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1241B1 - 복합 기능성 보드와 이를 이용한 옥상 방수 및 녹화 구조 - Google Patents

복합 기능성 보드와 이를 이용한 옥상 방수 및 녹화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1241B1
KR101061241B1 KR1020110024400A KR20110024400A KR101061241B1 KR 101061241 B1 KR101061241 B1 KR 101061241B1 KR 1020110024400 A KR1020110024400 A KR 1020110024400A KR 20110024400 A KR20110024400 A KR 20110024400A KR 101061241 B1 KR101061241 B1 KR 1010612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board
insulation
waterproof
heat insul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244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종덕
양재상
김현수
장대희
남창진
Original Assignee
홍종덕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양재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종덕,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양재상 filed Critical 홍종덕
Priority to KR10201100244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124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12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12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36After-treatment
    • C08J9/365Co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75/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75/02Polyurea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1/00Roof covering, as far as not restricted to features covered by only one of groups E04D1/00 - E04D9/00; Roof covering in ways not provided for by groups E04D1/00 - E04D9/00, e.g. built-up roofs, elevated load-supporting roof coverings
    • E04D11/002Roof covering, as far as not restricted to features covered by only one of groups E04D1/00 - E04D9/00; Roof covering in ways not provided for by groups E04D1/00 - E04D9/00, e.g. built-up roofs, elevated load-supporting roof coverings consisting of two or more layers, at least one of the layers permitting turfing of the ro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205/00Foams characterised by their propert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rchitectur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포수지 단열재로 형성되는 단열층; 및 상기 단열층 표면에 형성되는 코팅층을 포함하며, 상기 코팅층은 상기 단열층의 표면에 폴리우레아 또는 하이브리드 우레아를 도포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기능성 보드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발포수지 단열재를 폴리우레아 또는 하이브리드 우레아로 코팅함으로써 단열재의 추가적인 수축, 팽창 및 유동을 근원적으로 차단하여 탁월한 방수, 단열, 방근의 복합 기능이 수행되도록 하면서 이들을 연결 시공한 후 상부에 방수층이나 배수층을 적층하여 옥상의 방수 단열 및 녹화를 효과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복합 기능성 보드와 이를 이용한 옥상 방수 단열 및 녹화 구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복합 기능성 보드와 이를 이용한 옥상 방수 및 녹화 구조{Multi-functional board and structures for waterproof and afforestation of rooftop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복합 기능성 보드와 이를 이용한 옥상 방수 단열 및 녹화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발포수지 단열재를 폴리우레아 또는 하이브리드 우레아로 코팅함으로써 단열재의 추가적인 수축, 팽창 및 유동을 근원적으로 차단하여 탁월한 방수, 단열, 방근의 복합 기능이 수행되도록 하면서 이들을 연결 시공한 후 상부에 방수층이나 배수층을 적층하여 옥상의 방수 단열 및 녹화를 효과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복합 기능성 보드와 이를 이용한 옥상 방수 단열 및 녹화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용으로 사용되는 콘크리트나 벽돌은 그 자체에 수많은 미세한 기공들을 포함하고 있어 이러한 기공을 통하여 건축물 외부의 열기나 냉기가 건축물 내부로 유입되거나, 또는 건축물 내부의 열기나 냉기가 건축물 외부로 빠져나가게 된다. 따라서 여름철에는 외부 열기가 건축물 내부로 유입되고, 내부 냉기가 건축물 외부로 빠져나가게 되어 더 덥게 되고, 겨울철에는 외부 냉기가 건축물 내부로 유입되고, 내부 열기가 건축물 외부로 빠져나가게 되어 더욱 춥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개선하기 위하여 단열재가 일반적으로 시공되고 있다.
