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3399B1 - 경질 도막방수층과 단열방수시트의 일체화된 단열방수구조 - Google Patents

경질 도막방수층과 단열방수시트의 일체화된 단열방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3399B1
KR101013399B1 KR1020100060129A KR20100060129A KR101013399B1 KR 101013399 B1 KR101013399 B1 KR 101013399B1 KR 1020100060129 A KR1020100060129 A KR 1020100060129A KR 20100060129 A KR20100060129 A KR 20100060129A KR 101013399 B1 KR101013399 B1 KR 1010133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waterproof
heat
insulation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01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광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경호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사무소
김광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경호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사무소, 김광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경호엔지니어링 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1000601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339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33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33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6Sealings
    • E04B1/665Sheets or foils impervious to water and water vapor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00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45Coating or impregnating, e.g. injection in masonry, partial coating of green or fired ceramics, organic coating compositions for adhering together two concrete elements
    • C04B41/52Multiple coating or impregnating multiple coating or impregnating with the same composition or with compositions only differing in the concentration of the constituents, is classified as single coating or impregn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6Sealings
    • E04B1/68Sealings of joints, e.g. expansion joi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24Structural elements or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rmal insulation
    • Y02A30/254Roof garden systems; Roof coverings with high solar reflectanc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80/00Architectural or constructional elements improving the thermal performance of build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경질 도막방수층과 단열방수시트의 일체화된 단열방수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단열 및 방수를 요하는 시공대상면에 단열방수구조를 형성하되, 단열방수층을 형성시 다수의 단열방수시트를 일방향으로 연속배열하여 접촉시켜 이루도록 하며, 상기의 단열방수시트의 상, 하면에는 경질 도막방수층과 접착층을 각각 일체로 형성하여, 물기로부터의 방수 및 시공대상면과의 접촉을 용이하게 한다. 더불어, 이러한 상기 단열방수시트 간의 연결부위에 'τ'(타우)형 이음매 보강조인트를 내설하고, 연결부위 상면에 실링재를 도포하여 경화시켜, 단열방수시트 연결부위가 확실한 접착구조를 이룸으로써, 연결부위의 불량으로 단열 및 방수 모두에 문제점이 발생되는 것을 사전방지함과 동시에, 시공대상면의 경우 에어라인의 형성유무에 상관없이 포괄적으로 단열방수구조가 적용가능한 경질 도막방수층과 단열방수시트의 일체화된 단열방수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경질 도막방수층과 단열방수시트의 일체화된 단열방수구조{ADIABATIC WATERPROOF STRUCTURE FOR BEING UNITED LIQUID TYPE WATERPROOFING LAYER AND ADIABATIC WATERPROOF SHEET}
본 발명은 도막방수층과 단열방수시트를 일체형 구조로 형성하여, 확실한 단열 및 방수를 시행할 수 있도록 한 단열방수구조에 관한 것이다.
건물의 방수란 건물에 빗물이 새는 것을 막고, 스며든 빗물을 처리하기 위한 처리방법을 의미한다. 건물의 방수는 넓은 뜻으로는 건물의 지붕면 및 바깥 벽면 전체에 대한 방수를 포함하지만, 일반적으로는 지붕 끝부분(처마), 골, 파라펫(Parapet or 난간벽)이 서 있는 곳과 천장, 벽의 문이나 창 주변 등 비가 새기 쉬운 부분의 처리를 가리킨다.
건설산업 분야에서의 눈부신 발전에 따라, 고속도로, 고속철도, 고층 빌딩, 국제공항, 지하철, 초대형 운동경기장 등과 같이 대규모 건설이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이렇게 경제성장과 더불어 세워진 많은 구조물이 그 진가를 발휘하기 전에 균열 및 누수의 문제로 보수/보강을 해야 하는 경우가 자주 발생하고 있다. 하지만, 보수/보강은 초기 시공비 이상의 비용이 투입되면서도, 완전한 보수가 어렵기 때문에 재 누수로 인한 반복적인 보수가 필요하다는 점에서 막대한 손실을 발생시키고 있다.
이러한 부분 중에서 특히 상기와 같은 건축물의 다양한 면(벽, 지붕) 등에는 특수한 방수처리를 해야 한다. 콘크리트 구조물에서 옥상 등은 외부 환경에 직접 노출되어 있는 가장 열악한 환경 조건 하에 있기 때문에, 현재 다양한 방수재료가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실제로 적용되고 있는 방수구조는 한정되어 있다. 또한, 방수재료의 특성뿐만 아니라 방수/단열을 위한 벽의 상태 및 외부환경요건에 따라서도 방수재의 성능이 결정된다. 예를 들어, 시공면의 함수율이 높으면 방수재가 시공면에 부착되어 재료의 성능을 발휘하는데 나쁜 영향을 끼치며, 시공 후 기화되는 수증기 압력에 의해서 방수재 및 벽 사이에 에어포켓이 생겨 방수층의 찢김 또는 파단 등을 야기할 수가 있다.
