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3438B1 - 옥상슬라브의 방수층 보수보강방법 및 방수구조 - Google Patents

옥상슬라브의 방수층 보수보강방법 및 방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3438B1
KR102153438B1 KR1020190133011A KR20190133011A KR102153438B1 KR 102153438 B1 KR102153438 B1 KR 102153438B1 KR 1020190133011 A KR1020190133011 A KR 1020190133011A KR 20190133011 A KR20190133011 A KR 20190133011A KR 102153438 B1 KR102153438 B1 KR 1021534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inforcing fiber
layer
fiber layer
new waterproof
lay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30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선화
Original Assignee
(주) 소유산업개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소유산업개발 filed Critical (주) 소유산업개발
Priority to KR10201901330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5343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34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34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1/00Roof covering, as far as not restricted to features covered by only one of groups E04D1/00 - E04D9/00; Roof covering in ways not provided for by groups E04D1/00 - E04D9/00, e.g. built-up roofs, elevated load-supporting roof coverings
    • E04D11/02Build-up roofs, i.e. consisting of two or more layers bonded together in situ, at least one of the layers being of watertight com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of Covering Using Slabs Or Stiff Sheets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옥상슬라브의 방수층 보수보강방법 및 방수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옥상슬라브의 상부 또는 옥상슬라브의 기존 방수층을 제거하거나 방수액 주입을 위해 기존 방수층을 천공할 필요없이 옥상슬라브의 기존 방수층을 짧은 시간내에 효율적으로 보수보강할 수 있음은 물론 '#'형상으로 형성되는 상기 보강섬유층을 통해 복수의 신규 방수층의 열수축팽창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복수의 상기 신규 방수층의 들뜸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나아가, 바닥재 수지를 균일한 상하두께를 이룰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옥상슬라브의 방수층 보수보강방법 및 방수구조{Repair and reinforcement of existing waterproof layer of rooftop slab}
본 발명은 옥상슬라브의 상부 또는 옥상슬라브의 기존 방수층을 제거하거나 방수액 주입을 위해 기존 방수층을 천공할 필요없이 옥상슬라브의 기존 방수층을 짧은 시간내에 효율적으로 보수보강할 수 있음은 물론 '#'형상으로 형성되는 상기 보강섬유층을 통해 복수의 신규 방수층의 열수축팽창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복수의 상기 신규 방수층의 들뜸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나아가, 바닥재 수지를 균일한 상하두께를 이룰 수 있는 옥상슬라브의 방수층 보수보강방법 및 방수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차장과 같은 지하구조물, 빌딩 및 주택을 포함한 건축물의 옥상에 대한 방수공법은 액상의 방수재를 도포시공하는 도막 방수공법과, 시트화 된 방수재(방수시트)를 도배하듯 시공하는 시트방수공법과, 상기 도막 방수공법과, 시트방수공법을 복합하여 시행하는 복합방수 공법이 있다.
또한, 상기 방수시트를 이용한 방수시공방법에서도 방수시트가 외부로 노출된 상태로 마감처리 하는 노출식 방수공법과, 방수시트를 시공한 상태에서 그 방수시트의 상부 면에 스티로폼, 콘크리트 또는 모르타르로 구성된 부자재 층을 형성시킴으로써 방수시트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비노출식 방수공법이 있다.
이 중, 상기 비노출식 방수공법과 관련하여 최근에는 누수가 발생 된 건물 옥상의 바닥이나, 지하 천장을 간편하게 방수시공할 수 있는 방수액 주입용 하우징을 이용한 옥상 및 지하 천장 방수시공방법 및 방수액 주입용 하우징이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365962호로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비노출식 방수공법은 기존 옥상 슬라브에 시공된 방수층, 단열재 등을 제거한 후 동일한 과정으로 상기 방수층 및 단열재 등을 재시공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그리고, 상기 비노출식 방수공법과 관련하여 제안된 상기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365962호의 경우, 방수 시공을 필요로 하는 옥상 및 지하 천장의 누수지점에 방수액 주입용 하우징을 안착시키기 위한 안착홈을 하나 이상 천공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는 문제점이 있다.