단열공법은 일반적으로 내단열과 외단열로 구분될 수 있으며, 건축물의 외피에 단열재를 두는 외단열 공법이 골조를 통해 건축물 내부로 열이 침투하는 열교현상을 유발하지 않아 단열에 절대적으로 유리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단열공법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종래의 발포수지 단열재는 다음과 같은 한계점을 갖고 있어 이상적인 외단열 공법 적용에 장애가 되고 있다. 즉, 발포수지 단열재는 그 자체로 기온에 따라 수축과 팽창의 정도가 과도한 특성을 갖는다. 또한 유동이 심하여 연결 시공된 단열재 상부에 방수층을 형성시키기가 상당히 까다롭다. 나아가 방수층을 적절히 시공한다 하여도 단열재의 유동에 의하여 방수층이 찢어지거나 파손될 우려가 높게 되며, 방수층 누수 시에는 단열재로 물이나 습기가 급속히 침투하여 단열 효과를 현저히 저감시키게 된다. 뿐만 아니라 열에 약하여 단열재 상부에 고온의 도막을 코팅하거나 열을 이용하여 시트를 접착하는 경우에는 단열재에 심각한 변형을 가져올 수 있어 그 활용가능성이 현저히 떨어진다. 따라서 발포수지 단열재를 종래와는 다르게 개선할 필요성이 대두된다고 하겠다.
한편, 최근 도심 속 녹지공간의 확보, 도시미관 개선, 건물의 단열성능 향상 등을 목적으로 옥상의 녹화 사업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데, 이러한 옥상의 녹화구조를 실현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선출원 발명인 특허출원 제2010-19115호를 통하여 옥상의 단열녹화용 다기능 보드 및 이를 이용한 옥상의 단열녹화공법을 제안한 바 있다.
그러나 선출원 발명에서의 다기능 보드는 옥상의 단열, 녹화를 목적으로 하는 경우에만 그 효용 가치가 있을 뿐 옥상에 녹화공간과 함께 노출 또는 비노출로 마감되는 구간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불필요한 구성요소들을 포함하고 있어서 현장에서 직접 시공할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현장 상황에 맞게 시공할 수 있도록 하고, 필요한 요소들을 현장에서 즉시에 만들어 사용할 수 있는 유연성 있는 구조를 형성할 필요도 함께 제기된다.
본 발명은 발포수지 단열재를 폴리우레아 또는 하이브리드 우레아로 코팅함으로써 단열재의 추가적인 수축, 팽창 및 유동을 근원적으로 차단하여 탁월한 방수, 단열, 방근의 복합 기능이 수행되도록 하면서 이들을 연결 시공한 후 상부에 방수층이나 배수층을 적층하여 옥상의 방수 단열 및 녹화를 효과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복합 기능성 보드와 이를 이용한 옥상 방수 단열 및 녹화 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발포수지 단열재로 형성되는 단열층; 및 상기 단열층 표면에 형성되는 코팅층을 포함하며, 상기 코팅층은 상기 단열층의 표면에 폴리우레아 또는 하이브리드 우레아를 도포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기능성 보드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단열층은 직육면체 형상을 가지며, 상기 코팅층은 상기 단열층의 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코팅층이 표면에 형성된 상기 단열층의 측면에 형성되어 이웃하여 배치되는 보드를 연결하는 보드 연결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보드 연결부는, 이웃하여 배치되는 보드와의 사이에 형성된 이음매에 씰란트 충진홈을 형성하도록 상기 이음매의 상단 모서리를 절취하여 형성된 절취부; 및 상기 이음매 주변으로 단차지게 연장 형성되는 마감용 단차를 포함한다.
상기 보드 연결부는, 이웃하여 배치되는 상기 보드와 서로 맞물리도록 단차지게 형성된 연결용 단차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감용 단차에는 보강용 메쉬가 설치된 후 우레탄 씰란트 및 폴리우레아 또는 하이브리드 우레아가 추가 도포될 수 있다.