이렇게 방수공사 후 보수, 보강이 필요한 경우가 발생하는데, 그 원인은 크게 바탕의 구조에 의한 원인, 방수재료에 의한 원인, 시공자의 숙련도에 의한 원인 및 설계불량에 의한 원인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일단, 벽 구조의 원인으로 구조체가 수축 또는 팽창함으로써 균열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구조물의 건축시 바탕이 되는 콘크리트벽을 완전히 건조시키기 않아 수분이 남게 되고, 남게 된 수분이 수증기로 상태 전환되어 방수층을 국부적으로 부풀게 하고, 피로된 부분을 파손시킬 수가 있다. 이는 콘크리트의 수축 팽창률을 크게 하여, 균열을 발생시킬 수가 있다.
방수공사의 하자는 방수재료에 의해서도 발생할 수 있다. 방수층이 균열 저항성에 약하거나, 부풀림이나 피로에 대해 약한 재료의 경우에 방수공사의 하자가 자주 발생할 수 있다. 일 예로, 유성재료는 방수층의 단열성이 확보되지 않는 경우에 내구성이나 내후성이 떨어질 가능성이 있다.
또한, 종래의 방수공사에서 하자는 시공자에 대한 의존도가 높다. 도막 방수를 하는 경우 재료간의 배합비를 정확하게 지키지 않거나, 충분한 경화시간을 부여하지 않는 경우에 부실한 방수공사가 될 수 있다.
특히, 작업자들은 방수공사의 중요성을 충분히 인식하고 정밀시공을 하여야 하나, 시공품질에 대한 작업자의 인식부족으로 부실시공의 우려가 높으며, 현실적으로 방수공사의 낮은 단가로 인해 고품질 장비, 기능 인력의 확보 등이 어렵기 때문에 방수공사에서 부실시공을 극복하기가 쉽지 않다.
물론, 방수공사 설계 단계에서도, 방수해야 할 부위의 필요한 환경 요건을 고려하지 않거나, 재료에 대한 물성 관리의 소홀, 조인트 및 드레인 위치 등과 같이 상세한 설계를 생략한 경우에 방수공사의 하자가 발생할 수가 있다.
또한, 종래의 다른 방수구조는 각 낱장의 방수시트 간에 겹쳐지는 이음부들에 토오치 램프 등의 열로 용융시켜서 상호 용착되게 함으로써 어느 정도 방수효과를 보는 구조를 가진다.
그러나 이러한 각 방수시트들간의 연결부분인 이음부들을 토오치 램프 등의 열로 용융시켜서 용착하는 것이기 때문에 이음부들이 균일하게 부착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되고, 2중 또는 3중의 방수, 단열구조를 가지는 경우에는 각 층간의 연결부위가 모두 동일위치에 존재하여, 외부로부터의 습기 및 물기가 연결부위를 타고 직접 방수/단열층 및 상기 방수/단열층을 하기 위한 바탕면인 콘크리트벽 등에도 유입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종래의 방수구조는 첫째, 각 낱장의 방수시트 간에 겹쳐지는 이음부들을 토오치 램프 등의 열로 용융시켜서 용착하기 때문에 과열로 의한 열화 촉진과 또는 미열로 인하여 부분적으로 용착이 이루어지지 않음으로써 방수층 및 단열층에 물기 및 습기가 침투하게되고, 다수 적층되는 2중, 3중시트의 경우에도 이음부를 통해서 물기 및 습기가 침투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둘째, 이음부에서의 열에 의한 용융접착을 위하여 토오치 램프, 가스통, 가스관 등의 부수적인 장비를 수반함으로써 화재 또는 화상을 입을 염려가 많아 작업의 효율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셋째, 이음부들을 겹치게 하여 연속적으로 방수 및 단열시트를 부설하기 때문에 차후 하자발생시 누수부위를 찾기가 곤란하며, 보수시는 광범위하게 작업을 해야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단열방수층을 형성함에 있어서, 단열방수층을 형성하기 위해 다수의 단열방수시트가 일방향으로 연속배열될 시, 상기 단열방수시트층 상호간의 연결부위의 접합 또는 접착상태가 좋지않거나, 계절에 따른 온도변화에 단열방수시트가 수축 팽창하면서 상호간의 연결부위가 벌어지게 되면, 상기 연결부위를 통해 외부의 습기 및 수분이 침투하게 되고, 이로 인해, 단열방수층 내부에는 공기 및 수분이 스며들어 다수의 층이 일체형을 이루는 단열방수층 내부가 들뜨게 되어, 단열 및 방수에 문제발생하게 되는데, 본 발명은 경질의 도막방수층을 단열방수시트와 일체형으로 이루어 단열방수층을 형성하고, 