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365962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옥상슬라브의 상부 또는 옥상슬라브의 기존 방수층을 제거하거나 방수액 주입을 위해 기존 방수층을 천공할 필요없이 옥상슬라브의 기존 방수층을 짧은 시간내에 효율적으로 보수보강할 수 있음은 물론 '#'형상으로 형성되는 상기 보강섬유층을 통해 복수의 신규 방수층의 열수축팽창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복수의 상기 신규 방수층의 들뜸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나아가, 바닥재 수지를 균일한 상하두께를 이룰 수 있는 옥상슬라브의 방수층 보수보강방법 및 방수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a) 건물의 옥상슬라브의 상부 일측에서 상부 타측방향으로 복수의 신규 방수층이 순차적으로 안착되는 단계와; b) 복수의 신규 방수층 사이의 이음매부위를 보강섬유층으로 각각 실링하는 단계와; c) 상기 보강섬유층에 마감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상슬라브의 방수층 보수보강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a)단계는 건물의 옥상슬라브의 상부를 정리하는 단계와; 상부가 정리된 건물의 옥상슬라브의 상부 일측에서 상부 타측방향으로 복수의 신규 방수층이 순차적으로 안착되는 단계와; 복수의 상기 신규 방수층 사이의 이음매부위에 실링재를 도포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a)단계에서 복수의 신규 방수층은 각각 롤식으로 권취된 상태에서 건물의 옥상슬라브의 상부 전측에서 상부 후측방향으로 권출되면서 건물의 옥상슬라브의 상부에 안착되는 방수시트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실링재는 복수의 상기 신규 방수층 사이에 상기 신규 방수층의 전후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는 이음매부위에 도포되는 제 1실링재와; 상기 제 1실링재와 직교를 이루도록 상기 신규 방수층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좌우연장된 상태로 상기 신규 방수층의 상부면에 상기 신규 방수층의 전후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도포되는 제 2실링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 1실링재의 일측에서 타측까지의 좌우폭과 상기 제 2실링재의 전측에서 후측까지의 전후폭은 각각 10mm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복수의 상기 신규 방수층 사이의 이음매부위의 단면형상은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b)단계의 보강섬유층은 복수의 상기 신규 방수층의 전후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는 제 1보강섬유층과; 상기 신규 방수층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좌우연장되는 제 2보강섬유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b)단계는 복수의 신규 방수층 사이에 상기 신규 방수층의 전후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는 이음매부위에 상기 제 1보강섬유층을 부착하여 실링하는 단계와; 상기 제 1보강섬유층과 직교를 이루는 상기 제 2보강섬유층을 상기 복수의 상기 신규 방수층의 전후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부착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b)단계의 보강섬유층은 유리섬유 또는 탄소섬유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b)단계의 제 1보강섬유층은 롤식으로 권취된 상태에서 상기 신규 방수층의 상부면 전후방향으로 권출되는 보강섬유시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2보강섬유층은 롤식으로 권취된 상태에서 상기 제 1보강섬유층과 직교를 이루도록 상기 신규 방수층의 상부면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권출되는 보강섬유시트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1보강섬유층의 일측에서 타측까지의 좌우폭과 상기 제 2보강섬유층의 전측에서 후측까지의 전후폭은 각각 50mm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1보강섬유층의 상하두께와 상기 제 2보강섬유층의 상하두께는 1mm ~ 2mm이고, 상기 제 1보강섬유층 사이의 이격간격과 상기 제 2보강섬유층 사이의 이격간격은 각각 1m인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제 1보강섬유층의 상부에 일정깊이의 복수의 상부홈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2보강섬유층의 하부에 복수의 상기 상부홈과 마주보는 복수의 하부홈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c)단계에서 상기 마감층은 상기 제 1보강섬유층과 상기 제 2보강섬유층 사이에 형성되는 충진공간에 충진되는 바닥재 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a)단계에서 복수의 신규 방수층은 건물의 옥상슬라브의 상부의 기존 방수층의 상부면 일측에서 상부면 타측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안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은 건물의 옥상슬라브의 상부 일측에서 상부 타측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안착되는 복수의 신규 방수층과; 복수의 상기 신규 방수층의 전후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고 복수의 상기 신규 방수층 사이에 상기 신규 방수층의 전후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는 이음매부위에 부착되어 상기 이음매부위를 실링하는 제 1보강섬유층과, 상기 제 1보강섬유층과 직교를 이루도록 상기 신규 방수층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좌우연장되어 상기 신규 방수층의 전후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부착되는 제 2보강섬유층으로 이루어지는 보강섬유층과; 상기 보강섬유층에 형성되는 마감층;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상슬라브의 방수구조를 제공한다.