상기 단열층의 상면에는 가로 또는 세로 방향을 따라 골지게 형성되는 배수 라인이 더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옥상의 콘크리트층 위에 배치되는 단열재층; 및 상기 단열재층 위에 배치되는 방수층을 포함하며, 상기 단열재층은, 발포수지 단열재로 형성되는 단열층; 상기 단열층 표면에 형성되는 코팅층; 및 상기 코팅층이 표면에 형성된 상기 단열층의 측면에 형성되어 이웃하여 배치되는 단열재층을 연결하는 보드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코팅층은 상기 단열층의 표면에 폴리우레아 또는 하이브리드 우레아를 도포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상의 방수 단열 구조를 제공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옥상 슬래브의 콘크리트층 위에 배치되는 단열재층; 상기 단열재층 위에 배치되는 방수층; 상기 방수층 위에 형성되는 배수층; 및 상기 배수층 위에 형성되는 식재기반층을 포함하며, 상기 단열재층은, 발포수지 단열재로 형성되는 단열층; 상기 단열층 표면에 형성되는 코팅층; 및 상기 코팅층이 표면에 형성된 상기 단열층의 측면에 형성되어 이웃하여 배치되는 단열재층을 연결하는 보드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코팅층은 상기 단열층의 표면에 폴리우레아 또는 하이브리드 우레아를 도포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상의 녹화 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발포수지 단열재를 폴리우레아 또는 하이브리드 우레아로 코팅함으로써 단열재의 추가적인 수축, 팽창 및 유동을 근원적으로 차단하여 탁월한 방수, 단열, 방근의 복합 기능이 수행되도록 하면서 이들을 연결 시공한 후 상부에 방수층이나 배수층을 적층하여 옥상의 방수 단열 및 녹화를 효과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복합 기능성 보드와 이를 이용한 옥상 방수 단열 및 녹화 구조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기능성 보드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합 기능성 보드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합 기능성 보드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옥상의 방수 단열 구조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옥상의 녹화구조를 도시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기능성 보드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합 기능성 보드(100)는 단열층(110)과 단열층(110)의 표면에 형성되는 코팅층(12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단열층(110)은 스티로폼 또는 압출 스티로폼과 같은 발포수지재로 형성되며 일반적으로 직육면체 형상을 갖는다. 코팅층(120)은 단열층(110)의 표면에 폴리우레아 또는 하이브리드 우레아를 도포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폴리우레아는 폴리아민 화합물과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의 반응 산물로부터 유도된 탄성중합체로서, 에폭시 및 폴리우레탄과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의 탁월한 여러 물성으로 인하여, 스프레이 도포 후의 초속경화, 높은 인장강도, 내충격성, 내마모성 및 내구성 등을 가지며 이에 따라 방수, 방근에도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또한, 뛰어난 시공성으로 인해 최소 인원으로 단기간 내에 대형 공사를 완료할 수가 있고 경사면과 수직면에도 흘러내리지 않고 도포할 수가 있는 장점이 있다.
하이브리드 우레아는 폴리아민 화합물과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에 폴리올을 더 반응시켜 유도된 탄성중합체로서, 상기 폴리우레아에 근접하는 물성을 가지며 동일하게 탁월한 방수, 방근 효과를 가진다.
따라서 단열층(110)의 표면에 폴리우레아 또는 하이브리드 우레아를 도포함으로써 단열층(110)에 의한 단열 효과에 부가하여 추가적으로 방수, 방근의 효과가 제공될 수 있어 단열재를 배치하는 것만으로도 방수, 방근 기능이 달성될 수 있게 되므로 그 사용범위가 확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폴리우레아 또는 하이브리드 우레아를 단열층(110)의 표면에 도포 시에는 단열층(110)에 0.3~1.0mm 두께로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폴리우레아 또는 하이브리드 우레아의 스프레이 코팅시에는 일부 면에만 코팅 시 발포수지 단열재로 형성되는 단열층(110)의 변형을 가져올 수 있으므로 단열층(110)의 육면에 모두 코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코팅층(110)은 단열재의 공장 제조시 단열층(110)의 표면에 스프레이 코팅하여 제작될 수도 있으나, 필요에 따라 작업 현장에 제공되어진 단열재의 표면에 폴리우레아 또는 하이브리드 우레아를 스프레이 건을 이용하여 간단히 코팅함으로써 형성될 수도 있다. 이는 코팅층(120)을 형성하는 폴리우레아 또는 하이브리드 우레아가 초속경화성을 갖고 있는 데 기인한다.
