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027192A - 방수층 보호재 - Google Patents

방수층 보호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027192A
KR20050027192A KR1020040020253A KR20040020253A KR20050027192A KR 20050027192 A KR20050027192 A KR 20050027192A KR 1020040020253 A KR1020040020253 A KR 1020040020253A KR 20040020253 A KR20040020253 A KR 20040020253A KR 20050027192 A KR20050027192 A KR 200500271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proof layer
protective material
plastic resin
density plastic
nonwoven fab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02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24354B1 (ko
Inventor
배문옥
Original Assignee
한본인더스트리 주식회사
배문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본인더스트리 주식회사, 배문옥 filed Critical 한본인더스트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202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24354B1/ko
Publication of KR200500271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271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43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435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next to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form; Layered products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1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form; Layered products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discontinuous layer, i.e. formed of separate pieces of material
    • B32B3/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form; Layered products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discontinuous layer, i.e. formed of separate pieces of material characterised by an internal layer formed of separate pieces of material which are juxtaposed side-by-side
    • B32B3/2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form; Layered products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discontinuous layer, i.e. formed of separate pieces of material characterised by an internal layer formed of separate pieces of material which are juxtaposed side-by-side of hollow pieces, e.g. tubes; of pieces with channels or cavi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22Non-woven fabr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2Non-macromolecular additives
    • C09J11/04Non-macromolecular additives in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95/00Adhesives based on bituminous materials, e.g. asphalt, tar, pitch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4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release l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3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thermal properties
    • B32B2307/304Insul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2301/0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2301/10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 C09J2301/12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by the arrangement of layers
    • C09J2301/124Additional features of 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zed by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e adhesive tape or sheet by the arrangement of layers the adhesive layer being present on both sides of the carrier, e.g. double-sided adhesive tape

Abstract

본 발명은 고밀도 플라스틱 수지를 공기층이 형성되도록 압출성형하되, 일면에 폴리프로필렌 부직포를 부착한 구조를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층에 부착함으로써, 방수층 누름 콘크리트 타설이나 토사의 되메우기 작업과 같은 후속공정 수행시, 신뢰적으로 방수층을 보호하고, 단열효과를 겸비할 수 있는 방수층 보호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외부방수공사에 시공되는 방수층을 보호하기 위한 방수층 보호재에 있어서, 폴리프로필렌과 폴리에틸렌의 공중합체를 원료로 하여 소정 형상으로 압출성형된 고밀도 플라스틱 수지 보드; 상기 고밀도 플라스틱 수지 보드의 일면에 설치되어 방수층에 결합되는 부직포; 및 상기 부직포의 일면에 소정 간격마다 구비되어 방수층에 부직포를 부착하기 위한 부착수단을 포함하는 방수층 보호재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고밀도 플라스틱 수지 보드는 상판, 하판 및 상, 하판 사이에 균등하게 다수 배열되며, 공기 수용공간을 형성하여 단열성을 가질 수 있도록 형성된 원통기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방수층 보호재{A waterproofing layer protect matrial}
본 발명은 일반 건축물의 지하실 외벽이나 지하주차장 상부 슬라브, 건물옥상,지하차도, 지하철, 전력구, 공동구, 개착식 터널등과 같이 방수처리가 필요한 콘크리트 구조물에 설치된 방수층을 보호하기 위한 방수층 보호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기존의 방수층 보호용으로 시공되고 있는 방수층 보호몰탈 타설공정이나, 방수층 보호 벽돌쌓기, 또는 방수층 보호 발포 폼보드 부착공정을 실시후 바닥면의 누름콘크리트 타설이나, 벽체면의 되메우기 작업시 방수처리면을 신뢰적으로 보호하고, 시공성 및 단열성을 향상시키며, 공기를 단축할 수 있는 방수층 보호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하철, 지하차도, 전력구, 공동구, 개착식 터널등의 지하 콘크리트 구조물이나, 건물의 지하 외벽면, 지하주차장 상부 슬라브, 건물 옥상등과 같은 콘크리트 구조물에는 내부로 물이 누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방수처리를 하고 있다.
이러한 방수처리를 위한 종래의 시공방법의 일예를 도1a 및 도1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1a는 지하철 또는 지하차도등과 같이 지하콘크리트 구조물의 외벽 방수층을 보호하기 위하여 조적쌓기를 실시한 상태도이고, 도1b는 방수층 외면에 방수층 보호 발포폼보드를 설치한 상태도를 각각 나타낸다.
