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7661Y1 - 콘크리트 슬래브용 신축줄눈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슬래브용 신축줄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7661Y1
KR200187661Y1 KR2019990029632U KR19990029632U KR200187661Y1 KR 200187661 Y1 KR200187661 Y1 KR 200187661Y1 KR 2019990029632 U KR2019990029632 U KR 2019990029632U KR 19990029632 U KR19990029632 U KR 19990029632U KR 200187661 Y1 KR200187661 Y1 KR 20018766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cover
expansion joint
expansion
concr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963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윤영
Original Assignee
양윤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윤영 filed Critical 양윤영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766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7661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6Sealings
    • E04B1/68Sealings of joints, e.g. expansion joints
    • E04B1/6807Expansion elements for parts cast in situ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6Sealings
    • E04B1/68Sealings of joints, e.g. expansion joints
    • E04B2001/6818Joints with swellable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콘크리트의 수축 및 팽창에 관계없이, 또한 충진된 실란트의 방수와 관계없이 수분(물)이 신축줄눈을 타고(실란트 포함) 유입될 때 수분에 의해 팽창성을 발휘하는 수팽창성 고무패킹이 팽창하여 수분을 지수(止水)함으로서 완벽한 방수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 콘크리트 슬래브용 신축줄눈을 제공하는 것으로, 콘크리트의 수축 및 팽창에 따라 두께방향으로 신축되어 콘크리트의 균열을 방지하는 신축이음채움재(EXPANSION JOINT FILLER)와, 상기 신축이음채움재의 일부분을 길이방향으로 커버하는 신축채움재 커버와 필요에 따라 상기 신축채움재 커버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실란트가 충전되는 실란트 커버가 더 구성되는 신축줄눈에 있어서, 상기 신축채움재 커버 양측에 길이방향으로 수분에 의해 팽창특성을 갖는 수팽창성 고무패킹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콘크리트 슬래브용 신축줄눈{CONCRETE SLAB EXPANSION AND CONTRACTION JOINTS}
본 고안은 콘크리트 슬래브의 수축 및 팽창을 흡수하여 슬래브의 균열을 방지하는 신축줄눈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신축줄눈에 수분(물)에 의한 팽창특성을 갖는 수팽창성 고무패킹을 부착하여 신축줄눈의 틈새를 타고 유입되는 유입수를 상기 수팽창성 고무패킹이 지수(止水) 차단함으로서 상기 신축줄눈이 콘크리트 방수기능을 함께 갖도록 하는 콘크리트 슬래브용 신축줄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옥상 바닥, 지하차고, 지하차도, 주차장 또는 이와 유사한 구축물들의 콘크리트 바닥층 또는 슬래브는 온도차에 의한 콘크리트의 수축 팽창에 따른 균열을 방지하기 위하여 바둑판 형태의 신축줄눈이 설치된다.
이에 따라 신축줄눈이 콘크리트의 수축 및 팽창을 흡수하여 콘크리트의 균열을 방지하게 된다.
종래의 콘크리트 슬래브에 사용되는 신축줄눈은 많은 발명가들에 의해 제안되고 있다.
예들 들어, 이남승이 고안한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공보 146363호(1999.02. 26.)의 신축줄눈은, 신축줄눈에 있어 캡의 상부에 스폰지와 같은 완충력이 양호한 백업부재를 끼워넣고 그 상부의 공간에 실링부재(실란트)를 충진시켜 콘크리트의 수축 및 팽창시 백업부재의 신축에 의하여 실링부재가 방수효과를 갖도록 한 것으로, 이는 겨울철의 대기온도에 의해 실링부재가 딱딱하게 경화되는 현상을 상기 백업부재가 신축되는 것에 의해 방지하는 것이다.
