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5602B1 - 레이저 빔을 이용한 안개 발생 경고 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 Google Patents

레이저 빔을 이용한 안개 발생 경고 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5602B1
KR101185602B1 KR1020100088997A KR20100088997A KR101185602B1 KR 101185602 B1 KR101185602 B1 KR 101185602B1 KR 1020100088997 A KR1020100088997 A KR 1020100088997A KR 20100088997 A KR20100088997 A KR 20100088997A KR 101185602 B1 KR101185602 B1 KR 1011856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ser beam
fog
power
display device
warning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89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26844A (ko
Inventor
성명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일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일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일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1000889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5602B1/ko
Publication of KR201200268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68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56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56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40Arrangements responsive to adverse atmospheric conditions, e.g. to signal icy roads or to automatically illuminate in fo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heating or drying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08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for guiding, warning or controlling traffic, e.g. delineator posts or mileston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15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illumina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F21V23/0442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 F21V23/046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activated by means of a sensor, e.g. motion or photodetectors the sensor sensing the level of ambient illumination, e.g. dawn or dusk senso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0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 H05B47/11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by determining the brightness or colour temperature of ambient ligh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20/00Energy efficient lighting technologies, e.g. halogen lamps or gas discharge lamps
    • Y02B20/40Control techniques providing energy savings, e.g. smart controller or presence de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tmospheric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개 발생 경고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레이저 빔을 발생시키는 다수의 레이저 빔 발생장치와, 레이저 빔 발생장치를 고정시키는 다수의 고정장치와, 광량의 변화를 감지하는 광센서와, 레이저 빔 발생장치의 레이저 빔을 발생시킬 수 있는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와, 광센서에서 검출된 광량에 따라 레이저 빔 발생장치에 전원부의 전원을 공급할지 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레이저 빔에서 발생된 레이저 빔을 반사시키는 반사판과 인접한 다수의 안개 발생 경고 표시장치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전원을 연결시켜 줄 수 있는 전원 연결부를 포함하는 안개 발생 경고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레이저 빔을 이용한 안개 발생 경고 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Fog waring display apparatus using laser beam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안개 발생 경고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레이저 빔을 발생시키는 다수의 레이저 빔 발생장치와, 레이저 빔 발생장치를 고정시키는 다수의 고정장치와, 광량의 변화를 감지하는 광센서와, 레이저 빔 발생장치의 레이저 빔을 발생시킬 수 있는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와, 광센서에서 검출된 광량에 따라 레이저 빔 발생장치에 전원부의 전원을 공급할지 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레이저 빔에서 발생된 레이저 빔을 반사시키는 반사판과 인접한 다수의 안개 발생 경고 표시장치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전원을 연결시켜 줄 수 있는 전원 연결부를 포함하는 안개 발생 경고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산악지형의 도로와 혹은 상습 안개 발생 구간의 도로나 교량 구간은 전방의 교통상태나 위험 요소를 사전에 운전자에게 제공하여 안전 운전을 유도할 필요가 있다. 특히 안개 발생시 시야가 좁아지며 차량 사고 발생 확률도 높아진다. 