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66101B1 - 각도조절이 용이한 차광판 - Google Patents

각도조절이 용이한 차광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66101B1
KR100466101B1 KR10-2002-0048234A KR20020048234A KR100466101B1 KR 100466101 B1 KR100466101 B1 KR 100466101B1 KR 20020048234 A KR20020048234 A KR 20020048234A KR 100466101 B1 KR100466101 B1 KR 1004661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angle
light blocking
angle adjusting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82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16041A (ko
Inventor
이문표
Original Assignee
이문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문표 filed Critical 이문표
Priority to KR10-2002-00482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66101B1/ko
Publication of KR200400160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160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61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6101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08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for guiding, warning or controlling traffic, e.g. delineator posts or mileston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23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form or by structural features, e.g. for enabling displacement or deflection
    • E01F9/65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characterised by form or by structural features, e.g. for enabling displacement or deflection with rotatable, swingable or adjustable signs or signal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03Individual devices arranged in spaced relationship, e.g. buffer boll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로 안전 시설물 중 도로 중앙분리대 또는 가이드 레일에 설치되는 각도조절이 용이한 차광판에 관한 것으로서, 이는 차량의 불빛에 의해 운전자 시야가 방해되는 것을 차단하는 차광 플레이트와; 상기 차광플레이트 양 측면에 형성되어 운전자의 시선을 유도하는 시선유도 인식부와; 상기 차광 플레이트 하단 내측에 삽착 고정되어 회전부재를 통해 상기 차광 플레이트가 회전될 수 있도록 각도 조절 플레이트에 결합되는 차광 플레이트 고정체와; 상기 차광 플레이트 고정체와 결합되어 도로 조건에 따라 상기 차광 플레이트가 각도조절부재를 통해 소정각도로 회전되도록 하는 각도 조절 플레이트와; 상기 차광판을 고정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각도 조절 플레이트 양단에 각각 위치 고정되는 레일 고정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차광판의 경우, 도로 중앙선상에 설치된 양측 가이드 레일에 결합하여 도로 조건(곡선도로나 경사진 도로)에 따라 차광판을 소정각도로 회전시켜 도로 중앙 반대 차선으로 주행중인 차량의 불빛에 의해 운전자 시야가 방해되는 것을 차단함과 동시에, 도로 조건에 따른 운전자의 시선을 유도할 수 있는 탁월한 효과가 있으며, 특히 상기 차광판에 차량 충돌시, 차량으로부터 전달되는 충격력에 의해 상기 차광판의 회전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부재가 절단되면서 상기 차광판의 자유회전을 통해 차량의 충격력을 해소하므서, 종래 파손된 차광판과 주행중인 차량과의 충돌로 인한 차량 파손 및 운전자의 부상이나 사망하는 인명사고를 방지할 수있는 탁월한 효과도 있다.

Description

각도조절이 용이한 차광판{Shading plate for easy to adjustment an angle}
본 발명은 도로 안전 시설물 중 도로 중앙분리대 또는 가이드 레일에 설치되는 차광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도로 중앙선상에 설치된 양측 가이드 레일에 설치된 차광판을 도로 조건(곡선도로나 경사진 도로)에 따라 소정각도로 회전시켜 도로 중앙 반대 차선으로 주행중인 차량의 불빛에 의해 운전자 시야가 방해되는 것을 차단하면서 운전자의 시선을 유도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차광판에 차량 충돌시, 차량으로부터 전달되는 충격력을 상기 차광판의 자유회전으로 해소하므로서, 종래 파손된 차광판과 주행중인 차량과의 충돌로 인한 차량 파손 및 운전자의 부상이나 사망하는 인명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각도조절이 용이한 차광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 안전 시설물 중 차광판은, 고속도로나 일반도로의 중앙분리대 또는 가이드 레일 상단에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되는 것으로서, 이는 야간 주행시 반대편에서 마주 오는 차량으로부터 직사되는 전조등 불빛에 의해 운전자의 시야가 방해되는 것을 차단하여 운전자의 눈을 보호하며 안전운행을 유도하는 도로 안전 시설물인 것이다.
