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07582A - 폴리우레탄 방수시트 및 이의 제조 장치, 제조된 폴리우레탄 방수시트 시공 방법 - Google Patents

폴리우레탄 방수시트 및 이의 제조 장치, 제조된 폴리우레탄 방수시트 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07582A
KR20180107582A KR1020170036075A KR20170036075A KR20180107582A KR 20180107582 A KR20180107582 A KR 20180107582A KR 1020170036075 A KR1020170036075 A KR 1020170036075A KR 20170036075 A KR20170036075 A KR 20170036075A KR 20180107582 A KR20180107582 A KR 201801075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urethane
waterproof sheet
nonwoven fabric
sheet
regenerated fi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60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23550B1 (ko
Inventor
양재상
양효영
Original Assignee
탑아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탑아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탑아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360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3550B1/ko
Publication of KR201801075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75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35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35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6Sealings
    • E04B1/665Sheets or foils impervious to water and water vap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1/00Roof covering, as far as not restricted to features covered by only one of groups E04D1/00 - E04D9/00; Roof covering in ways not provided for by groups E04D1/00 - E04D9/00, e.g. built-up roofs, elevated load-supporting roof coverings
    • E04D11/02Build-up roofs, i.e. consisting of two or more layers bonded together in situ, at least one of the layers being of watertight com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우레탄 방수시트 및 이의 제조 장치, 제조된 폴레우레탄 방수시트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현장에서 직접 시공되는 방수층 중 하도와 중도층에 해당하는 폴리우레탄 방수시트를 공장에서 직접 제조하고, 제조된 폴리우레탄 방수시트를 현장으로 이송하여 곧바로 깔아준 다음, 깔아진 폴리우레탄 방수시트의 이음새를 동종의 폴리우레탄 도막으로 연결 함침시킨 후, 그 위에 상도층을 코팅함으로써, 폴리우레탄 방수시트의 현장 시공 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시공 품질의 균일성 및 정확성, 그리고 작업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폴리우레탄 방수시트 및 이의 제조 장치, 제조된 폴레우레탄 방수시트 시공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Description

폴리우레탄 방수시트 및 이의 제조 장치, 제조된 폴레우레탄 방수시트 시공 방법{Polyurethane waterproof sheet and device for manufacturing the same, method for construction the same}
본 발명은 폴리우레탄 방수시트 및 이의 제조 장치, 제조된 폴레우레탄 방수시트 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폴리우레탄 방수시트를 재활용 가능한 소재를 이용하여 공장에서 직접 제조한 후, 제조된 폴리우레탄 방수시트를 시공 현장으로 이송하여 바로 하도 및 중도층으로 깔아줄 수 있도록 한 폴리우레탄 방수시트 및 이의 제조 장치, 제조된 폴레우레탄 방수시트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옥상이나 상부 슬라브 등과 같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방수에 있어서 가장 광범위하게 사용하는 도막방수공법으로서, 아크릴 수지와 또는 EVA수지를 이용하여 시멘트, 규사, 무기충전제와 기타 첨가제를 혼합하여 시공면에 코팅하듯 발라주는 무기질계 탄성도막 방수공법과, 폴리에스테르와 폴리에테르에 이소시아네이트 등으로 고분자화한 폴리머에 여러 무기 충전제, 착색제를 혼합한 폴리우레탄 도막방수공법 등을 들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폴리우레탄 도막방수의 경우 주제와 경화제를 정해진 배합비로 현장에서 직접 시공해야 하는 이유로 공정이 복잡하고, 현장 작업자의 정확하지 않은 계량으로 혼합불량이 나타나서 본래의 물성이 나오지 않는 경우가 많고, 또한 현장 직접 시공시 시공면의 바닥이 완전한 수평이 아니기 때문에 도막방수층을 일정한 두께로 형성하지 못하여 외부 충격과 압력에 의하여 도막파괴가 일어나는 등의 문제점이 따른다.
이에, 현장 시공성이 우수한 방수시트에 대한 종래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등록번호 제10-1627776호에는 벽체와 바닥의 바탕면을 정리하는 전처리단계와, 상기 전처리단계 처리된 벽체와 바닥 표면에 프라이머를 도포한 후 건조하는 하도층 형성단계와, 상기 하도단계 처리된 바닥 표면에 복합방수시트를 밀착시키고, 벽체 표면에는 복합방수시트를 부착하는 시트설치단계와, 상기 시트설치단계 처리된 벽체와 바닥 표면에 방수도료를 도포하는 제1중도층 단계와, 상기 중도층 형성 단계에서 처리된 복합방수시트의 이음부에 연결시트를 부착하는 밀봉단계 및 상기 밀봉단계 처리된 표면에 방수도료를 도포하는 상도층 형성 단계를 포함하여 구현되는 복합방수시트를 이용한 방수 시공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현장에서 직접 하도, 중도, 상도층 등의 시트를 직접 시공해야 함에 따라, 현장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방수시트 시공 품질에서 차이가 날 수 밖에 없고, 현장 시공시 하도, 중도, 상도층 등을 별도로 직접 시공함에 따라 공정 수가 크게 증가하여 작업시간이 오래 걸리고, 작업성이 크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현장에서 2mm 두께의 폴리우레탄을 시공면인 구조체면에 직접 도포할 경우, 구조체면 자체가 불균일하기 때문에 폴리우레탄 도포 후에 미장 작업을 하더라도 균일한 폴리우레탄층 표면을 얻기 힘들고, 이로 인하여 2mm 두께의 폴리우레탄 방수층을 형성하였을 때, 평균적으로 가장 레벨이 높은 부분은 2.8mm, 반대로 가장 낮은 부분은 1.2mm가 되어, 2mm±0.8 정도의 두께별 오차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결국, 식공 현장에서 2mm 두께의 폴리우레탄 도막을 직접 도포하는 시공을 하더라도, 부분적으로 약 1.2mm 의 두께가 형성되는 부분으로 인하여 균일한 폴리우레탄 방수층 및 품질을 제공하기 어려운 실정에 있다.
