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87247A - 차량 탈출용 보조 수단이 부가된 2차 사고 방지용 안전장치 - Google Patents

차량 탈출용 보조 수단이 부가된 2차 사고 방지용 안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87247A
KR20230087247A KR1020210176031A KR20210176031A KR20230087247A KR 20230087247 A KR20230087247 A KR 20230087247A KR 1020210176031 A KR1020210176031 A KR 1020210176031A KR 20210176031 A KR20210176031 A KR 20210176031A KR 20230087247 A KR20230087247 A KR 202300872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safety device
light emitting
auxiliary means
vehicle esc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60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성실
백성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퓨라코리아시스템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퓨라코리아시스템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퓨라코리아시스템즈
Priority to KR10202101760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87247A/ko
Publication of KR202300872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724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B60R16/03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al cells or 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DPERCUSSIVE TOOLS
    • B25D2250/00General details of portable percussive tools; Components used in portable percussive tools
    • B25D2250/271Tools for breaking window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ghting Device Outwards From Vehicle And Optical Sign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힌지부(40)에 의해 상호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하우징(11)과 제2하우징(12); 제1하우징(11) 또는 제2하우징(12)의 선단에서 탄성력으로 돌출되어 유리창을 타격할 수 있는 펀칭부(20); 제1하우징(11) 또는 제2하우징(12)에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내측에 나이프를 수용되는 커터부(30); 및 제1하우징(11)과 제2하우징(12)의 내면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어 경고를 출력하는 발광부(50); 를 포함하는 차량 탈출용 보조수단이 부가된 2차 사고 방지용 안전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 탈출용 보조 수단이 부가된 2차 사고 방지용 안전장치{Safety apparatus for preventing secondary accidents with auxiliary means for vehicle escape}
본 발명은 차량 탈출용 보조수단이 부가된 2차 사고 방지용 안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운전자들은 차량의 고장 및 사고 발생 시 안전수칙에 따라 후방 차량들에게 알리기 위해 삼각대, 비상 손전등과 같은 장비들을 차량에 구비해야 하고, 실제로 운전중 도로에서 차량이 고장 나거나 사고가 발생하는 경우 차량의 비상등을 켜고, 후방 일정 거리에 삼각대를 세운 후 비상 손전등 등을 흔들어, 차량의 고장 또는 사고가 발생했음을 후방 차량이 인지하도록 알린다.
삼각대는 빛의 반사율을 높이는 방식으로 발전하였고, 최근에는 LED 삼각대, 안전 경광봉 또는 불꽃 신호탄으로 진화하였다.
그러나 차량의 2차 사고는 차량 내에 운전자 및/또는 동승자가 승차한 상황에서도 발생 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교통 사고 직후 차량에서 탈출하지 못한 상태에서 후방 차량이 추돌하여 발생 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차량의 운전자가 차량내에서 탈출하지 못한 상태임에 따라 안전 삼각대 등 2차 사고 방지를 위한 어떠한 행위를 할 수 없는 상황이기에 안전 삼각대 등 2차 사고 예방 방지 물품이 무의미한 것이다.
즉, 종래의 2차 사고 방지 안전장치들은 다양한 상황을 모두 고려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KR 10-1703021 B1(2017.01.31)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모든 상황에 대비될 수 있는 차량 탈출용 보조수단이 부가된 2차 사고 방지용 안전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실시예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힌지부에 의해 상호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 제1하우징 또는 제2하우징의 선단에서 탄성력으로 돌출되어 유리창을 타격할 수 있는 펀칭부와, 제1하우징 또는 제2하우징의 외면에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내측에 나이프를 수용되는 커터부 및 제1하우징과 제2하우징의 내면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어 경고를 출력하는 발광부를 포함하는 차량 탈출용 보조수단이 부가된 2차 사고 방지용 안전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안전 삼각대에 차량 탈출 기능을 부가함에 따라 운전자 및 동승자가 신속하게 차량을 탈출할 수 있어 2차 사고를 예방할 수 있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탈출용 보조수단이 부가된 2차 사고 방지용 