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4931Y1 - 방수층 보호재 - Google Patents

방수층 보호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4931Y1
KR200444931Y1 KR2020080014334U KR20080014334U KR200444931Y1 KR 200444931 Y1 KR200444931 Y1 KR 200444931Y1 KR 2020080014334 U KR2020080014334 U KR 2020080014334U KR 20080014334 U KR20080014334 U KR 20080014334U KR 200444931 Y1 KR200444931 Y1 KR 20044493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resin sheet
foamed resin
attached
part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1433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창훈
박준기
Original Assignee
박창훈
박준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창훈, 박준기 filed Critical 박창훈
Priority to KR202008001433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493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493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493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1/00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2/00Non-structural supports for roofing materials, e.g. battens, boards
    • E04D12/002Sheets of flexible material, e.g. roofing tile underlay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02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made of webs, e.g. of fabrics, or wallpaper, used as coverings or lin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24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preventing damage to building parts or finishing work during construction
    • E04G2021/248Tarpauli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목적은 빠른 시공이 가능하고, 방수층을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방수층 보호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제작이 쉽고, 제조비용이 절감되는 방수층 보호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에서는 롤 형태로 감길 수 있도록 유연한 재질로 만들어진 발포 수지 시트; 상기 발포 수지 시트의 일면에 부착된 표면층; 상기 표면층이 부착된 일면의 반대 면에 부착되고, 상기 발포 수지 시트 상의 영역을 구획하여 공기층을 형성하는 격벽층; 및 상기 격벽층이 상기 발포 수지 시트와 부착된 부분의 반대편에 형성된 접착제층을 포함하는 방수층 보호재를 제공한다.
발포 수지 시트, 격벽층, 공기층, 방수층

Description

방수층 보호재{A waterproofing layer protect material}
본 고안은 일반 콘크리트 구조물의 외부 방수 공사에 시공되는 방수층을 보호하는 방수층 보호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바닥면의 누름콘크리트 타설이나, 벽체면의 되메우기 작업 시 방수 처리 면을 효과적으로 보호하고, 시공성 및 단열성을 향상시키며, 콘크리트 외부 방수 공사의 공기를 단축할 수 있도록 돕는 방수층 보호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 건물의 지하실 외벽, 지하 주차장 상부 슬래브, 건물 옥상 등이나, 지하 차도, 지하철, 전력구, 공동구, 개착식 터널 등의 콘크리트 구조물에는 물이 스며드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고무화 아스팔트 등으로 만들어진 방수층이 설치된다. 이 방수층을 보호하기 위해 종래에는 측벽의 경우 조적 쌓기(벽돌 쌓기)를 실시하거나, 방수층 외면에 방수층 보호재로서 소정 두께의 발포 수지 시트를 설치한다. 또한, 후속공정으로 모래 또는 흙과 돌멩이 등의 잡석이 뒤섞인 토사 되메우기 작업으로 마감한다.
바닥 면이나 상부 슬래브면의 방수층을 보호하기 위해 방수층 보호 모르타르를 타설하거나, 방수층 외면에 방수층 보호재로서 소정 두께의 발포 수지 시트를 설치한다.
기존의 벽돌 쌓기, 보호몰탈 시공, 소정 두께의 발포 수지 시트 설치 등의 방법 중에서 벽돌 쌓기나 보호몰탈 시공의 경우, 좁은 공간에서 작업이 어려운 경우가 많고, 작업시간이 오래 걸려서 공기가 길어지며, 시공 인건비가 증가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발포 수지 시트를 부착하는 경우에는 시공이 편리하기는 하지만, 벽체 면에 시공된 발포 수지 시트에 토사 되메우기 작업을 실시하면 토사의 압력에 의해 발포 수지 시트가 파손될 수 있고, 그 결과 방수층을 효과적으로 보호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할 우려가 크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포함한 여러 가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빠른 시공이 가능하고, 방수층을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방수층 보호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제작이 쉽고, 제조비용이 절감되는 방수층 보호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은, 롤 형태로 감길 수 있도록 유연한 재질로 만들어진 발포 수지 시트;
상기 발포 수지 시트의 일면에 부착된 표면층;
상기 표면층이 부착된 일면의 반대 면에 부착되고, 상기 발포 수지 시트 상의 영역을 구획하여 공기층을 형성하는 격벽층; 및
상기 격벽층이 상기 발포 수지 시트와 부착된 부분의 반대편에 형성된 접착제층을 포함하는 방수층 보호재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격벽층은, 상기 발포 수지 시트 상의 영역을 복수의 폐쇄된 영역으로 구획하는 것일 수 있다.