특히 기존 안개 발생 경보 시스템은 안개 발생 감지에서 제공까지 실시간으로 이루어지지 않으며 안개 발생 정보를 제공할 교통정보 제공표지판의 위치도 한정되어 있으므로 정보 제공의 한계도 있다. 따라서, 안개 발생 지역에 안개가 발생하는 즉시 운전자가 주의 운전을 할 수 있도록 즉각적으로 주의 및 경고를 해줄 수 있는 장치나 시스템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을 충족시키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 도로변에 설치하여 안개 발생시 작은 물방울 입자에 반사되는 가이드라인을 표시하여 운전자로 하여금 안전운전을 할 수 있도록 유도하여 안개로 인한 사고를 사전에 예방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레이저 빔을 이용한 안개 발생 경고 표시장치는 레이저 빔을 발생시키는 다수의 레이저 빔 발생장치와, 레이저 빔 발생장치를 고정시키는 다수의 고정장치와, 광량의 변화를 감지하는 광센서와,레이저 빔 발생장치의 레이저 빔을 발생시킬 수 있는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와, 광센서에서 검출된 광량에 따라 레이저 빔 발생장치에 전원부의 전원을 공급할지 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와, 레이저 빔에서 발생된 레이저 빔을 반사시키는 반사판 및, 인접한 다수의 안개 발생 경고 표시장치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전원을 연결시켜 줄 수 있는 전원 연결부를 포함한다. 반사판은 레이저 빔이 지그재그 형태로 가이드라인을 형성할 수 있도록 안개 발생 경고 표시장치의 상판, 좌우측판 및 중판의 안쪽면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안개 발생 경고 표시장치 동작방법은 전원부에서 전원을 공급하는 단계와, 전원부에서 공급된 전원에 의해 광센서가 작동되는 단계와, 광센서에서 검출된 광량의 정도에 따라 레이저 빔 발생장치에 전원을 공급할지 여부를 제어부에서 판단하는 단계와, 검출된 광량이 일정량 이하가 되어서, 제어부에서 전원을 레이저 빔 발생장치에 공급하는 단계와, 레이저 빔 발생장치에서 발생된 레이저 빔이 반사판에 반사되어 레이저빔이 안개 발생 경고 표시장치에 표시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반사판은 레이저 빔이 지그재그 형태로 가이드라인을 형성할 수 있도록 안개 발생 경고 표시장치의 상판, 좌우 측판, 중판의 안쪽면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습 안개 발생 지역이나 안개 발생시 잦은 산악 도로 구간과 교량 구간의 도로변에 설치하여 안개 발생시 가이드라인을 표시하여 운전자로 하여금 안개 발생에 따른 주의 운전을 할 수 있도록 유도하여 안개 발생으로 인한 사고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욱이, 기존 안개 경고 시스템처럼 안개 검지에서 정보제공까지의 단계를 거치지 않고 안개 발생시 작은 물방울 입자에 반사되는 빛을 이용하므로 실시간으로 즉시 일종의 안개 경고 정보인 가이드 라인이 표시되므로 안개 경고에 대한 정보 제공 효과가 크다고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안개 발생 지역에서의 안개 발생 경고 표시장치가 도로변에 설치된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레이저 빔을 이용한 안개 발생 경고 표시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도.
도 3은 안개 발생 경고 표시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안개 발생 경고 표시장치의 블록도.
도 5는 안개 발생 경고 표시장치의 동작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
다만,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안개 발생 지역에서의 안개 발생 경고 표시장치가 도로변에 설치된 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1에서 볼 수 있듯이, 상습 안개 발생 지역에 안개 발생 경고 표시장치가 설치될 수 있고, 안개가 발생하지 않을 경우에는 안개 발생 경고 표시장치(100)의 지그재그 가이드라인은 표시되지 않으며, 안개가 발생한 경우에만 지그재그 가이드라인이 표시된다. 본 발명은 도로변에 설치되어 안개 발생시 운전자에게 가이드라인을 표시해 준다. 안개 발생 경고 표시장치는 여러 개를 연결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 때, 한 곳의 전원장치를 이용하여 인접 장치의 전원으로 사용할 수 있다.
도 2는 레이저 빔을 이용한 안개 발생 경고 표시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도이다. 전원부(150)는 메인 전원을 제공하는 부분으로 여러 개의 장치를 연결할 경우 전원부(150)에서 허용하는 용량만큼 연결하여 단일 전원으로 사용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레이저 빔 발생장치(110)의 전원을 제어하는 역할을 하며, 광센서(130)는 광량의 변화를 감지하여 맑은 날씨에는 레이저 빔 발생장치(110)에 전원을 차단시키며, 안개가 발생한 시점에는 레이저 빔 발생장치(110)에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레이저 빔 발생장치(110)는 레이저 빔을 발생시키고 안개발생 경고 표시장치의 상판(101), 좌우 측판(102) 및 중판(103)의 안쪽면에 설치된 반사판(120)은 레이저 빔을 반사시키는 역할을 한다. 레이저 빔에 의한 지그재그 형태의 가이드라인이 표시되는 방식은 먼저 고정장치(140)에 레이저 빔 발생장치(110)를 부착하여 레이저 빔을 발생시켜 반사판(120)에 의해 반사되는 라인의 각도를 설정하여 지그재그 라인이 형성되도록 한다. 반사판(120) 주변은 안개 발생시 작은 물방울 입자가 원활히 통과할 수 있도록 막히지 않고 개방된 형태로 구성을 할 수 있다. 이 공간에 작은 물방울 입자가 존재하면 레이저 빔의 반사 및 투과에 의해 전체적으로 라인이 형성되어 반사판(120)에 의해 반사된 레이저 빔 직선과 함께 지그재그 가이드라인을 형성할 수 있다.
도 3은 안개 발생 경고 표시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레이저 빔 발생장치(110)에서 발생되는 레이저 빔은 레이저 빔 구멍(180)을 통과하여 주변 반사판(120)에 반사된다. 반사판은 상판(101), 좌우 측판(102)및 중판(103)의 안쪽면에 설치되어 레이저 빔이 지그재그 형태가 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여러 개의 장치를 연결할 경우 전원 연결부(170)를 통해 하나의 단일 전원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비용 절감의 효과를 가져 올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안개 발생 경고 표시장치의 블록도이다. 전원부(150)에서 전체 전원을 공급하며, 전원 연결부(170)는 여러 개의 장치를 연결할 경우 인접 장치의 전원 공급 역할을 한다. 안개 발생시 광센서(130)의 광량 검출에 따라 제어부(160)에서 레이저 빔 발생장치(110)에 전원을 공급하여 레이저 빔이 발생하고, 발생된 레이저 빔은 반사판(120)에 반사되어 지그재그 형태의 가이드라인을 형성하고 이 가이드 라인에 작은 물방울 입자가 존재하면 반사되어 운전자에게 가이드라인이 표시될 수 있다.
