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3021B1 - 2차사고 예방을 위한 교통안전알림장치 - Google Patents

2차사고 예방을 위한 교통안전알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3021B1
KR101703021B1 KR1020150116393A KR20150116393A KR101703021B1 KR 101703021 B1 KR101703021 B1 KR 101703021B1 KR 1020150116393 A KR1020150116393 A KR 1020150116393A KR 20150116393 A KR20150116393 A KR 20150116393A KR 101703021 B1 KR101703021 B1 KR 1017030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ound source
bar
main body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63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템
Priority to KR10201501163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30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30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30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7/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portable emergency signal devices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5/00Arrangement or adaptation of acoustic signal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L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BEING PORTABLE OR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ATION
    • F21L4/00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 F21L4/02Electric lighting devices with self-contained electric batteries or cells characterised by the provision of two or more light sour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7/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 waves, e.g. lidar systems
    • G01S17/88Lidar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1S17/93Lidar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anti-collision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2300/00Indexing codes for automatically adjustable headlamps or automatically dimmable headlamps
    • B60Q2300/40Indexing codes relating to other road users or special conditions
    • B60Q2300/43Indexing codes relating to other road users or special conditions following vehic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2차사고 예방을 위한 교통안전알림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주간 및 야간에도 후방 원거리에서 사고 유무를 효과적으로 확인할 수 있어 사고지점으로부터 100m 또는 200m의 지점까지 걸어가 설치할 필요가 없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2차사고 예방을 위한 교통안전알림장치{Second traffic accident alert system for the prevention of traffic safety}
본 발명은 2차사고 예방을 위한 교통안전알림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주간 및 야간에도 후방 원거리에서 사고 유무를 확인할 수 있어 2차 교통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2차사고 예방을 위한 교통안전알림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운전자들은 차량의 고장 및 사고 발생 시 안전수칙에 따라 후방 차량들에게 알리기 위해 삼각대, 비상 손전등과 같은 장비들을 차량에 구비해야 하고, 실제로 운전중 도로에서 차량이 고장 나거나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 차량의 비상등을 켜고, 후방 일정 거리에 삼각대를 세운 후 비상 손전등 등을 흔들어, 차량의 고장 또는 사고가 발생했음을 후방 차량이 인지하도록 알린다.
삼각대는 빛의 반사율을 높이는 방식으로 발전하였고, 최근에는 LED 삼각대, 안전 경광봉 또는 불꽃 신호탄으로 진화하였으나, 여전히 2차 사고를 방지하는데 한계가 있다.
현행법상 삼각대는 주간에는 사고지점 후방 100m, 야간에는 200m 후방에 설치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사고 후 사고지점 후방 100m 또는 200m의 지점까지 삼각대를 설치하러 가는 과정에서 교통사고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