또는, 상기 격벽층은 서로 나란하게 배치된 복수의 격벽들을 포함하고, 상기 격벽들에 의해 상기 발포 수지 시트는 복수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영역으로 구획되는 것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표면층은 직포 또는 부직포의 표면에 필름층이 코팅된 형태로 만들어져서, 방수층 보호재가 롤 형태로 감길 때 상기 필름층이 접착제층에 부착되어 접착제층을 보호하는 것일 수 있다.
또는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롤 형태로 감길 수 있도록 유연한 재질로 만들어진 발포 수지 시트;
상기 발포 수지 시트의 일면에 부착된 표면층; 및
상기 격벽층이 상기 발포 수지 시트와 부착된 부분의 반대편에 형성된 접착제층을 포함하고,
상기 표면층은 직포 또는 부직포의 표면에 필름층이 코팅된 형태로 만들어져서, 방수층 보호재가 롤 형태로 감길 때 상기 필름층이 접착제층에 부착되어 접착제층을 보호하는 방수층 보호재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에 따른 방수층 보호재는, 시공 작업이 간단하여 공 기를 단축할 수 있고, 누름 콘크리트 타설이나 토사의 되메우기 작업과 같은 후속공정 수행 시 토압에 효과적으로 견딜 수 있어서 방수층 보호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격벽층, 발포 수지 및 표면층이 일체로 형성되어 내수성, 내열성, 내약품성 및 내충격성이 우수하고, 격벽층에 의해 형성되는 공기층에 의한 단열효과와 함께 시공 대상 콘크리트 구조물 내부의 결로 발생도 저감할 수 있다.
한편, 이형필름을 사용하지 않는 형태의 경우에는 쓰레기의 양을 줄 일 수 있다는 장점과 함께 토사나 자갈을 사용하여 되메우기 등의 공정을 수행할 때에 표면층을 구성하는 직포나 부직포의 파손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고안의 실시예1에 따른 방수층 보호재의 구성을 보여주는 부분 절개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도 1에 도시된 방수층 보호재의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1에 따른 방수층 보호재(10)는, 발포 수지 시트(11), 표면층(12), 격벽층(13) 및 접착제층(16)을 포함한다.
상기 발포 수지 시트(11)는,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 등의 소재를 발포 성형하여 소정 폭을 가지는 롤 형태로 감을 수 있도록 유연하게 만들어진다. 상기 발포 수지 시트(11)의 두께는 통상 3mm 내지 20mm 정도의 범위에 속한다.
상기 표면층(12)은 상기 발포 수지 시트(11)의 일면에 부착되어 상기 발포 수지 시트를 보호하는 부재이다. 상기 표면층은 부직포 또는 직포일 수 있고,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 등의 소재로 만들어진 것으로 상기 발포 수지 시트(11)와는 열융착에 의해 일체화 될 수 있다. 즉, 상기 발포 수지 시트(11)의 일면에 열을 가하고 여기에 직포나 부직포를 부착하여 표면층(12)을 형성한다. 표면층(12)의 두께는 0.3mm 내지 2mm 정도의 범위에 속한다.
상기 격벽층(13)은 상기 표면층(12)이 부착된 상기 발포 수지 시트(11)의 일면에 대해 그 반대 면에 부착되고, 상기 발포 수지 시트(11) 상의 영역을 구획하여 공기층을 형성하는 기능을 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상기 격벽층(13)은 상기 발포 수지 시트(11)의 길이 방향에 나란하게 연장된 복수의 봉 형상을 가진 부재로서 상기 발포 수지 시트(11) 상의 영역을 길이 방향으로 복수 개로 구획한다. 상기 격벽층은 1m 정도의 발포 수지 시트의 폭에 대해 약 3 내지 40cm의 간격으로 25개 내지 33개 정도가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서는 격벽층의 단면이 원형 단면인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그 단면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격벽층(13)은 상기 발포 수지 시트(11)와 동일한 재질로 발포 성형하여 만들어질 수 있다. 즉,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을 발포 성형하여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격벽층(13)과 상기 발포 수지 시트(11)는 상기 발포 수지 시트(11)에 열을 가하고 열을 가한 면에 상기 격벽층을 부착하는 방식으로 일체화 될 수 있 다.