여기서, 복수의 신규 방수층은 건물의 옥상슬라브의 상부의 기존 방수층의 상부면 일측에서 상부면 타측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안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건물의 옥상슬라브의 상부에 복수의 신규 방수층을 안착 또는 옥상슬라브의 상부의 기존방수층을 제거하거나 방수액 주입을 위해 기존 방수층을 천공할 필요없이 옥상슬라브의 기존 방수층에 복수의 신규방수층을 안착시킨 상태에서 복수의 신규 방수층 사이의 이음매부위를 보강섬유층으로 각각 실링한 후 상기 보강섬유층에 마감층을 형성하여 옥상슬라브의 상부 또는 옥상슬라브의 기존방수층을 짧은 시간내에 효율적으로 보수보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복수의 신규 방수층 사이의 이음매부위에 도포된 실링제와 합침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상기 보강섬유층을 통해 복수의 신규 방수층의 열수축팽창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복수의 상기 신규 방수층의 들뜸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상기 보강섬유층이 둑과 같은 역할을 하기 때문에 옥상슬라브의 기존 방수층에 형성된 경사면으로 인해 제 1, 2보강섬유층 사이의 어느 한 충진공간에 충진된 바닥재 수지가 다른 충진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어 상기 충진공간에 각각 균일한 상하두께의 바닥재 수지가 충진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옥상슬라브의 방수층 보수보강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이고,
도 2 및 도 3은 기존 방수층의 상부면에 신규 방수층이 순차적으로 안착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신규 방수층이 롤식으로 권취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신규 방수층 사이의 이음매부위에 제 1실링재가 도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A - A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7은 신규 방수층에 제 2실링재가 도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8 및 도 9는 신규 방수층에 보강섬유층이 실링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0은 제 1보강섬유층이 롤식으로 권취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1은 제 2보강섬유층이 롤식으로 권취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2는 제 1보강섬유층과 제 2보강섬유층에 각각 상부홈과 하부홈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고,
도 13은 도 12의 B - B선에 따른 분리단면도이고,
도 14는 도 13의 결합사시도이고,
도 15는 도 14의 C - C선에 따른 결합단면도이고,
도 16은 보강섬유층에 마감층이 형성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7은 도 16의 D - D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옥상슬라브의 방수층 보수보강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옥상슬라브의 방수층 보수보강방법은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a) 신규 방수층 안착단계(이하, 'a)단계'라 한다.), b) 보강섬유층 실링단계(이하, 'b)단계'라 한다.) 및 c) 마감층 형성단계(이하, 'c)단계'라 한다.)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2 및 도 3은 기존 방수층의 상부면에 신규 방수층이 순차적으로 안착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먼저, 상기 a)단계는 건물의 옥상슬라브(3)의 상부의 콘크리트 또는 도 2 및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건물의 옥상슬라브(3)의 기존 방수층(31)의 상부에 복수의 신규 방수층(10)이 순차적으로 수평안착되는 단계이다.
복수의 상기 신규 방수층(10)은 건물의 옥상슬라브(3)의 상부의 콘크리트 또는 건물의 옥상슬라브(3)의 기존 방수층(31)의 상부면 일측에서 상부면 타측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수평안착된다.
일예로, 상기 a)단계는 상부면 정리단계(이하, 'a1)단계'라 한다.), 복수의 신규 방수층 안착단계(이하, 'a2)단계'라 한다.) 및 실링재 도포단계(이하, 'a3)단계'라 한다.)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a1)단계는 건물의 옥상슬라브(3)의 상부의 콘크리트 또는 건물의 옥상슬라브(3)의 기존 방수층(31)의 상부면에 흙이나 골재 등의 이물질을 제거하여 깨끗이 함과 더불어 건물의 옥상슬라브(3)의 상부의 콘크리트 또는 옥상슬라브(3)의 상부의 기존 방수층(31)의 상부면을 편평하게 다듬어 정리하는 단계이다.
상기 a2)단계는 건물의 옥상슬라브(3)의 상부의 콘크리트 또는 옥상슬라브(3)의 상부의 기존 방수층(31)의 상부면이 정리된 후 건물의 옥상슬라브(3)의 상부의 콘크리트 또는 옥상슬라브(3)의 상부의 기존 방수층(31)의 상부면에 복수의 상기 신규 방수층(10)이 건물의 옥상슬라브(3)의 상부의 콘크리트 또는 건물의 옥상슬라브(3)의 기존 방수층(31)의 상부면 일측에서 상부면 타측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수평안착되는 단계이다.
도 4는 신규 방수층이 롤식으로 권취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여기서, 복수의 상기 신규 방수층(10)의 보관 및 운반용이성 향상을 위해 복수의 상기 신규 방수층(10)은 도 4의 a)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각각 롤식으로 권취될 수 있다.
롤식으로 권취된 복수의 상기 신규 방수층(10)은 도 2 및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건물의 옥상슬라브(3)의 상부의 콘크리트 또는 건물의 옥상슬라브(3)의 기존 방수층(31)의 상부면 전측에서 후측방향으로 작업자에 의해 권출되면서 건물의 옥상슬라브(3)의 상부의 콘크리트 또는 건물의 옥상슬라브(3)의 기존 방수층(31)의 상부면에 수평안착될 수 있다.
롤식으로 권취된 복수의 상기 신규 방수층(10)을 보관 및 운반하는 과정 중에 롤식으로 권취된 복수의 상기 신규 방수층(10)의 형상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복수의 상기 신규 방수층(10)은 도 4의 b)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단면형상이 원형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는 축(5)의 외주면에 롤식으로 권취되는 것이 좋다.
복수의 상기 신규 방수층(10)은 우레탄 방수시트 등 다양한 종류의 방수시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5는 신규 방수층 사이의 이음매부위에 제 1실링재가 도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A - 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상기 a3)단계는 복수의 상기 신규 방수층(10) 사이의 이음매 상부 부위(P)에 도 5 및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실링재(40)를 도포하는 단계이다.
상기 실링재(40)는 우레탄 실란트, 에폭시 실란트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실링재(40)는 제 1실링재(410)와 제 2실링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후술할 '#'형상의 보강섬유층과의 접착력을 극대화하여 복수의 상기 신규 방수층(10)상에 '#'형상의 보강섬유층이 보다 안정적으로 강하게 부착고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상기 제 1, 2실링재(410, 420)로 이루어지는 실링재(40)는 '#'형상을 이룰 수 있다.