등록특허 제1522956호(2015.05.28) 등록실용신안 제0449417호(2010.07.13)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주간 및 야간에도 후방 원거리에서 사고 유무를 효과적으로 확인할 수 있어 사고지점으로부터 100m 또는 200m의 지점까지 걸어가 설치할 필요가 없는 2차사고 예방을 위한 교통안전알림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본체와;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 전방을 향하여 발광하는 고휘도 LED부와;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 상측을 향하여 라인 레이저를 조사하는 라인 레이저조사부와; 상기 고휘도 LED부 및 상기 라인 레이저조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사고 예방을 위한 교통안전알림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본체에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전방을 향하여 고출력의 지향성 음원데이터를 출력하는 고출력 지향성 스피커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본체에는 빛세기를 검출하는 조도센서가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도센서의 출력신호에 따라 상기 라인 레이저조사부를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본체의 하부에는 상기 본체를 일정한 높이로 지지하는 삼각 지지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전체적으로 사다리꼴 형태로 형성되고, 전면에 반사층이 형성되고, 배면에 상기 삼각 지지대의 두개의 다리에 억지끼움고정되는 끼움고정부가 형성된 반사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반사부는 상기 삼각 지지대의 일측 다리에 끼움고정되는 일측 끼움고정부가 배면에 형성되고 전면에 반사층이 형성되는 일측 세로바와; 상기 삼각 지지대의 타측 다리에 끼움고정되는 타측 끼움고정부가 배면에 형성되고 전면에 반사층이 형성되는 타측 세로바와; 일단부가 상기 일측 세로바의 상단부에 축고정되고, 타단부가 상기 타측 세로바의 상단부에 축고정되고, 전면에 반사층이 형성되는 상측 가로바와; 일단부가 상기 일측 세로바의 하단부에 축고정되고, 타단부가 상기 타측 세로바의 하단부에 축고정되고, 전면에 반사층이 형성되는 하측 가로바;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상측 가로바의 일단부 및 타단부에 각각 수평방향의 일측 슬릿 및 타측 슬릿이 형성되고, 상기 일측 세로바 및 상기 타측 세로바의 각 상단부는 상기 일측 슬릿 및 타측 슬릿에 각각 축고정되고, 상기 하측 가로바는 일단부가 상기 일측 세로바의 하단부에 축고정되는 제1 하측가로바와, 타단부가 상기 타측 세로바의 하단부에 축고정되는 제2 하측가로바와, 상기 제1 하측가로바와 상기 제2 하측가로바를 연결하는 연결링크로 이루어짐으로서, 상기 반사부가 상기 삼각 지지대의 다리가 접힘과 함께 접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반사부의 반사층 대신에 복수의 LED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고출력 지향성 스피커부는, 음원 데이터를 필터링 및 이퀄라이징하는 오디오 프로세서와, 상기 오디오 프로세서로부터 입력받은 음원 데이터를 증폭하고 아날로그 신호로 출력하는 디지털 앰프와, 상기 디지털 앰프로부터 입력되는 아날로그신호를 출력하는 압축드라이버 및 혼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음원이 저장되는 메모리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음원을 추출하여 상기 오디오 프로세서에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스마트폰을 포함한 단말기와 근거리통신을 통하여 연결되는 근거리통신부 및 AUX 단자와, 상기 AUX 단자로부터 입력되는 음원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ADC가 구비된다. 상기 오디오 프로세서는 상기 음원 데이터와 상기 근거리통신부 또는 상기 AUX 단자를 통하여 입력되는 음원을 믹싱하여 오디오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디지털 앰프로 출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주간 및 야간에도 후방 원거리에서 사고 유무를 효과적으로 확인할 수 있어 사고지점으로부터 100m 또는 200m의 지점까지 걸어가 설치할 필요가 없음은 물론 이로 인해 2차사고를 높은 효율로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2차사고 예방을 위한 교통안전알림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제어부의 제어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3은 라인 레이저조사부가 본체의 상측을 향하여 라인 레이저를 조사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반사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반사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배면사시도이고,
도 6은 반사부가 삼각 지지대의 다리와 함께 접힌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2차사고 예방을 위한 교통안전알림장치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2차사고 예방을 위한 교통안전알림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제어부의 제어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2차사고 예방을 위한 교통안전알림장치는 도 1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본체(10), 고출력 지향성 스피커부(20), 고휘도 LED부(30), 라인 레이저조사부(40), 제어부(50) 및 조작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본체(10)는 도 1에서는 직육면체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그 형상 및 재질은 크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고출력 지향성 스피커부(20), 상기 고휘도 LED부(30), 상기 라인 레이저조사부(40), 제어부(50) 및 조작부(60)를 설치할 수 있는 구조 및 재질이면 족하다.
상기 고출력 지향성 스피커부(20)는 상기 본체(10)에 하부에 압축드라이버(201)가 장착된 혼스피커(200)가 배치되도록 설치되고, 전방을 향하여 고출력의 지향성 음원데이터를 출력한다.
상기 혼스피커(200)는 지수함수 혼을 기초로 한 반사형 혼(Reflex Horn)으로 압축드라이버가 장착된다.
