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6312Y1 - 에어라인을 이용한 우레탄 방수구조 - Google Patents

에어라인을 이용한 우레탄 방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6312Y1
KR200426312Y1 KR2020060017032U KR20060017032U KR200426312Y1 KR 200426312 Y1 KR200426312 Y1 KR 200426312Y1 KR 2020060017032 U KR2020060017032 U KR 2020060017032U KR 20060017032 U KR20060017032 U KR 20060017032U KR 200426312 Y1 KR200426312 Y1 KR 20042631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air line
urethane
air
waterproo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703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광식
김종태
Original Assignee
김광식
김종태
주식회사 길건축사사무소
(주)광호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식, 김종태, 주식회사 길건축사사무소, (주)광호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김광식
Priority to KR202006001703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631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631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631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1/00Roof covering, as far as not restricted to features covered by only one of groups E04D1/00 - E04D9/00; Roof covering in ways not provided for by groups E04D1/00 - E04D9/00, e.g. built-up roofs, elevated load-supporting roof coverings
    • E04D11/02Build-up roofs, i.e. consisting of two or more layers bonded together in situ, at least one of the layers being of watertight composi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3/00Special arrangements or devices in connection with roof coverings; Protection against birds; Roof drainage; Sky-lights
    • E04D13/17Ventilation of roof cover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0Drying or keeping dry, e.g. by air vents
    • E04B1/7069Drying or keeping dry, e.g. by air vents by ventilating

Abstract

본 고안은 에어라인을 이용한 우레탄 방수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지붕콘크리트와 누름 콘크리트 사이에 접합 되어 있는 단열층과 방수층에 함유된 수분 및 각각의 접합 층간에 머물고 있는 수분을 균일하고 효과적으로 배출하기 위해, 횡과 종으로 골을 형성하며 구획되는 에어라인, 상기 에어라인의 일정위치에 단열층까지 관통되는 통기관을 설치하고, 상기 에어라인 내부와 연통하는 티바 에어 벤팅구를 돌출형성하여 상기 에어라인 내 공기를 배출하는 함은 물론, 최상면에 스톤칼라를 살포하여 미끄럼 방지, 우레탄 방수층의 내구성 증가, 초기 화재 방지 및 마감층을 싱글처럼 컬러링 효과를 얻을 수 있는 방수구조로, 에어라인을 설치하여 콘크리트 균열을 방지하고 단열층까지 다수의 통기관을 관통시킴으로써 상기 단열층 속의 수분이 에어라인을 통과하여 통기관으로 빠져나가도록 하여 방수층 하자를 근본적으로 줄일 수 있는 에어라인을 이용한 우레탄 방수구조에 관한 것이다.
방수구조, 콘크리트, 우레탄, 프라이머, 방수층, 단열층, 에어라인, 티바 에어 벤팅구, 통기관, 백업제

Description

에어라인을 이용한 우레탄 방수구조{Appliance For Preventing Water Of Urethane Using Air-line}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에어라인을 이용한 우레탄 방수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A 확대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에어라인을 이용한 우레탄 방수구조의 에어라인과 통기관을 형성하는 누름 콘크리트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지붕 콘크리트층 11: 방수층
12: 단열층 13: 누름 콘크리트층
20: 통기관 21: 에어라인
23: 플랜지 24: 고정구
25: 우레탄 실란트 30: 프라이머층
31: 방수층 32: 스톤칼라층
33: 투명코팅층 40: 티바 에어 벤팅구
50: 백업제 51: 우레탄
52: 통기공
본 고안은 에어라인을 이용한 우레탄 방수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지붕콘크리트와 누름 콘크리트 사이에 접합 되어 있는 단열층과 방수층에 함유된 수분 및 각각의 접합 층간에 머물고 있는 수분을 균일하고 효과적으로 배출하기 위해, 횡과 종으로 골을 형성하며 구획되는 에어라인, 상기 에어라인의 일정위치에 단열층까지 관통되는 통기관을 설치하고, 상기 에어라인 내부와 연통하는 티바 에어 벤팅구를 돌출형성하여 상기 에어라인 내 공기를 배출하는 함은 물론, 최상면에 스톤칼라를 살포하여 미끄럼 방지, 우레탄 방수층의 내구성 증가, 초기 화재 방지 및 마감층을 싱글처럼 컬러링 효과를 얻을 수 있는 방수구조로, 에어라인을 설치하여 콘크리트 균열을 방지하고 단열층까지 다수의 통기관을 관통시킴으로써 상기 단열층 속의 수분이 에어라인을 통과하여 통기관으로 빠져나가도록 하여 방수층 하자를 근본적으로 줄일 수 있는 에어라인을 이용한 우레탄 방수구조에 관한 것이다.