대한민국 등록번호 제10-1627776호(2016.05.3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현장에서 직접 시공되는 방수층 중 하도와 중도층에 해당하는 폴리우레탄 방수시트를 공장에서 직접 제조하고, 제조된 폴리우레탄 방수시트를 현장으로 이송하여 곧바로 깔아준 다음, 깔아진 폴리우레탄 방수시트의 이음새를 동종의 폴리우레탄 도막으로 연결 함침시킨 후, 그 위에 상도층을 코팅함으로써, 폴리우레탄 방수시트의 현장 시공 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시공 품질의 균일성 및 정확성, 그리고 작업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폴리우레탄 방수시트 및 이의 제조 장치, 제조된 폴레우레탄 방수시트 시공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구현예는: 하부에서 상부를 향하여 제1재생섬유 부직포와, 재생섬유 필름과, 제2재생섬유 부직포가 차례로 적층된 3층 구조, 또는 재생섬유 필름과 제2재생섬유 부직포가 적층 접합된 2층 구조로 이루어진 폴리섬유 보강시트와; 상기 폴리섬유 보강시트의 제2재생섬유 부직포 상에 액상의 폴리우레탄 방수용재를 도포하여 경화시킨 폴리우레탄층; 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우레탄 방수시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제1재생섬유 부직포 및 제2재생섬유 부직포는 폐기되는 PET(Polyethylene phthalate)를 분쇄 및 파쇄하여 섬유형태로 만든 다음, 시트 형태로 압착 제작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상기 재생섬유 필름은 재생 PE(polyethylene)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는: 제1재생섬유 부직포와, 재생섬유 필름과, 제2재생섬유 부직포가 차례로 적층 접합된 3층 구조의 폴리섬유 보강시트를 감아서 저장하거나, 또는 재생섬유 필름과 제2재생섬유 부직포가 적층 접합된 2층 구조의 폴리섬유 보강시트를 감아서 저장하는 보강시트 롤; 상기 보강시트 롤로부터 인출되는 폴리섬유 보강시트의 제2재생섬유 부직포 상에 폴리우레탄층을 형성하기 위하여 액상의 폴리우레탄 방수용재를 도포하는 폴리우레탄 함침기; 상기 액상의 폴리우레탄 방수용재를 균일한 도막두께로 형성하기 위한 도막두께 조절기; 균일한 도막두께로 형성된 폴리우레탄 방수용재를 건조하여 경화시키기 위한 건조장치; 및 상기 폴리섬유 보강시트와 상기 폴리우레탄 방수용재를 경화시킨 폴리우레탄층을 포함하는 폴리우레탄 방수시트를 감아서 출하 가능하게 저장하는 방수시트 롤; 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레우레탄 방수시트 제조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서, 상기 도막 두께 조절기는 소정의 프레임과, 프레임에 수동으로 높이 조절 가능하게 장착되는 금속 칼날로 구성되고, 상기 금속 칼날의 높이를 폴리우레탄 방수용재의 원하는 두께에 맞는 높이로 상기 프레임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시킨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서, 상기 건조장치는 폴리우레탄 방수용재를 1차 경화시키기 위한 적외선 온열기와, 1차 경화된 폴리우레탄 방수용재를 건조시켜 2차 경화시키기 위한 대형 열풍기 및 소형 열풍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는: ⅰ) 제1재생섬유 부직포와 재생섬유 필름과 제2재생섬유 부직포가 차례로 적층된 3층 구조의 폴리섬유 보강시트와, 이 폴리섬유 보강시트의 제2재생섬유 부직포 상에 액상의 폴리우레탄 방수용재를 도포하여 경화시킨 폴리우레탄층을 포함하는 폴리우레탄 방수시트를 시공 현장의 면적에 맞게 공장에서 직접 제조하여 구비하거나, 또는 재생섬유 필름과 제2재생섬유 부직포가 차례로 적층된 2층 구조의 폴리섬유 보강시트와, 이 폴리섬유 보강시트의 제2재생섬유 부직포 상에 액상의 폴리우레탄 방수용재를 도포하여 경화시킨 폴리우레탄층을 포함하는 폴리우레탄 방수시트를 시공 현장의 면적에 맞게 공장에서 직접 제조하여 구비하는 단계;
ⅱ) 제조된 폴리우레탄 방수시트를 시공 현장으로 이송하여 시공면에 바로 깔아주는 단계; 및 ⅲ) 깔아진 폴리우레탄 방수시트 간의 이음새를 동종의 폴리우레탄 도막으로 함침시켜 일체로 연결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우레탄 방수시트 시공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른 상기 ⅱ) 단계에서 시공면에 바로 깔리는 폴리우레탄 방수시트는 전체 방수층의 하도 및 중도층으로서 깔리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에 따른 상기 ⅲ) 단계 이후, 전체 폴리우레탄 방수시트 상에 UV코팅 또는 차열기능을 갖는 상도층이 더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 해결 수단을 통하여,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1) 기존에 시공 현장에서만 시공하던 폴리우레탄 방수시트를 공장에서 직접 시트 형태의 기성품으로 대량 생산할 수 있고, 시공 현장의 습도 및 온도 등의 날씨 조건에 상관없이 공장생산으로 인한 균일한 품질확보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2) 기존에는 현장에서 직접 하도, 중도, 상도층 등의 시트를 직접 시공해야 함에 따라, 현장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방수시트 시공 품질에서 차이가 날 수 밖에 없고, 공정 수가 크게 증가하여 작업시간이 오래 걸리고, 작업성이 크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지만, 본 발명은 폴리우레탄 방수시트를 공장에서 직접 생산함에 따라, 균일한 두께 조절이 가능하고, 항상 작업자의 숙련도에 관계없이 우수한 품질의 방수시트층을 시공할 수 있다.
