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4092B1 - 옥상 방수용 탈기반 - Google Patents

옥상 방수용 탈기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4092B1
KR102214092B1 KR1020200030250A KR20200030250A KR102214092B1 KR 102214092 B1 KR102214092 B1 KR 102214092B1 KR 1020200030250 A KR1020200030250 A KR 1020200030250A KR 20200030250 A KR20200030250 A KR 20200030250A KR 102214092 B1 KR102214092 B1 KR 1022140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dy part
base body
air vent
flow path
exhau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02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태순
함영일
서원찬
이대연
Original Assignee
박태순
함영일
서원찬
이대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태순, 함영일, 서원찬, 이대연 filed Critical 박태순
Priority to KR10202000302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40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40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40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3/00Special arrangements or devices in connection with roof coverings; Protection against birds; Roof drainage ; Sky-lights
    • E04D13/17Ventilation of roof cover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D13/172Roof insulating material with provisions for or being arranged for permitting ventilation of the roof cover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1/00Roof covering, as far as not restricted to features covered by only one of groups E04D1/00 - E04D9/00; Roof covering in ways not provided for by groups E04D1/00 - E04D9/00, e.g. built-up roofs, elevated load-supporting roof coverings
    • E04D11/02Build-up roofs, i.e. consisting of two or more layers bonded together in situ, at least one of the layers being of watertight com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탈기반 본체부에 탈착 가능하게 갓부를 설치하여 내부로 빗물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게 함과 아울러 갓부를 분리한 후 방수층을 설치할 수 있어 방수층의 설치에 따른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탈기반 본체부의 내부에 바람에 의해 회전되도록 회전날개를 포함하는 배기부를 구비함에 의해 공기를 잘 배출되도록 하여 배기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옥상 방수용 탈기반을 제공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건물의 옥상에 설치되며, 옥상바닥면과 방수층 사이에서 발생하는 습기를 외부로 배기시켜 상기 방수층을 보호하는 탈기반 본체부; 상기 탈기반 본체부의 상단부를 덮도록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탈기반 본체부의 내부로 빗물의 유입을 방지하는 갓부; 및 상기 갓부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탈기반 본체부의 외부면에 공기유동로가 형성되고, 상기 공기유동로에 대응하는 탈기반 본체부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내부 공기를 강제 배기시키는 배기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옥상 방수용 탈기반{Rooftop waterproof air vent}
본 발명은 옥상 방수용 탈기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탈기반 본체부에 탈착 가능하게 갓부를 설치하여 내부로 빗물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게 함과 아울러 갓부를 분리한 후 방수층을 설치할 수 있어 방수층의 설치에 따른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탈기반 본체부의 내부에 바람에 의해 회전되도록 회전날개를 포함하는 배기부를 구비함에 의해 공기를 잘 배출되도록 하여 배기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옥상 방수용 탈기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옥상 슬라브, 지붕, 건축물의 지하실 또는 각종 유체 저장탱크 등의 콘크리트 구조물에는 방수력이 약하기 때문에 빗물 또는 지하수가 스며들 수 있고, 이로 인해 콘크리트 열화현상이나 온도변화에 따른 물의 체적변화에 의해서 콘크리트에 균열이 발생하여 건축물의 수명이 단축된다.
또한, 콘크리트의 균열을 통해서 빗물이나 지하수가 유입되거나 누수 되면 건축물의 기능이 상실됨으로, 콘크리트 구조물에 있어서 빗물이나 지하수가 스며드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방수기술은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공법으로는 크게 침투성 방수공법과 피막식 방수공법이 있고, 침투성 방수공법은 방수재를 콘크리트 표면에 도포하여 콘크리트 자체를 치밀하게 변화시켜 방수성을 가지게 하는 방법이며, 피막식 방수공법은 구조물의 내·외부에 여러 겹의 불투수성 방수층을 형성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의 균열 또는 그 외 건축물의 시공 결함을 대처하는 방법이다.
그러나, 일정 기간이 경과하면 콘크리트 자체에 함유된 수분과 외기 또는 내기 온도차에 의해 상기 콘크리트 수분의 증발로 수증기가 발생하게 되고, 이러한 압력을 가지는 수증기에 의해 바닥면과 표면층인 방수층 간의 접착성능이 떨어지게 되고 이는 곧 박리현상을 일으켜 바닥면과 표면층 사이에 국부적으로 공기층(Air Porket)을 형성시킨다.
