구성요소 중 배기관을 확대하여 나타낸 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옥상 방수공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옥상 방수구조의 구성요소 중 배기관과 커넥터를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옥상 방수구조의 구성요소 중 배기관을 확대하여 나타낸 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옥상 방수공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에 앞서, 후술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것으로서, 이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개념과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용 또는 통상적으로 인식되는 의미로 해석하여야 함을 명시한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여기서 첨부된 도면들은 기술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설명과, 이해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해 일부분을 과장하거나 간략화하여 도시한 것으로, 각 구성요소가 실제의 크기 및 형태와 정확하게 일치하는 것은 아님을 밝힌다.
아울러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하는 의미이며,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즉, '포함하다' 또는 '구비하다', '가지다' 등의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 설시(說示)하는 특징, 개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개수,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아울러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은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일어날 수 있다. 즉, 각 단계들은 명기된 순서와 동일하게 일어날 수도 있고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으며 반대의 순서대로 수행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단, 하단, 상면, 하면, 또는 상부, 하부, 상측, 하측, 전후, 좌우 등의 용어는 각 구성요소에 있어 상대적인 위치를 구별하기 위해 편의상 사용한 것이다. 예를 들어, 도면상의 위쪽을 상부로 아래쪽을 하부로 명명하거나 지칭하고, 길이 방향을 전후 방향으로, 폭 방향을 좌우 방향으로 명명하거나 지칭할 수 있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즉,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보호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에서 제2 구성요소로 명명할 수 있고, 또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할 수도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옥상 방수구조는 배치홈(10), 배기관(20), 탈기장치(30), 단열재(40), 방수층(50) 및 차열층(60)을 포함하고 있다.
배치홈(10)은 배기관(20)을 슬래브(S) 안으로 매입하기 위하여 슬래브(S)의 바탕 표면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8~12mm 깊이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배치홈(10)은 슬래브(S)의 바탕 표면에 격자 모양으로 배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배치홈(10)은 슬래브(S)의 온도변화에 따른 팽창과 수축 혹은 진동 등에 의해 균열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신축량을 흡수하는 신축줄눈의 역할도 겸할 수 있다.
배기관(20)은 배치홈(10) 내의 기체 성분을 밖으로 뽑아내기 위하여 배치홈(10) 속에 삽입되어 있다.
즉, 배기관(20)은 그 높은 가장자리가 슬래브(S)의 바탕 표면과 동일한 평면이 되도록 배치홈(10) 안으로 매입되어 있다.
그리고 배치홈(10)이 종횡으로 교차하는 부분에 위치되는 배기관(20)들은 열십자 모양의 커넥터(25)로 연결되어 있다.
즉, 커넥터(25)를 중심으로 사방에서 배기관(20)들이 서로 연통하는 상태로 연결되므로 배치홈(10) 내의 기체 성분을 밖으로 뽑아내는 과정의 원활성 및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여기서 배기관(20)은 유공관부(23) 및 스캘럽부(24)를 포함하고 있다.
유공관부(23)의 중심부에는 배치홈(10) 내의 기체 성분을 탈기하기 위한 배출구멍(21)이 형성되어 있고, 둘레에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출구멍(21)과 통하는 잔구멍(22)이 다수 뚫려 있다.
스캘럽부(24)는 배치홈(10) 내의 기체 성분이 잔구멍(22)을 통해 배출구멍(21)으로 탈기되도록 안내하고, 아울러 잔구멍(22)이 막히지 않도록 보호하기 위하여 단면 모양이 마치 은행잎 모양으로 이루어져 유공관부(23)의 바깥 둘레에 방사상으로 다수 형성되어 있다.
탈기장치(30)는 배치홈(10) 내의 기체 성분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탈기하기 위하여 배기관(20)과 연결된 채로 슬래브(S)의 가장자리를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탈기장치(30)로는 빗물 등이 외부에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덮개를 갖는 통기관(31) 내에서 전동기(32)의 회전축에 붙은 날개(33)가 돌아가면서 배치홈(10) 내의 기체 성분을 배출하는 구조를 채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슬래브의 가장자리 벽면에 설치할 수 있다.