이와 같이 폴리우레아 또는 하이브리드 우레아를 발포수지 단열재의 육면에 도포하면 단열재의 추가적인 수축, 팽창 또는 유동이 근원적으로 차단될 수 있게 되어 이후의 방수층 시공이나 도막 도포 또는 시트 접착 시 안정적인 시공이 가능하며, 외단열 공법 적용을 비롯한 그 활용가능성을 현저히 높일 수 있게 된다.
보드(100)의 측면에는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드 연결부(130)가 형성된다. 보드 연결부(130)는 반드시 형성되는 것은 아니나, 보드(110)간 연결을 용이하게 하면서 추후 연결부위의 균열을 방지하기 위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보드 연결부(130)는 마감용 단차(131) 및 절취부(132)를 포함한다.
마감용 단차(131)는 보드(100)의 보드 연결부(130)를 상호 맞댄 후 상부에 형성되는 이음매 주변에 4~6cm의 폭으로 형성되며, 절취부(132)는 이음매 상단의 모서리를 절취하여 형성됨으로써 보드(100)의 보드 연결부(130)를 서로 맞대면 씰란트 충진홈(G)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이 씰란트 충진홈(G)에 우레탄 씰란트와 같은 접착용 씰란트가 충분히 삽입되도록 하면 보드(100) 간 견고한 연결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선택적으로 보드(100)의 연결 시 "U"자형 고정구(F)를 보드 연결부(130)의 전면으로 삽입하면 시공 중 혹은 시공 후의 보드(100)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열층(110)의 표면에 코팅층(120)이 형성된 보드(100)의 보드 연결부(130)를 서로 맞댄 후 "U"자형 고정구(F)를 이용하여 보드 간을 고정한 후 절취부(132)로 인하여 형성된 씰란트 충진홈(G)에 우레탄 씰란트와 같은 접착용 씰란트를 삽입하고 그 상부를 이음매 주변으로 형성된 마감용 단차(131)까지 유리섬유와 같은 메쉬(M)로 보강한 후 우레탄 씰란트(U)를 추가 도포한 후 폴리우레아 또는 하이브리드 우레아(C)를 최종적으로 도포 마감함으로써 보드(100)간 연결이 미려하면서도 견고하게 마감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합 기능성 보드(100')를 도시한다. 도 2에 도시된 복합 기능성 보드(100')는 도 1의 실시예와 같이 단열층(110')과 코팅층(120')이 형성되는 것은 동일하고 보드 연결부(130')의 형상만이 도 1과 다소 상이할 뿐이다.
보드 연결부(130')는 복합 기능성 보드(100')의 측면에 마감용 단차(131'), 절취부(132') 및 연결용 단차(133)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보드 연결부(130')의 연결용 단차(133)는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보드(100')와 서로 맞물릴 수 있도록 일측은 그 단면이 "ㄱ"자 형상이 되고 대향하는 타측은 그 단면이 "ㄴ"자 형상이 되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이 형성됨으로써 도 2b에 도시된 단면도와 같이 보드(100')의 연결용 단차(133)를 서로 맞물리도록 끼움 배치한 후 이음매에 형성된 씰란트 충진홈(G)에 우레탄 씰란트와 같은 접착용 씰란트를 충진하여 그 상부를 마감용 단차(131')까지 유리섬유와 같은 메쉬(M)로 보강하고 우레탄 씰란트(U)를 추가 도포한 후 폴리우레아 또는 하이브리드 우레아(C)로 최종 마감함으로써 보드간 연결이 미려하면서도 견고하게 마감될 수 있다. 이때 보드의 유동방지를 위하여 "U"자형 고정구(F)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은 도 1의 경우와 동일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합 기능성 보드(100")를 도시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에 보드 연결부(130 또는 130')가 형성되고 단열층(110 또는 110')과 코팅층(120 또는 120')이 형성됨은 동일하나 보드의 상면에 배수라인(140)이 더 형성된다. 배수 라인(140)은 보드의 상면을 가로 또는 세로 방향을 따라 2~10mm 깊이의 골을 형성함으로써 생성될 수 있으며, 도시된 도면에는 가로 세로 두 개의 배수 라인(140)이 형성되어 있으나 한 개만 형성될 수도 있다. 배수 라인(140)이 형성됨으로써 배수 라인(140)에 고인 습기나 물은 시공 후 드레인으로 유도되어 배출될 수 있게 된다.