안전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발광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 및 도 3b는 커터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된 실제품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부터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 탈출용 보조수단이 부가된 2차 사고 방지용 안전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발광부(50)를 도시한 도면, 도 3a 및 도 3b는 커터부(30)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된 실 제품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회전 가능하게 상호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본체(10)와, 선단에서 탄성 돌출되어 유리창을 타격하는 펀칭부(20)와, 나이프가 수용되는 커터부(30)와, 한 쌍의 하우징을 상호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힌지부(40)와, 하우징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되는 발광부(5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는 힌지부(40)에 의해 상호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하우징(11)과 제2하우징(12)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1하우징(11)과 제2하우징(12)은 힌지부(40)에 의해 회전되면서 상호 밀착 또는 이탈된다.
예를 들면, 제1하우징(11)과 제2하우징(12)은 상하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 길이를 신장시킨다. 이때, 제1하우징(11)의 일면에서 발광부(50)가 구비된다.
펀칭부(20)는 제1하우징(11) 또는 제2하우징(12)의 선단에서 탄성력에 의해 돌출된다. 이를 위하여 본체(10)에서 제1하우징(11)과 제2하우징(12)의 외면 중 어느 하나에 펀칭부(20)를 작동시키는 스위치가 더 추가될 수 있다. 여기서 펀칭부(20)는 선단에서 돌출되면서 유리창을 깨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사고 후 운전자 또는 동승자가 유리창에 펀칭부(20)를 근접시킨 후 스위치를 작동시켜 유리창을 파손한 뒤에 탈출할 수 있도록 한다.
커터부(30)는, 예를 들면, 제1하우징(11)의 외면에서 끼움식으로 체결되며, 내면에서 나이프가 수용되는 수용홈(31)과, 나이프 날이 위치되는 방향으로 안전띠를 인입할 수 있도록 개구된 인입구(32)를 포함할 수 있다.
수용홈(31)은 나이프를 수용하도록 음각 형성되며, 일측에서 인입구(32)와 연통된다.
인입구(32)는 수용홈(31)과 연통되되, 절개된 공간으로서 운전자 또는 동승자가 안전띠를 밀어넣을 수 있도록 형성된 공간이다.
여기서 커터부(30)의 일면에는 내향된 하나 이상의 이동홈(33)이 형성될 수 있다.
이동홈(33)은 커터부(30)의 일면을 따라 연장형성되어 제1하우징(11) 또는 제2하우징(12)의 외면에서 돌출되는 슬라이드 돌기(도시되지 않음)를 수용한다.
아울러, 커터부(30)는 제1하우징(11) 또는 제2하우징(12)으로 부터 인출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면에서 일방향으로 연장되고, 상호 이격된 복수의 홈으로 이루어진 가압단(34)을 더 구비할 수 있다.
가압단(34)은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홈이 이격된 상태에서 일방향ㅇ로 연장됨에 따라 사용자가 접촉시 마찰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가압단(34)에 힘을 가하여 커터부(30)를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하우징의 에서 커터부(30)를 분리시킨 뒤에 인입구(32)로 안전띠를 위치시킨 뒤에 나이프로 안전띠를 마찰시켜 절단 후 차량을 탈출할 수 있다.
힌지부(40)는 제1하우징(11)의 하단과, 제2하우징(12)의 선단 사이에서 형성되어 제1하우징(11)과 제2하우징(12)을 힌지 결합한다.
발광부(50)는, 복수의 발광소자가 매립 또는 부착되는 제1표시수단(51)과 제2표시수단(52)을 포함하여 사고시에 후방 차량에 경고할 수 있는 안전 삼각대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이중 제1표시수단(51)은 제1하우징(11)의 내면을 따라 종방향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발광소자로 구성될 수 있다.
제2표시수단(52)은 제1표시수단(51)의 선단에서 상하 방향으로 회전되는 한 쌍의 회전바로 구성된다. 여기서 한 쌍의 회전바는 일면에 복수의 발광소자가 설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로는 제1표시수단(51)과 제2표시수단(52)은 복수의 발광소자를 구비하되, 각 발광소자의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는 제1하우징(11) 또는 제2하우징(12)의 내면에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배터리는 충전형 또는 교체 가능한 1회용 배터리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아울러, 제1하우징(11) 또는 제2하우징(12)은 충전형 배터리를 사용할 경우에 배터리에 연결되는 충전용 USB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표시수단(52)을 구성하는 회전바는 제1표시수단(51)의 선단(제1하우징(11)의 내면)에서 외측으로 회전되고, 내측으로 회전시에 제1표시수단(51)의 양측면에 밀착된 상태로 수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사고 직후에 차량을 탈출할 수 있도록 유리창을 타격하여 깨뜨리는 데 사용할 수 있는 펀칭부(20)와, 안전띠를 절단할 수 있는 커터부(30)와, 다른 차량에 경고할 수 있는 기존의 안전 삼각대 역할을 수행하는 발광부(50)를 모두 포함하고 있어 다양한 상황에서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다.
10 : 본체
11 : 제1하우징
12 : 제2하우징
20 : 펀칭부
30 : 커터부
31 : 수용홈
32 : 인입구
33 : 이동홈
34 : 가압단
40 : 힌지부
50 : 발광부
51 : 제1표시수단
52 : 제2표시수단