(3) 현장에서 직접 시공되는 방수층 중 하도와 중도층에 해당하는 폴리우레탄 방수시트를 공장에서 직접 제조하고, 제조된 폴리우레탄 방수시트를 현장으로 이송하여 곧바로 깔아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시공 공정수 및 시공 시간을 크게 단축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시공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4) 본 발명의 폴리우레탄 방수시트를 재생 가능한 PET 및 PE를 이용하여 섬유시트형태로 제작한 후, 무독성 폴리우레탄과 결합하여 친환경자재 인증이 가능한 잇점이 있다.
(5) 공장에서 직접 제조된 본 발명의 폴리우레탄 방수시트를 현장 시공면에 깔아준 다음, 이음매를 동일 재질의 폴리우레탄으로 마감 처리함으로써, 외관상 이음매가 발생하지 않기에 시공후 매우 깔끔한 마감면을 제공할 수 있다.
(6) 이질재료들의 결합체로 구성되는 기존 복합방수의 개념과는 다르게 1개 종류인 폴리우레탄만을 재생섬유시트 보강재에 함침하여 구성되는 본 발명의 폴리우레탄 방수시트는 우레탄 고유의 접착력 및 인장강도, 방수성능 등을 나타낼 수 있다.
(7) 본 발명의 폴리우레탄 방수시트를 바탕면에 깔고 그 위에 상도코팅 작업만이 가능하기에 기존 방수층에서 시공하기 어려운 옥상슬래브의 외단열재 상부에도 시공이 가능하고, 겨울철(동절기) 시공도 가능한 장점이 있다.
(8) 본 발명의 폴리우레탄 방수시트에 적용되는 시공공법은 시공면과 방수시트가 밀착하지 않는 절연공법으로서, 시공면 상의 콘크리트 구조체의 균열에도 방수층의 파단이 발생하기 않으며, 방수시트층의 부풀림이 발생하지 않는 장점을 제공한다.
(9) 본 발명의 폴리우레탄 방수시트는 무용제 타입의 우레탄 방수제로, 환경호르몬 문제로 사용이 제한되고 있는 DOP, PB와 같은 중금속 유기용제(신나)등을 사용하지 않아 친환경적인 장점이 있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폴레우레탄 방수시트를 도시한 단면도,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폴레우레탄 방수시트 제조 장치를 도시한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폴레우레탄 방수시트 시공 방법을 도시한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폴레우레탄 방수시트의 양단 이음부 구조를 나타낸 평면도 및 단면도,
도 5 및 도 6은 도 4의 폴리우레탄 방수시트를 시공할 때의 이음 방법을 도시한 개략도,
도 7은 분사노즐의 일실시예를 보인 개략적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폴리우레탄 방수시트를 공장에서 현장 시공면에 맞는 크기로 미리 제작한 후, 이를 건축물의 옥상이나 상부 슬라브 등과 같은 콘크리트 구조물 등의 방수층 시공면으로 이송시켜 곧바로 시공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자의 숙련도에 관계없이 누구나 간편하게 우수한 품질의 방수층을 시공할 수 있도록 한 점에 주안점이 있다.
첨부한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에 따른 폴레우레탄 방수시트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a 및 도 1b에서 보듯이, 공장에서 직접 제조되는 본 발명의 폴리우레탄 방수시트(100)는 재생 가능한 소재를 이용한 복층의 폴리섬유 보강시트(110)와, 이 폴리섬유 보강시트(110) 상에 액상의 폴리우레탄 방수용재를 도포하여 경화시킨 폴리우레탄층(120)으로 구성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1a에서 보듯이 상기 폴리우레탄 방수시트(100)의 폴리섬유 보강시트(110)는 하부에서 상부를 향하여 제1재생섬유 부직포(111)와, 재생섬유 필름(112)과, 제2재생섬유 부직포(113)가 차례로 적층되어 상호 접합된 3개의 층 구조로 먼저 제작되고, 상기 폴리우레탄층(120)은 폴리섬유 보강시트(110)의 제2재생섬유 부직포(113) 상에 액상의 폴리우레탄 방수용재를 도포하여 경화시킨 층으로 구성된다.