그러므로, 상기와 같은 공기층의 발생을 예방하기 위해 방수층이 형성되는 바탕면에는 수증기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탈기장치(또는 '탈기관', '탈기구', '탈기반' 등의 명칭으로 사용된다)를 구성하여, 수증기의 원활한 배출로 인해 방수층에 공기층의 형성을 예방하였다.
이러한, 종래의 탈기장치로는 도 1과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은 방식을 주로 사용하였다.
도 1을 참조하면, 건물의 옥상이나 건물 상부에는 콘크리트 또는 몰탈로 바닥면(70)을 형성하게 되고, 그 상부로는 단열층(71), 몰탈층(72)을 포함하여 슬라브를 구성하게 되고, ∩형상의 통기용 파이프(51)와, 이 파이프를 지지하는 받침판(52)을 일체로 하여 탈기장치를 구성하였으며, 또한 도 2에서와 같이 일자형의 통기용 파이프(61)의 하단에는 받침판(62)을 일체로 형성하고, 통기용파이프(62)의 상단에는 통기용파이프(61)가 패쇄되지 않도록 캡(63)을 씌워 놓았다.
따라서, 이들 탈기장치는 받침판으로 지지되는 ∩형상 또는 일자형상의 통기용파이프를 방수층에 연결 설치함으로써 방수층에 생성된 수증기 또는 습기가 상기 통기용 파이프를 따라 이동하면 외부로 배출되는 방법으로 탈기 과정이 진행되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자연순환식 종래의 탈기장치는 탈기효율성이 낮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종래의 탈기장치들은 콘크리트 바탕면과 방수층 사이에서 발생하는 수증기 또는 습기가 외부 또는 내부의 일정이상의 온도차이나 압력차이가 발생할 경우에만 탈기가 이루어지므로, 일정온도 또는 압력이 되기 전까지는 바탕면과 방수층사이는 항상 습윤상태를 이루고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은 바탕면과 방수층 사이의 박리 및 들뜸 상태를 유발(물론, 탈기장치가 없는 구조에서보다는 그 발생 빈도가 낮음)됨에 따라, 결국 방수층의 사용수명을 단축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바탕면과 방수층 사이에 습윤상태가 유지됨에 따라 상기 바탕면에 균열 또는 파손이 발생할 경우, 상기 균열 또는 파손부분에서 누수가 발생하는 문제점과 함께 건물의 노후화를 촉진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다른 한편으로, 하기의 특허문헌에서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10-0945719호의 '습기 및 고임물 제거기능이 구비된 옥상의 방수구조'와 같이, 옥상 슬라브의 누수 지점에 있는 습기나 물을 증발시키기 위하여 외부 공기를 강제로 불어 넣는 송풍기를 구비하는 옥상 방수구조가 개발되어 있지만, 이 경우 송풍기를 작동하기 위한 전력 소비의 문제점이 있고 상기 송풍기를 설치하기 위한 구조와 시공작업이 복잡하다는 단점이 있었다.