본 예시도에서는 지하 콘크리트 구조물의 외부 방수시공방법을 나타낸 것으로, 도면에 보인 바와 같이 지하 콘크리트 구조물(100)의 외벽면은, 고무화 아스팔트 또는 이와 유사한 방수자재(101)로 방수시공을 한 후, 방수층을 보호하기 위하여 0.5B의 시멘트 벽돌쌓기(110)(도1a에 도시), 10 ∼ 50mm 두께의 발포 폴리에틸렌 폼보드, 발포 우레탄 폼보드 또는 발포 폴리스틸렌 폼보드등의 방수층 보호재(130)(도1b에 도시)를 방수층위에 부착하고, 후속공정으로 모래 또는 흙과 돌멩이 등의 잡석이 뒤섞인 토사 되메우기작업으로 마감을 하게 된다.
또한, 지하 콘크리트 구조물의 바닥면에는 버림 콘크리트(150) 상면에 고무화 아스팔트 또는 이와 유사한 방수자재(101)로 방수시공을 한 후, 24 ∼ 30mm 두께의 보호몰탈 타설(120)하고, 후속공정으로 누름 콘크리트(140)를 타설하여 마감한다. 상부 슬라브면의 경우에는 그의 상면에 방수자재(101)로 방수시공을 한 후, 10 ∼ 50mm 두께의 발포 폴리에틸렌 폼보드, 발포 우레탄 폼보드 또는 발포 폴리스틸렌 폼보드등의 방수층 보호재(130)를 방수층(101)위에 부착하고, 후속공정으로 모래 또는 흙과 돌멩이 등의 잡석이 뒤섞인 토사 되메우기작업으로 마감을 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지하 콘크리트 구조물(100)의 외벽 방수층을 보호하기 위한 방수층 보호재중 방수층 보호벽돌 쌓기 작업방법은 오래전부터 사용하여 왔던 방수층 보호공법으로서, 시멘트 벽돌의 견고성으로 토사 되메우기 작업시, 토압에 의한 방수층 파손 우려가 적어 방수층 보호역할은 우수한 반면에, 좁은 지하의 작업공간에서 벽돌쌓기 작업의 어려움과 시공 인건비의 과다소요 및 작업기간이 많이 소요되어 공사기간이 길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지하 콘크리트 구조물의 바닥면이나 상부 슬라브면의 방수층을 보호하기 위해 24 ∼ 30mm의 방수층 보호몰탈을 타설하는 작업방법은 방수층 보호역할은 우수하나 시공 인건비가 과다하게 소요되고 시멘트 몰탈의 양생기간동안 후속공정의 진행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방수층 보호재로서 사용되는 방수층 보호몰탈 타설이나 방수층 보호 시멘트 벽돌쌓기의 문제점에 대한 대체방안으로서 최근에는 발포 폴리에틸렌 폼보드, 발포 우레탄 폼보드, 다소 가격이 저렴한 발포 스틸렌 폼보드를 방수층에 부착시키되, 후속공정으로 바닥면의 경우에는 누름콘크리트 타설작업을 하고, 상부 슬라브면이나 벽체면의 경우에는 토사 되메우기 작업을 수행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여기에서 제시한 각종 폼보드 방수층 보호재는 설치가 간편하며, 재질자체가 소정의 탄성을 가지고 있어 충격에 대한 저항성을 나타내고 있으나, 벽체면에 폼보드 설치후 토사 되메우기 작업과정에서 상기 토사의 압력에 의해 상기 폼보드가 방수층과 분리되어 파단되고, 이 결과 상기 방수층에 손상을 입히게 되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고밀도 플라스틱 수지를 공기층이 형성되도록 압출성형하되, 일면에 폴리프로필렌 부직포를 부착한 구조를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층에 부착함으로써, 누름 콘크리트 타설이나 토사의 되메우기 작업과 같은 후속공정 수행시, 신뢰적으로 방수층을 보호하고, 내수성, 내열성, 내약품성 및 내충격성이 우수하며, 상기 공기층에 의한 단열효과를 겸비할 수 있는 방수층 보호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압축강도와 미끄러짐 성능이 우수하여 토사의 되메우기시 발생되는 토압에 신뢰적으로 견딜 수 있고, 시공작업이 간단하여 공기를 단축할 수 있는 방수층 보호재를 제공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외부방수공사에 시공되는 방수층을 보호하기 위한 방수층 보호재에 있어서, 폴리프로필렌과 폴리에틸렌의 공중합체를 원료로 하여 요철형태의 공기층을 갖도록 소정 형상으로 압출성형된 고밀도 플라스틱 수지 보드; 상기 고밀도 플라스틱 수지 보드의 일면에 설치되어 방수층에 결합되는 부직포; 및 상기 부직포의 일면에 소정 간격마다 구비되어 방수층에 부직포를 부착하기 위한 부착수단을 포함하는 방수층 보호재를 제공한다.