도 4는 상기와 같이 형성된 복합 기능성 보드를 이용하여 형성한 옥상의 방수 단열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옥상의 콘크리트층(210) 위에는 습기차단막(220)이 제공될 수 있다. 습기차단막(220)은 상부에 설치될 단열재층(230)으로 습기의 영향이 미치지 않도록 폴리염화비닐 또는 폴리에틸렌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경우에 따라 생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옥상의 방수 단열 구조는 반드시 옥상 바닥면에만 형성되는 것은 아니며 옥상의 파라펫에도 적용될 수 있다. 옥상의 파라펫에 복합 기능성 보드를 이용하여 방수 단열 구조를 형성하는 경우에는 습기차단막(220)을 대체하여 이후 배치될 단열재층(230)을 지지할 수 있도록 접착제가 도포될 수 있으며, 접착제 위해 배치되는 단열재층(230)은 앙카로 추가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부로 배치되는 단열재층(23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두께가 다른 두개의 단열재(231, 232)를 사용하여 구성하였으나, 건축기준 상에서 단열재층(230)이 요구되는 두께에 따라 하나 또는 두개의 단열재가 사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두 개의 단열재(231, 232)를 사용하였으며, 두 개의 단열재가 사용되는 경우 상부에 배치되는 단열재(232)는 도 1 또는 도 2에 도시된 복합 기능성 보드가 사용된다. 만일 하나의 단열재만으로 충분히 단열 효과가 달성되는 경우라면 그 하나의 단열재는 본 발명의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복합 기능성 보드로 형성된다.
하나, 또는 두개의 단열재 중 하나의 단열재는 도 1 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열층(110, 110')에 폴리우레아 또는 하이브리드 우레아가 코팅된 코팅층(120, 120')이 형성되며, 복합 기능성 보드(100, 100')간 연결은 보드 연결부(130, 130')에 의하여 견고하게 이루어짐으로써 시공 중 또는 시공 후의 움직임이나 변형에 의하여 복합 기능성 보드(100, 100')간의 균열로 인해 옥상의 방수 단열 구조가 붕괴되는 것을 막을 수 있게 된다. 추가적으로 복합 기능성 보드(100, 100')의 상면에는 배수 라인(140)이 더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이 형성된 단열재층(230)을 시공하는 것만으로도 단열 기능에 부가하여 방수 및 방근 기능이 추가적으로 부여될 수 있게 된다.
단열재층(230) 위에는 방수 기능을 보강하기 위하여 방수층(240)을 추가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방수층(240)은 도시된 바와 같이 복합 방수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먼저 시공된 단열재층(230) 위에 우레탄계 도막방수층(231)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우레탄계 도막방수층(231)을 시공된 단열재층(230) 위에 전면 도포함으로써 복합 기능성 보드를 다수 연결하여 시공된 단열재층(230)을 정리하면서 일체화시킴과 동시에 그 위로 포설되는 보강시트층(242)이 유동없이 접착되도록 한다. 우레탄계 도막방수층(241) 위에는 보강시트층(242)이 형성된다. 보강시트층은 합성섬유부직포 시트, 유리섬유 또는 섬유보강시트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보강시트층(242) 위에는 폴리우레아층(243)이 더 도포됨으로써 충분한 방수효과가 달성될 수 있게 된다. 