건물의 방수란 건물에 빗물이 새는 것을 막고, 스며든 빗물을 처리하기 위한 처리방법을 의미한다. 건물의 방수는 넓은 뜻으로는 건물의 지붕면 및 바깥 벽면 전체에 대한 방수를 포함하지만, 일반적으로는 지붕 끝부분(처마), 골, 파라펫(Parapet or 난간벽)이 서 있는 곳과 천장, 벽의 문이나 창 주변 등 비가 새기 쉬운 부분의 처리를 가리킨다.
건설산업 분야에서의 눈부신 발전에 따라, 고속도로, 고속철도, 고층 빌딩, 국제공항, 지하철, 초대형 운동경기장 등과 같이 대규모 건설이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이렇게 경제성장과 더불어 세워진 많은 구조물이 그 진가를 발휘하기 전에 균열 및 누수의 문제로 보수/보강을 해야 하는 경우가 자주 발생하고 있다. 하지만, 보수/보강은 초기 시공비 이상의 비용이 투입되면서도, 완전한 보수가 어렵기 때문에 재누수로 인한 반복적인 보수가 필요하다는 점에서 막대한 손실을 발생시키고 있다.
이러한 부분 중에서 특히 보통 옥상면, 지붕면 및 벽면은 빗물 등이 집중적으로 침투할 수 있기 때문에 특수한 방수처리를 해야 한다. 콘크리트 구조물에서 옥상 등은 외부 환경에 직접 노출되어 있는 가장 열악한 환경 조건 하에 있기 때문에, 현재 다양한 방수재료가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실제로 옥상 등에 적용되고 있는 방수재료는 일부분에 국한되어 있다. 또한, 방수재료의 특성뿐만 아니라 바탕층 상태 및 외부환경요건에 따라서도 방수재의 성능이 결정된다. 예를 들어, 바탕면의함수율이 높으면 방수재가 바탕층에 부착되어 재료의 성능을 발휘하는데 나쁜 영향을 끼치며, 시공 후 기화되는 수증기 압력에 의해서 방수재 및 바탕층 사이에 에어포켓이 생겨 방수층의 찢김 또는 파단 등을 야기할 수가 있다.
이렇게 방수공사 후 보수, 보강이 필요한 경우가 발생하는데, 그 원인은 크게 바탕의 구조에 의한 원인, 방수재료에 의한 원인, 시공자의 숙련도에 의한 원인 및 설계불량에 의한 원인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일단, 바탕의 구조에 의한 원인으로 구조체가 수축 또는 팽창함으로써 균열 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바탕층을 완전히 건조시키기 않아 바탕층에 수분이 남게 되고, 남게 된 수분이 수증기로 상태 전환되어 방수층을 국부적으로 부풀게 하고, 피로된 부분을 파손시킬 수가 있다. 이는 콘크리트의 수축 팽창률을 크게 하여, 온도 등에 의한 거동 발생시 파라펫과 옥상 슬라브 간의 균열을 발생시킬 수가 있다.
방수공사의 하자는 방수재료에 의해서도 발생할 수 있다. 방수층이 바탕의 균열에 대한 균열 저항성이 약하거나, 부풀림이나 피로에 대해 약한 재료의 경우에 방수공사의 하자가 자주 발생할 수 있다. 일 예로, 유성재료는 방수층의 단열성이 확보되지 않는 경우에 내구성이나 내후성이 떨어질 가능성이 있다.