상기 혼스피커(200)는 일반 오디오 혼스피커와 달리 개구부의 각도가 넓게 전개되어 있지 않아 지향성을 갖게 된다.
특히, 상기 혼스피커(200)는 전방 1m 앞에서는 120dB 이상의 고출력의 소리를 발생하지만 후방은 전방 대비 -30dB의 소리로 현저히 작게 되고, 지향성을 갖기 때문에 500m 이상의 거리까지 크고 명료한 소리를 전달할 수 있어 야간 및 주간에도 원거리의 운전자에게 사고 유무를 알릴 수 있고, 또한 고속 주행중의 차량 내부에서도 효과적으로 소리를 인지할 수 있다.
상기 고출력 지향성 스피커부(20)에는 메모리부(210), 오디오 프로세서(220) 및 디지털앰프(230)가 더 구비된다.
상기 메모리부(210)에는 싸이렌 등의 음원 데이터가 저장된다.
상기 오디오 프로세서(220)는 상기 제어부(50)에 의해 상기 메모리부(210)로부터 음원 데이터를 추출하고, 음원 데이터를 필터링 및 이퀄라이징한다.
상기 고출력 지향성 스피커부(20)에는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등의 근거리통신부가 내장된 단말기(3)와 근거리통신을 통하여 연결되는 근거리통신부(240)와, AUX단자(25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근거리통신부(240)는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Bluetooth)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AUX단자(250)로부터 입력되는 음원 아날로그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오디오 프로세서(220)에 전달하는 ADC(260)가 구비된다.
상기 고출력 지향성 스피커부(20)는 상기 메모리부(210)로부터 추출된 음원데이터를 필터링하고 이퀄라이징하는 제1 필터 및 제1 이퀄라이저와, 상기 근거리통신부 또는 AUX단자로부터 입력되는 음원데이터를 필터링하고 이퀄라이징하는 제2 필터 및 제2 이퀄라이저와, 상기 제1 이퀄라이저 및 상기 제2 이퀄라이저에 의해 이퀄라이징된 음원데이터들을 믹싱하는 믹서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디지털앰프(230)는 상기 오디오 프로세서(220)로부터 입력받은 음원데이터를 증폭하고 아날로그 신호로 출력한다.
상기 압축드라이버(201)는 상기 디지털앰프(230)로부터 입력되는 아날로그신호를 출력한다.
다음으로, 상기 고휘도 LED부(30)는 복수의 고휘도 LED로 구성되고, 상기 본체(10)의 상부에 구비되어 전방을 향하여 발광한다.
상기 고휘도 LED부(30)는 상기 본체(10)의 상부 전면에 좌측 LED부(310) 및 우측 LED부(320)로 분리되어 형성되고, 상기 좌측 LED부(310)와 상기 우측 LED부(320)가 주기적으로 서로 교환되면서 점멸하거나, 비주기적으로 교환되면서 점멸되는 것이 좋다.
특히, 시인성과 운전자의 경각심을 높이기 위해 상기 좌측 LED부(310)와 상기 우측LED부(320)가 다른 색으로 발광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좌측 LED부(310)는 파란색으로 발광되고, 상기 우측 LED부(320)는 빨간색으로 발광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고휘도 LED부(30)가 구비됨으로서 주간에서 원거리에서 운전자가 효과적으로 볼 수 있게 된다.
도 3은 라인 레이저조사부가 본체의 상측을 향하여 라인 레이저를 조사하는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라인 레이저조사부(40)는 상기 본체(10)에 구비되어 상측을 향하여 라인 레이저를 조사한다.
상기 라인 레이저조사부(40)는 도트 형태로 집광된 빔을 실린더 렌즈를 통해 라인 레이저로 변환되어 라인 형태의 레이저가 조사된다.