단열방수시트 상호간 연결부위에 타우(τ)형 이음매 보강조인트를 내설한 후 실링재를 도포함으로써, 기존에 단열방수층을 형성함에 있어서 발생되었던 연결부위 접합 및 접착의 문제가 발생되는 않도록 한 경질 도막방수층과 단열방수시트의 일체화된 단열방수구조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콘크리트층(10)의 상면에 도포되는 프라이머층(20)과; 상, 하면에 경질 도막방수층(31)과 접착층(33)을 각각 일체형으로 형성하는 다수의 단열방수시트(32)가, 상기 프라이머층(20)의 상면에 일방향으로 연속배열되며 접착되어 이루어지는 단열방수층(30)과; 상기 다수의 단열방수시트(32) 상호간 연결부위(α)에 설치되되, 'τ'(타우) 형상을 가지도록 하여, 일측은 상호간 접촉되는 복수개의 단열방수시트(32) 중 하나의 상면에 접촉되며 걸쳐지고, 타측은 나머지 단열방수시트(32)를 내입하는 형태를 가지는 타우형 이음매 보강조인트(40)와; 상기 이음매 보강 조인트 상부에 도포되되, 하중에 의해 연결부위(α)로 스며들어, 상기 연결부위(α)의 상, 하면을 모두 도포하면서 단열방수시트(32) 상호간을 경화시키는 실링재(41)와; 상기 단열방수층(30) 상면에 도포되어, 외부로부터의 습기 및 수분 침투를 차단하는 도막방수층(70)과; 상기 도막방수층(70)의 내구성 증가를 위해, 도막방수층(70)의 상면에 살포되며, 살포표면의 요철을 통해 햇빛을 반사하여 복사열을 차단하고, 미끄럼을 방지하는 스톤층(80)과; 상기 스톤층(80)의 상면에 도포되어, 스톤층(80)의 마모 및 변색을 방지하는 탑코팅층(9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콘크리트층(10)에는 횡과 종으로 골을 형성하며 구획되어 공기 및 수분의 이동통로가 확보되도록 횡방향 에어라인(11b)과 종방향 에어라인(11a)으로 이루어지는 에어라인(1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다수의 단열방수시트(32) 상호간의 연결부위(α) 하단부에서, 상기 연결부위(α)와 교차되는 형태로 위치되는 횡방향 에어라인(11b)이 실링재(41)에 의해 메워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단열방수시트(32)의 연결부위(α)와 교차되는 횡방향 에어라인(11b)의 상면에 에어라인 커버 테이핑부(50)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단열방수층(30)과 프라이머층(20)이 도포된 콘크리트층(10) 상호간의 접합력을 증대시키기 위해, 상기 단열방수층(30) 저면에 상호간 소정간격 이격되며, 단열방수층(30)의 길이방향을 향해 연장되어 부착되는 다수의 양면 접착시트(6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단열방수층(30)과 프라이머층(20)이 도포된 콘크리트층(10) 상호간의 접합력을 증대시키기 위해, 상기 단열방수층(30) 양단부에는, 단열방수층(30)의 상면에서부터 콘트리트층까지 관통고정되는 고정구(10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단열방수시트의 상, 하면에 경질의 도막방수층과 접착층을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내구성의 향상 및 단열 및 방수의 효과가 극대화되고, 시공대상면에 손쉽게 접착구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타우(τ)의 형태를 가지는 이음매 조인트를 사용하여, 단열방수층을 형성하는 단열방수시트간을 확실히 접착함으로서, 단열방수시트 상호간 연결부위로 외부의 습기 또는 수분의 유입 차단 효과가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시공대상면에 에어라인의 형성 유무에 상관없이 단열방수구조를 형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경질 도막방수층과 단열방수시트의 일체화된 단열방수구조를 나타낸 일실시예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구가 적용된 경질 도막방수층과 단열방수시트의 일체화된 단열방수구조를 나타낸 실시예의 단면도.