한편 이남승이 발명한 공개특허공보 1999-0039424호(1999.06.05)의 신축줄눈은 주로 옹벽(수직벽)에 사용되는 것으로, 여기서는 일부의 구성에서 실링부재로서 수분에 의해 수축 및 팽창되는 벤토나이트계 지수(止水)재를 사용하고 있는 바, 이 벤토나이트계 지수재의 특징은 벤토나이트를 주재료로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쉽게 부서지거나 모양에 변화가 생겨 공사현장에서의 취급상 문제가 따르고, 팽창후의 형상이 알아 볼 수 없을 정도로 흩어져 버리기 때문에 크랙발생시 누수되는 문제점이 노출되고, 특히 2-3일 이내에 급속 팽창하는 특성으로 인하여 신축줄눈의 설치해 놓은 상태에서 콘크리트 타설전 비가와서 지수재가 젖게 되면 팽창이 진행되어 시공후 지수효과를 거둘 수 없다. 이 때문에 건조한 곳에서의 시공이 필수적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본 고안은 콘크리트의 수축 및 팽창에 관계없이, 또한 충진된 실란트의 방수와 관계없이 수분(물)이 신축줄눈을 타고(실란트 포함) 유입될 때 수분에 의해 팽창성을 발휘하는 수팽창성 고무패킹이 팽창하여 수분을 지수(止水)함으로서 완벽한 방수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는 콘크리트 슬래브용 신축줄눈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콘크리트의 수축 및 팽창에 따라 두께방향으로 신축되어 콘크리트의 균열을 방지하는 신축이음채움재(EXPANSION JOINT FILLER)와, 상기 신축이음채움재의 일부분을 길이방향으로 커버하는 신축채움재 커버와, 필요에 따라 상기 신축이음채움재의 일부분을 길이방향으로 커버하는 신축채움재 커버와, 상기 신축채움재 커버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실란트가 충전되는 실란트 커버가 더 구성되는 신축줄눈에 있어서,
상기 신축채움재 커버 양측에 길이방향으로 수분에 의해 팽창특성을 갖는 수팽창성 고무패킹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신축이음채움재의 하단에 삽입되어 2차적으로 지수역할을 하도록 수분에 의한 팽창특성을 갖는 2차 수팽창성 고무패킹을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신축채움재 커버 양측에 설치된 수팽창성 고무패킹이, 신축채움재 커버의 양측 각각에 소정 간격을 두고 적어도 1개 이상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팽창성 고무패킹에 있어 콘크리트와 맞닿는 수직부는 표면적 증대를 위하여 볼록 형상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팽창성 고무패킹은, 그 배면에 형성된 고정편이 신축채움재 커버에 형성된 고정슬롯에 끼움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팽창성 고무패킹은 그 배면에 양면테이프를 부착하여 신축채움재 커버에 형성된 고정단턱을 통해 부착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팽창성 고무패킹은, 그 배면에 원형단면의 고정편이 형성되어 신축채움재 커버에 형성된 고정슬롯에 억지끼움으로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2차 수팽창성 고무패킹은, 신축이음채움재의 하부에 탄성적으로 삽입되어 밀착 고정되는 커버부와, 이 커버부의 하부 양측으로 연장되어 바닥 콘크리트와 밀착되는 바닥부와, 상기 커버부의 상부로 연장 형성되고 바깥방향으로 경사각을 갖고 유입된 수분을 길이방향으로 안내하는 수분유도날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1실시 예로, 신축줄눈이 설치된 콘크리트 슬래브의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신축줄눈에 설치된 수팽창성 고무패킹의 작용상태를 예시한 단면도.
도 3a, 3b는 본 고안의 신축줄눈에 설치된 수팽창성 고무패킹의 부착에 따른 변형 예를 예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신축줄눈에 설치되는 수팽창성 고무패킹을 복수로 설치한 것을 예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신축줄눈에 설치되는 수팽창성 고무패킹의 변형 예를 예시한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신축줄눈에 2차 수팽창성 고무패킹을 더 설치한 것을 예시한 단면도.
도 7a, 7b는 본 고안의 2실시 예로, 코킹타입의 신축줄눈이 설치된 콘크리트 슬래브의 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의 코킹타입 신축줄눈에 2차 수팽창성 고무패킹을 더 설치한 것을 예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30 : 신축줄눈 12 : 신축이음채움재
14, 32 : 신축채움재 커버 16 : 수팽창성 고무패킹
18 : 양면테이프 20 : 2차 수팽창성 고무패킹
34 : 실란트 36 : 실란트 커버
100, 200 : 콘크리트층
이하에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1실시 예로, 신축줄눈이 설치된 콘크리트 슬래브의 단면도이다.
도면부호 10은 본 고안의 신축줄눈 전체를 도시한 것이다.