또한, 종래의 방수공사에서 하자는 시공자에 대한 의존도가 높다. 도막 방수를 하는 경우 재료간의 배합비를 정확하게 지키지 않거나, 충분한 경화시간을 부여하지 않는 경우에 부실한 방수공사가 될 수 있다.
특히, 작업자들은 방수공사의 중요성을 충분히 인식하고 정밀시공을 하여야 하나, 시공품질에 대한 작업자의 인식부족으로 부실시공의 우려가 높으며, 현실적으로 방수공사의 낮은 단가로 인해 고품질 장비, 기능 인력의 확보 등이 어렵기 때문에 방수공사에서 부실시공을 극복하기가 쉽지 않다.
물론, 방수공사 설계 단계에서도, 방수해야 할 부위의 필요한 환경 요건을 고려하지 않거나, 재료에 대한 물성 관리의 소홀, 조인트 및 드레인 위치 등과 같이 상세한 설계를 생략한 경우에 방수공사의 하자가 발생할 수가 있다.
일반적으로 각종 건축물 옥상이나 지하주차장 또는 지하 구조물 등에 방수성 이 우수하고 가격이 저렴한 탈-우레탄을 도막방수 구조로 널리 사용하여 왔으나 비노출 도막방수 구조로 사용해 왔을 뿐 노출 도막방수 구조로는 사용이 불가능하였다.
탈-우레탄 비노출 도막방수 구조란 각종 건축물 옥상이나 지하 주차장 또는 지하 구조물 등의 방수부위의 콘크리트 소지면을 면작업후 깨끗하게 청소한 다음 우레탄 프라이머를 도포하고 프라이머가 완전 건조되면 탈우레탄을 1-2회 나누어 도포하다 (이때 두께는 3mm가 적당 하며 작업 환경에 따라 두께는 자유롭게 조절 할 수 있다) 도포된 탈-우레탄 도막 방수층이 완전 건조되면 시멘트 보호몰탈을 5cm의 두께로 타설 하거나 10cm 이상 보호 콘크리트를 타설 한 도막방수 구조를 갖고 있으므로 두꺼운 시멘트 보호몰탈이나 누름콘크리트로 인한 하중으로 일부 신축건물만 적용해 왔을 뿐 높은건물 옥상 등에는 비노출 도막방수 구조에는 적용을 지양해 왔다.
또한, 종래의 다른 방수구조는 각 낱장의 아스팔트 시트 간에 겹쳐지는 이음부들에 토오치 램프 등의 열로 용융시켜서 상호 용착되게 함으로써 어느 정도 방수효과를 보는 구조를 가진다.
그러나 이러한 각 시이트들간의 연결부분인 이음부들을 토오치 램프 등의 열로 용융시켜서 용착하는 것이기 때문에 이음부들이 균일하게 부착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된다. 즉, 시이트들간에 부착되는 이음부들이 부분적으로 토오치 램프의 과열로 인하여 구멍이 뚫려지거나 또는 미열로 인하여 용융되지 않은 채 공사를 완료하게 되므로 누수 발생의 원인이 된다.