이러한 차광판의 경우, 상기 중앙 분리대 상단에 고정된 양 지주부에 철망형태의 차광판(도 1의 (a)참조)이나 합성수지로 형성된 차광판(도 1의 (b)참조)이 일체형 또는 볼트 및 너트를 이용하여 설치되는 것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상기 차광판들의 경우, 직선형태가 아닌 곡선상태의 도로에 설치시 상기 곡선도로에 맞게 일정 곡률이 이루어지도록 차광판을 다시 제작하여 곡선도로에 설치해야 하는 등 도로 조건에 맞는 차광판을 제작하여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과 함께, 상기와 같이 도로 조건에 맞는 차광판을 제작함에 따른 재료비 및 제작비, 시공단가 등이 상승하게 되는 커다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이 중앙 분리대에 설치된 차광판으로 차량이 충돌할 경우, 차광판이 차량의 충격력을 해소하지 못하고 파손되어 상기 차광판을 지지 고정하고 있는 지주부에서 이탈되게 되는 문제점과 함께, 상기 파손 이탈된 차광판이 상기 차광판 이탈방향으로 주행중인 차량과 충돌할 경우, 상기 파손 이탈된 차광판에 의해 차량이 파손되거나 또는 운전자가 상기 파손된 차광판에 맞아 큰 부상을 당하게 되는 커다란 문제점도 있으며, 더 심할 경우, 운전자가 목숨을 잃게 되는 큰 인명사고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 역시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도로 중앙선상에 설치된 양측 가이드 레일에 결합하여 도로 조건(곡선도로나 경사진 도로)에 따라 차광판을 소정각도로 회전시켜 도로 중앙 반대 차선으로 주행중인 차량의 불빛에 의해 운전자 시야가 방해되는 것을 차단함과 동시에, 도로 조건에 따른 운전자의 시선을 유도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상기한 목적의 차광판에 차량 충돌시, 차량으로부터 전달되는 충격력에 의해 상기 차광판의 회전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부재가 절단되면서 상기 차광판의 자유회전을 통해 차량의 충격력을 해소하므서, 종래 파손된 차광판과 주행중인 차량과의 충돌로 인한 차량 파손 및 운전자의 부상이나 사망하는 인명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의 불빛에 의해 운전자 시야가 방해되는 것을 차단하는 차광 플레이트와; 상기 차광플레이트 양 측면에 형성되어 운전자의 시선을 유도하는 시선유도 인식부와; 상기 차광 플레이트 하단 내측에 삽착 고정되어 회전부재를 통해 상기 차광 플레이트가 회전될 수 있도록 각도 조절 플레이트에 결합되는 차광 플레이트 고정체와; 상기 차광 플레이트 고정체와 결합되어 도로 조건에 따라 상기 차광 플레이트가 각도조절부재를 통해 소정각도로 회전되도록 하는 각도 조절 플레이트와; 상기 차광판을 고정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각도 조절 플레이트 양단에 각각 위치 고정되는 레일 고정부재로 구성된 본 발명의 각도조절이 용이한 차광판에 의해 해결될 수 있는 바,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은 종래 도로 중앙선상에 설치되는 도로 안전 시설물인 차광판의 사시도.
도 2 는 종래 차광판에 차량 충돌에 따른 작용 상태도.
도 3 은 본 발명인 차광판의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인 차광판의 분해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의 차광판이 가이드 레일 상단에 장착된 상태도.
도 6 은 본 발명의 구성요소 중 각도 조절 플레이트의 사시도 및 실시예도.
도 7 은 본 발명의 구성요소 중 레일 고정부재의 사시도 및 실시예도.
도 8 은 본 발명의 구성요소 중 각도조절부재의 다른 실시예도.
도 9 는 본 발명의 구성요소 중 각도조절부재의 또 다른 실시예도.
도 10 은 본 발명인 차광판의 적용상태를 나타낸 실시예도.
도 11 은 본 발명인 차광판의 적용상태를 나타낸 또 다른 실시예도.