본 제1 실시예에서, 상기 고밀도 플라스틱 수지 보드는 상판, 하판 및 상, 하판 사이에 균등하게 다수 배열되며, 공기 수용공간을 형성하여 단열성을 가질 수 있도록 형성된 원통기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고밀도 플라스틱 수지 보드의 다른예로서는 상기 보드를 이루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상면에 균일하게 다수 배열되며 공기 수용공간을 형성하여 단열성을 가질 수 있도록 형성된 원통기둥을 포함하되, 상기 원통기둥의 상면에는 부직포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2 시예에서는 상기 실시예의 구성 대신에 폴리프로필렌과 폴리에틸렌의 공중합체를 원료로 하여 요철형태의 공기층을 갖도록 소정 형상으로 압출성형된 고밀도 플라스틱 수지 보드; 및 상기 고밀도 플라스틱 수지 보드의 일면에 설치되며, 상기 보드와 방수층에 각각 결합되도록 하기 위한 양면테이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구조에서는 고밀도 플라스틱 수지 보드로부터 이형지를 떼어내어 방수층에 직접 부착할 수 있기 때문에 별도의 그립등이 필요하지 않고, 시공이 매우 간편할 뿐만 아니라, 제조단가를 낮출 수 있는 잇점을 가진다.
이하, 첨부된 도2 내지 도11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방수층 보호재는, 고압축강도와 우수한 미끄러짐 성능을 가지도록 하여 방수층 시공후, 후속공정으로 수행되는 누름콘크리트 타설이나 토사 되메우기 작업시 신뢰적으로 방수층을 보호할 수 있도록 구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리프로필렌과 폴리에틸렌의 공중합체를 원료로 하여 높이가 5 ∼ 10mm정도의 요철형태인 공기층을 갖도록 압출성형된 고밀도 플라스틱 수지 보드(1)와; 상기 고밀도 플라스틱 수지 보드(1)의 일면에 설치되어 방수층(4)에 부착되는 폴리프로필렌 재질의 부직포(2); 및 상기 부직포(2)의 일면에 소정 간격마다 구비되어 방수층(4)에 부직포(2)를 부착하기 위한 접착수단(3)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고밀도 플라스틱 수지 보드(1)는 기존의 발포 폴리에틸렌 폼, 우레탄 폼, 폴리스틸렌 폼등과 비교하여 높은 압축강도와, 충격강도를 나타내며, 바닥면의 방수층 보호재 설치후 와이어 메쉬 또는 철근 배근작업시에도 방수층의 파손 우려가 없다.
상기 보드(1)의 구조에 대한 제1실시예로서는 도2 및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판(11), 하판(12) 및 상, 하판(11, 12) 사이에 균등하게 다수 배열되며, 공기 수용공간을 형성하여 단열성을 가질 수 있도록 형성된 원통기둥(13)을 포함한다.
상기 상, 하판(11, 12) 및 원통기둥(13)은 모두 압출공정에 의해 일체로 제조되며, 상판면 즉 누름콘크리트나 토사 되메우기 작업시에 외부로 노출되는 표면은 매끄럽게 제조되어 미끄러짐 성능이 매우 우수하다. 이러한 미끄러짐 성능은 토사의 되메우기 작업시, 토사가 고밀도 플라스틱 수지 보드(1)에 접촉하여도 바로 바닥으로 미끄러져 내려가기 때문에, 토압을 적게 걸리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원통기둥(13)은 내부공간에 의한 공기층을 형성함으로써 콘크리트 구조물 내부면에 발생되는 결로현상의 발생을 방지하는 단열효과외에도 되메우기 토사의 압력에 대한 충격흡수성이 우수하다.