상기 제 1실링재(410)는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복수의 상기 신규 방수층(10) 사이에 상기 신규 방수층(10)의 전후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는 이음매 상부 부위(도 3의 P)에 도포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상기 신규 방수층(10) 사이의 이음매 상부 부위(P)의 단면형상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도록 복수의 상기 신규 방수층(10)의 일측 상부와 타측 상부는 각각 복수의 상기 신규 방수층(10)의 하부에서 상부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신규 방수층(10)의 상부 내측방향으로 경사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복수의 상기 신규 방수층(10) 사이의 이음매 상부 부위(P)의 단면형상이 '∨'형상으로 형성됨에 따라 상기 제 1실링재(410)와 상기 이음매 상부 부위(P)의 접촉면적이 보다 넓어지게 되어 상기 이음매 상부 부위(P)를 보다 효과적으로 실링처리할 수 있음은 물론 이로 인해 복수의 상기 신규 방수층(10)의 방수기능이 더욱 향상될 수 있게 된다.
도 7은 신규 방수층에 제 2실링재가 도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상기 제 2실링재(420)는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 1실링재(410)와 직교를 이루도록 상기 신규 방수층(10)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좌우연장된 상태로 상기 신규 방수층(10)의 상부면에 상기 신규 방수층(10)의 전후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도포될 수 있다.
도 8 및 도 9는 신규 방수층에 보강섬유층이 실링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b)단계는 복수의 상기 신규 방수층(10) 사이의 이음매 상부 부위(P)가 상기 실링재(40)로 1차적으로 실링된 후 상기 이음매 상부 부위(P)를 보강섬유층(20)으로 각각 2차적으로 실링하는 단계이다.
일예로, 상기 보강섬유층(20)은 제 1보강섬유층(210)과 제 2보강섬유층(220)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 1보강섬유층(210)은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복수의 상기 신규 방수층(10)의 전후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 2보강섬유층(220)은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신규 방수층(10)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좌우연장될 수 있다.
상기 b)단계는 제 1보강섬유층 실링단계(이하, 'b1)단계'라 한다.)와 제 2보강섬유층 실링단계(이하, 'b2)단계'라 한다.)로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b1)단계는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복수의 상기 신규 방수층(10) 사이의 상기 이음매 상부 부위(P)에 상기 제 1보강섬유층(210)을 각각 부착하여 실링하는 단계이다.
상기 b2)단계는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 1보강섬유층(210)과 직교를 이루는 상기 제 2보강섬유층(220)을 복수의 상기 신규 방수층(10)의 전후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부착하는 단계이다.
상기 제 1, 2보강섬유층(210, 220)이 복수의 상기 신규 방수층(10) 전체에 부착될 경우, 상기 제 1, 2보강섬유층(210, 220)의 바닥면에 들뜸현상이 발생되어 상기 제 1, 2보강섬유층(210, 220)의 활용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후술할 상기 마감층의 상하두께가 균일하지 못하게 되고, 상기 마감층 형성을 위해 사용되는 롤러 등의 도포수단이 상기 제 1, 2보강섬유층(210, 220)에 달라붙는 현상으로 인해 상기 마감층 형성작업에 많은 시간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고유의 수축팽칭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상기 제 1, 2보강섬유층(210, 220)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보강섬유층(20)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신규 방수층(10) 사이의 이음매 상부 부위(P)에 도포된 상기 실링제(40)와 합침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상기 보강섬유층(20)을 통해 복수의 신규 방수층(10)의 열수축팽창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복수의 상기 신규 방수층(10)의 들뜸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0은 제 1보강섬유층이 롤식으로 권취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상기 제 1보강섬유층(210)의 보관 및 운반용이성 향상을 위해 상기 제 1보강섬유층(210)은 도 10의 a)에서 보는 바와 같이 롤식으로 권취될 수 있다.
롤식으로 권취된 상기 제 1보강섬유층(210)은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복수의 상기 신규 방수층(10)의 전후방향으로 작업자에 의해 권출되면서 복수의 상기 신규 방수층(10) 사이의 상기 이음매 상부 부위(P)에 부착고정될 수 있다.
롤식으로 권취된 상기 제 1보강섬유층(210)을 보관 및 운반하는 과정 중에 롤식으로 권취된 상기 제 1보강섬유층(210)의 형상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 1보강섬유층(210)은 도 10의 b)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단면형상이 원형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는 축(6)의 외주면에 롤식으로 권취되는 것이 좋다.
도 11은 제 2보강섬유층이 롤식으로 권취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또한, 상기 제 2보강섬유층(220)의 보관 및 운반용이성 향상을 위해, 상기 제 2보강섬유층(220)은 도 11의 a)에서 보는 바와 같이 롤식으로 권취될 수 있다.
롤식으로 권취된 상기 제 2보강섬유층(220)은 도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복수의 상기 신규 방수층(10)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작업자에 의해 권출되면서 복수의 상기 신규 방수층(10)의 상부면에 상기 복수의 상기 신규 방수층(10)의 전후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부착고정될 수 있다.