도 12 는 본 발명의 차광판이 곡선진 도로에 맞게 각도가 조절된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13 은 본 발명의 차광판에 차량 충돌시 차량의 충격력을 해소하는 상태를 나타낸 작용 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1a, 1b. 차광판 10. 차광 플레이트
11. 고정체 삽입홀 20. 시선유도 인식부
21. 반사지 30. 차광 플레이트 고정체
32. 각도조절부재 삽입홀 40. 회전부재
50, 50a, 50b. 각도조절부재 51. 스프링
52. 볼트 핀 53, 53a. 제 1 결합부재
54, 54a. 제 2 결합부재 55. 노치부
56. 고무링 57. 절개홈
60. 각도 조절 플레이트 61. 각도 조절부
62. 각도 조절홈 65, 72. 절곡부
70. 레일 고정부재 71. 3면 절곡부
80. 삼각돌기 81. 엠보싱 돌기
100. 양측 가이드 레일 105. 가이드 레일 지주
110. 콘크리트 옹벽
12, 31, 31a, 63, 64, 73. 볼트 삽입홀
13, 33, 74. 고정볼트 14, 34, 75. 너트
도 3 은 본 발명인 차광판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4 는 본 발명인 차광판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5 는 본 발명의 차광판이 가이드 레일 상단에 장착된 상태도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각도조절이 용이한 차광판(1)은, 도로 중앙 반대 차선으로 주행중인 차량의 불빛에 의해 운전자 시야가 방해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도로 중앙선상에 설치 고정되는 차광 플레이트(10)와;
상기 차광플레이트(10) 양 측면에 형성되어 도로 조건에 맞게 주행중인 운전자의 시선을 유도하는 시선유도 인식부(20)와;
상기 차광 플레이트(10) 하단 내측 고정체 삽입홀(11)에 삽착 고정되며, 상기 차광 플레이트(10) 및 각도 조절 플레이트(60) 사이에 고정된 회전부재(40)를 통해 상기 차광 플레이트(10)가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각도 조절 플레이트(60)에 볼트(33) 및 너트(34)로 고정되는 차광 플레이트 고정체(30)와;
상기 차광 플레이트 고정체(30)와 결합되어 도로 조건에 따라 상기 회전부재(40)에 의해 회전되는 차광 플레이트(10)가 각도조절부재(50)를 통해 소정된 각도로 회전될 수 있도록 플레이트 전후 소정위치에 각도 조절홈(62)들이 다수 관통된 소정 곡률 형태의 각도 조절부(61)가 각각 형성된 각도 조절 플레이트(60)와;
도로 중앙선상에 설치된 양측 가이드 레일(100) 상단에 반대 차선의 차량 불빛을 차단하는 상기 차광 플레이트(10)를 고정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각도 조절 플레이트(60) 양단에 각각 위치되어 볼트(74) 및 너트(75)로 고정되는 레일 고정부재(70)로 구성되어 있다.
미 설명 부호 15 는 차광 플레이트(10)의 보강 리브(15)이다.
이하, 본 발명의 각도조절이 용이한 차광판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 은 본 발명의 구성요소 중 각도 조절 플레이트의 사시도 및 실시예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7 은 본 발명의 구성요소 중 레일 고정부재의 사시도 및 실시예도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차광판(1)은, 도로 중앙 반대 차선으로 주행중인 차량의 불빛에 의해 운전자 시야가 방해되는 것을 차단하면서 도로 조건에 따른 운전자의 시선을 유도할 수 있도록 도로 중앙선상에 설치된 양측 가이드 레일(100)에 결합 고정되도록 함(도 5 참조)과 동시에, 상기 차광판(1)에 차량 충돌시, 차량으로부터 전달되는 충격력을 상기 차광판(1)의 자유회전으로 해소하여 종래 발생되었던 파손된 차광판(1)과 주행중인 차량과의 충돌로 인한 차량 파손 및 운전자가 부상을 당하거나 사망하게 되는 인명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에 따른 본 발명의 차광판(1) 구조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각도조절이 용이한 차광판(1) 구성요소 중 차광 플레이트는(10) 도 3 및 도 4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로 중앙 반대 차선으로 주행중인 차량의 불빛에 의해 운전자가 눈이 부셔 시야가 방해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도로 중앙선의 가이드 레일(100)이나 콘크리트 옹벽(110) 상단에 소정간격으로 설치되는 것으로서, 전체 형상이 사다리꼴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특히 그 하단에는 차광 플레이트 고정체(30)에 의해 상기 차광 플레이트(10)가 각도 조절 플레이트(60) 상단에 볼트(33) 및 너트(34)로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차광 플레이트 고정체(30)가 삽착될 수 있는 소정깊이의 고정체 삽입홀(11)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차광 플레이트(10)의 경우, 차량의 충돌시 차량 충격력에 의해 플레이트(10) 자체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탄성력이 큰 합성수지 재료로 사출 성형된 구조이며, 미 설명 부호 (12)는 볼트(13) 및 너트(14)에 의해 상기 차광 플레이트 고정체(30)가 상기 고정체 삽입홀(11) 내에서 완전히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차광 플레이트(10) 양 측면에 관통 형성된 볼트 삽입홀(12)이다.