이때 방수층(240)을 3중 구조로 형성하는 대신에 PVC 시트, PE 시트, EVA 시트, EPDM계 시트, 경질철판 시트 등의 방수시트를 포설하여도 무방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부로부터 습기나 물이 하부로 침투하는 경우에도 3중 구조의 방수층(240)과 폴리우레아 또는 하이브리드 우레아의 코팅층이 형성된 단열재층(230)에 의하여 탁월한 방수기능이 확보될 수 있어 높은 효율의 옥상의 방수 단열 구조(200)가 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옥상의 방수 단열 구조(200) 상에 자외선 노출을 고려하여 노출마감구조(300)가 부가되거나 비노출로 마감될 수 있다. 노출마감구조(300)의 경우에는 옥상의 자외선에 따른 변색이나 변형을 방지하면서 논슬립기능을 가지게 할 수 있다. 즉, 노출마감구조(300)는 방수 단열 구조(200)의 방수층(240) 상부에 규사를 살포한 후 폴리우레아 또는 하이브리드 우레아를 도포하여 형성한 논슬립층(310)과 우레탄 탑코트층(320)을 포함한다. 노출마감구조(300)는 도시된 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여러 가지 형태의 종래의 노출마감구조(300)를 조합하여 채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옥상의 녹화구조(40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옥상의 녹화구조는 도 4에 도시된 옥상의 방수 단열 구조와 동일한 구조의 방수방근층(410)이 하부에 형성되며, 그 상부로 배수층(420)과 식재기반층(430)이 형성되고, 식재기반층(430) 상부에는 식생 등에 의하여 조경이 설치된다. 이와 같이 옥상의 녹화구조가 옥상의 방수 단열 구조에 기초하여 형성됨으로써 옥상의 방수 단열 작업의 수행과 함께 일부 구간에 대한 옥상의 녹화 구조가 형성될 수 있음으로 인해, 옥상 녹화구조가 현장 적응성 있게 시공될 수 있는 추가적인 장점도 가질 수 있게 된다.
방수방근층(410)은 옥상의 슬라브의 콘크리트층(411)과 그 위에 형성되는 습기차단막(412), 습기 차단막(412) 상부에 포설되는 단열재층(413) 및 단열재층(413) 위에 제공되는 방수층(414)을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상술한 바와 같이 옥상의 방수 단열 구조가 그대로 이용되는 것으로서, 단열재층(413)은 413a, 413b의 두 개의 발포수지 단열재를 이용하여 형성될 수 있으나, 경우에 따라 하나의 단열재층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두 개의 단열재층이 이용되는 경우 413b는 도 1 또는 도 2에 도시된 단열층의 표면에 폴리우레아 또는 하이브리드 우레아가 도포된 복합 기능성 보드로 형성된다. 단열재층(413b)의 상면에는 배수 라인이 형성되지 않아도 무방하다. 이는 추후 배수층(420)이 형성되기 때문이다.
단열재층(413)의 상부에는 방수층(414)이 형성되며 도 4의 경우와 같이 우레탄계 도막방수층(414a), 보강시트층(414b) 및 폴리우레아층(414c)의 3중 구조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형성된 방수방근층(410) 상에는 배수층(420)이 형성된다. 배수층(420)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조경용 배수판을 포설하여 형성될 수 있다. 배수층(420) 상부에는 식재기반층(430)이 형성되며, 식재기반층(430)에는 부직포나 토양필터(431)를 포설하고 토양층(432)이나 기타 여과층 또는 육성층 등을 형성하는 등 종래의 다양한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 상부로 식물의 식재 등에 의하여 조경이 설치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발포수지 단열재를 폴리우레아 또는 하이브리드 우레아로 코팅함으로써 탁월한 방수, 단열, 방근의 복합 기능이 수행되면서 이들을 연결 시공한 후 상부에 방수층 및 배수층을 적층하여 옥상의 방수 단열 및 녹화를 효과적으로 실현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100', 100": 복합 기능성 보드 110, 110': 단열층