따라서, 종래의 방수구조는 첫째, 각 낱장의 아스팔트 시이트들간에 겹쳐지는 이음부들을 토오치 램프 등의 열로 용융시켜서 용착하기 때문에 과열로 의한 열화 촉진과 또는 미열로 인하여 부분적으로 용착이 이루어지지 않음으로써 방수층에 누수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둘째, 이음부에서의 열에 의한 용융접착을 위하여 토오치 램프, 가스통, 가스관 등의 부수적인 장비를 수반함으로써 화재 또는 화상을 입을 염려가 많아 작업의 효율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셋째, 이음부들을 겹치게 하여 연속적으로 아스팔트시트를 부설하기 때문에 차후 하자발생시 누수부위를 찾기가 곤란하며, 보수시는 광범위하게 작업을 해야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횡과 종으로 골을 형성하며 구획되는 에어라인, 상기 에어라인의 일정위치에서부터 단열층까지 관통되는 통기관의 설치로 지붕 콘크리트층과 누름 콘크리트층 사이에 접합되어 있는 단열층과 방수층에 함유된 수분 및 각각의 접합 층간에 머물고 있는 수분을 균일하고 효과적으로 배출할 수 있으며, 상기 에어라인 내부와 연통하는 티바 에어 벤팅구를 돌출형성하여 상기 에어라인 내 공기를 배출하는 함은 물론, 최상면에 스톤칼라층을 형성하도록 스톤칼라를 살포하여 미끄럼 방지, 우레탄 방수층의 내구성 증가, 초기 화재 방지 및 마감층을 싱글처럼 컬러링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에어라인을 이용한 우레탄 방수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고안은 다른 목적은 에어라인의 설치로 인하여 콘크리트 균열을 방 지하고, 다수개의 통기관으로 인하여 상기 단열층 속의 수분이 에어라인을 통과하여 통기관으로 빠져나감으로써 방수층 하자를 근본적으로 줄일 수 있는 에어라인을 이용한 우레탄 방수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은 각종 건축물 옥상이나 지하주차장, 지하구조물 등의 바닥재 방수구조에 있어서, 지붕 콘크리트층과; 상기 지붕 콘크리트층 상면에 접합되며 온도상승에 의해 볼륨팽창되는 방수층과; 상기 방수층 상면에 도포되는 단열층과; 상기 단열층 상면에 접합되되, 온도차에 의한 균열이 방지되도록 바닥면 전체가 컷팅되고, 횡과 종으로 골을 형성하며 구획되어 공기 및 수분을 균일하게 배출되도록 에어라인을 형성하는 누름 콘크리트층와; 상기 에어라인 하면에서 단열층 상면까지 관통되어 상기 단열층 및 방수층에 유입되는 수분을 상기 에어라인으로 배출하는 다수개의 통기관과; 상기 에어라인 상면에 설치되는 플랜지와; 상기 플랜지 상면에서 누름 콘크리트층까지 관통고정되는 다수개의 고정구와; 상기 고정구 상면에 도포되어 플랜지와 고정구를 고정하는 우레탄 실란트와; 상기 우레탄 실란트 상면에서 누름 콘크리트층과 대응하며 접합되는 프라이머층과; 상기 프라이머층 상면에 도포되는 우레탄 방수층과; 상기 우레탄 방수층 상면에 살포되어 미끄럼 방지, 초기 화재 방지 및 상기 우레탄 방수층의 내구성 증가를 위해 마감처리되는 스톤칼라층과; 상기 스톤칼라층의 변색을 방지하기 위해 상면에 코팅되는 투명코팅층과; 일측은 상기 투명코팅층을 관통하여 에어라인 내부에 위치하되, 타측은 상기 투명코팅층의 외부로 T자형의 관을 돌출형성하여 상기 에어라인 내 공기를 배출하는 티바 에어 벤팅구;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고안은 그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보다 명확히 설명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에어라인을 이용한 우레탄 방수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A 확대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에어라인을 이용한 우레탄 방수구조의 에어라인과 통기관을 형성하는 누름 콘크리트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에어라인을 이용한 우레탄 방수구조는 에어라인(21)을 설치하여 콘크리트 균열을 방지하고, 통기관(20)과 상기 에어라인(21)으로 단열층(12) 속의 수분이 통기관(20)을 통과하여 에어라인(21)으로 빠져 나가게 함으로서, 방수층(11) 하자를 근본적으로 줄이는 방수구조이며, 지붕 콘크리트층(10), 방수층(11), 단열층(12), 누름 콘크리트층(13), 통기관(20), 플랜지(23), 고정구(24), 우레탄 실란트(25), 프라이머층(30), 우레탄 방수층(31), 스톤칼라층(32), 투명코팅층(33), 티바 에어 벤팅구(40)를 포함한다.