도2에서, 상판에 다수 형성된 타원은 보드(1)의 제조시에 원통기둥(13)의 자국이 상판면(11)에 새겨진 것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방수층 보호재는 두께(높이)가 3.5 ∼ 4.5mm, 폭×길이가 1 ∼ 1.35m × 1.5 ∼ 2.0m정도의 크기로 제조되고, 폴리에스터 부직포는 50g/m2을 보드면에 부착하게 된다. 이때, 상기 보드간의 연결수단으로는 공동구등의 벽체면과 같이 수직면에 부착될 경우에는 도4 및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T"형 그립(도4에 도시)(4)이나 "I"형 그립(도5에 도시)(6)을 사용하여 연결한다. 여기서, 상기 도4에 도시된 "T"형 그립(4)을 사용할 경우에는 "T"자의 플랜지면(4a)에 보드(1)를 올려놓고 스태이플(staple)(5)을 연속하여 철하여 고정한다.
바닥면 또는 상부 슬라브면의 방수층과 같은 상면에 방수층 보호재를 부착하는 경우에는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 접착테이프로 보드(1)간의 경계면에 부착하여 연결한다. 마찬가지로 상기 수직 방수층과 접하는 보드간의 경계면을 단면 접착테이프로 연결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고밀도 플라스틱 수지 보드(1)에 대한 제2실시예가 도10 및 도11에 도시되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보드(1)를 이루는 베이스부(21)와, 상기 베이스부(21)의 상면에 균일하게 다수 배열되며, 공기 수용공간을 형성하여 단열성을 가질 수 있도록 형성된 원통기둥(22)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원통기둥(22)의 상면에 부직포(2)가 부착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보호재를 형성할 경우에는 전술한 제1 실시예보다 투입재료가 적게 소요되므로, 제조단가를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접착수단(3)으로는 양면테이프나, 실리콘 이형필름 접착제, 역청질계 고무 아스팔트 접착제를 용도에 따라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는데, 이때, 상기 접착수단은 폴리프로필렌 부직포면에 전면 접착하거나, 소정 간격마다 소정 폭을 갖는 띠모양으로 부착한다.
여기서, 상기 실리콘 이형필름 접착제는 본 발명의 방수층 보호재 제조시에 부직포면에 접착제가 도포된 후, 상기 접착제가 타부재와 접착되지 않도록 임시방편으로 상기 접착제에 실리콘 이형필름이 부착되어 있다가 필요시 벗겨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을 의미하는데, 이러한 구조는 방수층 보호재로부터 실리콘 이형필름을 벗겨낸 후, 공동구의 상부 슬라브면이나 벽체면의 방수층에 바로 부착되도록 함으로써 시공성을 향상시킨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의 구조를 간략하게 실리콘 이형필름 접착제로 통칭한다.
상기 역청질계 고무 아스팔트 접착제는 아스팔트 화합물을 주원료로 하되, 합성 고분자수지 접착제·고탄력 고무 및 내구성이 뛰어난 무기질 필러류를 첨가 혼합하여 겔(gel)상태화시킨 접착제이다. 상기의 고무 아스팔트 접착제는 국내 등록 특허 제0278173호에 기재된 공지의 도막방수재로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보드(1)의 일면에 부직포(2)를 부착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이에 국한하는 것은 아니고, 상기 부직포(2) 대신에 강력한 접착층이 도포되어 있는 양면 테이프가 부착된 구조로 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양면테이프로부터 박리지를 떼어내어 방수층과 부직포면에 직접 부착할 수 있기 때문에 별도의 그립등이 필요하지 않고, 시공이 매우 간편할 뿐만 아니라, 제조단가를 낮출 수 있는 잇점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방수층 보호재에 대한 시공상태를 도7 내지 도9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시공방법을 도7 내지 도9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시공예에서는 제1 실시예에서 제안한 보호재를 채용하여 설명하며, 본 도는 지하 콘크리트 구조물(10)을 일예로 하여 도시된 것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하 콘크리트 구조물(50)의 상면과 측면에 소정 두께의 방수층(51)이 형성된 상태에서, 상부 슬라브면 또는 바닥면의 경우에는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상기 버림 콘크리트(150) 상면에 도포된 방수층과 폴리프로필렌 부직포면이 접하도록 하면서 깔아주되, 바닥면의 경우에는 방수층 보호재 위에 누름 콘크리트(140)를 타설하여 마감하고, 상부 슬라브면의 경우에는 방수층 보호재 위에 토사 되메우기로 마감한다.