도 3은 도 2의 분해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라인 커버 테이핑부의 적용을 나타낸 일실시예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단열방수층 및 양면접착시트의 적용을 나타낸 일실시예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타우형 이음매 보강조인트 및 실링재의 적용을 나타낸 일실시예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도막방수층, 스톤층, 탑코팅층의 적용을 나타낸 일실시예의 사시도.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 전에,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되거나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구성 및 배열들의 상세로 그 응용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들로 구현되고 실시될 수 있고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 장치 또는 요소 방향(예를 들어 "전(front)", "후(back)", "위(up)", "아래(down)", "상(top)", "하(bottom)", "좌(left)", "우(right)", "횡(lateral)")등과 같은 용어들에 관하여 본원에 사용된 표현 및 술어는 단지 본 발명의 설명을 단순화하기 위해 사용되고, 관련된 장치 또는 요소가 단순히 특정 방향을 가져야 함을 나타내거나 의미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제 1(first)", "제 2(second)"와 같은 용어는 설명을 위해 본원 및 첨부 청구항들에 사용되고 상대적인 중요성 또는 취지를 나타내거나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아래의 특징을 갖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경질 도막방수층과 단열방수시트의 일체화된 단열방수구조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경질 도막방수층과 단열방수시트의 일체화된 단열방수구조는 콘크리트층(10), 프라이머층(20), 단열방수층(30), 타우형 이음매 보강조인트(40), 실링재(Sealing, 41), 에어라인 커버 테이핑부(50), 양면 접착시트(60), 도막방수층(70), 스톤층(80), 탑코팅층(90), 고정구(100)를 포함한다.
상기 콘크리트층(10)은 벽체 및 바닥 등 단열 및 방수처리되는 부분으로써, 본 발명에서는 콘크리트층(10)이라 하였지만, 이는 사용자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는 부분이며, 더불어, 상기 콘크리트층(10)에는 에어라인(Air-Line, 11)이 사용자의 선택사항에 따라 형성되거나 형성되지 않을 수 있음이다.
상기 에어라인(11)은 공기의 유동통로를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콘크리트층(10)의 상부면에 소정깊이를 가지고 파여지되, 횡과 종으로 다수의 격자형태를 가지며 골을 형성하는 것이다. 즉, 상기 에어라인(11)이 형성된 콘크리트층(10) 상부로 후술 될 다수의 구성요소들이 접합 또는 도포되는 경우, 상기 골을 형성하고 있는 에어라인(11)을 통해 공기들이 유동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물론, 사용자의 실시예에 따라서는, 공기의 순환을 위해, 상기 콘크리트층(10)에 순차적으로 도포 및 접합될 다수의 구성요소 최상부에서부터 상기 에어라인(11)까지 관통되어, 상기 에어라인(11)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에어 밴팅구(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음이다. 이러한 에어 밴팅구의 일단은 에어라인(11) 내에 위치되되, 타단은 최상층 외부에 돌출되는 형태로써, 외부의 이물질 및 비나 눈 등이 상기 에어 밴팅구를 통해 유입되지 않는 구조를 가져야만 함은 당연할 것이다. 더불어, 상기의 에어 밴팅구는 보통 100㎠에 설치 후, 1년 후 제거하는 방식을 사용할 수 있음이다.
더불어, 본 발명의 경질 도막방수층과 단열방수시트의 일체화된 단열방수구조는 상기 콘크리트층(10) 외에, 방수 및 단열을 필요로 하는 건축구조물의 다양한 부분(벽체, 지붕 등)에 적용되어 사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상기 프라이머층(20)은 콘크리트층(10)의 상면에 도포되는 것으로서, 상기 프라이머층(20)은 콘크리트층(10)을 보호하는 역할을 하며, 상기 콘크리트층(10)의 상면에는 소정깊이로 파여지는 종방향 에어라인(11a)과 횡방향 에어라인(11b)으로 이루어지는 에어라인(11)이 형성되어 있기에, 상기 프라이머층(20)은 에어라인(11)을 제외한 콘크리트층(10)의 상면에만 도포됨은 당연할 것이다.
상기 단열방수층(30)은 프라이머층(20)이 도포되어 있는 콘크리트층(10)의 상면에 접착되는 것으로서, 단열방수시트(32)와, 상기 단열방수시트(32)의 상면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경질(硬質) 도막방수층(31)과, 상기 단열방수시트(32)의 저면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접착층(33)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단열방수시트(32)의 상면에 일체형을 형성되는 경질 도막방수층(31)은 상기 단열방수시트(32)의 상면을 보호하면서 방수가 되도록 하는 것이고, 상기 접착층(33)은 단열방수시트(32)의 저면에 일체로 형성되어, 프라이머층(20)이 도포된 콘크리트층(10)과 단열방수층(30)의 용이한 접착을 위한 것이다.
즉, 상, 하면 각각에 경질 도막방수층(31)과 접착층(33)을 일체로 형성하고 있는 단열방수시트(32)가 다수개 사용되어 단열방수층(30)을 이루는 것으로서, 상기와 같은 단열방수시트(32)는 콘크리트의 상면에서 일방향을 향해 다수개가 연속배열되어지도록 한다.