단열재(40)는 단열성의 확보를 비롯하여 실내환경의 쾌적화, 열부하의 저감, 골격의 보호 등을 위하여 전체 배기관(20)들을 커버하면서 슬래브(S)의 바탕 표면에 깔려 있다.
즉, 단열재(40)는 온도변화에 따른 슬래브(S)의 신축 작용 시 미끄럼 이동이 가능하도록 별도의 접착제 바르지 않은 상태로 슬래브(S)의 바탕 표면에 놓여 있다.
여기서 단열재(40)는 일정한 폭을 가지며 시트지의 하면에 부직포가 부착되어 있고, 그 부직포에는 강도 향상을 위하여 폴리우레탄 수지가 함침되어 있는 것을 채용할 수 있다.
아울러 슬래브(S)의 바탕 표면에 여러 장을 연결하여 까는 경우 단열재(40)와 인접하는 단열재(40) 사이는 접착테이프를 부착하여 일체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열재(40)는, 다른 예로서 표면에 복수의 돌기가 돌출 배열된 시트지가 적용될 수 있다.
방수층(50)은 단열재(40) 위에 아크릴계 수지나 우레탄 수지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2mm 이내의 두께로 도포하여 형성되어 있다.
차열층(60)은 방수층(50) 위에 차열 도료를 1mm 이내의 두께로 도포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옥상 방수구조는 슬래브(S)의 바탕면과 방수층(50) 사이의 절연(bond breaking) 부분에서 발생하는 수증기나 가스, 압력(공기팽창압) 등 기체 성분을 배기관(20)과 탈기장치(30)를 통해 신속하고 원활하게 탈기시킬 수 있어 방수층(50)의 표면이 부풀어 오르거나 들뜨는 에어 포켓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배치홈(10)이 슬래브(S)의 신축량을 흡수하는 신축줄눈의 역할을 겸하므로 온도변화에 따른 팽창과 수축 혹은 진동 등에 의해 균열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더구나 배기관(20)의 잔구멍(22)이 막히지 않도록 스캘럽부(24)가 보호하기 때문에 절연(bond breaking) 부분에서 발생하는 기체 성분을 더욱 안정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게다가 단열재(40)와 차열층(60)으로 인해 단열 및 차열성능을 동시에 확보함은 물론 제 성능을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옥상 방수공법은 배치홈 형성공정(S101), 배기관 배치공정(S103), 탈기장치 설치공정(S105), 단열재 설치공정(S107), 방수층 형성공정(S109) 및 차열층 형성공정(S111)을 포함하고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옥상 방수공법과 관련한 구성요소 중 상술한 실시 예의 옥상 방수구조와 동일 또는 유사한 작용효과를 갖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며, 그에 대한 반복적이고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A) 배치홈 형성공정
배기관(20)을 슬래브(S) 안으로 매입하기 위하여 슬래브(S)의 바탕 표면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8~12mm 깊이로 배치홈(10)을 파내는 공정이다.
이때, 배치홈(10)은 줄눈 컷팅기 등을 이용하여 슬래브(S)의 바탕 표면에 격자 모양으로 배열 형성할 수 있다.
(B) 배기관 배치공정
배치홈(10) 내의 기체 성분을 밖으로 뽑아내기 위한 배기관(20)을 배치홈(10) 속에 삽입하여 까는 공정이다.
이때, 배기관(20)은 그 높은 가장자리가 슬래브(S)의 바탕 표면과 동일한 평면이 되도록 배치홈(10) 안으로 매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배치홈(10)이 종횡으로 교차하는 부분에 위치되는 배기관(20)들은 열십자 모양의 커넥터(25)로 연결하여 서로 통하도록 설치함으로써 배치홈(10) 내의 기체 성분을 밖으로 뽑아내는 과정이 보다 원활하고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과정에서 배기관(20)은 움직임을 방지하기 위하여 접착제나 접합제(putty) 또는 고정용 밴드 등을 사용하여 배치홈(10) 내에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C) 탈기장치 설치공정
슬래브(S)의 바탕 표면 가장자리를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탈기장치(30)를 다수 설치하는 공정이다.