또는 상기 방수층(51) 상부면이나 폴리프로필렌 부직포(2)상면에 소정 간격으로 고무 아스팔트 접착제(3)를 일정 폭만큼 띠 형태로 도포한 후, 고밀도 플라스틱 수지 보드(1)의 일면에 부착된 폴리프로필렌 부직포(2)가 방수층(51)과 접하도록 하여 부착한다. 그리고, 소정 압력으로 작업자가 상기 고밀도 플라스틱 수지 보드(1)를 눌러주게 되면, 상기 고무 아스팔트 접착제(3)에 의해 방수층(51)과 폴리프로필렌 부직포(2)가 부분접착된다.
상기 보호재를 연속하여 연결하여 부착하고자 할 경우, 상기 고밀도 플라스틱 수지 보드(1)간의 연결부 이음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고밀도 플라스틱 수지 보드(1)와 다른 고밀도 플라스틱 수지 보드(1')를 맞닿게 하되, 단면테이프(7)를 이용하여 보드(1, 1')간의 경계부위를 부착하여 이음틈새없이 연결한다.
상기와 같이 방수층(51)위에 보호재로서의 고밀도 플라스틱 수지 보드(1)를 깔아준 후, 후속공정으로 바닥면의 경우에는 누름 콘크리트(140)를 타설하고, 상부 슬라브면의 경우에는 토사 되메우기를 하여 마감한다. 이때, 상기 고밀도 플라스틱 수지 보드(1)의 원통기둥(13)에 의해 형성된 공기층은 외부온도를 차단하는 단열기능 및 충격흡수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다음, 상기 지하 콘크리트 구조물(10) 측면(벽체면)의 경우에는,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고밀도 플라스틱 수지 보드(1)와 다른 고밀도 플라스틱 수지 보드(1')를 맞닿게 하되, 이들 경계부에 "T"형 그립(4)을 끼우고, 스태플러를 이용하여 부직포면(2)측에서 "T"형 그립(4)의 플랜지(4a)를 항하여 연속적으로 스태플링을 하여 보호재간을 연결한다.
그리고, 상기 고무 아스팔트 접착제 또는 양면 테이프와 같은 접착수단(3)을 방수층(51)에 대응하는 부직포면(2)에 띠 형태(본 실시예에서의 띠폭은 5cm)로 소정 간격마다 구비하여 벽체면 방수층에 부착한다. 상기 폴리프로필렌 부직포 전면에 실리콘 이형필름 접착제가 구비된 경우에는 실리콘 이형필름을 벗겨낸 후, 방수층에 부착한다.
다음에 마직막 후속공정으로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사 되메우기를 실시한다.
이때, 상기 토사가 고밀도 플라스틱 수지 보드(1)의 일면(상판면)과 접촉할 때, 상기 상판면의 우수한 미끄러짐 성능에 의해 토사가 보드(1)면에 부착되지 않고 바로 바닥으로 미끄러짐으로써, 상기 보드(1)에 가해지는 토압이 최소화되어, 보드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파라펫트 부위의 시공은 먼저 고밀도 플라스틱 수지 보드(1)의 일면을 방수층(51)과 접착시키고, 폴리프로필렌 부직포(2)면을 외부에 노출시킨다. 그리고 상기 폴리프로필렌 부직포(2)면에 메탈라스(도시하지 않음)를 설치한 후, 몰탈 미장으로 마감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상, 하판 중간에 원통기둥이 형성된 고밀도 플라스틱 수지 보드와 폴리프로필렌 부직포가 결합된 방수층 보호재를 콘트리트 구조물의 바닥면, 상부 슬라브면 및 벽체면 방수층위에 깔아주되, 전면 접착 또는 부분접착으로 방수층과 결합시킴으로써, 좁은 공간에서도 시공을 매우 간편히 할 수 있으며, 파라펫트 부위에 본 발명의 방수층 보호재를 설치할 경우, 후속공정 작업이 매우 용이하다.