물론, 연속배열되어지는 다수의 단열방수시트(32)간의 연결부위(α)는 상호간 대응되며 접착이 되어야 하는데, 이를 행하는 것이, 후술될 타우형 이음매 보강조인트(40) 및 실링재(41)이다. 이는 하기에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더불어, 상기 경질 도막방수층(31)의 재질로는 탄성 무기질계, 우레탄계, 고무 아스팔트계, PE(polyethylene),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PP(polypropylene), PVC(polyvinyl chloride) 등 방수층을 형성할 수 있는 다양한 재료가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단열방수시트(32)의 재질로는 PE, U/T(우레탄), PP 등 발포성 단열방수 기능을 가지는 시트가 사용될 수 있음이며, 상기 접착층(33)으로는 핫멜트(hotmelt), 우레탄계, 아스팔트계, 고무 아스팔트계, 고무계, 고분자 접착제 등 복수개의 구성요소를 접착시킬 수 있는 접착성 재질이 사용될 수 있음이다.
상기 타우형 이음매 보강조인트(40)는 단열방수층(30)을 형성하기 위해 상호간 대응접촉되며 연속배열되는 다수의 단열방수시트(32)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단열방수시트(32) 간 연결부위(α)를 접착시키기 위한 것으로, 후술될 실링재(41)와 함께 사용이 된다.
이를 위해, 상기 타우형 이음매 보강조인트(40)는 'τ'(그리스어 Tau, 타우)의 형상을 가지도록 하는데, 상호간 접착되는 복수개의 단열방수시트(32)(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1에서 상호간 연결되는 복수개의 단열방수시트(32)를 제 1단열방수시트(①), 제 2단열방수시트(②)라 명명한다.)를 기준으로 설명하면, 상기 타우형 이음매 보강조인트(40)의 일측은 복수개의 단열방수시트(32) 중 제 1단열방수시트(①)의 상면에 접촉되면서 걸쳐지도록 하고, 상기 타우형 이음매 보강조인트(40)의 타측은 제 2단열방수시트(②)를 내입하는 형태가 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타우형 이음매 보강조인트(40)에는 후술 될 실링재(41)가 도포되는데, 도포되는 실링재(41) 내에서 골재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러한, 상기 타우형 이음매 보강조인트(40)는 다수의 단열방수시트(32)의 연결부위(α)에 각각 내설되어 이루어지며, 후술될 실링재(41)가 도포시, 실링재(41)는 하중에 의해 연결부위(α) 및 타우형 이음매 보강조인트(40)를 따라 하단으로 스며들게 되는데, 이러한 실링재(41)가 원활히 연결부위(α) 및 타우형 이음매 보강조인트(40)에 스며들 수 있도록, 판재 형상 외에, 망 형태의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이며, 사용자에 의해 다양한 재질이 선택되어 사용될 수 있음이다.
상기 실링재(41)는 전술된 타우형 이음매 보강조인트(40)와 함께 사용되는 것으로서, 다수의 연결부위(α) 각각에 내설되어 있는 타우형 이음매 보강조인트(40) 상면에 도포가 된다. 상기 실링재(41)는 액상으로 이루어져 있기에, 상기 타우형 이음매 보강조인트(40)가 내설된 연결부위(α) 상면에 도포시, 하중에 의해 타우형 이음매 보강조인트(40)를 따라, 타우형 이음매 보강조인트(40) 및 연결부위(α)로 스며들며 하강하게 되어, 결국, 각 연결부위(α)의 상, 하면에 모두 도포가 되어 경화되는 형태를 가지게 됨으로써, 상호간 대응 접촉되어 있는 복수개의 단열방수시트(32)들 상호간을 접착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기 실링재(41)는 실링재(41)가 단독으로 사용되는 것보다 타우형 이음매 보강조인트(40)와 함께 사용되어 짐으로써, 상기 실링재(41)가 타우형 이음매 보강조인트(40)에 스며들며 연결부위(α)에 유입되어 경화되기 때문에, 실링재(41) 단독으로 사용되는 경우보다, 상기 타우형 이음매 보강조인트(40)로 인해, 온도에 따른 단열방수시트(32)의 압축 및 인장으로 연결부위(α)가 벌어지는 것을 더욱 확실히 견딜 수 있게 해주며 다수의 단열방수시트(32) 상호간의 접합을 확실히 고정할 수 있는 것이다.