상기 라인 레이조조사부(40)는 서로 다른 색상의 라인 레이저를 조사하는 제1 라인 레이저조사부(410)와 제2 라인 레이저조사부(420)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주간 및 야간에 시인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상기 제1 라인 레이저조사부(410)는 녹색 또는 파란색, 상기 제2 라인 레이저조사부(420)는 빨간색 라인 레이저를 조사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좋다.
상기 라인 레이저조사부(40)는 30도, 45도 또는 60도로 퍼지는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또한 상기 라인 레이저조사부(40)의 제1, 2라인 레이저조사부(410, 420)는 주기적으로 서로 교환되면서 점멸하거나, 비주기적으로 교환되면서 점멸되도록 제어가능하다.
상기 라인 레이저조사부(40)는 상측 향하여 조사되도록 상기 본체(10)의 상부면에 배치됨으로서, 라인 레이저를 특히 야간에 하늘을 향하여 조사할 수 있어 주야간에 특히 야간에 500m 이상의 원거리에서도 사고사실을 확인할 수 있음은 물론 운전자의 시력을 보호하고 라인 레이저의 역광으로부터 시야를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본체(10)에는 빛세기를 검출하는 조도센서(70)가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조도센서(70)의 출력신호에 따라 상기 라인 레이저조사부(40)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조도센서(70)의 출력신호에 따라 상기 제어부(50)가 상기 본체(10) 주변 환경이 낮이라 판단한 경우, 상기 제어부(50)의 제어에 의해 상기 라인 레이저조사부(40)는 작동중지됨과 더불어 상기 고출력 지향성 스피커부(20), 상기 고휘도 LED(30) 및 후술할 복수의 LED(812)가 작동할 수 있다.
상기 조도센서(70)의 출력신호에 따라 상기 제어부(50)가 상기 본체(10) 주변 환경이 밤이라 판단한 경우, 상기 제어부(50)의 제어에 의해 상기 고출력 지향성 스피커부(20), 상기 고휘도 LED(30), 상기 라인 레이저 조사부(40) 및 복수의 상기 LED(812) 모두가 작동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 및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의 하부에는 상기 본체(10)를 일정한 높이로 지지하는 삼각지지대(90)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삼각지지대(90)의 두개의 다리(910, 920))에 억지끼움고정되는 반사부(80)가 구비되로 수 있다.
도 4는 반사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반사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배면사시도이다.
상기 반사부(80)는 도 4 및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사다리꼴 형대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반사부(80)의 전면에는 반사층(811)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반사부(80)의 배면에는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삼각 지지대(90)의 두개의 다리(910)에 억지끼움고정될 수 있도록 'C'형상 등으로 형성될 수 있는 끼움고정부(813)가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반사부(80)는 크게, 일측 세로바(810), 타측 세로바(820), 상측 가로바(830) 및 하측 가로바(8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일측 세로바(810)의 배면에는 상기 삼각 지지대(90)의 일측 다리(910)에 끼움고정되는 일측 끼움고정부(813a)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일측 세로바(810)의 전면에는 상기 반사층(81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타측 세로바(820)의 배면에는 상기 삼각 지지대(90)의 타측 다리(920)에 끼움고정되는 타측 끼움고정부(813b)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타측 세로바(820)의 전면에도 상기 반사층(81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측 가로바(830)의 일단부는 상기 일측 세로바(810)의 상단부에 축고정될 수 있다.
상기 상측 가로바(830)의 타단부는 상기 타측 세로바(820)의 상단부에 축고정될 수 있다.
상기 상측 가로바(830)의 전면에도 상기 반사층(81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측 가로바(840)의 일단부는 상기 일측 세로바(810)의 하단부에 축고정될 수 있다.
상기 하측 가로바(840)의 타단부는 상기 타측 세로바(820)의 하단부에 축고정될 수 있다.
상기 하측 가로바(840)의 전면에도 상기 반사층(811)이 형성될 수 있다.