본 고안의 신축줄눈(10)은 콘크리트의 수축 및 팽창에 따라 두께방향으로 신축되어 콘크리트의 균열을 방지하는 신축이음채움재(EXPANSION JOINT FILLER)(12)와, 상기 신축이음채움재(12)의 일부분을 길이방향으로 커버하는 신축채움재 커버(14)로 구성되며, 상기 신축채움재 커버(14) 양측에는 길이방향으로 수분에 의해 팽창특성을 갖는 수팽창성 고무패킹(16)이 설치되어 구성된다.
상기 수팽창성 고무패킹(16)은, 그 배면에 형성된 고정편(16a)이 신축채움재 커버(14)에 형성된 고정슬롯(14a)에 끼움되어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신축줄눈(1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 콘크리트층 또는 단열층(100) 위에 위치시킨 다음, 신축줄눈(10)이 좌,우로 넘어지지 않게 고정몰탈(도시안됨)로 고정시키고, 다음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보조 콘크리트층 (200)을 형성함으로서 고정된다.
상기와 같이 보조 콘크리트층(200)에 바둑판 형태로 설치되는 신축줄눈(10)은 도 1의 화살표 방향과 같이 콘크리트층(200)이 대기온도차에 의하여 수축 및 팽창이 이루어지면, 이에 대응하여 신축이음채움재(12)가 신축됨으로서 콘크리트의 균열을 방지하게 된다. 이때 수팽창성 고무패킹(16)은 수축되거나 팽창되지 않고, 다만 자체 고무탄성에 의해 콘크리트층(200)과 긴밀하게 밀착력을 유지하고 있게 된다.
상기에서 신축이음채움재(12)는 KS F2538(콘크리트 포장 및 구조용 신축이음채움재)이 사용될 수 있다.
도 2는 본 고안의 신축줄눈에 설치된 수팽창성 고무패킹의 작용상태를 예시한 단면도를 도시한 것으로, 만약 콘크리트층(200)의 반복되는 수축 및 팽창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콘크리트층(200)과 신축채움재 커버(14) 사이에서 틈이 발생되어 빗물이 유입되거나 모세관 현상으로 수분이 유입되게 되면, 그 수분에 의하여 수팽창성 고무패킹(16)이 화살표 방향으로 팽창되어 콘크리트층(200)과 더욱 가압되면서 밀착이 이루어짐에 따라 지수역할을 하게 되어 방수되는 것이다.
상기 수팽창성 고무패킹(16)의 특성은, 수분이 침투하면 서서히 팽창하여 240시간 침수후에는 약 500% 이상 체적변화특성을 갖고 있으며, 고무탄성을 유지하고 동시에 400% 이상의 신장율을 가지고 있으며, 초기모양을 유지한 체 팽창하는 특성과 거칠게 취급해도 전혀 손상되지 않는 특성을 갖고 있다.
도 3a, 3b는 본 고안의 신축줄눈에 설치된 수팽창성 고무패킹의 부착에 따른 변형 예를 예시한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먼저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팽창성 고무패킹(16)의 배면으로 양면테이프(18)를 부착하여 신축채움재 커버(14)에 형성된 고정단턱(14b)을 통해 부착하여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도 3b와 같이 상기 수팽창성 고무패킹(16)의 배면에 원형단면의 고정편 (16b)을 형성하여 신축채움재 커버(14)에 형성된 고정슬롯(14c)에 억지끼움으로 설치할 수 있다.
도 4는 본 고안의 신축줄눈에 설치되는 수팽창성 고무패킹을 복수로 설치한 것을 예시한 단면도를 도시한 것으로, 이는 신축채움재 커버(14)의 양측 각각에 소정 간격을 두고 적어도 1개 이상의 수팽창성 고무패킹(16)을 복수로 설치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수팽창성 고무패킹(16)을 복수로 설치함으로써 보다 강력한 지수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도 5는 본 고안의 신축줄눈에 설치되는 수팽창성 고무패킹의 변형 예를 예시한 단면도를 도시한 것으로, 이 수팽창성 고무패킹(16)의 콘크리트층(200)과 맞닿게 되는 수직부(16c)를 콘크리트와의 표면적 증대를 위하여 볼록 형상으로 한 것이다. 이에 따라 수팽창성 고무패킹(16)의 팽창시 수직부(16c)의 표면적이 증대되어 지수효과를 더욱 좋게 할 수 있다.