롤식으로 권취된 상기 제 2보강섬유층(220)을 보관 및 운반하는 과정 중에 롤식으로 권취된 상기 제 2보강섬유층(220)의 형상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제 2보강섬유층(220)은 도 11의 b)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단면형상이 원형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는 축(6)의 외주면에 롤식으로 권취되는 것이 좋다.
상기 제 1, 2보강섬유층(210, 220)은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일예로, 특히, 유리섬유 또는 탄소섬유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 1실링재(410)의 일측에서 타측까지의 좌우폭(도 7의 D1)과 상기 제 2실링재(420)의 전측에서 후측까지의 전후폭(도 7의 D2)은 각각 10mm인 것이 좋다.
상기 제 1실링재(410)의 좌우폭(D1)과 상기 제 2실링재(420)의 전후폭(D2)이 각각 10mm미만인 경우, 상기 제 1, 2실링재(410, 420)의 사용량이 적어 상기 제 1실링재(410)의 좌우폭(D1)과 상기 제 2실링재(420)의 전후폭(D2)이 너무 좁아지게 되면서 복수의 상기 신규 방수층(10) 사이의 이음매 상부 부위(P)의 실링효율이 저하됨과 더불어 복수의 상기 신규 방수층(10)의 방수기능 또한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보강섬유층(20)과의 접촉면적 또한 좁혀져 복수의 상기 신규 방수층(10)상에 부착되는 상기 보강섬유층(20)의 부착력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게 된다.
상기 제 1실링재(410)의 좌우폭(D1)과 상기 제 2실링재(420)의 전후폭(D2)이 각각 10mm초과인 경우, 복수의 상기 신규 방수층(10) 사이의 이음매 상부 부위(P)를 실링하는데 너무 많은 양의 상기 제 1, 2실링재(410, 420)를 사용하게 되어 불필요한 자제낭비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 1보강섬유층(210)의 일측에서 타측까지의 좌우폭(도 9의 D3)과 상기 제 2보강섬유층(220)의 전측에서 후측까지의 전후폭(도 9의 D4)은 각각 50mm인 것이 좋다.
상기 제 1보강섬유층(210)의 좌우폭(D3)과 상기 제 2보강섬유층(220)의 전후폭(D4)이 50mm미만인 경우, 상기 제 1보강섬유층(210)의 좌우폭(D3)과 상기 제 2보강섬유층(220)의 전후폭(D4)이 너무 좁아지게 되면서 복수의 상기 신규 방수층(10) 사이의 이음매 상부 부위(P)를 2차적으로 실링하는 상기 제 1, 2보강섬유층(210, 220)의 실링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게 된다.
상기 제 1보강섬유층(210)의 좌우폭(D3)과 상기 제 2보강섬유층(220)의 전후폭(D4)이 50mm초과인 경우, 복수의 상기 신규 방수층(10) 사이의 이음매 상부 부위(P)를 실링하는데 너무 많은 양의 상기 제 1, 2보강섬유층(210, 220)을 사용하게 되어 불필요한 자제낭비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 1보강섬유층(210) 사이의 이격간격(도 9의 G1)과 상기 제 2보강섬유층(220) 사이의 이격간격(도 9의 G2)은 각각 1m 인 것이 좋다.
상기 제 1보강섬유층(210) 사이의 이격간격(도 9의 G1)과 상기 제 2보강섬유층(220) 사이의 이격간격(도 9의 G2)이 1m 미만인 경우, 상기 제 1보강섬유층(210) 사이의 이격간격(G1)과 상기 제 2보강섬유층(220) 사이의 이격간격(G2)이 너무 촘촘한 상태로 좁아질 정도로 많은 양의 상기 제 1, 2보강섬유층(210)을 소모하게 되어 불필요한 자제 낭비를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게 된다.
상기 제 1보강섬유층(210) 사이의 이격간격(도 9의 G1)과 상기 제 2보강섬유층(220) 사이의 이격간격(도 9의 G2)이 1m 초과인 경우, 상기 제 1보강섬유층(210) 사이의 이격간격(G1)과 상기 제 2보강섬유층(220) 사이의 이격간격(G2)이 너무 넓어질 정도로 적은양의 상기 제 1, 2보강섬유층(210, 220)을 소모하게 되어 상기 제 1, 2보강섬유층(210, 220)의 복수의 신규 방수층(10)의 열수축팽창현상방지 효율 및 복수의 상기 신규 방수층(10)의 들뜸방지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게 된다.
도 12는 제 1보강섬유층과 제 2보강섬유층에 각각 상부홈과 하부홈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사시도이고, 도 13은 도 12의 B - B선에 따른 분리단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제 1, 2보강섬유층(210, 220)의 상부면과 상기 제 1, 2보강섬유층(210, 220)의 교차부위의 상부면이 동일수평선상에 위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도 12 및 도 1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 1보강섬유층(210)의 상부에 복수의 상부홈(211)이 형성 및 상기 제 2보강섬유층(220)의 하부에 복수의 상기 상부홈(211)과 마주보는 복수의 하부홈(221)이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상기 상부홈(211)은 상기 제 1보강섬유층(210)의 전후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상기 하부홈(221)은 상기 제 2보강섬유층(220)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보강섬유층(210)의 상부와 상기 제 2보강섬유층(220)의 하부에 복수의 상기 상부홈(211)과 복수의 상기 하부홈(221)이 다양한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일예로, 열압착 프레스성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도 14는 도 13의 결합사시도이고, 도 15는 도 14의 C - C선에 따른 결합단면도이다.