더불어, 상기 실링재(41)는 복수개의 구성요소 상호간을 접합시킬 수 있는, 우레탄계, 코킹재, 아스팔트계 등의 재료가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에어라인 커버 테이핑부(50)는 전술된 실링재(41)를 통해 다수의 단열방수시트(32) 상호간 연결부위(α)를 접착시키는 경우, 상기 실링재(41)가 연결부위(α) 상부에서 하부로 중력에 의해 스며들면서 콘크리트층(10)의 횡방향 에어라인(11b)의 일정부분에도 매워져, 상기 에어라인(11)의 공기유동통로 확보를 방해할 수도 있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즉, 상기 에어라인 커버 테이핑부(50)는 프라이머층(20)이 도포된 콘크리트층(10)과 단열방수층(30) 사이, 즉, 단열방수층(30))의 하단부에서, 단열방수층(30)의 연결부위(α)와 교차되는 부분에 위치하게 되는 횡방향 에어라인(11b)의 상면에 배치되는 것으로, 다시 말해, 상기 콘크리트층(10)에서 횡방향 에어라인(11b)이, 복수개의 단열방수시트(32)가 상호간 접합되는 연결부위(α)와 교차되는 교차부분(X)에 에어라인 커버 테이핑부(50)가 위치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에어라인 커버 테이핑부(50)를 횡방향 에어라인(11b)의 길이방향으로 향해 소정길이를 형성하는 직사각형 형상을 가지도록 하였지만, 이 또한, 사용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경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에어라인 커버 테이핑부(50)는 에어라인(11)이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만 필요할 것이며, 에어라인(11)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적용하지 않을 수 있음이다. (더불어 본 발명에서 말하는 단열방수시트(32)간 연결부위(α)라 함은, 상, 하면에 각각에 경질 도막방수층(31)과 접착층(33)을 각각 일체로 형성하고 있는 단열방수시트(32)를 의미함은 당연할 것이다.)
상기 양면 접착시트(60)는 전술된 단열방수층(30) 저면에 부착형성되는 것으로서, 더욱 자세히는 단열방수층(30)에 형성된 접착층(33)에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단열방수층(30)은 저면에 일체형으로 부착형성되어 있는 접착층(33)으로 인하여, 프라이머층(20)이 도포된 콘크리트층(10)과 접합이 가능하지만, 상기 양면 접착시트(60)를 통해 더욱 확실한 접착이 가능해지도록 한 것이다.
물론, 이러한 상기 양면 접착시트(60)는 다수개가 사용되며, 각각의 양면 접착시트(60)는 상호간 소정간격 이격되어, 상기 단열방수층(30)의 저면 중단부 및 저면 양단부 각각에, 상기 단열방수층(30)의 길이방향을 향해 연장형성되어 부착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양면 접착시트(60)를 단일의 단열방수시트(32) 저면에 3개만을 사용하였지만, 상기 양면 접착시트(60)의 개수는 사용자의 실시예에 따라 변경이 가능함은 당연할 것이다.
상기 도막방수층(70)은 전술된 바와 같이, 다수의 단열방수시트(32)가 일방향으로 연속배열되어 이루어지는 상기 단열방수층(30)의 상면, 더욱 자세히는 단열방수층(30)의 구성중 경질 도막방수층(31) 상면에 도포되는 것으로서, 다수의 시트가 상호간 연결되어 방수층을 형성하는 상기의 단열방수시트(32)와는 달리, 막을 형성하도록 도포되어 방수층을 형성하는 것이다. 이러한 상기 도막방수층(70)은 단열방수층(30)에 형성된 다수의 연결부위(α)를 통해 외부의 습기 및 수분의 유입 및 침투를 막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상기 도막방수층(70)으로는 무기질계(무기계, 無機系), 우레탄계(urethane), 우레탄 고무계(폴리이소시아네이트(Polyisocyanate), 폴리올(Polyol), 가교제(架橋劑)를 주원료로 하는 우레탄 고무에 다양한 충전재 등을 배합한 것)), 고무 아스팔트계(아스팔트와 고무를 주원료로 하는 배합물)등의 합성수지 재료 중 하나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스톤층(80)은 전술된 도막방수층(70)의 상면에 도포 또는 살포되어, 상기 도막방수층(70)의 내구성 증가 및 변색과 마모 방지를 위한 것으로서, 상기 스톤층(80)은 모래, 더욱 자세히는 규사(quartz sand, 硅砂)에 수지계 재료(ex: 폴리스티렌(polystyrene),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폴리에틸렌(polyethylene), 폴리염화비닐(polyvinyl chloride), 나일론(nylon), 에폭시(epoxy), 비닐아세테이트(vinyl acetate), 수용성 아크릴 에멀젼(Acryl Emulsion), 수용성 우레탄 등)가 혼합되어 이루어진다. 즉, 상기 스톤층(80)을 도막방수층(70)의 상면에 살포하게 되는 경우, 상기 규사로 인해 스톤층(80)의 표면에 요철이 발생하게 되고, 이러한 살포표면의 요철로 인하여, 요철이 없는 경우보다 햇빛의 반사량이 증가되어, 이로 인해 복사열(radiant heat)을 차단할 수 있는 것이다. 더불어, 상기 스톤층(80)은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다양한 모래 종류가 사용될 수 있어 리모델링 효과를 가지며, 더불어, 표면의 요철로 인해 미끄럼방지 역할을 겸비한다.