도 6은 본 고안의 신축줄눈에 2차 수팽창성 고무패킹을 더 설치한 것을 예시한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신축채움재 커버(14) 양측에 길이방향으로 수분에 의해 팽창특성을 갖는 수팽창성 고무패킹(16)을 설치하고, 신축이음채움재(12)의 하단에 삽입되어 2차적으로 지수역할을 하도록 수분에 의한 팽창특성을 갖는 2차 수팽창성 고무패킹(20)을 더 설치하여 구성한 것이다.
상기 2차 수팽창성 고무패킹(20)은, 신축이음채움재(12)의 하부에 탄성적으로 삽입되어 밀착 고정되는 커버부(20a)와, 이 커버부(20a)의 하부 양측으로 연장되어 바닥 콘크리트(100)와 밀착되는 바닥부(20b)와, 상기 커버부(20a)의 상부로 연장 형성되고 바깥방향으로 경사각을 갖고 유입된 수분을 길이방향으로 안내하는 수분유도날개(20c)로 구성된다.
도 6에 도시된 신축줄눈(10)의 경우에도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보조 콘크리트층(200)에 바둑판 형태로 설치되어 사용되며 콘크리트층(200)이 대기온도차에 의하여 수축 및 팽창이 이루어지면, 이에 대응하여 신축이음채움재(12)가 신축되어 콘크리트의 균열을 방지하게 된다. 이때 수팽창성 고무패킹(16)과 2차 수팽창성 고무패킹(20)은 수축되거나 팽창되지 않고, 다만 자체 고무탄성에 의해 콘크리트층 (200)(100)과 긴밀하게 밀착력을 유지하고 있게 된다.
만약 콘크리트층(200)의 반복되는 수축 및 팽창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콘크리트층(200)과 신축채움재 커버(14) 사이에서 틈이 발생되어 빗물이 유입되거나 모세관 현상으로 수분이 유입되게 되면, 그 수분에 의하여 수팽창성 고무패킹(16)이 화살표 방향으로 팽창하게 되어 지수역할을 하게 되고, 만약의 경우 상기 수팽창성 고무패킹(16)에서 1차 지수가 안된 수분이 넘어오게 되면 2차 수팽창성 고무패킹 (20)이 화살표 방향으로 팽창력을 발휘하게 되어 콘크리트(100) 바닥으로 유입되는 물(수분)을 지수하게 되고, 이때 수분유도날개(20c)에 의하여 유입된 물(수분)이 유도되어 이를 타고 흐르게 된다.
상기와 같이 2차 수팽창성 고무패킹(20)을 더 설치함으로서 보다 강력한 방수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도 7a, 7b는 본 고안의 2실시 예로, 코킹타입의 신축줄눈이 설치된 콘크리트 슬래브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실시 예의 신축줄눈(30)은 콘크리트의 수축 및 팽창에 따라 두께방향으로 신축되어 콘크리트의 균열을 방지하는 신축이음채움재(12)와, 상기 신축이음채움재(12)의 일부분을 길이방향으로 커버하는 신축채움재 커버(32)와, 상기 신축채움재 커버(32)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실란트(34)가 충전되는 실란트 커버(36)로 구성되며, 상기 신축채움재 커버(32) 양측에 길이방향으로 수분에 의해 팽창특성을 갖는 수팽창성 고무패킹(16)을 설치하여 구성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신축줄눈(30)은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 콘크리트층(100) 또는 단열층 위에 위치시킨 다음, 신축줄눈(30)이 좌,우로 넘어지지 않게 고정몰탈(도시안됨)로 임시 고정시키고, 다음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보조 콘크리트층(200)을 형성함으로서 고정되며, 도 7b와 같이 실란트 커버(36)를 신축채움재 커버(32)에서 제거시킨 다음 이에 실란트(34)로 코킹하여 마감 처리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실란트(34)로 신축줄눈(30)의 노출부를 마감 처리함으로서 실란트(34)가 1차 방수효과를 갖게 되고 앞서 설명한 수팽창성 고무패킹(16)이 방수효과를 갖게 되어 1실시 예에 비하여 보다 양호한 방수효과를 얻을 수 있으나, 실란트(36)의 코킹작업 등에 따른 비용과 시간이 소요된다.