상기 접착제층(16)은 상기 격벽층(13)이 상기 발포 수지 시트(11)와 부착된 부분의 반대편에 형성되어 본 고안에 따른 방수층 보호재(10)가 방수층(도시하지 않음)에 부착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접착제층은 상기 격벽층 중 일부에만 형성될 수 있다. 즉, 격벽층을 구성하는 하나 하나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부재 중 일부에만 상면에 접착제층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부분적으로 접착제층을 형성하는 것은, 접착제층을 형성하는 공정에 사용되는 접착제 도포 롤러에서 접착제를 부분적으로 긁어내는 지그를 사용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접착제층(16)의 표면에는 이형필름이 부착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이형필름은 상기 접착제층(16)을 보호하는 것으로, 제품 제조 시에는 상기 접착제층(16)에 부착되고 시공 시에 제거되어 접착제층(16)을 노출시켜 방수층 보호재(10)가 방수층을 덮은 상태로 고정될 수 있게 된다.
도 3에는 본 고안의 실시예2에 따른 방수층 보호재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도 3에 도시된 방수층 보호재에서 이형 필름이 제거된 상태의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실시예2에서, 발포 수지 시트(21), 표면층(22) 및 접착제층(26)에 관한 설명은 실시예1에서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고,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실시예1과 다른 점은, 격벽층(23)의 형상과 상기 격벽층(23)에 의해 구획되는 상기 발포 수지 시트(21) 상의 영역의 형상에 있다. 실시예2에서 상기 격벽층(23)은 상기 발포 수지 시트(21) 상의 영역을 복수의 폐쇄된 영역으로 구획한다. 상기 폐쇄된 영역의 형상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마름모에 가까운 형상일 수 있다. 이러한 형상으로 격벽층(23)이 형성되는 경우에는, 격벽층의 사이사이에는 폐쇄된 공기층(24)이 형성되어 방수층(도시하지 않음)을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즉, 상기 격벽층(23)과 이에 의해 형성되는 공기층(24)은 충격에 대해 완충 작용을 하고, 단열 작용을 하며, 부분적인 방수층 보호재의 파손이 있는 경우라도 다른 부분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폐쇄된 형태의 격벽층(23)에 의해 방수층을 더욱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의 격벽층(23)은 발포 수지로 만들어질 수 있고, 통상 사과나 배 등의 과일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발포 수지 그물망과 유사한 형태일 수 있다.
발포 수지 시트(21)의 일면에 열을 가한 상태로 발포 수지 그물망을 부착하면 발포 수지 시트(21) 상의 영역을 폐쇄된 영역으로 구획하는 격벽층(23)을 손쉽게 제작할 수 있다. 특히, 발포 수지 시트(21)와 방포 수지 그물망이 동일한 소재인 경우 두 소재 간의 열융착에 의한 결합이 강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접착제층(26)은 상기 격벽층 중 일부에만 형성될 수 있다. 즉, 격벽층을 그물망 형태의 부재의 상면 전체가 아니라 부분적으로 접착제층이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부분적으로 접착제층을 형성하는 것은, 실시예1에서와 마찬가지로 접착제층을 형성하는 공정에 사용되는 접착제 도포 롤러에서 접착제를 부분적 으로 긁어내는 지그를 사용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다.