Claims (8)

  1. 힌지부(40)에 의해 상호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하우징(11)과 제2하우징(12);
    제1하우징(11) 또는 제2하우징(12)의 선단에서 탄성력으로 돌출되어 유리창을 타격할 수 있는 펀칭부(20);
    제1하우징(11) 또는 제2하우징(12)에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고, 내측에 나이프를 수용되는 커터부(30); 및
    제1하우징(11)과 제2하우징(12)의 내면 중 어느 하나에 설치되어 경고를 출력하는 발광부(50); 를 포함하는 차량 탈출용 보조수단이 부가된 2차 사고 방지용 안전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발광부(50)는
    제1하우징(11)의 내면에서 종방향으로 정렬된 복수의 발광소자를 구비한 제1표시수단(51); 및
    복수의 발광소자가 구비되어 제1표시수단(51)의 선단 양측에서 상하로 회전되는 한 쌍의 회전바를 구비한 제2표시수단(52); 을 포함하는 차량 탈출용 보조수단이 부가된 2차 사고 방지용 안전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커터부(30)는
    내면에서 제1하우징(11) 또는 제2하우징(12)의 외면의 슬라이드 돌기가 체결되도록 내향된 이동홈(33)이 형성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탈출용 보조수단이 부가된 2차 사고 방지용 안전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커터부(30)는
    내면에서 내향된 공간으로 형성되어 나이프가 수용되는 수용홈(31)과, 수용홈(31)에 연통되어 절단 대상이 인입되는 인입구(32);를 더 포함하는 차량 탈출용 보조수단이 부가된 2차 사고 방지용 안전장치.
  5. 청구항 2에 있어서, 제1하우징(11) 또는 제2하우징(12)의 내면에서 발광부(50)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를 더 포함하는 차량 탈출용 보조수단이 부가된 2차 사고 방지용 안전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제1하우징(11) 또는 제2하우징(12)의 외면에서 충전용 USB 단자가 형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탈출용 보조수단이 부가된 2차 사고 방지용 안전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제1하우징(11)과 제2하우징(12)은 힌지부(40)를 중심으로 상하 회전되면서 일면이 상호 밀착되어 발광부(50)를 내측에 수용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탈출용 보조수단이 부가된 2차 사고 방지용 안전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커터부(30)는
    외면에서 상호 이격되어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된 복수의 홈으로 이루어진 가압단(34); 을 더 포함하는 차량 탈출용 보조수단이 부가된 2차 사고 방지용 안전장치.
KR1020210176031A 2021-12-09 2021-12-09 차량 탈출용 보조 수단이 부가된 2차 사고 방지용 안전장치 KR2023008724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6031A KR20230087247A (ko) 2021-12-09 2021-12-09 차량 탈출용 보조 수단이 부가된 2차 사고 방지용 안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6031A KR20230087247A (ko) 2021-12-09 2021-12-09 차량 탈출용 보조 수단이 부가된 2차 사고 방지용 안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7247A true KR20230087247A (ko) 2023-06-16

Family

ID=869483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6031A KR20230087247A (ko) 2021-12-09 2021-12-09 차량 탈출용 보조 수단이 부가된 2차 사고 방지용 안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87247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3021B1 (ko) 2015-08-19 2017-02-06 주식회사 엘템 2차사고 예방을 위한 교통안전알림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3021B1 (ko) 2015-08-19 2017-02-06 주식회사 엘템 2차사고 예방을 위한 교통안전알림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57720B2 (en) Personal emergency device
KR101590691B1 (ko) 스프링-장전되는 윈도우 브레이커를 구비한 키
US6666566B1 (en) Emergency device with glass breaking function
US7498531B2 (en) Housing and a conducting rail for disconnecting a battery
US9364693B2 (en) Glass breaking tool
US20140157525A1 (en) System for an Escaping Device
CA2995211C (en) Vehicle safety device
KR20230087247A (ko) 차량 탈출용 보조 수단이 부가된 2차 사고 방지용 안전장치
JP3201730U (ja) 多機能車載充電器
KR101898523B1 (ko) 유리파괴장치
DE102005046585A1 (de) Sicherheits- und Hilfefunktionen für Fahrzeuge
KR101654436B1 (ko) 화약을 이용한 탈출구 확보장치
US20020006038A1 (en) Device for attachment to a flashlight
CN216963338U (zh) 一种车充急救设备
CN219941616U (zh) 一种安全锤
JP2013085893A (ja) 車両緊急時用器具
CN212817674U (zh) 一种新型多功能破窗器
JP2018144181A (ja) 緊急脱出用具およびその取付け装置
US11035529B2 (en) Electronic twist flare
CN212756866U (zh) 多功能逃生器
CN216676749U (zh) 便携式安全锤
KR20200061095A (ko) 레버를 이용한 보호장구 장착용 인플레이터 및 이를 이용한 보호장구
CN209994421U (zh) 车载手机支架
GB2585325A (en) De-energizing of a vehicle for a rescue activity
CN216636099U (zh) 车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