본 발명은 기존의 발포 폴리에틸렌 폼이나 발포우레탄 폼등에 비교하여 가격이 매우 저렴할 뿐만 아니라, 높은 압축강도를 가지기 때문에, 방수층 보호재 설치후 와이어 메쉬 또는 철근 배근작업시에도 방수층의 파손우려가 없다. 또한, 벽체면 방수층위에 설치하였을 경우에는 방수층 보호재의 표면이 매끄럽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토사의 되메우기 작업과정에서 토사의 압력이 가해진다 하여도 토사의 슬라이딩 효과를 나타냄으로써 방수층 보호재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고밀도 플라스틱 수지 보드의 원통기둥에 의해 공기층이 형성됨으로써, 누름 콘크리트 타설층이나, 토사 되메우기층간에 단열효과를 나타낸다.
도1a 및 도1b는 종래 기술에 따른 방수시공방법의 일예로서 지하 공동구에 시공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2는 본 발명에 의한 방수층 보호재의 제1 실시예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3은 도2의 조립단면도.
도4는 본 발명에 의한 방수층 보호재의 연결구성을 나타낸 일예시도.
도5는 본 발명에 의한 방수층 보호재의 연결구성을 나타낸 다른 예시도.
도6은 본 발명에 의한 방수층 보호재의 연결구성을 나타낸 또 다른 예시도.
도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방수층 보호재를 지하공동구에 설치하는 상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8은 본 발명에 의한 방수층 보호재를 지하 공동구의 벽면에 시공후, 토사 되메우기를 나타낸 시공개략도.
도9는 본 발명에 의한 방수층 보호재를 상부 방수층에 시공한 상태를 나타낸 시공개략도.
도10은 본 발명에 의한 방수층 보호재의 제2 실시예 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11은 도10의 조립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고밀도 플라스틱 수지 보드 2: 폴리프로필렌 부직포
3: 접착수단 4: "T"형 그립
5: 스테이플 6: "I"형 그립
11: 상판 12: 하판
13: 원통기둥

Claims (11)

  1. 콘크리트 구조물의 외부방수공사에 시공되는 방수층을 보호하기 위한 방수층 보호재에 있어서,
    폴리프로필렌과 폴리에틸렌의 공중합체를 원료로 하여 요철형태의 공기층을 갖도록 소정 형상으로 압출성형된 고밀도 플라스틱 수지 보드;
    상기 고밀도 플라스틱 수지 보드의 일면에 설치되어 방수층에 결합되는 부직포; 및
    상기 부직포의 일면에 소정 간격마다 구비되어 방수층에 부직포를 부착하기 위한 부착수단
    을 포함하는 방수층 보호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밀도 플라스틱 수지 보드는
    상판, 하판 및 상, 하판 사이에 소정 간격으로 다수 배열되며 공기 수용공간을 형성하여 단열성을 가질 수 있도록 형성된 원통기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층 보호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밀도 플라스틱 수지 보드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상면에 소정 간격으로 다수 배열되며 공기 수용공간을 형성하여 단열성을 가질 수 있도록 형성된 원통기둥을 포함하되, 상기 원토기둥의 상면에 부직포가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층 보호재.
  4.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밀도 플라스틱 수지 보드와 부직포는 일체로 제조되며, 상기 고밀도 플라스틱 수지 보드의 외부 노출면은 매끄럽게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층 보호재.
  5.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밀도 플라스틱 수지 보드간을 연속적으로 연결하기 위하여, 상기 고밀도 플라스틱 수지 보드간의 경계부위에 설치되는 "T"형 그립과; 상기 "T"형 그립의 플랜지면에 놓여져 있는 보드와 "T"형 그립을 고정하기 위한 스태이플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층 보호재.
  6.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밀도 플라스틱 수지 보드간을 연속적으로 연결하기 위하여, 상기 고밀도 플라스틱 수지 보드 각각이 끼워져 고정되도록 하기 위한 "I"형 그립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층 보호재.
  7.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밀도 플라스틱 수지 보드간을 연속적으로 연결하기 위하여, 상기 고밀도 플라스틱 수지 보드간의 경계부에 설치되는 단면 접착테이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층 보호재.
  8.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가 폴리프로필렌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층 보호재.
  9.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수단이
    아스팔트 화합물을 주원료로 하되, 합성 고분자수지접착제·고탄력 고무 및 내구성이 뛰어난 무기질 필러류를 첨가 혼합하여 겔(gel)상태화시킨 역청질계의 고무 아스팔트 접착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층 보호재.
  10.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수단이
    양면접착테이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하는 방수층 보호재.
  11.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수단이
    부직포면에 도포된 접착제와, 상기 접착제가 타부재와 접착되지 않도록 임시방편으로 상기 접착제에 부착되었다가 필요시 벗겨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실리콘 이형필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층 보호재.