도 8은 본 고안의 코킹타입 신축줄눈에 2차 수팽창성 고무패킹을 더 설치한 것을 예시한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실시 예의 신축줄눈(30)은, 콘크리트의 수축 및 팽창에 따라 두께방향으로 신축되어 콘크리트의 균열을 방지하는 신축이음채움재(12)와, 상기 신축이음채움재(12)의 일부분을 길이방향으로 커버하는 신축채움재 커버(32)와, 상기 신축채움재 커버(32)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실란트(34)가 충전되는 실란트 커버(36)로 구성되며, 상기 신축채움재 커버(32) 양측에 길이방향으로 수분에 의해 팽창특성을 갖는 수팽창성 고무패킹(16)을 설치하고, 신축이음채움재(12)의 하단에 삽입되어 2차적으로 지수역할을 하도록 수분에 의한 팽창특성을 갖는 2차 수팽창성 고무패킹(20)을 더 설치하여 구성한 것이다.
상기 실시 예의 경우에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2차 수팽창성 고무패킹(20)이 더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보다 더 양호한 방수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본 고안의 신축줄눈에 대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다.
본 고안에 대하여 추가의 이점 및 변형은, 이 분야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광범한 양태에 있어, 본 고안은 본 명세서에 표시, 설명된 특정 상세 및 대표적 구조에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여러 변형이,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 및 그 대등물에 의해 정의된 전반적 고안 개념의 정신 또는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도 가능할 것이다.
상술한 실시 예에 본 고안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고안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콘크리트 슬래브의 수축 및 팽창에 따른 균열을 방지하기 위해 신축이음채움재가 사용되는 신축줄눈에 있어서, 수분에 의한 팽창특성을 갖는 수팽창성 고무패킹을 함께 구성함으로서 신축줄눈의 방수효과를 보다 증대시켜 신축줄눈의 기능성 향상으로 제품의 신뢰성을 높이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8)

  1. 콘크리트의 수축 및 팽창에 따라 두께방향으로 신축되어 콘크리트의 균열을 방지하는 신축이음채움재(EXPANSION JOINT FILLER)와, 상기 신축이음채움재의 일부분을 길이방향으로 커버하는 신축채움재 커버와, 필요에 따라 상기 신축채움재 커버의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실란트가 충전되는 실란트 커버가 더 구성되는 신축줄눈에 있어서,
    상기 신축채움재에 커버 양측에 길이방향으로 수분에 의해 팽창특성을 갖는 수팽창성 고무패킹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슬래브용 신축줄눈.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이음채움재의 하단에 삽입되어 2차적으로 지수역할을 하도록 수분에 의한 팽창특성을 갖는 2차 수팽창성 고무패킹을 더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슬래브용 신축줄눈.
  3.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채움재 커버 양측에 설치된 수팽창성 고무패킹이, 신축채움재 커버의 양측 각각에 소정 간격을 두고 적어도 1개 이상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슬래브용 신축줄눈.
  4.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수팽창성 고무패킹에 있어 콘크리트와 맞닿는 수직부는 표면적 증대를 위하여 볼록 형상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슬래브용 신축줄눈.
  5.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수팽창성 고무패킹은, 그 배면에 형성된 고정편이 신축채움재 커버에 형성된 고정슬롯에 끼움되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는 콘크리트 슬래브용 신축줄눈.
  6.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수팽창성 고무패킹은 그 배면에 양면테이프를 부착하여 신축채움재 커버에 형성된 고정단턱을 통해 부착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슬래브용 신축줄눈.
  7.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수팽창성 고무패킹은, 그 배면에 원형단면의 고정편이 형성되어 신축채움재 커버에 형성된 고정슬롯에 억지끼움으로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슬래브용 신축줄눈.
  8.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2차 수팽창성 고무패킹은, 신축이음채움재의 하부에 탄성적으로 삽입되어 밀착 고정되는 커버부와, 이 커버부의 하부 양측으로 연장되어 바닥 콘크리트와 밀착되는 바닥부와, 상기 커버부의 상부로 연장 형성되고 바깥방향으로 경사각을 갖고 유입된 수분을 길이방향으로 안내하는 수분유도날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는 콘크리트 슬래브용 신축줄눈.