즉, 배치홈(10) 내의 기체 성분이 탈기장치(30)를 통해 더욱 신속하고 원활하게 탈기되도록 배기관(20)들의 끝부분을 탈기장치(30)들과 각기 연결한다.
여기서 탈기장치(30)는 50~100cm 간격으로 또는 80~100㎡마다 1개씩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D) 단열재 설치공정
슬래브(S)의 바탕 표면 전체에 단열재(40)를 까는 공정이다.
이때, 단열재(40)는 온도변화에 따른 슬래브(S)의 신축 작용 시 미끄럼 이동이 가능하도록 별도의 접착제 바르지 않은 상태로 전체 배기관(20)들을 덮으면서 슬래브(S)의 바탕 표면에 놓을 수 있다.
아울러 단열재(40)는 슬래브(S)의 바탕 표면에 여러 장을 연결하여 까는 경우 인접하는 단열재(40)들 사이는 접착테이프를 부착하여 일체화할 수 있다.
(E) 방수층 형성공정
단열재(40) 위에 2mm 이내의 두께로 아크릴계 수지나 우레탄 수지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도포하여 방수층(50)을 형성하는 공정이다.
이때, 방수층(50)의 들뜸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아크릴계 수지나 우레탄 수지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도포한 후 상온 기준으로 최소 1시간 이상 건조 및 경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아크릴계 수지는 60±10%의 고형분을 포함하고 1,600cps 이상의 점도를 갖는 것을 사용함이 바람직하고, 우레탄계 수지는 90±5%의 고형분을 포함하고 3,000~5,000cps의 점도를 갖는 것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아크릴계 수지와 우레탄계 수지는 각각 용제형 또는 무용제형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방수층(50)은 도막 방수재를 도포하여 형성하거나 방수시트를 포설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F) 차열층 형성공정
방수층(50) 위에 1mm 이내의 두께로 차열 도료를 도포하여 차열층(60)을 형성하는 공정이다.
이때, 차열 도료는 태양광에 의한 열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빛과 열을 차단 및 반사하고 근적외선을 흡수하는 아크릴계 수지 또는 우레탄계 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embodiment)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안에서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로 다양하게 변형하고 응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각 구성요소의 치환 및 균등한 타 실시 예로 변경하여 폭넓게 적용할 수도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을 변형하고 응용하는 것에 관계된 내용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 및 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하여야 할 것이다.
10: 배치홈 20: 배기관
21: 배출구멍 22: 잔구멍
23: 유공관부 24: 스캘럽부
25: 커넥터 30: 탈기장치
40: 단열재 50: 방수층
60: 차열층
21: 배출구멍 22: 잔구멍
23: 유공관부 24: 스캘럽부
25: 커넥터 30: 탈기장치
40: 단열재 50: 방수층
60: 차열층
Claims (5)
- 슬래브(S)의 바탕 표면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8~12mm 깊이로 형성된 배치홈(10); 상기 배치홈(10) 내의 기체 성분을 밖으로 뽑아내기 위하여 상기 배치홈(10) 속에 삽입된 배기관(20); 상기 배기관(20)과 연결된 채로 상기 슬래브(S)의 가장자리를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설치된 탈기장치(30); 상기 배기관(20)을 커버하면서 상기 슬래브(S)의 바탕 표면에 깔린 단열재(40); 상기 단열재(40) 위에 폴리우레탄 수지를 2mm 이내의 두께로 도포하여 형성된 방수층(50); 상기 방수층(50) 위에 차열 도료를 1mm 이내의 두께로 도포하여 형성된 차열층(60)을 포함하며;
상기 배기관(20)은, 중심부에 상기 배치홈(10) 내의 기체 성분을 탈기하기 위한 배출구멍(21)이 형성되고, 둘레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상기 배출구멍(21)과 통하는 잔구멍(22)이 다수 뚫린 유공관부(23); 및 상기 배치홈(10) 내의 기체 성분이 상기 잔구멍(22)을 통해 상기 배출구멍(21)으로 탈기되도록 안내하고, 상기 잔구멍(22)이 막히지 않도록 보호하기 위하여 상기 유공관부(23)의 바깥 둘레에 방사상으로 다수 형성된 스캘럽부(2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상 방수구조.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치홈(10)은 상기 슬래브(S)의 바탕 표면에 격자 모양으로 배열 형성되고, 상기 배치홈(10)이 종횡으로 교차하는 부분에 위치되는 상기 배기관(20)들은 열십자 모양의 커넥터(25)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상 방수구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재(40)는,
표면에 복수의 돌기가 배열된 시트지가 적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옥상 방수구조.