또는, 도 1b에서 보듯이 상기 폴리우레탄 방수시트(100)의 폴리섬유 보강시트(110)는 하부에서 상부를 향하여 재생섬유 필름(112)와 제2재생섬유 부직포(113)가 적층되어 상호 접합된 2층 구조로 먼저 제작되고, 상기 폴리우레탄층(120)은 폴리섬유 보강시트(110)의 제2재생섬유 부직포(113) 상에 액상의 폴리우레탄 방수용재를 도포하여 경화시킨 층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1재생섬유 부직포(111) 및 제2재생섬유 부직포(113)는 폐기되는 PET(Polyethylene phthalate, 예 PET 병)를 통상의 분쇄기를 이용하여 분쇄 및 파쇄하여 섬유형태로 만든 다음, 이를 통상의 프레스와 같은 열압착기를 이용하여 소정 면적의 시트 형태로 제작한 것이다.
또한, 상기 재생섬유 필름(112)은 재생 PE(polyethylene) 필름으로 채택 가능하다.
예를 들어, 50마이크로미터 이상의 PE 필름과 폐 PET 섬유를 약 140℃~240℃ 범위에서 배합하여 PE 필름 + 폐 PET 섬유 적층시트 즉, 상기 폴리섬유 보강시트(110)를 만들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폴리우레탄 방수시트(100)를 공장에서 직접 제조하되, 재생 가능한 소재(PET, PE)를 이용한 복층의 폴리섬유 보강시트(110)로 제작한 후, 이 폴리섬유 보강시트(110) 상에 액상의 폴리우레탄 방수용재를 도포하여 경화시켜 폴리우레탄층(120)을 적층 구성함으로써, 친환경자재 인증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의 폴리우레탄 방수시트(100)를 공장에서 직접 제조하되, 현장 시공면에 하도 및 중도층으로서 곧바로 깔리는 면적으로 미리 제작함으로써, 방수 시공 시간 및 공정수를 단축시킬 수 있고, 방수층 품질을 시공자의 숙련도에 관계없이 항상 우수한 품질로 유지시킬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폴리우레탄 방수시트를 제작하는 장치 및 방법에 대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첨부한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에 따른 폴레우레탄 방수시트 제조 장치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2a 및 도 2b에서, 도면부호 10은 보강시트 롤을 지시한다.
상기 보강시트 롤(10)은 도 2a에서 보듯이 제1재생섬유 부직포(111)와, 재생섬유 필름(112)과, 제2재생섬유 부직포(113) 등 3개층이 차례로 적층 접합된 폴리섬유 보강시트(110)를 감아서 저장하거나, 도 2b에서 보듯이 재생섬유 필름(112)과 제2재생섬유 부직포(113) 등 2개층이 적층 접합된 폴리섬유 보강시트(110)를 감아서 저장하는 일종의 권취롤이다.
즉, 상기 폴리섬유 보강시트(110)는 하부에서 상부를 향하여 제1재생섬유 부직포(111)와, 재생섬유 필름(112)과, 제2재생섬유 부직포(113)가 차례로 적층되며 통상의 접착수단을 이용하여 상호 접합된 3층 구조로 제작되거나, 또는 재생섬유 필름(112)과 제2재생섬유 부직포(113)가 적층되며 통상의 접착수단을 이용하여 상호 접합된 2층 구조로 제작된 폴리섬유 보강시트(110)가 상기 보강시트 롤(10)에 인출 가능하게 권취된다.
상기 보강시트 롤(10)의 인출부에는 분사노즐을 갖는 폴리우레탄 함침기(20)가 배치되는 바, 이 폴리우레탄 함침기(20)는 압축기 등에서 제공되는 압력을 이용하여 분사노즐을 통해 액상의 폴리우레탄 방수용재를 분사하는 기능을 한다.
이에, 상기 보강시트 롤(10)로부터 인출되는 폴리섬유 보강시트(110)의 제2재생섬유 부직포(113) 상에 폴리우레탄층(120)을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폴리우레탄 함침기(20)로부터 액상의 폴리우레탄 방수용재가 분사 도포된다.
상기 폴리우레탄 함침기(20)의 다음 위치에는 도막두께 조절기(30)가 배치되는데, 이 도막두께 조절기(30)는 액상의 폴리우레탄 방수용재를 균일한 도막두께로 만들어주는 역할을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도막 두께 조절기(30)는 소정의 프레임과, 프레임에 수동으로 높이 조절 가능하게 장착되는 금속 칼날(32)로 구성되고, 상기 금속 칼날(32)은 폴리우레탄 방수용재의 원하는 두께에 맞는 높이로 상기 프레임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에, 상기 보강시트 롤(10)로부터 인출된 폴리섬유 보강시트(110) 상에 폴리우레탄 함침기(20)로부터 액상의 폴리우레탄 방수용재가 분사 도포된 후, 상기 도막두께 조절기(30)를 지나게 되면, 금속 칼날(32)이 액상의 폴리우레탄 방수용재를 균일한 도막두께로 긁어줌으로써, 폴리섬유 보강시트(110) 상에 폴리우레탄 방수용재가 원하는 두께로 균일하게 도포되는 상태가 된다.
이렇게 상기 금속 칼날(32)에 의하여 균일한 도막두께가 된 폴리우레탄 방수용재는 건조장치(40)에 의하여 건조되어 경화된 폴리우레탄층(120)으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건조장치(40)는 폴리우레탄 방수용재를 1차 경화시키기 위한 적외선 온열기(42)와, 1차 경화된 폴리우레탄 방수용재를 건조시켜 2차 경화시키기 위한 대형 열풍기(44) 및 소형 열풍기(46) 등으로 구성될 수 있고, 이러한 건조장치(40)에 의한 1차 및 2차 경화를 통해 액상의 폴리우레탄 방수용재는 완전 경화된 폴리우레탄층(120)으로 만들어지게 된다.