도 5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3에 따른 방수층 보호재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6에는 도 5에 도시된 방수층 보호재의 구성을 보여주는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3에 따른 방수층 보호재(30)는, 발포 수지 시트(31), 접착제층(36) 및 표면층(38)을 포함한다. 상기 발포 수지 시트(31) 및 접착제층(36)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1 및 2의 방수층 보호재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도 5에서 상기 접착제층(36)은 부분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예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표면층(38)은 직포 또는 부직포(32)의 표면에 필름층(37)이 코팅되어 만들어진다. 상기 표면층(38)이 필름층으로만 만들어지는 경우, 방수층 보호재(30)의 시공 이후에 후속 공정으로 토사나 자갈을 이용한 되메우기 작업이 수행되면, 필름층은 쉽게 찢어질 수 있어서 표면층(38)이 손상되고 방수층 보호재 자체의 손상으로 이어지기 쉽다. 그러나 실시예3에서와 같이 필름층(37)에 직포나 부직포가 일체로 결합되어 사용되는 경우에는 표면층의 손상을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다. 한편, 필름층(37)이 코팅된 표면층(38)을 사용하는 실시예3에서는 별도의 이형필름이 없어도 롤 형태로 감을 때 접착제층이 표면층(38)의 필름층(37)에 의해 보호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형필름을 부착하는 공정을 생략할 수 있고, 시공 과정에서 이형필름을 제거하는 작업 없이 롤 형태의 방수층 보호재를 풀어서 곧장 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실시예3의 표면층에 필름층이 코팅된 특징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1 및 2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즉, 실시예1 및 2에서 이형필름이 생략되고 표면층의 직포 또는 부직포가 필름층에 의해 코팅된 형태로 만들어질 수도 있다.
또한, 실시예3에 있어서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접착제층(36)이 발포 수지 시트(31)의 일부분에만 형성되어 접착제의 사용량을 절감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표면층의 필름층은 상기 접착제층이 형성된 부분에 대응하여 부직포나 직포 상의 일부분에만 형성될 수 있어서 필름층 재료의 절감이 가능하다. 접착제층과 필름층이 형성되는 공정상의 오차를 감안하여, 도 5에 도시된 롤 형태로 감을 때 상기 접착제층이 상기 필름층에 의해 충분히 보호되도록 상기 필름층의 폭을 접착제층의 폭에 비해 10% 내지 20% 정도 더 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에 따른 방수층 보호재는, 시공 작업이 간단하여 공기를 단축할 수 있고, 누름 콘크리트 타설이나 토사의 되메우기 작업과 같은 후속공정 수행 시 토압에 효과적으로 견딜 수 있어서 방수층 보호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격벽층, 발포 수지 시트 및 표면층이 일체로 형성되어 내수성, 내열성, 내약품성 및 내충격성이 우수하고, 격벽층에 의해 형성되는 공기층에 의한 단열효과와 함께 시공 대상 콘크리트 구조물 내부의 결로 발생도 저감할 수 있다.
한편, 이형필름을 사용하지 않는 형태의 경우에는 쓰레기의 양을 줄 일 수 있고, 공정을 편리하게 수행할 수 있다는 장점과 함께, 토사나 자갈을 사용하여 되메우기 등의 공정을 수행할 때에 표면층의 파손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지금까지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1에 따른 방수층 보호재의 구성을 보여주는 부분 절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방수층 보호재의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2에 따른 방수층 보호재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방수층 보호재에서 이형 필름이 제거된 상태의 평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예3에 따른 방수층 보호재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방수층 보호재의 구성을 보여주는 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20, 30: 방수층 보호재 11, 21, 31: 발포 수지 시트
12, 22, 38: 표면층 13, 23: 격벽층
14: 이형필름 16, 26, 36: 접착제층
24: 공기층 32: 직포 또는 부직포
37: 필름층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롤 형태로 감길 수 있도록 유연한 재질로 만들어진 발포 수지 시트;
    상기 발포 수지 시트의 일면에 부착된 표면층;
    상기 표면층이 부착된 일면의 반대 면에 부착되고, 상기 발포 수지 시트 상의 영역을 구획하여 공기층을 형성하는 격벽층; 및
    상기 격벽층이 상기 발포 수지 시트와 부착된 부분의 반대편에 형성된 접착제층을 포함하고,
    상기 격벽층은 서로 나란하게 배치된 복수의 격벽들을 포함하고, 상기 격벽들에 의해 상기 발포 수지 시트는 복수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영역으로 구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층 보호재.
  4. 롤 형태로 감길 수 있도록 유연한 재질로 만들어진 발포 수지 시트;
    상기 발포 수지 시트의 일면에 부착된 표면층;
    상기 표면층이 부착된 일면의 반대 면에 부착되고, 상기 발포 수지 시트 상의 영역을 구획하여 공기층을 형성하는 격벽층; 및
    상기 격벽층이 상기 발포 수지 시트와 부착된 부분의 반대편에 형성된 접착제층을 포함하고,
    상기 표면층은 직포 또는 부직포의 표면에 필름층이 코팅된 형태로 만들어져서, 방수층 보호재가 롤 형태로 감길 때 상기 필름층이 접착제층에 부착되어 접착제층을 보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층 보호재.