120, 120': 코팅층 130, 130': 보드 연결부
140: 배수 라인 200: 방수 단열 구조
300: 노출마감구조 400: 녹화구조

Claims (9)

  1. 발포수지 단열재로 형성되는 단열층과; 상기 단열층 표면에 형성되는 코팅층과; 상기 단열층의 측면에 형성되어 이웃하여 배치되는 보드를 연결하는 보드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코팅층은 상기 단열층의 표면에 폴리우레아 또는 하이브리드 우레아를 도포하여 형성되는 복합 기능성 보드에 있어서,
    상기 단열층의 상면에는 가로 또는 세로 방향을 따라 골지게 형성되는 배수 라인을 마련하되,
    상기 보드 연결부는 이웃하여 배치되는 보드와의 사이에 형성된 이음매에 씰란트 충진홈을 형성하도록 상기 이음매의 상단 모서리를 절취하여 형성된 절취부와; 상기 이음매 주변으로 단차지게 연장 형성되는 마감용 단차와; 이웃하여 배치되는 상기 보드와 서로 맞물리도록 단차지게 형성된 연결용 단차를 포함하고,
    상기 보드 연결부의 마감용 단차에는 보강용 메쉬를 설치한 후 우레탄 씰란트, 폴리우레아 또는 하이브리드 우레아를 추가 도포하며,
    "U"자형 고정구를 보드 연결부의 전면으로 삽입하여 시공 중 또는 시공 후의 보드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기능성 보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옥상의 콘크리트층 위에 배치되는 단열재층과; 상기 단열재층 위에 배치되는 방수층을 포함하고,
    상기 단열재층은 발포수지 단열재로 형성되는 단열층과; 상기 단열층 표면에 형성되는 코팅층과; 상기 단열층의 측면에 형성되어 이웃하여 배치되는 단열재층을 연결하는 보드 연결부를 포함하는 옥상의 방수 단열 구조에 있어서,
    상기 방수층은 상기 단열재층 위에 도포되는 우레탄계 도막방수층과; 상기 우레탄계 도막방수층 위에 형성되는 보강시트층과; 상기 보강시트층 위에 도포되는 폴리우레아층을 포함하고,
    상기 단열재층의 코팅층은 상기 단열층의 표면에 폴리우레아 또는 하이브리드 우레아를 도포하여 형성하며,
    상기 단열재층의 보드 연결부는 이웃하여 배치되는 보드와의 사이에 형성된 이음매에 씰란트 충진홈을 형성하도록 상기 이음매의 상단 모서리를 절취하여 형성된 절취부와; 상기 이음매 주변으로 단차지게 연장 형성되는 마감용 단차와; 이웃하여 배치되는 상기 보드와 서로 맞물리도록 단차지게 형성된 연결용 단차를 포함하고,
    "U"자형 고정구를 보드 연결부의 전면으로 삽입하여 시공 중 또는 시공 후의 보드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상의 방수 단열 구조.
  8. 삭제
  9. 옥상 슬래브의 콘크리트층 위에 배치되는 단열재층과; 상기 단열재층 위에 배치되는 방수층과; 상기 방수층 위에 형성되는 배수층과; 상기 배수층 위에 형성되는 식재기반층을 포함하고,
    상기 단열재층은 발포수지 단열재로 형성되는 단열층과; 상기 단열층 표면에 형성되는 코팅층과; 상기 단열층의 측면에 형성되어 이웃하여 배치되는 단열재층을 연결하는 보드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단열재층의 코팅층은 상기 단열층의 표면에 폴리우레아 또는 하이브리드 우레아를 도포하여 형성하고,
    상기 단열재층의 보드 연결부는 이웃하여 배치되는 보드와의 사이에 형성된 이음매에 씰란트 충진홈을 형성하도록 상기 이음매의 상단 모서리를 절취하여 형성된 절취부와; 상기 이음매 주변으로 단차지게 연장 형성되는 마감용 단차와; 이웃하여 배치되는 상기 보드와 서로 맞물리도록 단차지게 형성된 연결용 단차를 포함하며,
    "U"자형 고정구를 보드 연결부의 전면으로 삽입하여 시공 중 또는 시공 후의 보드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옥상의 녹화 구조.