도 5는 안개 발생 경고 표시장치의 동작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S1 단계는 전원부(150)에서 전원을 공급하는 단계를 나타낸 것이다. S2 단계는 전원부(150)에서 공급된 전원에 의해 광센서(130)가 작동되는 단계를 나타낸 것이다. S3 단계는 광센서(130)에서 검출된 광량의 정도에 따라 레이저 빔 발생장치(110)에 전원을 공급할지 여부를 제어부에서 판단하는 단계를 나타낸 것이다. 이때, 흐린 날씨이거나 안개가 발생하거나 야간에는 광센서(130)에서 검출된 광량이 일정량 이하가 되어서, 제어부(160)에서 레이저 빔 발생장치(110)에 전원을 공급하게 되지만, 맑은날 낮에는 광센서에서 검출된 광량이 일정량 이상이 되어서, 제어부(160)에서는 레이저 빔 발생장치(110)에 전원을 공급하지 않는다. S4 단계는 광센서(130)에서 검출된 광량이 일정량 이하가 되어서, 제어부(160)에서 전원을 레이저 빔 발생장치에 공급하는 단계를 나타낸 것이다. 전원이 공급되어 레이저 빔 발생장치(110)의 전원은 켜지게 되고, 레이저 빔 발생장치(110)에서는 레이저 빔이 발생하게 된다. S5 단계는 레이저 빔 발생장치(110)에서 발생된 레이저 빔이 반사판에 반사되어 레이저빔이 안개 발생 경고 표시장치에 표시되는 단계를 나타낸다. 레이저 빔 발생장치에서 발생된 레이저 빔은 레이저 빔 구멍(180)을 통과한 후, 반사판(120)에 반사되게 된다. 반사판(120)은 레이저 빔이 여러 각도로 반사될 수 있도록 안개 발생 경고 표시장치의 상판(101), 좌우 측판(102)및 중판(103)의 안쪽면에 모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안개가 발생하거나, 흐린날씨, 야간에는 안개 발생 경고 가이드라인에 레이저 빔 라인이 표시되어서, 운전자로 하여금 안전 운전을 할 수 있도록 경각심을 줄 수 있다.
100 : 안개 발생 경고 표시장치
110 : 레이저 빔 발생장치 120 : 반사판
130 : 광센서 140 : 고정장치
150 : 전원부 160 : 제어부
170 : 전원 연결부 180 : 레이저 빔 구멍
200 : 인접한 안개 발생 경고 표시장치

Claims (4)

  1. 레이저 빔을 발생시키는 다수의 레이저 빔 발생장치;
    상기 레이저 빔 발생장치를 고정시키는 다수의 고정장치;
    광량의 변화를 감지하는 광센서;
    상기 레이저 빔 발생장치의 레이저 빔을 발생시킬 수 있는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상기 광센서에서 검출된 광량에 따라 상기 레이저 빔 발생장치에 상기 전원부의 전원을 공급할지 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레이저 빔에서 발생된 레이저 빔을 반사시키는 반사판; 및,
    인접한 다수의 안개 발생 경고 표시장치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전원을 연결시켜 줄 수 있는 전원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개 발생 경고 표시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판은 상기 레이저 빔이 지그재그 형태로 반사될 수 있도록 상기 안개 발생 경고 표시장치의 상판, 좌우 측판 및 중판의 안쪽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개 발생 경고 표시장치.
  3. 전원부에서 전원을 공급하는 단계;
    상기 전원부에서 공급된 전원에 의해 광센서가 작동되는 단계;
    상기 광센서에서 검출된 광량의 정도에 따라 레이저 빔 발생장치에 전원을 공급할지 여부를 제어부에서 판단하는 단계;
    상기 검출된 광량이 일정량 이하가 되어서,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전원부에서의 전원을 상기 레이저 빔 발생장치에 공급하는 단계;
    상기 레이저 빔 발생장치에서 발생된 레이저 빔이 반사판에 반사되어 상기 레이저빔이 안개 발생 경고 표시장치에 표시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개 발생 경고 표시장치 동작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판은 상기 레이저 빔이 지그재그 형태로 가이드라인을 형성할 수 있도록 상기 안개 발생 경고 표시장치의 상판, 좌우 측판 및 중판의 안쪽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개 발생 경고 표시장치 동작방법.