상기 지붕 콘크리트층(10)은 각종 건축물 옥상이나 지하주차장, 지하구조물 등의 바닥재의 최하단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방수층(11)과 단열층(12)은 지붕 콘크리트층(10) 상면에 차례대로 접합되는 것으로, 열에 의해 볼륨팽창되며, 항상 수분을 포함하고 있기에 효과적인 방 수층(11)과 단열층(12)의 역할을 위해서는 함유 수분을 바로 배출하는 장치 및 층간 구성이 필요하다.
상기 누름 콘크리트층(13)은 단열층(12)의 상면에 접합되며, 바닥면 전체를 컷팅하여 온도차에 의한 콘크리트 균열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단열층(12)과 방수층(11) 내에 유입되는 수분을 배출시키기 위해, 횡과 종으로 골을 형성하며 구획되어 공기 및 수분을 균일하게 배출되도록 에어라인(21)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에어라인(21)의 내부에는 누름 콘크리트층(13)의 상면보다 상대적으로 낮게 백업제(50)를 삽입설치 하게 되며, 상기 백업제(50)의 상면부터 누름 콘크리트층(13)의 상면까지 우레탄(51) 실링처리를 하여 메워줌으로써, 상기 에어라인(21) 내에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하며, 상기 백업제(50)의 저면부터 에어라인(21)의 저면까지 통기공(52)의 공간이 생겨, 공기 및 습기의 이동 통로를 확보한다. 더불어, 상기 백업제(50)는 연질재질로써, 폴리에틸렌 계통의 단열재, 코팅백업재, 다공질의 실링용 백업재 중 하나를 설치자의 선택에 의해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에어라인(21)은 횡과 종, 횡, 종 방식 중에서 하나를 설치자의 임의대로 선택하여 설치할 수 있다.
상기 통기관(20)은 설치자의 선택에 의해 에어라인(21) 내에 다수 개가 설치된다. 상기 통기관(20)은 에어라인(21) 하단부터 상기 단열층(12) 상면까지 관통되어, 상기 방수층(11)과 단열층(12)의 수분을 에어라인(21)의 통기공(52)을 통해 배출되도록 한다.
상기 플랜지(23)는 누름 콘크리트 상면에 형성되는 에어라인(21) 상면에 설 치되는 층이다.
상기 고정구(24)는 에어라인(21) 상면에 도포된 플랜지(23)를 더욱 단단히 고정하기 위해 에어라인(21)을 사이에 두고 양측에 설치되되, 상기 플랜지(23) 상면에서부터 누름 콘크리트층(13)까지 관통설치된다.
상기 우레탄 실란트(25)는 고정구(24)가 관통설치된 플랜지(23) 상면에 도포되어 고정구(24)와 함께 이중으로 플랜지(23)를 고정해주는 역활을 한다.
상기 프라이머층(30)은 우레탄 실란트(25) 상면에 접합되되, 누름 콘크리트층(13)과 대응되며 도포 된다.
상기 우레탄 방수층(31)은 프라이머층(30) 상면에 도포되도록 작업 된다.
상기 스톤칼라층(32)은 우레탄 방수층(31) 상면에 살포되어 보호 및 기능성 역활을 하는 층으로, 미끄럼 방지, 상기 우레탄 방수층(31)의 내구성 증가, 초기 화재 방지 및 마감층을 싱글처럼 컬러링 하여 다양한 칼라층을 형성할 수 있으며, 방수효과에 지붕마감을 동시에 하는 이중의 역활을 한다.
상기 투명코팅층(33)은 방수구조 최상단면에 도포되는 층으로서, 상기 색상을 갖는 스톤칼라층(32)의 변색을 방지한다.