도 6은 반사부가 삼각 지지대의 다리와 함께 접힌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다음으로,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반사부(80)가 상기 삼각 지지대(90)로부터 분리되지 않은 상태로 상기 삼각 지지대(90)의 다리(910, 920)와 함께 접혀지도록 하기 위해, 상기 상측 가로바(830)의 일단부 및 상기 상측 가로바(830)의 타단부에 각각 수평방향의 일측 슬릿(831) 및 타측 슬릿(832)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일측 세로바(810)의 상단부 및 상기 타측 세로바(820)의 상단부는 상기 일측 슬릿(831) 및 상기 타측 슬릿(832)에 각각 축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측 가로바(840)는 제1 하측가로바(841), 제2 하측가로바(842) 및 연결링크(843)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 하측가로바(841)의 일단부는 상기 일측 세로바(810)의 하단부에 축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2 하측가로바(842)의 타단부는 상기 타측 세로바(820)의 하단부에 축고정될 수 있다.
상기 연결링크(843)가 상기 제1 하측가로바(841)와 상기 제2 하측가로바(842)를 연결하기 위해, 상기 연결링크(843)의 일단부에 가이드슬릿(843a)이 상기 연결링크(843)의 좌우방향으로 수평연장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1 하측가로바(841)의 타단부는 상기 연결링크(843)의 가이드슬릿(843a)에 축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하측가로바(842)의 일단부는 상기 연결링크(843)의 타단부에 축고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반사부(80)의 반사층(811) 대신에 상기 제어부(50)의 제어에 의해 빛을 발광하는 복수의 LED(812)가 구비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상기 본체(10)에는 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조작부가 누름식 버튼 또는 다이얼 버튼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조작부는 크게, 볼륨조절부와 모드선택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예로, 사용자는 상기 볼륨조절부를 조작하여 상기 고출력 지향성 스피커부(20)가 출력하는 소리의 볼륨세기를 강, 중, 약 으로 단계별로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모드선택부는 크게, 사고알림모드와 일반모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예로, 사용자가 상기 모드선택부의 사고알림모드를 선택한 경우, 상기 제어부(50)의 제어에 의해 상기 고출력 지향성 스피커부(20), 상기 고휘도 LED(30), 상기 라인 레이저 조사부(40) 및 복수의 상기 LED(812) 모두가 작동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상기 일반모드를 선택한 경우, 상기 제어부(50)의 제어에 의해 상기 고출력 지향성 스피커부(20)만이 작동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메모리부(210)에는 싸이렌 등의 음원 데이터와 더불어 행사장 안내멘트 등의 안내멘트가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본체(10)가 축제 행사장 등에 설치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일반모드를 선택한 경우, 상기 제어부(50)의 제어에 의해 상기 고출력 지향성 스피커부(20)는 행사관련안내멘트를 출력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주간 및 야간에도 후방 원거리에서 사고 유무를 효과적으로 확인할 수 있어 사고지점으로부터 100m 또는 200m의 지점까지 걸어가 설치할 필요가 없음은 물론 이로 인해 2차사고를 높은 효율로 예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10; 본체, 20; 고출력 지향성 스피커부,
30; 고휘도 LED부, 40; 라인 레이저조사부,
50; 제어부.