상기 탑코팅층(90)은 전술된 스톤층(80)의 상면에 도포되는 것으로서, 스톤층(80)의 마모방지를 위해 스톤층(80)을 코팅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에서는 아크릴 우레탄계 재질이 사용되어 있지만, 이는 스톤층(80)을 코팅할 수 있는 역할을 한다면, 아크릴 우레탄계 재질 외에 사용자에 의해 다양하게 선택가능하다.
상기 고정구(100)는 방수 및 단열이 요구되는 건축구조물의 시공대상면인 콘크리트층(10)과 단열방수층(30)의 확실한 접착을 위한 것으로, 상기 고정구(100)는 다수의 단열방수시트(32)간이 접촉되는 다수의 연결부위(α)에 설치하는 것으로, 상기 단열방수층(30)의 최상단 즉 경질 도막방수층(31) 상면에서부터 콘크리트층(10)까지 수직관통되는 것으로, 사용자에 따라서 단일개 또는 다수개가 관통되어 이뤄질 수 있음이다.
이러한, 상기 고정구(100)는 단열방수층(30)을 콘크리트층(10)에 확실히 접합고정시키는 역할을 하며, 관통하여 고정할 수 있는 것이라면 못, 핀(Pin), 볼트 등 다양한 구성이 사용될 수 있다. 물론, 상기 고정구(100)는 사용자에 의해 사용 유무가 결정될 수 있음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콘크리트층 11: 에어라인
11a: 종방향 에어라인 11b: 횡방향 에어라인
20: 프라이머층 30: 단열방수층
31: 경질 도막방수층 32: 단열방수시트
33: 접착층 40: 타우형 이음매 보강조인트
41: 실링재 50: 에어라인 커버 테이핑부
60: 양면접착시트 70: 도막방수층
80: 스톤층 90: 탑코팅층
100: 고정구

Claims (5)

  1. 콘크리트층(10)의 상면에 도포되는 프라이머층(20)과;
    상, 하면에 경질 도막방수층(31)과 접착층(33)을 각각 일체형으로 형성하는 다수의 단열방수시트(32)가, 상기 프라이머층(20)의 상면에 일방향으로 연속배열되며 접착되어 이루어지는 단열방수층(30)과;
    상기 다수의 단열방수시트(32) 상호간 연결부위(α)에 설치되되, 'τ'(타우) 형상을 가지도록 하여, 일측은 상호간 접촉되는 복수개의 단열방수시트(32) 중 하나의 상면에 접촉되며 걸쳐지고, 타측은 나머지 단열방수시트(32)를 내입하는 형태를 가지는 타우형 이음매 보강조인트(40)와;
    상기 이음매 보강 조인트 상부에 도포되되, 하중에 의해 연결부위(α)로 스며들어, 상기 연결부위(α)의 상, 하면을 모두 도포하면서 단열방수시트(32) 상호간을 경화시키는 실링재(41)와;
    상기 단열방수층(30) 상면에 도포되어, 외부로부터의 습기 및 수분 침투를 차단하는 도막방수층(70)과;
    상기 도막방수층(70)의 내구성 증가를 위해, 도막방수층(70)의 상면에 살포되며, 살포표면의 요철을 통해 햇빛을 반사하여 복사열을 차단하고, 미끄럼을 방지하는 스톤층(80)과;
    상기 스톤층(80)의 상면에 도포되어, 스톤층(80)의 마모 및 변색을 방지하는 탑코팅층(90);로 이루어지며,
    상기 단열방수층(30)과 프라이머층(20)이 도포된 콘크리트층(10) 상호간의 접합력을 증대시키기 위해, 상기 단열방수층(30) 저면에 상호간 소정간격 이격되며, 단열방수층(30)의 길이방향을 향해 연장되어 부착되는 다수의 양면 접착시트(6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질 도막방수층과 단열방수시트의 일체화된 단열방수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층(10)에는
    횡과 종으로 골을 형성하며 구획되어 공기 및 수분의 이동통로가 확보되도록 횡방향 에어라인(11b)과 종방향 에어라인(11a)으로 이루어지는 에어라인(1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질 도막방수층과 단열방수시트의 일체화된 단열방수구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단열방수시트(32) 상호간의 연결부위(α) 하단부에서, 상기 연결부위(α)와 교차되는 형태로 위치되는 횡방향 에어라인(11b)이 실링재(41)에 의해 메워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단열방수시트(32)의 연결부위(α)와 교차되는 횡방향 에어라인(11b)의 상면에 에어라인 커버 테이핑부(50)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질 도막방수층과 단열방수시트의 일체화된 단열방수구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열방수층(30)과 프라이머층(20)이 도포된 콘크리트층(10) 상호간의 접합력을 증대시키기 위해,
    상기 단열방수층(30) 양단부에는, 단열방수층(30)의 상면에서부터 콘트리트층까지 관통고정되는 고정구(10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질 도막방수층과 단열방수시트의 일체화된 단열방수구조.