복수의 상기 상부홈(211)의 상부방향에 복수의 상기 하부홈(221)이 위치한 상태로 도 14 및 도 1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 1보강섬유층(210)의 상부에 상기 제 2보강섬유층(220)이 안착될 수 있다.
도 16은 보강섬유층에 마감층이 형성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7은 도 16의 D - D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c)단계는 상기 보강섬유층(20)에 롤러 등의 도포수단을 이용하여 마감층(30)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상기 마감층(30)은 도 16 및 도 1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 1보강섬유층(210)과 상기 제 2보강섬유층(220) 사이에 형성되는 충진공간(S)에 충진되는 바닥재 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마감층(30)을 이룰 수 있는 상기 바닥재 수지는 우레탄 수지, 에폭시 수지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도 17에서 보는 바와 같이 '#'형상으로 형성되는 상기 보강섬유층(20)이 둑과 같은 역할을 하기 때문에 옥상슬라브의 기존 방수층(31)에 형성된 경사면으로 인해 제 1, 2보강섬유층(210, 220) 사이의 어느 한 충진공간(S)에 충진된 상기 마감층(30)을 이룰 수 있는 바닥재 수지가 다른 충진공간(S)으로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어 상기 충진공간(S)에 각각 상기 마감층(30)을 이룰 수 있는 바닥재 수지가 균일한 상하두께(T3)로 충진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 1보강섬유층(210)의 상하두께(도 14의 T1)와 상기 제 2보강섬유층(220)의 상하두께(도 14의 T2)는 1mm ~ 2mm인 것이 좋다.
상기 제 1보강섬유층(210)의 상하두께(T1)와 상기 제 2보강섬유층(220)의 상하두께(T2)가 1mm미만인 경우, 상기 제 1보강섬유층(210)의 상하두께(T1)와 상기 제 2보강섬유층(220)의 상하두께(T2)가 너무 작아 어느 한 충진공간(S)에 충진된 상기 마감층(30)을 이룰 수 있는 바닥재 수지가 다른 충진공간(S)으로 유입되는 현상이 발생되어 상기 충진공간(S)에 각각 상기 마감층(30)을 이룰 수 있는 바닥재 수지의 상하두께(T3)가 균일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게 된다.
상기 제 1보강섬유층(210)의 상하두께(T1)와 상기 제 2보강섬유층(220)의 상하두께(T2)가 2mm초과인 경우, 상기 제 1보강섬유층(210)의 상하두께(T1)와 상기 제 2보강섬유층(220)의 상하두께(T2)가 너무 커 롤러 등의 도포수단을 이용하여 마감층(30)을 형성하는 과정 중에 롤러 등의 도포수단이 상기 제 1, 2보강섬유층(210, 220)에 걸림현상이 발생되어 상기 마감층(30)을 원활히 형성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게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인 옥상슬라브의 방수구조는 복수의 상기 신규 방수층(10), 상기 보강섬유층(20) 및 상기 마감층(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건물의 옥상슬라브의 상부에 복수의 신규 방수층(10)을 안착 또는 옥상슬라브의 상부의 기존 방수층(31)을 제거하거나 방수액 주입을 위해 기존 방수층(31)을 천공할 필요없이 옥상슬라브의 기존 방수층(31)에 복수의 신규방수층(10)을 안착시킨 상태에서 복수의 신규 방수층(10) 사이의 이음매부위(P)를 상기 보강섬유층(20)으로 각각 실링한 후 상기 보강섬유층(20)에 상기 마감층(30)을 형성하여 옥상슬라브의 기존 방수층(31)을 짧은 시간내에 효율적으로 보수보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10; 신규 방수층, 20; 보강섬유층,
30; 마감층.