- ◈청구항 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다음의 각 공정으로 이루어지는 옥상 방수공법.
(A) 슬래브(S)의 바탕 표면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8~12mm 깊이로 배치홈(10)을 파내는 배치홈 형성공정
(B) 상기 배치홈(10) 내의 기체 성분을 밖으로 뽑아내기 위한 공정으로 중심부에 상기 배치홈(10) 내의 기체 성분을 탈기하기 위한 배출구멍(21)이 형성되고, 둘레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상기 배출구멍(21)과 통하는 잔구멍(22)이 다수 뚫린 유공관부(23) 및 상기 배치홈(10) 내의 기체 성분이 상기 잔구멍(22)을 통해 상기 배출구멍(21)으로 탈기되도록 안내하고, 상기 잔구멍(22)이 막히지 않도록 보호하기 위하여 상기 유공관부(23)의 바깥 둘레에 방사상으로 다수 형성된 스캘럽부(24)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배기관(20)을 상기 배치홈(10) 속에 삽입하여 까는 배기관 배치공정
(C) 상기 슬래브(S)의 바탕 표면 가장자리를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탈기장치(30)를 다수 설치하고, 상기 탈기장치(30)들과 상기 배기관(20)을 연결하는 탈기장치 설치공정
(D) 상기 슬래브(S)의 바탕 표면에 단열재(40)를 까는 단열재 설치공정
(E) 상기 단열재(40) 위에 2mm 이내의 두께로 아크릴계 수지나 우레탄 수지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도포하여 방수층(50)을 형성하는 방수층 형성공정
(F) 상기 방수층(50) 위에 1mm 이내의 두께로 차열 도료를 도포하여 차열층(60)을 형성하는 차열층 형성공정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74169A KR102572019B1 (ko) | 2021-06-08 | 2021-06-08 | 옥상 방수구조 및 방수공법 |
KR1020230109932A KR102667358B1 (ko) | 2021-06-08 | 2023-08-22 | 옥상 방수공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74169A KR102572019B1 (ko) | 2021-06-08 | 2021-06-08 | 옥상 방수구조 및 방수공법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30109932A Division KR102667358B1 (ko) | 2021-06-08 | 2023-08-22 | 옥상 방수공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165484A KR20220165484A (ko) | 2022-12-15 |
KR102572019B1 true KR102572019B1 (ko) | 2023-08-31 |
Family
ID=8443953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74169A KR102572019B1 (ko) | 2021-06-08 | 2021-06-08 | 옥상 방수구조 및 방수공법 |
KR1020230109932A KR102667358B1 (ko) | 2021-06-08 | 2023-08-22 | 옥상 방수공법 |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30109932A KR102667358B1 (ko) | 2021-06-08 | 2023-08-22 | 옥상 방수공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2) | KR102572019B1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320087A (ja) * | 1999-05-11 | 2000-11-21 | Sekisui Plastics Co Ltd | 屋根用断熱材セット |
KR101336807B1 (ko) * | 2011-03-21 | 2013-12-04 | 박연진 | 탈기 및 배수기능을 겸비한 방수공법 |
KR101828556B1 (ko) * | 2016-12-20 | 2018-02-13 | (주)더우린 | 방수성 개선 및 에너지 절감을 위한 옥상 방수 시공구조 및 시공방법 |
KR102002008B1 (ko) * | 2019-02-28 | 2019-07-22 | 주식회사 제이에스기술 | 복합 단열 방수 공법 |
Family Cites Familie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28518B1 (ko) | 2012-12-27 | 2013-11-13 | 두타건설주식회사 | 탈기형 복합방수공법 |
KR101683571B1 (ko) | 2016-04-05 | 2016-12-07 | 윤상훈 | 옥상방수용 통기관 조립체 |