KR1020100088997A 2010-09-10 2010-09-10 레이저 빔을 이용한 안개 발생 경고 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1011856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8997A KR101185602B1 (ko) 2010-09-10 2010-09-10 레이저 빔을 이용한 안개 발생 경고 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8997A KR101185602B1 (ko) 2010-09-10 2010-09-10 레이저 빔을 이용한 안개 발생 경고 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6844A KR20120026844A (ko) 2012-03-20
KR101185602B1 true KR101185602B1 (ko) 2012-09-24

Family

ID=461325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8997A KR101185602B1 (ko) 2010-09-10 2010-09-10 레이저 빔을 이용한 안개 발생 경고 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560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0313B1 (ko) * 2013-04-08 2014-10-23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레이저 광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230050151A (ko) * 2021-10-07 2023-04-14 레인보우스케이프주식회사 레이저광을 이용한 오로라 효과 디스플레이 장치
KR20230174491A (ko) 2022-06-21 2023-12-28 주식회사 이륜코리아 안개속 레이저빔의 산란현상 및 칼라센서를 이용한 안개측정 수집방법 및 그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4568B1 (ko) * 2014-10-21 2016-10-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램프
KR101703021B1 (ko) * 2015-08-19 2017-02-06 주식회사 엘템 2차사고 예방을 위한 교통안전알림장치
KR102449565B1 (ko) * 2021-09-06 2022-09-29 김계환 레이저 스크린을 형성하여 차량과 보행자가 교통법규를 준수하도록 유도함으로써 교통사고를 적극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레이저 휀스 구조체
KR102580758B1 (ko) * 2022-03-29 2023-09-20 (주)이륜코리아 안개속 레이저빔 산란현상을 이용한 가시광 극대화 수집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56316B2 (ja) 1996-06-17 1999-02-10 建設省東北地方建設局長 レーザー光による視線誘導装置及び誘導方法
JP2001154025A (ja) 1999-11-24 2001-06-08 Nippon Leiz Co Ltd 導光板および平面照明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56316B2 (ja) 1996-06-17 1999-02-10 建設省東北地方建設局長 レーザー光による視線誘導装置及び誘導方法
JP2001154025A (ja) 1999-11-24 2001-06-08 Nippon Leiz Co Ltd 導光板および平面照明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0313B1 (ko) * 2013-04-08 2014-10-23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레이저 광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230050151A (ko) * 2021-10-07 2023-04-14 레인보우스케이프주식회사 레이저광을 이용한 오로라 효과 디스플레이 장치
KR102555183B1 (ko) * 2021-10-07 2023-07-18 레인보우스케이프주식회사 레이저광을 이용한 오로라 효과 디스플레이 장치
KR20230174491A (ko) 2022-06-21 2023-12-28 주식회사 이륜코리아 안개속 레이저빔의 산란현상 및 칼라센서를 이용한 안개측정 수집방법 및 그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6844A (ko) 2012-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5602B1 (ko) 레이저 빔을 이용한 안개 발생 경고 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102255733B1 (ko) 도로 정보 통신 기술
KR101547807B1 (ko) 교통신호 보조안전시스템
KR101116696B1 (ko) 횡단보도 정지 안내 장치
KR101363510B1 (ko) 고장자동차 표지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08139470A1 (en) An intersection-located driver alert system
KR101147447B1 (ko) 도로공사 교통관리 시스템 및 방법
CN111223313A (zh) 一种电子智能化车道优先通行应急车辆的控制系统及方法
JP3141167U (ja) 逆走通報機能付き道路情報表示装置
KR101013578B1 (ko) 엘이디를 이용한 안개주의등 작동시스템
KR102223465B1 (ko) 역주행 사고방지장치
KR101770986B1 (ko) 사고 발생 경고용 무선 전광시스템
JP3868193B2 (ja) 道路反射鏡併用出合い頭事故防止装置
KR100893075B1 (ko) 레이저를 이용한 도로의 진행방향 표시 시스템
JP4935287B2 (ja) 交通信号制御機、交通信号制御システム
KR20200140486A (ko) 레이저빔 라인을 통한 도로상의 주행방향 표시장치
KR20110120087A (ko) 차량의 접근 경고장치
KR20160090585A (ko) 교차로용 경보 장치 및 그의 경보 시스템
CN110689729A (zh) 一种相邻行车道的故障应急处理系统和方法
JP4639310B2 (ja) 対向車接近表示システム
JP2004150022A (ja) 危険回避警告用のled工事標識
KR101492013B1 (ko) T자 도로용 실시간 상황표지판
JP5706377B2 (ja) 路面交通信号機および路面交通信号表示方法
CN110689735A (zh) 一种应用于道路上的故障检测与应急处理系统和方法
KR20230121679A (ko) 차량용 정보 표시장치 및 이를 구비한 차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