국내 특허 등록번호 10-0945719호, 습기 및 고임물 제거기능이 구비된 옥상의 방수구조. 국내 특허 등록번호 10-0711200호, 역 J형 탈기반. 국내 특허 등록번호 10-1306620호, 슬림형 탈기반. 국내 실용신안 공개번호 20-2010-0000340호, 방수작업용 탈기구.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탈기반 본체부에 탈착 가능하게 갓부를 설치하여 내부로 빗물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게 함과 아울러 갓부를 분리한 후 방수층을 설치할 수 있어 방수층의 설치에 따른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탈기반 본체부의 내부에 바람에 의해 회전되도록 회전날개를 포함하는 배기부를 구비함에 의해 공기를 잘 배출되도록 하여 배기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옥상 방수용 탈기반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건물의 옥상에 설치되며, 옥상바닥면과 방수층 사이에서 발생하는 습기를 외부로 배기시켜 상기 방수층을 보호하는 탈기반 본체부; 상기 탈기반 본체부의 상단부를 덮도록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탈기반 본체부의 내부로 빗물의 유입을 방지하는 갓부; 및 상기 갓부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탈기반 본체부의 외부면에 공기유동로가 형성되고, 상기 공기유동로에 대응하는 탈기반 본체부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내부 공기를 강제 배기시키는 배기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탈기반 본체부는: 상기 옥상바닥면에 지지되며, 중앙에 구멍이 형성되는 받침판체; 상기 받침판체의 구멍에 연결되도록 세워지게 설치되는 중공 구조의 하부 지지관체; 상기 하부 지지관체의 상단에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을 이루게 설치되어 상기 공기유동로를 형성하는 지지대; 및 상기 지지대의 상단에 설치되며, 외주면에는 일정간격을 이루게 배기공들이 형성되고, 상단에는 상기 갓부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중공 구조의 상부 지지관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갓부는: 상기 탈기반 본체부의 상단에 나사 결합되도록 설치되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기부는: 상기 탈기반 본체부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공기유동로; 상기 공기유동로의 내측으로 상기 탈기반 본체부의 내부에 설치되는 십자 형상의 상하부 지지바; 상기 상하부 지지바의 중앙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 및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어 상기 탈기반 본체부의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공기유동로를 통과하는 바람에 의해 회전되면서 상기 탈기반 본체부의 내부 공기를 강제 배기시키는 회전날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방수층은: 최상층부에 형성되어 자외선을 차단하여 하부층을 보호하며, 변화가 심한 기후에 견디는 내후성과 방수방근 기능을 가지고, 각종 컬러를 띄는 자외선차단코팅층; 상기 자외선차단코팅층의 하부에 형성되며, 내부에는 메쉬 형태의 폴리에스터층이 내장되어 방수방근 기능을 하는 염화비닐층; 및 상기 염화비닐층의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PVC 복합시트를 옥상바닥면에 접합하기 위한 접착제층;으로 이루어지는 다층 구조의 PVC 복합시트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옥상 방수용 탈기반에 의하면, 탈기반 본체부에 탈착 가능하게 갓부를 설치하여 내부로 빗물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게 함과 아울러 갓부를 분리한 후 방수층을 설치할 수 있어 방수층의 설치에 따른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탈기반 본체부의 내부에 바람에 의해 회전되도록 회전날개를 포함하는 배기부를 구비함에 의해 공기를 잘 배출되도록 하여 배기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일 예를 보인 탈기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2는 종래의 다른 일 예를 보인 탈기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옥상 방수용 탈기반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옥상 방수용 탈기반에 구비되는 탈기반 본체부로부터 갓부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옥상 방수용 탈기반의 구조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서 방수층의 구조를 나타낸 확대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첨부된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옥상 방수용 탈기반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옥상 방수용 탈기반에 구비되는 탈기반 본체부로부터 갓부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옥상 방수용 탈기반의 구조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서 방수층의 구조를 나타낸 확대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옥상 방수용 탈기반은 탈기반 본체부(110)와 갓부(120) 및 배기부(1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탈기반 본체부(110)는 건물의 옥상에 설치되며, 옥상바닥면(202)과 방수층(200) 사이에서 발생하는 습기를 외부로 배기시켜 상기 방수층(200)을 보호하는 기능을 갖는다.
이러한 탈기반 본체부(110)는 상기 옥상바닥면(202)에 지지되며, 중앙에 구멍이 형성되는 받침판체(112)가 구비되고, 상기 받침판체(112)의 구멍에 연결되도록 중공 구조의 하부 지지관체(114)가 세워지게 설치되며, 상기 하부 지지관체(114)의 상부에 소정 간격을 이루도록 중공 구조의 상부 지지관체(118)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상부 지지관체(118)의 외주면에는 일정간격을 이루게 배기공(119)들이 형성되어, 상기 받침판체(112)의 구멍과 하부 지지관체(114) 및 상부 지지관체(118)의 내부를 통해 습기를 배기한다.
또한, 상기 상부 지지관체(118)와 하부 지지관체(114)는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을 이루게 설치되는 지지대(116)에 의해 연결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지지대(116)들의 사이에 공기유동로(132)를 형성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갓부(120)는 탈기반 본체부(110)의 상단부를 덮도록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탈기반 본체부(110)의 내부로 빗물의 유입을 방지하는 기능을 갖는다.