KR102368895B1 (ko) | 2017-08-23 | 2022-03-02 |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 접착제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접착제 및 이의 제조방법 |
KR101994192B1 (ko) | 2018-10-31 | 2019-07-01 | (주)진성케미텍 | 결로현상을 방지하는 옥상방수공법 |
KR102124608B1 (ko) | 2020-03-11 | 2020-06-18 | 박태순 | 옥상 방수용 탈기반을 이용한 옥상 방수공법 |
KR102234743B1 (ko) | 2020-06-24 | 2021-04-01 | 강남이앤알(주) | 드레인 근접 설치 방식의 옥상 방수 공법 |
-
2021
- 2021-06-08 KR KR1020210074169A patent/KR102572019B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23
- 2023-08-22 KR KR1020230109932A patent/KR102667358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320087A (ja) * | 1999-05-11 | 2000-11-21 | Sekisui Plastics Co Ltd | 屋根用断熱材セット |
KR101336807B1 (ko) * | 2011-03-21 | 2013-12-04 | 박연진 | 탈기 및 배수기능을 겸비한 방수공법 |
KR101828556B1 (ko) * | 2016-12-20 | 2018-02-13 | (주)더우린 | 방수성 개선 및 에너지 절감을 위한 옥상 방수 시공구조 및 시공방법 |
KR102002008B1 (ko) * | 2019-02-28 | 2019-07-22 | 주식회사 제이에스기술 | 복합 단열 방수 공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165484A (ko) | 2022-12-15 |
KR20230125161A (ko) | 2023-08-29 |
KR102667358B1 (ko) | 2024-05-1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4719723A (en) | Thermally efficient, protected membrane roofing system | |
JP4227960B2 (ja) | 組立式防水構造及び組立式防水工法 | |
HUE032225T2 (hu) | Síkszerû felújítási elem | |
KR101336807B1 (ko) | 탈기 및 배수기능을 겸비한 방수공법 | |
CN101545307A (zh) | 一种屋顶绿化保温体系及其方法 | |
FI88424C (fi) | Byggnad uppvisande en pao yttersidan anordnad belaeggning eller fasad, som innehaoller ett mineralfiberskikt | |
KR102277939B1 (ko) | 평지붕 옥상바닥 외방수, 외단열 배수판 구조 및 시공방법 | |
KR101710604B1 (ko) | 우레탄수지를 이용한 건물 옥상 슬라브의 방수시공방법 | |
KR101814707B1 (ko) | 신축 및 기존 건물의 옥상 바닥 내부에서 발생 되는 에어와 습기 제거, 누수방지용 유닛 및 그 유닛을 이용한 에어와 습기 제거, 누수방지 시공 방법 | |
KR102214092B1 (ko) | 옥상 방수용 탈기반 | |
KR102572019B1 (ko) | 옥상 방수구조 및 방수공법 | |
US6769216B2 (en) | Process of waterproofing construction surface and slit of construction surface | |
KR101798491B1 (ko) | 통기층과 단열성이 구비되는 옥상 방수공법 | |
KR100875476B1 (ko) | 건설구조물의 방수공법 | |
KR100358186B1 (ko) | 콘크리트 슬래브용 신축줄눈 | |
KR102141416B1 (ko) | 단열베이스방수시트와 탈기코일을 활용한 복합방수 공법 | |
KR200455222Y1 (ko) | 복합 방수 시트 및 이를 사용한 방수구조물 | |
KR100672240B1 (ko) | 옥상방수공법 | |
KR101216662B1 (ko) | 이중단열 방수 및 방근 시공구조 및 그 방법 | |
US4947603A (en) | Unitary foam/gravel roof | |
KR20120111017A (ko) | 지하수 배수장치 | |
KR101020607B1 (ko) | 배습핀과 배습핀을 이용한 시트 방수 공법 | |
KR100939087B1 (ko) | 누수를 신속처리할 수 있는 지하주차장의 상부 슬라브 구조 | |
KR101350666B1 (ko) | 단열 보드를 이용한 건식형 복합방수구조 | |
US5119611A (en) | Unitary foam gravel roof covering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