  5. 삭제
KR1020100060129A 2010-06-24 2010-06-24 경질 도막방수층과 단열방수시트의 일체화된 단열방수구조 KR1010133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0129A KR101013399B1 (ko) 2010-06-24 2010-06-24 경질 도막방수층과 단열방수시트의 일체화된 단열방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0129A KR101013399B1 (ko) 2010-06-24 2010-06-24 경질 도막방수층과 단열방수시트의 일체화된 단열방수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13399B1 true KR101013399B1 (ko) 2011-02-14

Family

ID=437772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0129A KR101013399B1 (ko) 2010-06-24 2010-06-24 경질 도막방수층과 단열방수시트의 일체화된 단열방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339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4745B1 (ko) 2012-05-21 2012-11-26 유병도 복합방수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방수구조체
KR102096858B1 (ko) * 2019-09-30 2020-04-03 김성년 접합부 성형체와 방수방근 시트를 활용한 방수방근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26954A (ko) * 1999-09-09 2001-04-06 김창호 방수·단열용 복합패널 및 방수/단열시공방법
JP2005090161A (ja) 2003-09-19 2005-04-07 Chuyou Kim シート防水材の連結部接合構造
KR100706189B1 (ko) * 2006-05-26 2007-04-13 김광식 에어라인과 시트 이음매 보강용 엑스매트를 이용한 우레탄모르타르 방수구조
KR100956884B1 (ko) * 2010-01-27 2010-05-11 주식회사 한양엔티 방수시트 및 이의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26954A (ko) * 1999-09-09 2001-04-06 김창호 방수·단열용 복합패널 및 방수/단열시공방법
JP2005090161A (ja) 2003-09-19 2005-04-07 Chuyou Kim シート防水材の連結部接合構造
KR100706189B1 (ko) * 2006-05-26 2007-04-13 김광식 에어라인과 시트 이음매 보강용 엑스매트를 이용한 우레탄모르타르 방수구조
KR100956884B1 (ko) * 2010-01-27 2010-05-11 주식회사 한양엔티 방수시트 및 이의 시공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4745B1 (ko) 2012-05-21 2012-11-26 유병도 복합방수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방수구조체
KR102096858B1 (ko) * 2019-09-30 2020-04-03 김성년 접합부 성형체와 방수방근 시트를 활용한 방수방근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485585B (zh) 地下无窗侧双重防水膜组件以及其制造和使用方法
KR101003735B1 (ko) 이중 단열방수 구조
AU756181B2 (en) Sealing sheet assembly for construction surfaces and methods of making and applying same
KR100924114B1 (ko) 자착식 고무화 아스팔트시트 및 자착식 고무화 아스팔트시트와 방근시트를 이용한 복합방수·방근구조의 시공방법
KR100278173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도막 및 시트 이중방수재
US20070193157A1 (en) Roof structure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JP2014526623A (ja) 内部が空いている突起を有する防水用凹凸成形防水パネル及びそれを用いた防水工法
US8635825B2 (en) Modular roof panels
CA2794462A1 (en) Roof structure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KR100706189B1 (ko) 에어라인과 시트 이음매 보강용 엑스매트를 이용한 우레탄모르타르 방수구조
KR101011362B1 (ko) 단열방수층 결합구조
KR101013399B1 (ko) 경질 도막방수층과 단열방수시트의 일체화된 단열방수구조
KR20110127763A (ko) 엑스매트를 이용한 단열방수구조
KR200233893Y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시트
KR100706190B1 (ko) 에어라인을 이용한 우레탄 방수구조
Sriravindrarajah et al. Waterproofing practices in Australia for building construction
KR101039239B1 (ko) 단열방수용 접착성 단열방수시트
KR101244437B1 (ko) 고탄성 방수필름과 나노세라믹 도료를 이용한 방수보수공법
KR200426312Y1 (ko) 에어라인을 이용한 우레탄 방수구조
KR100672240B1 (ko) 옥상방수공법
KR200418187Y1 (ko) 에어라인을 이용한 시트와 우레탄 모르타르 방수구조
RU2441121C1 (ru) Монолитная кровля - защитное покрытие эксплуатационного назначения
KR200420571Y1 (ko) 에어라인을 이용한 시트와 우레탄 모르타르 방수구조
US20210222391A1 (en) Below grade, blind side, dual waterproofing membrane assembly incorporating a sheet membrane with adhesive to fully bond to concrete/shotcrete, and a method of making, and using same
KR200423566Y1 (ko) 에어라인과 시트 이음매 보강용 엑스매트를 이용한 우레탄모르타르 방수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8

Year of fee payment: 9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