이와 같은 제조 공정에 의거, 제1재생섬유 부직포(111)와, 재생섬유 필름(112)과, 제2재생섬유 부직포(113)가 차례로 적층되어 상호 접합된 3층 구조의 폴리섬유 보강시트(110)와, 이 폴리섬유 보강시트(110)의 제2재생섬유 부직포(113) 상에 액상의 폴리우레탄 방수용재를 도포하여 경화시킨 폴리우레탄층(120)을 포함하거나, 또는 재생섬유 필름(112)과 제2재생섬유 부직포(113)가 적층되어 상호 접합된 2층 구조의 폴리섬유 보강시트(110)와, 이 폴리섬유 보강시트(110)의 제2재생섬유 부직포(113) 상에 액상의 폴리우레탄 방수용재를 도포하여 경화시킨 폴리우레탄층(120)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폴리우레탄 방수시트(100)이 완성된다.
이렇게 완성된 폴리우레탄 방수시트(100)는 방수시트 롤(50)에 출하 가능하게 권취되어 저장된 후, 원하는 시공 현장으로 이송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와 같이 제조된 본 발명의 폴리우레탄 방수시트를 현장에 직접 시공하는 시공 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첨부한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폴레우레탄 방수시트 시공 방법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먼저, 본 발명의 폴리우레탄 방수시트(100)는 시공 현장의 면적에 맞게 공장에서 직접 제조된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제1재생섬유 부직포(111)와 재생섬유 필름(112)과 제2재생섬유 부직포(113)가 차례로 적층된 3층 구조의 폴리섬유 보강시트(110)와, 이 폴리섬유 보강시트(110) 상에 액상의 폴리우레탄 방수용재를 도포하여 경화시킨 폴리우레탄층(120)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폴리우레탄 방수시트(100)가 시공 현장의 면적에 맞게 공장에서 직접 제조 구비된다.
또는, 상기 재생섬유 필름(112)과 제2재생섬유 부직포(113)가 적층되어 상호 접합된 2층 구조의 폴리섬유 보강시트(110)와, 이 폴리섬유 보강시트(110)의 제2재생섬유 부직포(113) 상에 액상의 폴리우레탄 방수용재를 도포하여 경화시킨 폴리우레탄층(120)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폴리우레탄 방수시트(100)가 시공 현장의 면적에 맞게 종장에서 직접 제조 구비된다.
이어서, 위와 같이 공장에서 직접 제조된 폴리우레탄 방수시트(100)를 방수시트 롤(50)에 권취한 채 또는 시공 현장의 크기에 맞게 미리 재단하여 시공 현장으로 이송시키고, 현장 시공면에 바로 깔아준다.
이때, 현장 시공면에 바로 깔리는 폴리우레탄 방수시트(100)는 전체 방수층의 하도 및 중도층으로서 깔리게 되며, 이에 기존에 시공 현장에서 작업자가 직접 하도층 및 중도층을 일일이 도포하는 작업을 생략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작업 공수 절감 및 작업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한편, 현장 시공면에 깔린 폴리우레탄 방수시트(100)은 소정의 면적으로 재단되어 서로 연접되게 깔리게 됨에 따라, 각 폴리우레탄 방수시트(100) 사이에 물 등의 침투할 수 있는 틈새가 생길 수 있다.
이에, 상기 폴리우레탄 방수시트(100) 간의 이음새를 동종의 폴리우레탄 도막으로 함침시켜 일체로 연결시킴으로써, 각 폴리우레탄 방수시트(100) 사이 틈새가 방수 가능하게 메꾸어지게 된다.
최종적으로, 위와 같이 현장 시공면에 깔린 전체 폴리우레탄 방수시트(100) 상에 UV코팅 또는 차열기능을 갖는 상도층(130)을 더 도포해줌으로써, 폴레우레탄 방수시트 시공이 완료된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기존에 시공 현장에서 하도 및 중도층을 별도 시공하던 방식과 달리, 폴리우레탄 방수시트를 공장에서 직접 시트 형태의 기성품으로 대량 생산하여 하도 및 중도층으로서 바로 깔아줌으로써, 항상 작업자의 숙련도에 관계없이 우수한 품질의 방수시트층을 시공할 수 있고, 시공 공정수 및 시공 시간을 크게 단축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시공 비용 또한 절감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폴리우레탄 방수시트(100)는 도 4에서 보듯이, 폴리섬유 보강시트(110)의 양단부에 폴리우레탄층(120)을 도포하지 않고, 각 보강시트(110) 간의 용이한 이음을 위하여 약 5 내지 15cm 길이의 여유면적을 갖도록 제작될 수 있고, 특히 외부력에 의한 전단 및 인장 균열을 방지하기 위하여 각 보강시트(110)의 양단부를 사선의 슬로프(slope)면(115)으로 절단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도 5에서 보듯이 현장 시공면에 폴리우레탄 방수시트(100)를 깔아줄 때, 경사진 폴리섬유 보강시트(110)의 양단부를 서로 마주보게 한 후, 그 사이에 폴리우레탄층(120)와 동일 재질인 폴리우레탄 도막으로 함침시키되, 폴리우레탄층(120)과 동일 높이로 함침시킴으로써, 각 폴리우레탄 방수시트(100) 사이 틈새가 방수 가능하게 메꾸어지게 되고, 특히 각 보강시트(110)의 양단부가 사선의 슬로프면(115)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외부력에 의한 전단 및 인장 균열을 방지하는 완충 역할을 하게 된다.