상기 티바 에어 벤팅구(40)는 일측이 상기 투명코팅층(33)을 관통하여 에어라인(21) 내부에 위치하되, 타측은 상기 투명코팅층(33)의 외부로 T자형의 관을 돌출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에어라인(21) 내 공기 및 수분을 배출하는 구성을 가지되, 임의의 위치에서 상기 에어라인(21)까지 관통설치된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은 구성 및 구조를 갖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작용 및 원리를 설명하도록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에어라인을 이용한 우레탄 방수구조는 각종 건축물 옥상이나 지하주차장, 지하구조물 등의 사용되는 바닥재 방수구조로서, 지붕 콘크리트층(10)을 최하단에 설치하고, 그 상면에 열에 의해 볼륨팽창되는 방수층(11)과 단열층(12)을 차례로 도포한 다음, 상기 단열층(12) 상면에 바닥면 전체를 컷팅하여 온도차에 의한 콘크리트 균열을 방지하는 누름 콘크리트층(13)을 접합한다.
상기 누름 콘크리트층(13) 상면엔 횡과 종으로 골을 형성하며 구획되는 에어라인(21)을 형성하여 공기 및 수분을 균일하게 배출되도록 하되, 상기 에어라인(21) 저면에서부터 단열층(12) 상면까지 관통되는 통기관(20)을 설치하고, 상기 에어라인(21) 내부에는 누름 콘크리트층(13) 상면보다 낮도록 연질재질, 다공질의 백업제(50)를 끼움 삽입한 후, 상기 백업제(50) 상면부터 누름 콘크리트층(13) 상면까지 우레탄(51) 실링처리를 하여 상기 누름 콘크리트층(13)의 상면의 일부가 돌출되지 않고, 전체적으로 평탄함을 유지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우레탄(51) 실링처리와 백업제(50)의 삽입은 에어라인(21) 내에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며, 삽입되는 상기 백업제(50)의 너비는 에어라인(21)보다 상대적으로 크게 하여 상기 에어라인(21)과 백업제(50)의 접촉부분에 여유분이 남지 않도록 눌러 끼워진다. 이렇게 우레탄(51) 실링처리와 백업제(50)로 상부가 막힌 에어라인(21)은 자동으로 하단부에 통기공(52)을 형성하게 되며, 상기 단열층(12)과 방수층(11)에 유입되어 잔재 되어 있는 수분은 상기 단열 층(12) 상면에 형성된 통기관(20)을 통과하여 에어라인(21) 내부의 통기공(52)을 통해 배출됨으로 방수층(11)과 단열층(12)의 하자를 근본적으로 방지하게 된다.
상기 누름 콘크리트층(13)의 상면에 형성되고 티바 에어 벤팅구(40)가 삽입관통되는 부분에는 에어라인(21)의 상부에 플랜지(23)를 설치하여 상기 에어라인(21) 상부를 막음과 동시에 티바 에어 벤팅구(40)의 하단을 고정하는 역할을 하게 하며, 상기 에어라인(21)을 사이에 두고 플랜지(23)의 상면에 다수개의 고정구(24)를 누름 콘크리트층(13)까지 관통설치하여 고정력을 더해준다. 그런 다음, 다시 상기 플랜지(23)와 고정구(24)의 상면을 우레탄 실란트(25) 처리를 하여 도포해줌으로 인해 3중의 고정효과를 보게 된다.
상기 우레탄 실란트(25) 상면에 누름 콘크리트층(13)과 대응되도록 프라이머층(30)과 우레탄 방수층(31)을 차례대로 접합하고, 상기 우레탄 방수층(31) 상면에는 스톤칼라층(32) 형성을 위해 스톤칼라를 살포하여 미끄럼 방지, 상기 우레탄 방수층(31)의 내구성 증가, 초기 화재 방지 및 마감층을 싱글처럼 컬러링 하여 다양한 칼라층을 형성하고, 상기 스톤칼라층(32) 상면에 상기 투명코팅층(33)을 도포하여 상기 색상을 갖는 스톤칼라층(32)의 변색을 방지하도록 한다.