상기 시선유도 인식부(20)는 도 3 및 도 4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차광 플레이트(10) 양 측면에 형성되어 도로를 주행중인 차량의 운전자가 도로 조건 즉, 도로가 곡선상태이거나, 급경사인 상태 또는 도로 주변 상황(낙석주위)을 운전자가 미리 대처하여 안전운전을 할 수 있도록 운전자의 시선을 유도하는 것으로서, 이 때 상기 시선유도 인식부(20)에는 곡선도로를 표시하는 화살표나 운전주위의 문구 또는 광고문구 등을 부착시킬 수 있으며, 상기 시선유도 인식부(20)에 부착되는 표시부는 차량의 불빛에 의해 반사되는 반사지(21)가 적용된다.
상기 차광 플레이트 고정체(30)는 도 3 및 도 4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체 형상이 일정강도를 갖는 중공의 사각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체(30) 하단 중앙에는 볼트(33) 및 너트(34)에 의해 상기 고정체(30) 삽착 고정된 차광 플레이트(10)가 상기 각도 조절 플레이트(60) 상단에 고정될 수 있도록 볼트 삽입홀(3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체(30) 하단 양측에는 상기 볼트(33) 및 너트(34)에 의해 상기 차광 플레이트 고정체(30) 및 상기 각도 조절 플레이트(60) 사이에 위치 고정된 회전부재(40)를 통해 상기 차광 플레이트(10)가 소정된 각도로 회전되도록 조절하는 각도조절부재(50)가 삽착되도록 각도조절부재 삽입홀(32)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고정체(30) 전면 양측에는 상기 차광 플레이트(10) 양 측면에 관통 형성된 볼트 삽입홀(12)과 대응되는 볼트 삽입홀(31a)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볼트(33) 및 너트(34)에 의해 상기 차광 플레이트 고정체(30) 및 상기 각도 조절 플레이트(60) 사이에 위치 고정된 회전부재(40)는 축방향으로부터 작용되는 하중에 견딜 수 있는 통상의 스러스트 베어링(40)을 적용하였다.
상기 각도 조절 플레이트(60)는 도 4 또는 도 6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체 형상이 사각 플레이트 전후 소정위치에 소정 곡률을 이루는 형태의 각도 조절부(61)가 대각선상으로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특히 상기 각도 조절부(61)에는 도로 조건에 따라 상기 차광 플레이트(10)가 상기 각도조절부재(50)의 압축 및 탄성 복원 작용을 통해 소정된 각도로 회전될 수 있도록 소정 곡률 형태로 각도 조절홈(62)이 다수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각도 조절 플레이트(60) 중앙에는 상기 차광 플레이트 고정체(30) 하단 중앙에 형성된 볼트 삽입홀(31)과 대응되는 동일직경의 볼트 삽입홀(63)이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각도 조절 플레이트(60)의 좌우 양측에는 볼트(74) 및 너트(75)에 의해 복수개의 레일 고정부재(70)가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 레일(100) 상단에 상기 차광 플레이트(10)가 고정 지지될 수 있도록 볼트 삽입홀(64)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각도 조절 플레이트(60) 양단에는 양측 가이드 레일(100) 상단과 결합이 원할할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 레일(100) 상단과 동일한 각도로 절곡된절곡부(65)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레일 고정부재(70)는 도 4 또는 도 7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각도 조절 플레이트(60) 양단에 각각 위치되어 볼트(74) 및 너트(75)에 의해 상기 차광 플레이트(10)가 상기 가이드 레일(100) 상단에 고정 지지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이에 따른 전체적인 형상은 상기 각도 조절 플레이트(60) 양단이 안착될 수 있도록 3면은 상측으로 절곡(71) 형성되어 있고, 일측면에는 상기 가이드 레일(100) 상단과 결합이 원할할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 레일(100) 상단과 동일한 각도로 절곡된 절곡부(7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각도 조절 플레이트(60)의 좌우 양측에 형성된 볼트 삽입홀(64)과 대응되는 3면 절곡부(71) 내에도 상기 볼트 삽입홀(64)과 동일한 크기의 볼트 삽입홀(73)이 각각 복수개의 레일 고정부재(70)에 형성되어 있다.