또는, 도 6에서 보듯이 현장 시공면에 폴리우레탄 방수시트(100)를 깔아줄 때, 경사진 폴리섬유 보강시트(110)의 양단부를 서로 겹쳐지게 한 후, 그 사이에 폴리우레탄층(120)와 동일 재질인 폴리우레탄 도막으로 함침시키되, 폴리우레탄층(120)과 동일 높이로 함침시킴으로써, 각 폴리우레탄 방수시트(100) 사이 틈새가 방수 가능하게 메꾸어지게 되고, 특히 각 보강시트(110) 간의 결합력을 크게 증대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폴리우레탄 방수시트(100)는 인열강도가 길이 방향으로 75~95N이고, 너비 방향으로 105~125N이다.
인열강도가 길이 방향으로 75N 미만이거나 너비 방향으로 105N 미만일 경우, 폴리우레탄 방수시트(100)가 외력에 의해 너무 쉽게 찢어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된다. 인열강도가 길이 방향으로 95N를 초과하거나 너비 방향으로 125N을 초과할 경우, 인열강도가 그만큼 향상되는 반면에 제조 단가가 크게 상승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폴리우레탄 방수시트(100)는 인열강도가 길이 방향으로 75~95N이고, 너비 방향으로 105~125N 정도가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폴리우레탄 방수시트(100)는 대기의 온도가 60℃일때 인장 강도가 길이 방향으로 24~32N/mm이고, 대기의 온도가 60℃일때 인장 강도가 너비 방향으로 20~28N/mm이다.
폴리우레탄 방수시트(100)의 인장 강도를 측정할 때에 대기 온도를 60℃로 하여 측정한 이유는 가장 더운 한여름철의 대기열, 복사열을 감안한 것이다.
대기의 온도가 60℃일때 인장 강도가 길이 방향으로 24N/mm 미만이거나 대기의 온도가 60℃일때 인장 강도가 너비 방향으로 20N/mm 미만일 경우, 외부 열에 의해 폴리우레탄 방수시트(100)가 과도하게 늘어나게 되며, 폴리우레탄 방수시트(100) 중 취약 부위가 발생되면 울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대기의 온도가 60℃일때 인장 강도가 길이 방향으로 32N/mm을 초과하거나 대기의 온도가 60℃일때 인장 강도가 너비 방향으로 28N/mm를 초과할 경우, 외부 열에 의해 폴리우레탄 방수시트(100)가 과도하게 늘어나는 것이 방지되지만, 폴리우레탄 방수시트(100)의 두께가 불필요하게 두꺼워지며, 이에 따라 시공성, 운반성이 저하되고 제품의 가격이 크게 상승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폴리우레탄 방수시트(100)는 대기의 온도가 60℃일때 인장 강도가 길이 방향으로 24~32N/mm이고, 대기의 온도가 60℃일때 인장 강도가 너비 방향으로 20~28N/mm가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폴리우레탄 방수시트(100)는 대기의 온도가 -20℃일때 신장율이 길이 방향으로 30~34%이고, 대기의 온도가 -20℃일때 신장율이 너비 방향으로 44~48%이다.
폴리우레탄 방수시트(100)의 신장율을 측정할 때에 대기 온도를 -20℃로 하여 측정한 이유는 가장 추운 한겨울철의 대기열, 전도열을 감안한 것이다.
대기의 온도가 -20℃일때 신장율이 길이 방향으로 30% 미만이거나 대기의 온도가 -20℃일때 신장율이 너비 방향으로 44% 미만일 경우, 외부의 충격에 쉽게 깨지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된다.
대기의 온도가 -20℃일때 신장율이 길이 방향으로 34%를 초과하거나 대기의 온도가 -20℃일때 신장율이 너비 방향으로 48%를 초과할 경우, 수축 정도에 따라 폴리우레탄 방수시트(100)의 취약부위가 쉽게 찢어지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폴리우레탄 방수시트(100)는 대기의 온도가 -20℃일때 신장율이 길이 방향으로 30~34%이고, 대기의 온도가 -20℃일때 신장율이 너비 방향으로 44~48%가 가장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분사노즐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용돌이분사노즐(62)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소용돌이분사노즐은(62)은 액상의 폴리우레탄 방수용재의 분사력을 강하게 하면서도 분사되는 액상의 폴리우레탄 방수용재를 회전시키는 수단으로서, 그 상단부에는 호스와 체결되도록 나사산을 갖는 나사산형성부(64)가 형성되고, 이 나사산형성부(64)로부터 그 아래쪽으로는 중공형이고 원추 형상을 갖는 바디부(65)가 일체로 연장 형성되는데, 이 바디부(65)에는 나선방향을 따라 에어가 최종 분사되는 홀인 다수개의 방수용재홀(66)이 관통 형성된다.
또한, 상기 바디부(65)의 외면에는 나선방향으로 배열된 상기 방수용재홀(66)과 일치되는 나선형의 방수용재이동안내홈(68)이 형성되며, 이 방수용재이동안내홈(68)은 방수용재홀(66)로부터 분사되는 방수용재의 분사방향을 나선방향으로 안내하여 소용돌이를 형성하는 역할을 한다.