이러한 갓부(120)는 상기 탈기반 본체부(110)의 상단에 나사 결합되도록 설치되어, 즉 상기 상부 지지관체(118)의 상단과 이에 대응하는 갓부(120)에 체결 가능하도록 나선부를 형성하여 상기 갓부(120)를 상부 지지관체(118)의 상단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갓부(120)는 상기 탈기반 본체부(110)로부터 탈착 가능하게 나사 결합되도록 체결됨에 의해, 옥상바닥면(202)에 방수 공사를 위해 방수층(200)을 설치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즉, 상기 갓부(120)를 탈기반 본체부(110)로 부터 분리한 상태에서 방수층을 설치하게 되면, 방수층(200)의 설치시 갓부(120)가 거치장스럽지 않게 되어 방수층의 설치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상기 방수층의 설치가 완료된 후 갓부(120)를 설치함에 의해 탈기반 본체부의 내부로 빗물 등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기부(130)는 갓부(120)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탈기반 본체부(110)의 외부면에 공기유동로(132)가 형성되고, 상기 공기유동로(132)에 대응하는 탈기반 본체부(11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내부 공기를 강제 배기시키는 기능을 갖는다.
이러한 배기부(130)는 상기 탈기반 본체부(110)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공기유동로(132)의 내측으로 상기 탈기반 본체부(110)의 내부에 십자 형상으로 상하부 지지바(134a,134b)가 설치되고, 상기 상하부 지지바(134a,134b)의 중앙에 회전축(136)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회전축(136)에는 회전날개(138)가 결합되어 상기 탈기반 본체부(110)의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됨에 의해, 상기 공기유동로(132)를 통과하는 바람에 의해 회전날개(138)가 회전되면서 상기 탈기반 본체부(110)의 내부 공기를강제 배기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상기 배기부(130)에 구비되는 회전날개(138)가 무동력으로 회전되면서 공기를 강제 배출토록 구성함에 의해 습기의 배기 성능을 향상시킨다. 즉, 종래 기술에서는 배기공에 의해서만 배기하였으므로 공기가 잘 빠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 회전날개(138)가 회전됨에 의해 공기가 잘 빠지게 하여 배기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서 상기 방수층(200)은 최상층부에 형성되어 자외선을 차단하여 하부층을 보호하며, 변화가 심한 기후에 견디는 내후성과 방수방근 기능을 가지고, 각종 컬러를 띄는 자외선차단코팅층(210)과 상기 자외선차단코팅층의 하부에 형성되며, 내부에는 메쉬 형태의 폴리에스터층이 내장되어 방수방근 기능을 하는 염화비닐층(220)과 상기 염화비닐층의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PVC 복합시트를 옥상바닥면에 접합하기 위한 접착제층(230)으로 이루어지는 다층 구조의 PVC 복합시트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PVC 복합시트는 염화비닐수지(PVC : Polyvinyl Chloride)를 주원료로 하여, 친환경성이 있고, 우수한 방수성과 방근성을 가지며, 다양한 색상을 만들 수 있으며, 간편한 시공성과 내구성을 가지고, 단열효과가 있으며, 이음부의 접합이 용이하고, 저렴한 가격으로 하부 전면을 접합할 수 있는 전면 접착성이 있으며, 햇볕에 노출되었을 때 노화되는 단점을 자외선차단코팅층으로 보완한 것으로 일체형 단일시트로서 작업성과 시공성이 뛰어나고 안정성을 갖는다.
상기 자외선차단코팅층(210)은 최상층부에 형성되어 자외선을 차단하여 하부층을 보호하며, 변화가 심한 기후에 견디는 내후성과 방수방근 기능을 가지고, 각종 컬러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자외선차단코팅층(210)은 염화비닐층(220)의 상부에 코팅조성물로 코팅한 층으로, 코팅조성물은 열가소성 공중합체 조성물 55~65중량%, 유기용제인 메타놀 30~40중량%, 용제인 물 3~7중량%, 자외선을 받을 때 물성을 안정화 시키는 자외선 안정제 0.07~0.15중량%, 자외선을 차단하는 자외선 차단제 0.2~0.7중량%, 대전방지제 0.07~0.15중량%, 계면활성제 0.07~0.4중량% 및 착색제 0.4~3.5중량%로 조성된다.