KR1020040020253A 2004-03-25 2004-03-25 방수층 보호재 KR1006243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0253A KR100624354B1 (ko) 2004-03-25 2004-03-25 방수층 보호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0253A KR100624354B1 (ko) 2004-03-25 2004-03-25 방수층 보호재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09688U Division KR200357967Y1 (ko) 2004-04-08 2004-04-08 방수층 보호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27192A true KR20050027192A (ko) 2005-03-18
KR100624354B1 KR100624354B1 (ko) 2006-09-19

Family

ID=373845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0253A KR100624354B1 (ko) 2004-03-25 2004-03-25 방수층 보호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2435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358275A (zh) * 2014-11-19 2015-02-18 武汉一冶建筑安装工程有限责任公司 较深电梯井或集水井施工方法
KR20180021464A (ko) * 2016-08-22 2018-03-05 안동수 결로방지 효과가 향상된 방수층 보호재 및 이를 사용한 방수시공방법
KR20200042977A (ko) * 2018-10-16 2020-04-27 (주)트러스 마이크로 에어층을 포함하는 방수테이프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8991Y1 (ko) 2008-12-18 2012-03-21 한본인더스트리 주식회사 방근판 기능을 갖는 방수층 보호재
KR101651783B1 (ko) * 2015-06-10 2016-08-29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슬라이딩 보호재를 이용한 지하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 시공 구조 및 방법
KR102421339B1 (ko) * 2021-07-29 2022-07-15 주식회사 건향알앤디 타공이 형성된 폴리프로필렌 중공형 패널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23940B2 (ja) * 1995-07-28 2004-04-26 日本中芯販売株式会社 サンドイッチパネル用芯材及びサンドイッチパネル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358275A (zh) * 2014-11-19 2015-02-18 武汉一冶建筑安装工程有限责任公司 较深电梯井或集水井施工方法
CN104358275B (zh) * 2014-11-19 2016-02-03 武汉一冶建筑安装工程有限责任公司 较深电梯井或集水井施工方法
KR20180021464A (ko) * 2016-08-22 2018-03-05 안동수 결로방지 효과가 향상된 방수층 보호재 및 이를 사용한 방수시공방법
KR20200042977A (ko) * 2018-10-16 2020-04-27 (주)트러스 마이크로 에어층을 포함하는 방수테이프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24354B1 (ko) 2006-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78173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도막 및 시트 이중방수재
JP2012122317A (ja) 床面の防水方法、防水シート
KR102239566B1 (ko) 방수구조
KR200441911Y1 (ko) 방수층 보호재
KR100624354B1 (ko) 방수층 보호재
KR101966082B1 (ko) 방수 보호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수시공 방법
KR200357967Y1 (ko) 방수층 보호재
KR101966832B1 (ko) 재활용이 가능한 방수 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 공법
KR20070103813A (ko) 방수층 보호시트 및 그 제조방법
KR100231910B1 (ko) 휨 및 표면충격 강도가 강화된 건축용 패널및 그 제조방법
KR101061241B1 (ko) 복합 기능성 보드와 이를 이용한 옥상 방수 및 녹화 구조
KR200444931Y1 (ko) 방수층 보호재
KR20080005337U (ko) 방수층 보호재
GB2437370A (en) Floor for wet area
KR200195343Y1 (ko) 콘크리트구조물의 방수시트
KR200420567Y1 (ko) 방수층 보호시트
KR100542380B1 (ko) 콘크리트 슬래브용 신축줄눈 구조 및 그 시공 방법
KR100386913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를 위한 방수층 보호재와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2008627B1 (ko) 결로 방지 및 마감재 부착이 용이한 아파트의 외벽 부착용 단열재 및 이를 이용한 아파트의 외단열 시공방법
KR200458991Y1 (ko) 방근판 기능을 갖는 방수층 보호재
KR200329054Y1 (ko) 방수성능을 가진 인접하는 피씨벽부재의 측면 연결부의구조 및 이 구조에 사용되는 피씨벽부재
KR100288327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도막 및 시트 이중공법
KR102149649B1 (ko) 방수 보호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수시공 방법
CN114059796B (zh) 一种砖砌体女儿墙修缮结构及其修缮方法
CN111576424B (zh) 一种注浆装置及现浇管廊变形缝处注浆的施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