이에, 상기 소용돌이분사노즐(62)의 방수용재홀(66) 및 나선형의 방수용재이동안내홈(68)을 통해 분사되는 방수용재가 회전하는 동시에 소용돌이를 형성하면서 분사됨으로써, 폴리우레탄층(120)에 빠르게 분사될 뿐 아니라 골고루 분사되므로 균일한 도포층을 얻을 수 있어서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10 : 보강시트 롤
20 : 폴리우레탄 함침기
30 : 도막두께 조절기
32 : 금속 칼날
40 : 건조장치
42 : 적외선 온열기
44 : 대형 열풍기
46 : 소형 열풍기
50 : 방수시트 롤
100 : 폴리우레탄 방수시트
110 : 폴리섬유 보강시트
111 : 제1재생섬유 부직포
112 : 재생섬유 필름
113 : 제2재생섬유 부직포
115 : 슬로프면
120 : 폴리우레탄층
130 : 상도층

Claims (7)

  1. 하부에서 상부를 향하여 제1재생섬유 부직포(111)와, 재생섬유 필름(112)과, 제2재생섬유 부직포(113)가 차례로 적층 접합된 3층 구조 또는 재생섬유 필름(112)과 제2재생섬유 부직포(113)가 적층 접합된 2층 구조로 이루어진 폴리섬유 보강시트(110)와;
    상기 폴리섬유 보강시트(110)의 제2재생섬유 부직포(113) 상에 액상의 폴리우레탄 방수용재를 도포하여 경화시킨 폴리우레탄층(120);
    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우레탄 방수시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재생섬유 부직포(111) 및 제2재생섬유 부직포(113)는 폐기되는 PET(Polyethylene phthalate)를 분쇄 및 파쇄하여 섬유형태로 만든 다음, 시트 형태로 제작한 것이며;
    상기 재생섬유 필름(112)은 재생 PE(polyethylene) 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우레탄 방수시트.
  3. 청구항 1에 있어서, 폴리우레탄 방수시트는,
    인열강도가 길이 방향으로 75~95N이고, 너비 방향으로 105~125N이며대기의 온도가 60℃일때 인장 강도가 길이 방향으로 24~32N/mm이고, 대기의 온도가 60℃일때 인장 강도가 너비 방향으로 20~28N/mm이며;
    대기의 온도가 -20℃일때 신장율이 길이 방향으로 30~34%이고, 대기의 온도가 -20℃일때 신장율이 너비 방향으로 44~48%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우레탄 방수시트.
  4. 제1재생섬유 부직포(111)와, 재생섬유 필름(112)과, 제2재생섬유 부직포(113)가 차례로 적층 접합된 3층 구조의 폴리섬유 보강시트(110)를 감아서 저장하거나, 재생섬유 필름(112)과 제2재생섬유 부직포(113)가 적층 접합된 2층 구조의 폴리섬유 보강시트(110)를 감아서 저장하는 보강시트 롤(10);
    상기 보강시트 롤(10)로부터 인출되는 폴리섬유 보강시트(110)의 제2재생섬유 부직포(113) 상에 폴리우레탄층(120)을 형성하기 위하여 액상의 폴리우레탄 방수용재를 도포하는 폴리우레탄 함침기(20);
    상기 액상의 폴리우레탄 방수용재를 균일한 도막두께로 형성하기 위한 도막두께 조절기(30);
    균일한 도막두께로 형성된 폴리우레탄 방수용재를 건조하여 경화시키기 위한 건조장치(40);
    상기 폴리섬유 보강시트(110)와 상기 폴리우레탄 방수용재를 경화시킨 폴리우레탄층(120)을 포함하는 폴리우레탄 방수시트(100)를 감아서 출하 가능하게 저장하는 방수시트 롤(50);
    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레우레탄 방수시트 제조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도막 두께 조절기(30)는 소정의 프레임과, 프레임에 수동으로 높이 조절 가능하게 장착되는 금속 칼날(32)로 구성되고, 상기 금속 칼날(32)의 높이를 폴리우레탄 방수용재의 원하는 두께에 맞는 높이로 상기 프레임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시킨 것이며;
    상기 건조장치(40)는 폴리우레탄 방수용재를 1차 경화시키기 위한 적외선 온열기(42)와, 1차 경화된 폴리우레탄 방수용재를 건조시켜 2차 경화시키기 위한 대형 열풍기(44) 및 소형 열풍기(46)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레우레탄 방수시트 제조 장치.
  6. ⅰ) 제1재생섬유 부직포(111)와 재생섬유 필름(112)과 제2재생섬유 부직포(113)가 차례로 적층된 3층 구조의 폴리섬유 보강시트(110)와, 이 폴리섬유 보강시트(110)의 제2재생섬유 부직포(113) 상에 액상의 폴리우레탄 방수용재를 도포하여 경화시킨 폴리우레탄층(120)을 포함하는 폴리우레탄 방수시트(100)를 시공 현장의 면적에 맞게 공장에서 직접 제조하여 구비하거나,
    재생섬유 필름(112)과 제2재생섬유 부직포(113)가 적층된 2층 구조의 폴리섬유 보강시트(110)와, 이 폴리섬유 보강시트(110)의 제2재생섬유 부직포(113) 상에 액상의 폴리우레탄 방수용재를 도포하여 경화시킨 폴리우레탄층(120)을 포함하는 폴리우레탄 방수시트(100)를 시공 현장의 면적에 맞게 공장에서 직접 제조하여 구비하는 단계;
    ⅱ) 제조된 폴리우레탄 방수시트(100)를 시공 현장으로 이송하여 시공면에 바로 깔아주는 단계;
    ⅲ) 깔아진 폴리우레탄 방수시트(100) 간의 이음새를 동종의 폴리우레탄 도막으로 함침시켜 일체로 연결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우레탄 방수시트 시공 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ⅱ) 단계에서 시공면에 바로 깔리는 폴리우레탄 방수시트(100)는 전체 방수층의 하도 및 중도층으로서 깔리고;
    상기 ⅲ) 단계 이후, 전체 폴리우레탄 방수시트(100) 상에 UV코팅 또는 차열기능을 갖는 상도층(130)이 더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레우레탄 방수시트 시공 방법.