Claims (11)

  1. 본체와;
    상기 본체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본체를 일정한 높이로 지지하는 삼각 지지대와;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 전방을 향하여 발광하는 고휘도 LED부와;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 상측을 향하여 라인 레이저를 조사하는 라인 레이저조사부와;
    전체적으로 사다리꼴 형태로 형성되고, 전면에 반사층이 형성되며, 배면에 상기 삼각 지지대의 두개의 다리에 억지끼움고정되는 끼움고정부가 형성되는 반사부와;
    상기 고휘도 LED부 및 상기 라인 레이저조사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삼각 지지대의 다리의 접힘과 함께 상기 반사부가 접히도록 상기 반사부는 상기 삼각 지지대의 일측 다리에 억지끼움고정되는 일측 끼움고정부가 배면에 형성되고 전면에 반사층이 형성되는 일측 세로바와;
    상기 삼각 지지대의 타측 다리에 억지끼움고정되는 타측 끼움고정부가 배면에 형성되고 전면에 반사층이 형성되는 타측 세로바와;
    전면에 반사층이 형성되며 일단부 및 타단부에 각각 수평방향의 일측 슬릿 및 타측 슬릿이 형성되고 상기 일측 세로바 및 상기 타측 세로바의 각 상단부가 상기 일측 슬릿 및 타측 슬릿에 각각 축고정되는 상측 가로바와;
    일단부가 상기 일측 세로바의 하단부에 축고정되는 제1 하측가로바와, 타단부가 상기 타측 세로바의 하단부에 축고정되는 제2 하측가로바와, 상기 제1 하측가로바와 상기 제2 하측가로바를 연결하기 위해 일단부에 수평연장형성된 가이드슬릿에 상기 제1 하측가로바의 타단부가 축고정되고 타단부에 제2 하측가로바의 일단부가 축고정되는 연결링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사고 예방을 위한 교통안전알림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전방을 향하여 고출력의 지향성 음원데이터를 출력하는 고출력 지향성 스피커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사고 예방을 위한 교통안전알림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빛세기를 검출하는 조도센서가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조도센서의 출력신호에 따라 상기 라인 레이저조사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사고 예방을 위한 교통안전알림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부의 반사층 대신에 복수의 LED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사고 예방을 위한 교통안전알림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출력 지향성 스피커부는,
    음원 데이터를 필터링 및 이퀄라이징하는 오디오 프로세서와,
    상기 오디오 프로세서로부터 입력받은 음원 데이터를 증폭하고 아날로그 신호로 출력하는 디지털 앰프와,
    상기 디지털 앰프로부터 입력되는 아날로그신호를 출력하는 압축드라이버 및 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사고 예방을 위한 교통안전알림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음원이 저장되는 메모리부가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음원을 추출하여 상기 오디오 프로세서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사고 예방을 위한 교통안전알림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스마트폰을 포함한 단말기와 근거리통신을 통하여 연결되는 근거리통신부 및 AUX 단자와, 상기 AUX 단자로부터 입력되는 음원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ADC가 구비되고,
    상기 오디오 프로세서는 상기 음원 데이터와 상기 근거리통신부 또는 상기 AUX 단자를 통하여 입력되는 음원을 믹싱하여 오디오 데이터를 생성하여 상기 디지털 앰프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사고 예방을 위한 교통안전알림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상기 고출력 지향성 스피커부가 출력하는 소리의 볼륨세기를 단계별로 조절하는 볼륨조절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고출력 지향성 스피커부, 상기 고휘도 LED, 상기 라인 레이저 조사부 모두를 작동시키기 위한 사고알림모드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고출력 지향성 스피커부만을 작동시키기 위한 일반모드로 이루어지는 모드선택부;로 구성되는 조작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2차 사고 예방을 위한 교통안전알림장치.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1020150116393A 2015-08-19 2015-08-19 2차사고 예방을 위한 교통안전알림장치 KR1017030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6393A KR101703021B1 (ko) 2015-08-19 2015-08-19 2차사고 예방을 위한 교통안전알림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6393A KR101703021B1 (ko) 2015-08-19 2015-08-19 2차사고 예방을 위한 교통안전알림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3021B1 true KR101703021B1 (ko) 2017-02-06