상기 열가소성 공중합체 조성물은, 폴리올레핀계 엘라스토머 공중합체 75~95중량%, 충진제인 탈크 또는 탄산칼슘 4.5~24.5중량%, 산화방지제 0.1~0.4중량% 및 정전기방지제 0.1~0.4중량%로 조성된다.
상기 폴리올레핀계 엘라스토머 공중합체는, 폴리프로필렌(PP) 10~30중량%와 폴리에틸렌(PE) 15~25중량% 및 고무 55~65중량%로 구성된 1차 열가소성 폴리올레핀계 엘라스토머 수지(TPE 수지: Thermo Plastic Elastomer) 60~80중량%와, 폴리프로필렌(PP) 5~30중량%와 폴리에틸렌(PE) 15~30중량% 및 고무 55~65중량%로 구성된 2차 열가소성 폴리올레핀계 엘라스토머 수지 20~40중량%로 구성된다.
열가소성 폴리올레핀계 엘라스토머 수지(TPE 수지: Thermo Plastic Elastomer)는 탄성력 부여로 클랙 현상이 방지되어, 내수성과 내한성, 내마모성 물성이 향상 되는 조성으로, 상기 염화비닐층의 표면에 코팅 또는 도포시에 염화비닐층의 수밀 성능 강화와, 상기 염화비닐층에 코팅 또는 도포 작업이 용이하여 작업성이 용이한 용도로 사용된다.
상기 1차 열 가소성 폴리올레핀계 엘라스토머 수지만을 단독으로 사용시는, 끈적이는 현상이 발생되어 작업성이 저하되며, 저장성이 불안하게 되므로 이를 방지 할 목적으로, 용융지수 8 내지 10의 상기 2차 열 가소성 폴리올레핀계 엘라스토머 수지를 상기 1차 열 가소성 폴리올레핀계 엘라스토머 수지에 혼합하여, 상기 1,2차 열 가소성 폴리올레핀계 엘라스토머 수지의 전체 용융지수가 1.5 내지 4.0의 열가소성 폴리올레핀계 엘라스토머 공중합체가 사용된다.
상기 1차 열가소성 폴리올레핀계 엘라스토머 수지(TPE 수지: Thermo Plastic Elastomer)는 용융지수(Melting Flow Rate) 0.5 내지 0.7, 밀도(Density) 0.85 내지 0.95, 경도(shore D) 25 내지 35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2차 열가소성 폴리올레핀계 엘라스토머 수지는 용융지수(Melting Flow Rate) 8 내지 10, 밀도(Density) 0.85 내지 0.95, 경도(shore D) 25 내지 35인 것이 바람직하다.
자외선 안정제는 자외선에너지를 선택적으로 흡수하여 적외선에너지 형태로 전환. 방출하며 Hydroxy Benzophenone, Benzotriazoles, Subsitutes Acrylate이 사용하며, 파장이 250㎛에서 400㎛의 빛을 흡수한 뒤이 UV에너지를 열에너지로 바꾸어 버리는 역할을 하고, 노화를 일으키는 원인의 첫번째는 태양광선의 자외선에 의한 것이며 자외선안정제를 첨가함으로써 내후성, 내광성을 개량할 수 있다.
자외선 차단제는 Bis sebaceate 계열 또는 Poly-tetra methyl butyl- Amino 계열의 UV Stabilizer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착색제는 청색, 녹색, 회색, 적색, 흰색 및 검정색을 위한 마스터 파우더를 사용한다.
흑색 계통에는 카본블랙(Cabon black)을 사용하고 청색 계통에는 시안블루(Cyan blue)를 사용한다.
상기 염화비닐층(220)은 자외선차단코팅층(210)의 하부에 형성되며, 내부에는 메쉬 형태의 폴리에스터층(222)이 내장되어 방수방근 기능을 한다.