KR1020170036075A 2017-03-22 2017-03-22 폴리우레탄 방수시트 및 이의 제조 장치, 제조된 폴리우레탄 방수시트 시공 방법 KR1019235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6075A KR101923550B1 (ko) 2017-03-22 2017-03-22 폴리우레탄 방수시트 및 이의 제조 장치, 제조된 폴리우레탄 방수시트 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6075A KR101923550B1 (ko) 2017-03-22 2017-03-22 폴리우레탄 방수시트 및 이의 제조 장치, 제조된 폴리우레탄 방수시트 시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7582A true KR20180107582A (ko) 2018-10-02
KR101923550B1 KR101923550B1 (ko) 2019-02-27

Family

ID=638638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6075A KR101923550B1 (ko) 2017-03-22 2017-03-22 폴리우레탄 방수시트 및 이의 제조 장치, 제조된 폴리우레탄 방수시트 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355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4287B1 (ko) * 2019-03-15 2020-02-06 주식회사 피지에스산업 복합 방수공법 및 그 공법에 따라 시공된 복합 방수구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6260A (ko) * 2002-03-22 2003-09-26 이종학 바이오 시트재 및 그 제조방법과 제조장치
KR100814945B1 (ko) * 2007-01-15 2008-03-19 강용석 아스팔트 방수시트 제조장치
KR101064589B1 (ko) * 2010-11-18 2011-09-15 (주)한일이앤지 열차단 복합방수시트
KR101586035B1 (ko) * 2014-12-01 2016-01-15 김종필 통기성 방수시트를 이용한 조인트 보강형 복합방수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1627776B1 (ko) 2016-02-16 2016-06-07 강판수 복합방수시트를 이용한 방수 시공방법 및 방수구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6260A (ko) * 2002-03-22 2003-09-26 이종학 바이오 시트재 및 그 제조방법과 제조장치
KR100814945B1 (ko) * 2007-01-15 2008-03-19 강용석 아스팔트 방수시트 제조장치
KR101064589B1 (ko) * 2010-11-18 2011-09-15 (주)한일이앤지 열차단 복합방수시트
KR101586035B1 (ko) * 2014-12-01 2016-01-15 김종필 통기성 방수시트를 이용한 조인트 보강형 복합방수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1627776B1 (ko) 2016-02-16 2016-06-07 강판수 복합방수시트를 이용한 방수 시공방법 및 방수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3550B1 (ko) 2019-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21532B2 (en) Peel and stick waterproofing material
US6742313B2 (en) Non-cellular adhesive for composite roof structure
US10857759B2 (en) Peel and stick waterproofing material
KR100636887B1 (ko) 메쉬형 유리섬유시트와 이를 이용한 복합 방수 공법
KR100744727B1 (ko) 건축 구조물의 도막 및 시트 이중 노출방수재 및 그의 시공방법
KR20110110387A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외부방수를 위한 고무아스팔트 도막 및 펠트시트 복합방수재
KR20050082441A (ko) 통기성 방수시트를 이용한 통기성 방수구조
KR102261398B1 (ko) 복합 방수층의 시공방법
KR100659476B1 (ko) 매트형 방수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과 시공방법
KR102410842B1 (ko) 현장시공이 용이한 콘크리트 또는 구조물 외부용 방수시트
CN106401083A (zh) 一种屋面工程系统结构及其施工方法
KR100875893B1 (ko) 방수시트를 이용한 방수 시공 방법
KR102363591B1 (ko) 고강도 및 고내구 복합심재를 사용한 개량 아스팔트 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3중 복합방수 시공방법
KR101923550B1 (ko) 폴리우레탄 방수시트 및 이의 제조 장치, 제조된 폴리우레탄 방수시트 시공 방법
KR200405387Y1 (ko) 메쉬형 유리섬유시트
JP4357914B2 (ja) シート防水材の連結部接合構造
KR101614749B1 (ko) 방수기능을 겸비한 방수층 보호시트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0580574B1 (ko) 보강 도막형 시트재와 이를 이용한 도막·시트 일체형건식화 복합 방수재 및 그 제조방법
KR102135974B1 (ko) 폴리염화비닐 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복합방수공법
KR102410843B1 (ko) 현장시공이 용이한 콘크리트 또는 구조물용 방수시트의 제조방법
KR20000030818A (ko) 옥상방수의 하자보수를 위한 패드 및 이의 시공방법
JP4357968B2 (ja) 防水塗膜構造とこれに用いる水系塗膜防水材用下地緩衝シート。
KR101195591B1 (ko) 방수 시트, 이를 이용한 방수 구조, 및 방수시공 방법
CN107119858A (zh) 一种屋面防水结构及其施工工艺
KR101780673B1 (ko) 도막재를 이용한 일체형 복합방수시트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