KR2019990029632U 1999-12-24 1999-12-24 콘크리트 슬래브용 신축줄눈 KR200187661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62061A KR100358186B1 (ko) 1999-12-24 1999-12-24 콘크리트 슬래브용 신축줄눈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62061A Division KR100358186B1 (ko) 1999-12-24 1999-12-24 콘크리트 슬래브용 신축줄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7661Y1 true KR200187661Y1 (ko) 2000-07-15

Family

ID=1962961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9632U KR200187661Y1 (ko) 1999-12-24 1999-12-24 콘크리트 슬래브용 신축줄눈
KR1019990062061A KR100358186B1 (ko) 1999-12-24 1999-12-24 콘크리트 슬래브용 신축줄눈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62061A KR100358186B1 (ko) 1999-12-24 1999-12-24 콘크리트 슬래브용 신축줄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0187661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6011B1 (ko) 2012-04-19 2012-11-29 주식회사 한영에버콘 줄눈재틀을 이용하여 줄눈을 형성하는 콘크리트 포장도로의 시공 방법
KR102239768B1 (ko) * 2020-08-19 2021-04-12 최종오 동시 타설이 가능한 자립형 신축이음장치 및 그 시공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4511B1 (ko) * 2006-04-13 2007-07-03 유진용 건축용 외장 마감 코킹재
KR101330024B1 (ko) * 2013-01-24 2013-11-15 (주)경동엔지니어링 하수암거를 포함한 시설물용 차수형 신축이음장치
KR101643734B1 (ko) * 2014-01-09 2016-07-28 신원수 콘크리트 크랙 유도용 신축줄눈 설치방법 및 그 장치
CN104047218B (zh) * 2014-06-17 2016-09-14 青岛亚美福源工贸有限公司 一种混凝土铺面和结构建筑用预制伸缩缝填料及其制备方法
KR101816013B1 (ko) * 2016-06-14 2018-01-08 한국도로공사 교량 신축이음장치의 단부 직선시공방법 및 그 방수장치
KR101963836B1 (ko) * 2018-08-02 2019-04-01 주식회사 동해종합기술공사 콘크리트구조물 신축이음 구조
KR102441095B1 (ko) 2020-04-07 2022-09-07 윤효창 콘크리트 바닥의 쏘우 커팅홈 보호커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6011B1 (ko) 2012-04-19 2012-11-29 주식회사 한영에버콘 줄눈재틀을 이용하여 줄눈을 형성하는 콘크리트 포장도로의 시공 방법
KR102239768B1 (ko) * 2020-08-19 2021-04-12 최종오 동시 타설이 가능한 자립형 신축이음장치 및 그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58186B1 (ko) 2002-11-04
KR20010063951A (ko) 2001-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27291A (en) Joint seal for concrete highways
KR101543586B1 (ko) 건축구조물의 방수보호용 구조체
KR200187661Y1 (ko) 콘크리트 슬래브용 신축줄눈
KR100806253B1 (ko) 건설 구조물의 옥상방수공법 및 방수구조
KR101002361B1 (ko) 탈기시트를 이용한 방수구조 및 방수방법
KR102239566B1 (ko) 방수구조
KR100875476B1 (ko) 건설구조물의 방수공법
CN210797919U (zh) 墙体变形缝的防水构造
CA2113041C (en) Plurality of concrete sections having a quadrilateral-shaped water-sealing article disposed therebetween
KR101471468B1 (ko) 건축구조물의 방수구조체
KR100672240B1 (ko) 옥상방수공법
KR101452136B1 (ko) 건축구조물의 방수 보호 장치
KR0139169B1 (ko) 옥상 신축줄눈 및 그의 시공방법
KR101051477B1 (ko) 방수 블록, 이를 이용한 건물의 방수 구조 및 그 시공 방법
KR101306620B1 (ko) 슬림형 탈기반
CN110761496A (zh) 防水屋顶及屋面防水方法
KR101847992B1 (ko) 방수보호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수시공방법
KR20070046509A (ko) 구조물의 시트를 이용한 방수구조 및 방수공법
KR100386913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를 위한 방수층 보호재와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200362798Y1 (ko) 방수시트 연결부의 절연식 접합구조
KR200201192Y1 (ko) 수팽창성 수밀형 고무 지수재
KR101202778B1 (ko) 성형줄눈재 및 이를 이용한 도로포장공법
EP2781665B1 (en) Drainage assembly, coupling part, end part, kit and method for the placement thereof
KR200319781Y1 (ko) 교량 신축이음장치 블록아웃부의 배수관 고정판
KR200367696Y1 (ko) 방수바탕면 오목모서리부의 쿠션부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