Family

ID=581087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6393A KR101703021B1 (ko) 2015-08-19 2015-08-19 2차사고 예방을 위한 교통안전알림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302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1600A (ko) 2017-10-13 2019-04-23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IoT를 활용한 2차 사고 예방 장치 및 방법
KR20210125696A (ko) 2020-04-09 2021-10-19 가톨릭관동대학교산학협력단 차량사고 알림 장치, 차량사고 알림 시스템 및 방법
KR20230087247A (ko) 2021-12-09 2023-06-16 주식회사 퓨라코리아시스템즈 차량 탈출용 보조 수단이 부가된 2차 사고 방지용 안전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1523Y1 (ko) * 2001-12-31 2002-07-12 서인철 자동차 안전장치
KR100449417B1 (ko) 2002-09-12 2004-09-22 주식회사 세화엔스텍 불특정 혼합 폐수로부터 질소제거를 위한 복합처리 방법
KR20120026844A (ko) * 2010-09-10 2012-03-20 주식회사 제일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레이저 빔을 이용한 안개 발생 경고 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20130065510A (ko) * 2011-12-09 2013-06-19 김다솜 안전 삼각대
KR101522956B1 (ko) 2014-05-27 2015-05-28 주식회사 헤드터너 배터리 잔량 표시 기능을 갖는 교통안전표지 삼각대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1523Y1 (ko) * 2001-12-31 2002-07-12 서인철 자동차 안전장치
KR100449417B1 (ko) 2002-09-12 2004-09-22 주식회사 세화엔스텍 불특정 혼합 폐수로부터 질소제거를 위한 복합처리 방법
KR20120026844A (ko) * 2010-09-10 2012-03-20 주식회사 제일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레이저 빔을 이용한 안개 발생 경고 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20130065510A (ko) * 2011-12-09 2013-06-19 김다솜 안전 삼각대
KR101522956B1 (ko) 2014-05-27 2015-05-28 주식회사 헤드터너 배터리 잔량 표시 기능을 갖는 교통안전표지 삼각대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1600A (ko) 2017-10-13 2019-04-23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IoT를 활용한 2차 사고 예방 장치 및 방법
KR20210125696A (ko) 2020-04-09 2021-10-19 가톨릭관동대학교산학협력단 차량사고 알림 장치, 차량사고 알림 시스템 및 방법
KR20230087247A (ko) 2021-12-09 2023-06-16 주식회사 퓨라코리아시스템즈 차량 탈출용 보조 수단이 부가된 2차 사고 방지용 안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91618B2 (ja) 自動車の夜間運転支援装置
CN106796011B (zh) 用于机动车辆的象形图显示信号装置和配置有该照明装置的信号灯
EP2842396B1 (de) Strassen- und wegbeleuchtungssystem
KR101703021B1 (ko) 2차사고 예방을 위한 교통안전알림장치
KR101511900B1 (ko) 무선 안전 삼각대
KR101799527B1 (ko) 레이저 광원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주차 지시등 시스템
US11273755B2 (en) Light output apparatus for vehicle, light output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KR102460291B1 (ko) 보행자용 바닥 신호등 장치
KR101778614B1 (ko) 교통사고방지 안전유도 콘
KR101636507B1 (ko) 비콘이 내장된 안전 삼각대
KR101449662B1 (ko) 자동차 비상상태 표시시스템
KR101986624B1 (ko) 지능형 휴대용 도로 비상 상황 표시장치
JP2009224841A (ja) ディスプレイ位置調整装置
KR101904673B1 (ko) 휴대용 도로 비상 상황 표시장치
KR102406011B1 (ko) 외부차량 알림정보시스템 및 차량
KR102264961B1 (ko) 비상차선확보 안내 시스템 및 그 방법
JP3189993U (ja) 高さ制限超過通報装置
KR101432062B1 (ko) 안전 시스템 및 안전장치의 설치 방법, 안전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단말기 및 그 단말기의 구동방법
JP2019529219A (ja) 緊急車両のための操作方法
KR20150072578A (ko) 차량용 가이드 램프
KR20130065510A (ko) 안전 삼각대
CN103310636A (zh) 限高警示装置
JP6596055B2 (ja) 緊急車両の報知装置
KR101032555B1 (ko) 자동차의 양보 요청 및 양보 의사 표시 장치
JP5109831B2 (ja) アンテナユニット、灯器、交通信号灯器及び交通信号制御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