또한, 일측이 상기 투명코팅층(33)을 관통하여 에어라인(21) 내부에 위치하되, 타측은 상기 투명코팅층(33)의 외부로 T자형의 관을 돌출형성되도록 티바 에어 벤팅구(40)를 관통설치하여, 상기 에어라인(21) 내 공기 및 수분을 배출하는 구성을 가지도록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횡과 종으로 골을 형성하며 구획되는 에어라인, 상기 에어라인의 일정위치에서부터 단열층까지 관통되는 통기관의 설치로 지붕 콘크리트층과 누름 콘크리트층 사이에 접합되어 있는 단열층과 방수층에 함유된 수분 및 각각의 접합 층간에 머물고 있는 수분을 균일하고 효과적으로 배출할 수 있으며, 상기 에어라인 내부와 연통하는 티바 에어 벤팅구를 돌출형성하여 상기 에어라인 내 공기를 배출하는 함은 물론, 최상면에 스톤칼라층 형성을 위한 스톤칼라를 살포하여 미끄럼 방지, 우레탄 방수층의 내구성 증가, 초기 화재 방지 및 마감층을 싱글처럼 컬러링 효과를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에어라인의 설치로 인하여 콘크리트 균열을 방지하고, 다수개의 통기관으로 인하여 상기 단열층 속의 수분이 에어라인을 통과하여 통기관으로 빠져나감으로써 방수층 하자를 근본적으로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각종 건축물 옥상이나 지하주차장, 지하구조물 등의 바닥재 방수구조에 있어서,
    지붕 콘크리트층(10)과;
    상기 지붕 콘크리트층(10) 상면에 접합되며 온도상승에 의해 볼륨팽창되는 방수층(11)과;
    상기 방수층(11) 상면에 도포되는 단열층(12)과;
    상기 단열층(12) 상면에 접합되되, 온도차에 의한 균열이 방지되도록 바닥면 전체가 컷팅되고, 횡과 종으로 골을 형성하며 구획되어 공기 및 수분을 균일하게 배출되도록 에어라인(21)을 형성하는 누름 콘크리트층(13)와;
    상기 에어라인(21) 하면에서 단열층(12) 상면까지 관통되어 상기 단열층(12) 및 방수층(11)에 유입되는 수분을 상기 에어라인(21)으로 배출하는 다수개의 통기관(20)과;
    상기 에어라인(21) 상면에 설치되는 플랜지(23)와;
    상기 플랜지(23) 상면에서 누름 콘크리트층(13)까지 관통고정되는 다수개의 고정구(24)와;
    상기 고정구(24) 상면에 도포되어 플랜지(23)와 고정구(24)를 고정하는 우레탄 실란트(25)와;
    상기 우레탄 실란트(25) 상면에서 누름 콘크리트층(13)과 대응하며 접합되는 프라이머층(30)과;
    상기 프라이머층(30) 상면에 도포되는 우레탄 방수층(31)과;
    상기 우레탄 방수층(31) 상면에 살포되어 미끄럼 방지, 초기 화재 방지 및 상기 우레탄 방수층(31)의 내구성 증가를 위해 마감처리되는 스톤칼라층(32)과;
    상기 스톤칼라층(32)의 변색을 방지하기 위해 상면에 코팅되는 투명코팅층(33)과;
    일측은 상기 투명코팅층(33)을 관통하여 에어라인(21) 내부에 위치하되, 타측은 상기 투명코팅층(33)의 외부로 T자형의 관을 돌출형성하여 상기 에어라인(21) 내 공기를 배출하는 티바 에어 벤팅구(4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라인을 이용한 우레탄 방수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라인(21)은 내부에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다공질의 실링용 백업제(50)를 내부에 삽입하되, 상기 백업제(50)의 상면이 누름 콘크리트층(13)의 상면보다 낮도록 설치하며, 상기 백업제(50)에서부터 누름 콘크리트층(13) 상면까지 우레탄(51) 실링처리를 하고, 상기 단열층(12) 내부의 수분이 통기관(20)을 통해 상기 에어라인(21)으로 배출되도록, 공기 및 수분 통로인 통기관(20)을 형성하여 상기 방수층(11)의 하자를 줄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라인을 이용한 우레탄 방수구조.