이 때, 상기 양측 가이드 레일(100) 상단에 결합되는 상기 각도 조절 플레이트(60) 및 레일 고정부재(70)의 절곡부(65)(72) 결합력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상기 각도 조절 플레이트(60)의 절곡부(65) 또는 상기 레일 고정부재(70)의 절곡부(72)에 도 6 또는 도 7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정길이의 삼각돌기(80)를 형성시키거나, 또는 다수의 엠보싱 돌기(81)를 형성시킬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각도조절부재(50)는 도로 조건에 따라 상기 각도 조절 플레이트(60)에 형성된 각도 조절홈(62)에 삽착 고정되어 상기 차광 플레이트(10)가 소정된 각도로 회전되도록 볼트 핀(52)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볼트 핀(52)에는스프링력에 의해 상기 볼트 핀(52)이 압입 및 탄성 복원될 수 있도록 스프링(51)이 삽착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볼트 핀(52) 소정위치에는 주행중인 차량이 상기 차광판(1)에 충돌할 경우, 상기 핀(52)의 절단으로 상기 차광 플레이트(10)가 자유회전 되면서 차량으로부터 전달되는 충격력 해소를 통한 상기 차광판(1) 파손 방지를 위해 삼각형태의 노치부(55)가 형성되어 있다.
이 때, 상기 볼트 핀(52)의 소정위치에 형성된 노치부(55)의 경우, 차량의 충돌 등 순간적인 강한 충격에만 크랙이 발생하여 절단되게 되고, 계속적인 바람의 압력에는 견딜 수 있는 것임을 밝혀둔다. 미 설명 부호 58 은 스프링 걸림턱(58)을 나타낸 것이다.
도 8 은 본 발명의 구성요소 중 각도조절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 각도조절부재(50a)는 도로 조건에 따라 상기 각도 조절 플레이트(60)에 형성된 각도 조절홈(62)에 삽착 고정되어 상기 차광 플레이트(10)가 소정된 각도로 회전되도록 숫나사 형태의 제 1 결합부재(53)와; 상기 제 1 결합부재(53)와 나사 결합되는 제 2 결합부재(54)로 구성되어 있다. 이 때 상기 제 2 결합부재(54)는 상기 제 1 결합부재(53)와 이종재질인 합성수지로 형성되어 있으며, 특히 상기 제 2 결합부재(54) 소정위치에는 주행중인 차량이 상기 차광판(1)에 충돌할 경우, 상기 제 2 결합부재(54)의 절단으로 상기 차광 플레이트(10)가 자유회전 되면서 차량으로부터 전달되는 충격력 해소를 통한 상기 차광판(1) 파손 방지를 위해 삼각형태의 노치부(55)가 형성되어 있다.
도 9 는 본 발명의 구성요소 중 각도조절부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 각도조절부재(50b)는 도로 조건에 따라 상기 각도 조절 플레이트(60)에 형성된 각도 조절홈(62)에 삽착 고정되어 상기 차광 플레이트(10)가 소정된 각도로 회전될 수 있도록 볼트 핀 형태의 제 1 결합부재(53a)와; 상기 제 1 결합부재(53a)가 고무링(56)에 의해 삽착 고정되는 중공형태의 제 2 결합부재(54a)로 구성되어 있다.