이때, 폴리에스터층(222)은 메쉬(Mesh) 형태로 된 폴리에스터 직물로서, 메쉬 사이에 PVC가 함침되므로, 인장강도와 신장률을 증가시켜, PVC 복합시트를 장기간 사용해도 물성의 변화가 없이 견고한 방수방근층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염화비닐층(220)은 40~70중량%의 PVC(Polyvinyl chloride), 30~60중량%의 재생 PVC(Polyvinyl chloride)로 구성된 재생 PVC 100중량부에 대하여, 노화방지를 위해 PA(Phenyl-α-naphthylamine) 35중량%와 DCD(Substituted Diphenylamine) 35중량%와, RD(Trimethyldihydroqui noline) 30중량%로 구성된 노화방지제 7중량부와 산소의 작용에 의한 자동산화를 방지하기 위해 항산화제 7중량부가 첨가되어 시트(Sheet) 형태로 제작된 열가소성 염화비닐수지이다.
항산화제는 페놀계 항산화제, 아민계 항산화제, 유황계 항산화제 또는 인산계 항산화제 중 어느 하나이거나 이들 중 둘 이상의 혼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페놀계 항산화제는 트리에틸렌 글리콜-비스-[3-(3-t-부틸-메틸-4-하이드록시 페닐)프로피오네이트], 하이드로퀴논, p-메톡시 페놀, t-부틸하이드록시아니솔, n-옥타데실-3-(4-히드록시 3,5-디-t-부틸 페닐)프로피오네이트, 2,5-디-t-부틸 하이드로 퀴논, 4,4-부틸리덴비스(3-메틸-6-t-부틸 페놀), t-부틸 카테콜, 4,4-티오 비스(6-t-부틸-m-크레졸), 토코페롤, 놀지하이드로구아이아레친 산, 2,4,6-트리-t-부틸 페놀, 시클로헥실 페놀, 2,2'-메틸렌-비스(4-메틸-6-t-부틸 페놀), 4,4'-이소프로필리덴 비스페놀, 4,4'-부틸렌-비스(3-메틸-6-t-부틸페놀), 1,1,3-트리스(2-메틸-4-히드록시-5-t-부틸-페놀) 부탄, 1,3,5-트리스-메틸-2,4,6-트리스(3,5-디-t-부틸-4-히드록시벤질) 벤젠, 테트라키스[메틸렌-3(3,5-디-t-부틸-4-하이드록시-페놀)프로피오네이트]메탄, 트리스(3,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 이소시아누레이트, 4,4'-티오비스(3-메틸-6-t-부틸페놀), 트리스[b-(3,5-디-t-부틸-4-히드록시 페닐)프로피오닐-옥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또는 2,2'-티오비스(4-메틸-6-t-부틸페놀) 중 어느 하나이거나 이들 중 둘 이상의 혼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아민계 항산화제는 N,N-디페닐-p-페닐렌 디아민 또는 4,4-비스(디메틸 벤질)디페닐 아민 중 어느 하나이거나 이들 중 둘 이상의 혼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유황계 항산화제는 도데실 멀캅탄, 1,3-디페닐-2-티올, 디라우릴티오디프로피오네이트 또는 디스테아릴티 오디프로피오네이트 중 어느 하나이거나 이들 중 둘 이상의 혼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인산계 산화방지제는 트리페닐포스파이트, 디페닐데실포스파이트, 페닐이소데실포스파이트, 트리(노닐페닐)포스파이트 또는 트리라우릴트리티오포스파이트 중 어느 하나이거나 이들 중 둘 이상의 혼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접착제층(230)은 염화비닐층(220)의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PVC 복합시트를 옥상바닥면에 접합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접착제층(230)은 SBS 고무(Styrene-Butadiene-Styrene Rubber) 10~20 중량%와, 아스팔트 60~75중량%와, 프로세스오일 10~15중량%와, 탄산칼슘 4~10중량%로 구성되거나, PVC 본드 혹은 멜트점접착 조성물을 용융하여 포할 수도 있다. 이때, 멜트점접착 조성물로 형성되는상기 접착제층은 0.5~2.0mm 두께인 것이 바람직하다.