  5. 삭제
KR2020080014334U 2008-10-28 2008-10-28 방수층 보호재 KR20044493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4334U KR200444931Y1 (ko) 2008-10-28 2008-10-28 방수층 보호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4334U KR200444931Y1 (ko) 2008-10-28 2008-10-28 방수층 보호재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03262U Division KR200450581Y1 (ko) 2009-03-20 2009-03-20 방수층 보호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4931Y1 true KR200444931Y1 (ko) 2009-06-17

Family

ID=413498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14334U KR200444931Y1 (ko) 2008-10-28 2008-10-28 방수층 보호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4931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1783B1 (ko) * 2015-06-10 2016-08-29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슬라이딩 보호재를 이용한 지하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 시공 구조 및 방법
KR200483829Y1 (ko) * 2016-10-26 2017-06-30 안동수 결로방지 특성 및 단열 성능이 향상된 복합패널 슬라이딩 보호재
KR20180021464A (ko) * 2016-08-22 2018-03-05 안동수 결로방지 효과가 향상된 방수층 보호재 및 이를 사용한 방수시공방법
CN114991220A (zh) * 2022-06-29 2022-09-02 中铁建设集团中原建设有限公司 一种地下结构外墙喷涂发泡胶防水保护层的施工方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1783B1 (ko) * 2015-06-10 2016-08-29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슬라이딩 보호재를 이용한 지하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 시공 구조 및 방법
KR20180021464A (ko) * 2016-08-22 2018-03-05 안동수 결로방지 효과가 향상된 방수층 보호재 및 이를 사용한 방수시공방법
KR200483829Y1 (ko) * 2016-10-26 2017-06-30 안동수 결로방지 특성 및 단열 성능이 향상된 복합패널 슬라이딩 보호재
CN114991220A (zh) * 2022-06-29 2022-09-02 中铁建设集团中原建设有限公司 一种地下结构外墙喷涂发泡胶防水保护层的施工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44931Y1 (ko) 방수층 보호재
AU763496B2 (en) Damp-proof construction and method of basement
KR100950086B1 (ko) 옥상용 단열방수공법 및 단열방수용 복합판재
KR101181230B1 (ko) 지하 구조물의 외방수 시공 방법
KR20070103813A (ko) 방수층 보호시트 및 그 제조방법
KR200441911Y1 (ko) 방수층 보호재
KR101966082B1 (ko) 방수 보호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방수시공 방법
EP3339531B1 (en) Insulation tile and method for its manufacture
KR200450581Y1 (ko) 방수층 보호재
KR20100008617U (ko) 방수층 보호재
KR100358186B1 (ko) 콘크리트 슬래브용 신축줄눈
KR101061241B1 (ko) 복합 기능성 보드와 이를 이용한 옥상 방수 및 녹화 구조
KR101111572B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층 단열 및 보호 패널
KR100764046B1 (ko) 충진형 pc 판넬 터널라이닝 시스템에 있어서 일체형 배수구조 및 이를 이용한 터널라이닝 시공방법
KR100624354B1 (ko) 방수층 보호재
KR20070027668A (ko) 결로방지용 배수판
KR101452136B1 (ko) 건축구조물의 방수 보호 장치
KR200420567Y1 (ko) 방수층 보호시트
KR102008627B1 (ko) 결로 방지 및 마감재 부착이 용이한 아파트의 외벽 부착용 단열재 및 이를 이용한 아파트의 외단열 시공방법
KR100542380B1 (ko) 콘크리트 슬래브용 신축줄눈 구조 및 그 시공 방법
KR101684629B1 (ko) 벽체용 방수층 이중 보호재 및 이를 사용한 방수시공방법
KR20080005337U (ko) 방수층 보호재
CN103362146A (zh) 一种水泥板防水保护层施工方法
KR200357967Y1 (ko) 방수층 보호재
KR101042626B1 (ko) 건축용 지붕 단열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106 Division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5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