KR1020110024400A 2011-03-18 2011-03-18 복합 기능성 보드와 이를 이용한 옥상 방수 및 녹화 구조 KR1010612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4400A KR101061241B1 (ko) 2011-03-18 2011-03-18 복합 기능성 보드와 이를 이용한 옥상 방수 및 녹화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24400A KR101061241B1 (ko) 2011-03-18 2011-03-18 복합 기능성 보드와 이를 이용한 옥상 방수 및 녹화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61241B1 true KR101061241B1 (ko) 2011-08-31

Family

ID=449340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24400A KR101061241B1 (ko) 2011-03-18 2011-03-18 복합 기능성 보드와 이를 이용한 옥상 방수 및 녹화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124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2761B1 (ko) 2012-03-21 2012-11-19 주식회사 홍성이엔지 돔형 지붕
KR101471302B1 (ko) * 2013-09-12 2014-12-09 조동호 복합 방수층 및 그 방수 시공방법
KR20190115592A (ko) * 2018-04-03 2019-10-14 세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콘크리트 판넬 및 콘크리트 판넬의 제조 방법
KR102585972B1 (ko) * 2023-01-17 2023-10-06 (주)베인스코어 진공단열재를 이용한 복합단열패널 및 이의 제조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36613A (ja) * 1998-08-27 2000-05-16 Sekisui Chem Co Ltd 壁面材継ぎ目構造と建物
KR100666589B1 (ko) * 2004-09-01 2007-01-09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초단열 및 다중방수기능을 갖는 옥상 구조물의 바닥시스템 및 그의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36613A (ja) * 1998-08-27 2000-05-16 Sekisui Chem Co Ltd 壁面材継ぎ目構造と建物
KR100666589B1 (ko) * 2004-09-01 2007-01-09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초단열 및 다중방수기능을 갖는 옥상 구조물의 바닥시스템 및 그의 시공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2761B1 (ko) 2012-03-21 2012-11-19 주식회사 홍성이엔지 돔형 지붕
KR101471302B1 (ko) * 2013-09-12 2014-12-09 조동호 복합 방수층 및 그 방수 시공방법
KR20190115592A (ko) * 2018-04-03 2019-10-14 세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콘크리트 판넬 및 콘크리트 판넬의 제조 방법
KR102066787B1 (ko) * 2018-04-03 2020-01-15 세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콘크리트 판넬 및 콘크리트 판넬의 제조 방법
KR102585972B1 (ko) * 2023-01-17 2023-10-06 (주)베인스코어 진공단열재를 이용한 복합단열패널 및 이의 제조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34131B2 (en) Building panel having a foam backed fiber cement substrate
US20180187420A1 (en) Insulated wall panel
JP2021513622A (ja) 断熱材に結合される少なくとも1つの硬化セメント質層を備えたプレハブ断熱建築用パネル
CN101113608B (zh) 钢筋混凝土外隔热建筑物的透湿性外墙结构、所使用的复合镶板及墙裙分界沿五金件
JP5882586B2 (ja) 床面の防水方法
US9790682B2 (en) Pre-fabricated construction panels
JP2013517402A (ja) 複合建築及びパネルシステム
KR101061241B1 (ko) 복합 기능성 보드와 이를 이용한 옥상 방수 및 녹화 구조
KR102051495B1 (ko) 방수방근시트 및 그 시공방법
KR102239566B1 (ko) 방수구조
KR100950086B1 (ko) 옥상용 단열방수공법 및 단열방수용 복합판재
KR101928041B1 (ko) 외단열재가 일체화된 벽체모듈를 이용한 건축 구조물의 시공방법
KR200441911Y1 (ko) 방수층 보호재
KR100231910B1 (ko) 휨 및 표면충격 강도가 강화된 건축용 패널및 그 제조방법
KR100875476B1 (ko) 건설구조물의 방수공법
KR101275273B1 (ko) 지하수 배수장치
KR102047111B1 (ko) 연질 폴리우레탄 도막 방수재를 이용한 비노출형 4중 복합방수 시공방법
KR101657683B1 (ko) 열교차단 및 방수용 고강도 단열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KR20090081082A (ko) 조립식 외단열 방수 구조
KR20050027192A (ko) 방수층 보호재
KR102387380B1 (ko) 욕실 건식 바닥 시스템
KR200399347Y1 (ko) 지하실 내부 벽체용 패널 구조
KR100590854B1 (ko) 복합 폴리우레탄 방수시트 및 그 방수시트를 이용한 시공방법
CN210622128U (zh) 一种屋面装饰结构
RU2777582C2 (ru) Готовая изолированная строительная панель с по меньшей мере одним отвержденным цементным слоем, сцепленным с изоляцие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14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