멜트점접착 조성물은 탄성과 강도를 주는 역할을 하는 고무주제와, 비중을 높이고 내한성을 높이기 위한 첨가제와, 색소를 내는 색소제와, 경도를 조절하는 가소제와, 점착성을 부여하는 점착부여제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탈기반 본체부(110)에 갓부(120)를 탈착 가능하게 나사 결합함에 의해 방수층의 설치에 따른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또 탈기반 본체부(110)의 내부에 바람에 의해 회전되도록 회전날개(138)를 포함하는 배기부(130)를 구비함에 의해 공기를 잘 배출되도록 하여 배기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은 기술적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가 달성되는 것이며,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임은 물론이다.
110 - 탈기반 본체부 112 - 받침판데
114 - 하부 지지관체 116 - 지지대
118 - 상부 지지관체 119 - 배기공
120 - 갓부 130 - 배기부
132 - 공기유동로 134a,134b - 상하부 지지바
136 - 회전축 138 - 회전날개
200 - 방수층 202 - 옥상바닥면

Claims (5)

  1. 건물의 옥상에 설치되며, 옥상바닥면(202)과 방수층(200) 사이에서 발생하는 습기를 외부로 배기시켜 상기 방수층(200)을 보호하는 탈기반 본체부(110);
    상기 탈기반 본체부(110)의 상단부를 덮도록 탈기반 본체부(110)의 상단에 나사 결합으로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탈기반 본체부(110)의 내부로 빗물의 유입을 방지하는 갓부(120); 및
    상기 갓부(120)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탈기반 본체부(110)의 외부면에 공기유동로(132)가 형성되고, 상기 공기유동로(132)에 대응하는 탈기반 본체부(11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내부 공기를 강제 배기시키는 배기부(130);를 포함하되,
    상기 탈기반 본체부(110)는:
    상기 옥상바닥면(202)에 지지되며, 중앙에 구멍이 형성되는 받침판체(112);
    상기 받침판체(112)의 구멍에 연결되도록 세워지게 설치되는 중공 구조의 하부 지지관체(114);
    상기 하부 지지관체(114)의 상단에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을 이루게 설치되어 상기 공기유동로(132)를 형성하는 지지대(116); 및
    상기 지지대(116)의 상단에 설치되며, 외주면에는 일정간격을 이루게 배기공(119)들이 형성되고, 상단에는 상기 갓부(120)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중공 구조의 상부 지지관체(11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상 방수용 탈기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부(130)는:
    상기 탈기반 본체부(110)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공기유동로(132);
    상기 공기유동로(132)의 내측으로 상기 탈기반 본체부(110)의 내부에 설치되는 십자 형상의 상하부 지지바(134a, 134b);
    상기 상하부 지지바(134a, 134b)의 중앙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136); 및
    상기 회전축(136)에 결합되어 상기 탈기반 본체부(110)의 내부에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공기유동로(132)를 통과하는 바람에 의해 회전되면서 상기 탈기반 본체부(110)의 내부 공기를 강제 배기시키는 회전날개(13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상 방수용 탈기반.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00030250A 2020-03-11 2020-03-11 옥상 방수용 탈기반 KR1022140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0250A KR102214092B1 (ko) 2020-03-11 2020-03-11 옥상 방수용 탈기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0250A KR102214092B1 (ko) 2020-03-11 2020-03-11 옥상 방수용 탈기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4092B1 true KR102214092B1 (ko) 2021-02-09

Family

ID=745594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0250A KR102214092B1 (ko) 2020-03-11 2020-03-11 옥상 방수용 탈기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409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4836B1 (ko) * 2023-01-19 2023-09-06 주식회사 넷폼알앤디 무동력팬과 고흡수성 시트를 활용한 모듈형 에어벤트를 이용한 콘크리트층 습기 배출 공법