Claims (16)

  1. a) 건물의 옥상슬라브의 상부를 정리하는 상부면 정리단계와, 보관 및 운반과정 중 형상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축의 외주면에 롤식으로 권취된 방수시트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신규 방수층이 상부가 정리된 건물의 옥상슬라브의 상부 전측에서 상부 후측방향으로 권출되면서 상부가 정리된 건물의 옥상슬라브의 상부에 건물의 옥상슬라브의 상부 일측에서 상부 타측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안착되는 복수의 신규 방수층 안착단계와, 복수의 상기 신규 방수층 사이의 이음매부위에 실링재를 도포하는 실링재 도포단계로 이루어지는 신규 방수층 안착단계와;
    b) 복수의 신규 방수층 사이에 상기 신규 방수층의 전후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는 이음매부위에 제 1보강섬유층을 부착하여 실링하는 제 1보강섬유층 실링단계와, 상기 제 1보강섬유층과 직교를 이루는 제 2보강섬유층을 상기 복수의 상기 신규 방수층의 전후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부착하는 제 2보강섬유층 실링단계;로 이루어지는 보강섬유층 실링단계와;
    c) 상기 보강섬유층에 마감층을 형성하는 마감층 형성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실링재는 복수의 상기 신규 방수층 사이에 상기 신규 방수층의 전후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는 이음매부위에 도포 및 일측에서 타측까지의 좌우폭이 10mm인 제 1실링재와, 상기 제 1실링재와 직교를 이루도록 상기 신규 방수층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좌우연장된 상태로 상기 신규 방수층의 상부면에 상기 신규 방수층의 전후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도포 및 전측에서 후측까지의 전후폭이 10mm인 제 2실링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b)보강섬유층 실링단계의 제 1보강섬유층은 복수의 상기 신규 방수층의 전후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고 일측에서 타측까지의 좌우폭이 50mm이며 상하두께가 1mm ~ 2mm이고,
    상기 제 2보강섬유층은 상기 신규 방수층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좌우연장되고 전측에서 후측까지의 전후폭이 50mm이며 상하두께가 1mm ~ 2mm이며,
    상기 제 1보강섬유층 사이의 이격간격과 상기 제 2보강섬유층 사이의 이격간격은 각각 1m이고,
    상기 b)보강섬유층 실링단계의 제 1보강섬유층은 보관 및 운반과정 중 형상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축의 외주면에 롤식으로 권취된 상태에서 상기 신규 방수층의 상부면 전후방향으로 권출되는 보강섬유시트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 2보강섬유층은 보관 및 운반과정 중 형상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축의 외주면에 롤식으로 권취된 상태에서 상기 제 1보강섬유층과 직교를 이루도록 상기 신규 방수층의 상부면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권출되는 보강섬유시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보강섬유층의 상부면 및 상기 제 2보강섬유층의 상부면과 상기 제 1보강섬유층과 상기 제 2보강섬유층의 교차부위의 상부면이 동일수평선상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 1보강섬유층의 상부에 일정깊이의 복수의 상부홈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 2보강섬유층의 하부에 복수의 상기 상부홈과 마주보는 복수의 하부홈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상슬라브의 방수층 보수보강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복수의 상기 신규 방수층 사이의 이음매부위의 단면형상은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상슬라브의 방수층 보수보강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b)보강섬유층 실링단계의 보강섬유층은 유리섬유 또는 탄소섬유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상슬라브의 방수층 보수보강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c)마감층 형성단계에서 상기 마감층은 상기 제 1보강섬유층과 상기 제 2보강섬유층 사이에 형성되는 충진공간에 충진되는 바닥재 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상슬라브의 방수층 보수보강방법.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a)신규 방수층 안착단계에서 복수의 신규 방수층은 건물의 옥상슬라브의 상부의 기존 방수층의 상부면 일측에서 상부면 타측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상슬라브의 방수층 보수보강방법.
  6. 보관 및 운반과정 중 형상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축의 외주면에 롤식으로 권취되는 방수시트로 이루어지고, 건물의 옥상슬라브의 상부 전측에서 상부 후측방향으로 권출되면서 건물의 옥상슬라브의 상부에 건물의 옥상슬라브의 상부 일측에서 상부 타측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안착되는 복수의 신규 방수층과;
    복수의 상기 신규 방수층 사이에 상기 신규 방수층의 전후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는 이음매부위에 도포 및 일측에서 타측까지의 좌우폭이 10mm인 제 1실링재와, 상기 제 1실링재와 직교를 이루도록 상기 신규 방수층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좌우연장된 상태로 상기 신규 방수층의 상부면에 상기 신규 방수층의 전후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도포 및 전측에서 후측까지의 전후폭이 10mm인 제 2실링재로 이루어지는 실링재와;
    복수의 상기 신규 방수층의 전후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고 복수의 상기 신규 방수층 사이에 상기 신규 방수층의 전후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는 이음매부위에 부착되어 상기 이음매부위를 실링하며 일측에서 타측까지의 좌우폭이 50mm이고 상하두께가 1mm ~ 2mm이며 보관 및 운반과정 중 형상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축의 외주면에 롤식으로 권취된 상태에서 상기 신규 방수층의 상부면 전후방향으로 권출되는 보강섬유시트로 이루어지는 제 1보강섬유층과, 상기 제 1보강섬유층과 직교를 이루도록 상기 신규 방수층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좌우연장되어 상기 신규 방수층의 전후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부착되고 전측에서 후측까지의 전후폭이 50mm이며 상하두께가 1mm ~ 2mm이고 보관 및 운반과정 중 형상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축의 외주면에 롤식으로 권취된 상태에서 상기 제 1보강섬유층과 직교를 이루도록 상기 신규 방수층의 상부면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권출되는 보강시트로 이루어지는 제 2보강섬유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 1보강섬유층 사이의 이격간격과 상기 제 2보강섬유층 사이의 이격간격이 각각 1m이며, 상기 제 1보강섬유층의 상부면 및 상기 제 2보강섬유층의 상부면과 상기 제 1보강섬유층과 상기 제 2보강섬유층의 교차부위의 상부면이 동일수평선상에 위치하도록 상기 제 1보강섬유층의 상부에 일정깊이의 복수의 상부홈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 2보강섬유층의 하부에 복수의 상기 상부홈과 마주보는 복수의 하부홈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보강섬유층과;
    상기 보강섬유층에 형성되는 마감층;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상슬라브의 방수구조.