KR2020060017032U 2006-06-23 2006-06-23 에어라인을 이용한 우레탄 방수구조 KR20042631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7032U KR200426312Y1 (ko) 2006-06-23 2006-06-23 에어라인을 이용한 우레탄 방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7032U KR200426312Y1 (ko) 2006-06-23 2006-06-23 에어라인을 이용한 우레탄 방수구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7029A Division KR100706190B1 (ko) 2006-06-23 2006-06-23 에어라인을 이용한 우레탄 방수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6312Y1 true KR200426312Y1 (ko) 2006-09-13

Family

ID=417748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7032U KR200426312Y1 (ko) 2006-06-23 2006-06-23 에어라인을 이용한 우레탄 방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6312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1200B1 (ko) 2006-11-09 2007-04-24 주식회사 부일건화 역j형 탈기반
KR100794246B1 (ko) 2006-10-24 2008-01-11 김광식 하이우레탄 탑모르타르를 이용한 경사지붕 단열 및방수구조
KR100945719B1 (ko) * 2009-09-16 2010-03-05 창일건설(주) 습기 및 고임물 제거기능이 구비된 옥상의 방수구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4246B1 (ko) 2006-10-24 2008-01-11 김광식 하이우레탄 탑모르타르를 이용한 경사지붕 단열 및방수구조
KR100711200B1 (ko) 2006-11-09 2007-04-24 주식회사 부일건화 역j형 탈기반
KR100945719B1 (ko) * 2009-09-16 2010-03-05 창일건설(주) 습기 및 고임물 제거기능이 구비된 옥상의 방수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78173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도막 및 시트 이중방수재
KR101003735B1 (ko) 이중 단열방수 구조
CN112227755A (zh) 一种旧屋面防水修缮结构及方法
KR100706190B1 (ko) 에어라인을 이용한 우레탄 방수구조
US20140109500A1 (en) Modular roof panels
CA2511690A1 (en) Roof structure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KR100706189B1 (ko) 에어라인과 시트 이음매 보강용 엑스매트를 이용한 우레탄모르타르 방수구조
KR200426312Y1 (ko) 에어라인을 이용한 우레탄 방수구조
KR100949479B1 (ko) 구멍 뚫린 시트 상부에 고 점착형 방수 씰을 도포하여 부분 절연시킨 노출형 아스팔트 복합 방수공법
KR200451710Y1 (ko) 복합 박스형 패널 방수
KR200418187Y1 (ko) 에어라인을 이용한 시트와 우레탄 모르타르 방수구조
KR101011362B1 (ko) 단열방수층 결합구조
KR200420571Y1 (ko) 에어라인을 이용한 시트와 우레탄 모르타르 방수구조
KR102049494B1 (ko) 절개를 통한 옥상 누수 방지구조 및 누수 방지공법
KR100672240B1 (ko) 옥상방수공법
KR100673319B1 (ko) 에어라인을 이용한 시트와 우레탄 모르타르 방수구조
KR200423566Y1 (ko) 에어라인과 시트 이음매 보강용 엑스매트를 이용한 우레탄모르타르 방수구조
KR101013399B1 (ko) 경질 도막방수층과 단열방수시트의 일체화된 단열방수구조
KR20110127763A (ko) 엑스매트를 이용한 단열방수구조
KR101866333B1 (ko) 노출형 아크릴기반 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시공방법
CN104652715A (zh) 用于制备和施工钢结构屋面用防水涂料的方法
KR101039239B1 (ko) 단열방수용 접착성 단열방수시트
KR20000039774A (ko) 보수 방수시공방법
RU2728045C1 (ru) Способ капитального ремонта плоских кровельных покрытий замощением панелями
KR101020607B1 (ko) 배습핀과 배습핀을 이용한 시트 방수 공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