KR102574833B1 (ko) * 2023-01-19 2023-09-06 주식회사 넷폼알앤디 무동력팬과 고흡수성 시트를 활용한 모듈형 에어벤트
KR20230142970A (ko) 2022-04-04 2023-10-11 한신호 옥상 슬래브 방수 구조물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23925A (ko) * 1994-01-20 1995-08-18 엄세열 강제 흡출식 무동력 벤틸레이터
KR100711200B1 (ko) 2006-11-09 2007-04-24 주식회사 부일건화 역j형 탈기반
KR20100000340U (ko) 2008-07-02 2010-01-12 한완수 방수작업용 탈기구
KR100945719B1 (ko) 2009-09-16 2010-03-05 창일건설(주) 습기 및 고임물 제거기능이 구비된 옥상의 방수구조
KR101161683B1 (ko) * 2012-03-06 2012-07-03 주식회사 이안건설 다공 코팅부직포를 이용한 방수층구조와 그 시공방법
KR200465450Y1 (ko) * 2012-08-27 2013-02-19 이동훈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층 보호용 태양광 탈기장치
KR101306620B1 (ko) 2011-02-25 2013-09-11 남기융 슬림형 탈기반
KR101484093B1 (ko) * 2014-05-27 2015-01-20 주식회사 경암이앤씨 Pvc시트와 접착제를 이용한 일체형 방수 방근칼라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공법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23925A (ko) * 1994-01-20 1995-08-18 엄세열 강제 흡출식 무동력 벤틸레이터
KR100711200B1 (ko) 2006-11-09 2007-04-24 주식회사 부일건화 역j형 탈기반
KR20100000340U (ko) 2008-07-02 2010-01-12 한완수 방수작업용 탈기구
KR100945719B1 (ko) 2009-09-16 2010-03-05 창일건설(주) 습기 및 고임물 제거기능이 구비된 옥상의 방수구조
KR101306620B1 (ko) 2011-02-25 2013-09-11 남기융 슬림형 탈기반
KR101161683B1 (ko) * 2012-03-06 2012-07-03 주식회사 이안건설 다공 코팅부직포를 이용한 방수층구조와 그 시공방법
KR200465450Y1 (ko) * 2012-08-27 2013-02-19 이동훈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층 보호용 태양광 탈기장치
KR101484093B1 (ko) * 2014-05-27 2015-01-20 주식회사 경암이앤씨 Pvc시트와 접착제를 이용한 일체형 방수 방근칼라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공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42970A (ko) 2022-04-04 2023-10-11 한신호 옥상 슬래브 방수 구조물
KR102574836B1 (ko) * 2023-01-19 2023-09-06 주식회사 넷폼알앤디 무동력팬과 고흡수성 시트를 활용한 모듈형 에어벤트를 이용한 콘크리트층 습기 배출 공법
KR102574833B1 (ko) * 2023-01-19 2023-09-06 주식회사 넷폼알앤디 무동력팬과 고흡수성 시트를 활용한 모듈형 에어벤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24608B1 (ko) 옥상 방수용 탈기반을 이용한 옥상 방수공법
KR102214092B1 (ko) 옥상 방수용 탈기반
KR101484093B1 (ko) Pvc시트와 접착제를 이용한 일체형 방수 방근칼라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공법
US6890396B1 (en) Method of manufacturing unvulcanized adhesive waterproof sheet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KR100879933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3중 복합방수 시공방법
KR102141416B1 (ko) 단열베이스방수시트와 탈기코일을 활용한 복합방수 공법
KR101455961B1 (ko) 탈기관을 구비한 지붕방수구조 및 그를 이용한 지붕방수 시공방법
JP2007223046A (ja) 建材用透湿防水シート
CN202787687U (zh) 屋面防水卷材与聚氨酯保温一体化板
CN109435343A (zh) 一种异味吸收型防水材料及其制备方法
CN211691104U (zh) 建筑外围防水保温结构
KR100913408B1 (ko) 탈기기능을 이용한 방수시트 및 방수공법
KR101306620B1 (ko) 슬림형 탈기반
CN206189751U (zh) 一种屋面伸顶通气管组件
CN108790357A (zh) 塑性体改性沥青防水卷材
CN210195063U (zh) 一种基于现有建筑的屋面防水结构
KR102245461B1 (ko) 방수 시공용 복합시트
CN216740416U (zh) 用于严寒地区改造平屋面的防渗漏结构
KR102667358B1 (ko) 옥상 방수공법
KR102136395B1 (ko) 단열성을 구비한 이중방수구조
KR102572019B1 (ko) 옥상 방수구조 및 방수공법
JP2925772B2 (ja) 建築用下地材
CN219241091U (zh) 一种屋面渗漏水修缮系统
CN218494374U (zh) 一种穿墙管防水结构
KR102430783B1 (ko) 시트 융착 탈기반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