  7. 제 6항에 있어서,
    복수의 신규 방수층은 건물의 옥상슬라브의 상부의 기존 방수층의 상부면 일측에서 상부면 타측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상슬라브의 방수구조.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KR1020190133011A 2019-10-24 2019-10-24 옥상슬라브의 방수층 보수보강방법 및 방수구조 KR1021534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3011A KR102153438B1 (ko) 2019-10-24 2019-10-24 옥상슬라브의 방수층 보수보강방법 및 방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3011A KR102153438B1 (ko) 2019-10-24 2019-10-24 옥상슬라브의 방수층 보수보강방법 및 방수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53438B1 true KR102153438B1 (ko) 2020-09-08

Family

ID=724511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3011A KR102153438B1 (ko) 2019-10-24 2019-10-24 옥상슬라브의 방수층 보수보강방법 및 방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5343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0850B1 (ko) * 2021-10-20 2022-01-14 해전산업 주식회사 비용접식 조인트 수문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51575A (ja) * 1995-11-29 1997-06-10 Tsutsunaka Plast Ind Co Ltd 防水シートの補強、補修方法
KR20040026857A (ko) * 2002-09-26 2004-04-01 송복헌 옥상방수의 하자보수용 폴리에틸렌 경량 방수시트 및 이의시공방법
KR100576102B1 (ko) * 2005-06-21 2006-05-03 김기태 섬유시트를 이용한 복합 방수 공법
KR100696065B1 (ko) * 2006-04-20 2007-03-16 최낙영 옥상 슬라브의 방수구조 및 방수패널
KR101365962B1 (ko) 2013-05-22 2014-02-21 (주)칠칠공사 방수액 주입용 하우징을 이용한 옥상 및 지하 천장 방수시공방법 및 방수액 주입용 하우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51575A (ja) * 1995-11-29 1997-06-10 Tsutsunaka Plast Ind Co Ltd 防水シートの補強、補修方法
KR20040026857A (ko) * 2002-09-26 2004-04-01 송복헌 옥상방수의 하자보수용 폴리에틸렌 경량 방수시트 및 이의시공방법
KR100576102B1 (ko) * 2005-06-21 2006-05-03 김기태 섬유시트를 이용한 복합 방수 공법
KR100696065B1 (ko) * 2006-04-20 2007-03-16 최낙영 옥상 슬라브의 방수구조 및 방수패널
KR101365962B1 (ko) 2013-05-22 2014-02-21 (주)칠칠공사 방수액 주입용 하우징을 이용한 옥상 및 지하 천장 방수시공방법 및 방수액 주입용 하우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0850B1 (ko) * 2021-10-20 2022-01-14 해전산업 주식회사 비용접식 조인트 수문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607809B (zh) 一种建筑工程地下室防水施工方法
CN110878700B (zh) 一种隧道防水结构及其施工方法
CN110630009A (zh) 弧形混凝土构筑物模板加固施工方法
CN111749279A (zh) 止水钢板与抗裂钢筋组合设计的施工缝防水施工方法
CN112252462A (zh) 混凝土顶板层防水构造的施工方法
JP5441616B2 (ja) トンネル覆工用型枠および覆工方法
KR102153438B1 (ko) 옥상슬라브의 방수층 보수보강방법 및 방수구조
CN106401083A (zh) 一种屋面工程系统结构及其施工方法
KR100539333B1 (ko) 지하 바닥층 시공용 배수판
US20190136515A1 (en) Foundation waterproofing system and method
KR200380424Y1 (ko) 지하 바닥층 시공용 배수판
EP3075913B1 (en) A method for reducing moisture build-up in a cavity of a cavity wall and a foundation wedge
US20030074852A1 (en) Building-structure seal
CN209975897U (zh) 一种轻钢建筑防水女儿墙
CN113684957A (zh) 一种组合楼板及其施工方法
CN220284885U (zh) 一种车站底板变形缝防水层加强结构
KR102345216B1 (ko) 비노출식 스틸 방수자재 및 그를 포함하는 옥상 방수 구조체
KR100331506B1 (ko) 콘크리트건물 옥상의 방수시공 방법
CN215715585U (zh) 一种管廊防水结构
CN218204322U (zh) 一种侧墙结构
CN114059796B (zh) 一种砖砌体女儿墙修缮结构及其修缮方法
CN215632972U (zh) 一种超大断面矩形顶管现场预制管节
CN217557652U (zh) 一种浇筑及防漏浆系统
CN217949118U (zh) 一种储罐基础顶部灌浆层保温槽的定型模板
JP7019474B2 (ja) 建築物の断熱構造及びその施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