이 때, 제 1 결합부재(53a) 및 제 2 결합부재(54a)는 소정강도를 갖는 스틸(steel)재로 형성되어 있으며, 특히 상기 제 2 결합부재(54a) 상단에는 상기 차광판(1)의 차량 충돌시, 상기 제 1 결합부재(53a)가 상기 제 2 결합부재(54a)의 좌/우측으로 이탈(도 9의 (b) 참조)되어 차량의 충격력을 해소함과 동시에, 상기 고무링(56)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원 위치로 복원될 수 있도록 소정각도로 절개된 절개홈(57)이 형성되어 있다.
더욱이, 상기 제 2 결합부재(54a) 소정위치에는 상기 차광판(1)의 차량 충돌시, 상기 제 2 결합부재(54a)의 절단으로 상기 차광 플레이트(10)가 자유회전되면서 차량으로부터 전달되는 충격력을 2차적으로 해소시켜 상기 차광판(1)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삼각형태의 노치부(55)가 형성되어 있다.
도 10 및 도 11 은 본 발명인 차광판의 적용상태를 나타낸 실시예도로서, 도 10 은 도로 중앙선상에 설치 고정되는 가이드 레일 지주(105) 상단에 차광판(1a)을적용시킨 것이고, 도 11 은 도로 중앙선상에 설치 고정되는 중앙 분리대용 콘크리트 옹벽(110)에 차광판(1b)을 적용시킨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차광판(1)을 도로에 조건 즉, 곡선진 도로에 맞게 각도조절하는 과정 및 차량 충돌에 따른 차광판의 충격력 해소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2 는 본 발명의 차광판이 곡선진 도로에 맞게 각도가 조절된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고, 도 13 은 본 발명의 차광판에 차량 충돌시 차량의 충격력을 해소하는 상태를 나타낸 작용 상태도이다.
직선 도로 상황에 맞게 고정된 차광판(1)의 구성요소 중 차광 플레이트(10)의 회전을 제한하고 있는 각도조절부재(50) 즉, 각도 조절 플레이트(60)의 각도 조절홈(62)에 삽착되어 있는 각도조절부재(50)를 압압하여 상기 각도 조절홈(62)에서 이탈시킨 다음, 상기 차광 플레이트(10)를 도로의 곡선상태에 맞게 소정각도 회전시켜 상기 각도조절부재(50)와 상기 각도 조절 플레이트(60)의 이동된 각도 조절홈(62)과 일치시키게 되면, 압축된 스프링(51)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상기 압입된 각도조절부재(50)가 상기 각도조절부재(50) 위치와 일치된 각도 조절홈(62)으로 삽착되면서 도 12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차광판(1)이 도로의 곡선상태와 동일한 각도로 회전되어 고정되며, 상기와 같은 과정에 의해 본 발명의 각도조절과정이 종료되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각도가 변화된 차광판(1)에 차량이 충돌할 경우, 상기와같이 각도 조절 플레이트(60)의 각도 조절홈(62)에 삽착되어 상기 차광 플레이트(10)의 회전을 제한하고 있는 각도조절부재(50)의 소정위치에 형성된 삼각형태의 노치부(55)에 차량으로부터 전달된 충격력 작용으로 크랙이 발생하게 되면서 상기 각도조절부재(50)가 절단되게 되고, 상기와 같이 차량 충격력을 통해 절단된 각도조절부재(50)에 의해 상기 차광판(1) 즉, 상기 각도 조절 플레이트(60)로부터 자유로운 차광 플레이트(10)가 도 13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유회전하게 되면서 차량으로부터 전달되는 충격력을 해소하게 된다.
본 발명의 각도조절이 용이한 차광판은, 도로 중앙선상에 설치된 양측 가이드 레일에 결합하여 도로 조건(곡선도로나 경사진 도로)에 따라 차광판을 소정각도로 회전시켜 도로 중앙 반대 차선으로 주행중인 차량의 불빛에 의해 운전자 시야가 방해되는 것을 차단함과 동시에, 도로 조건에 따른 운전자의 시선을 유도할 수 있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한 차광판에 차량 충돌시, 차량으로부터 전달되는 충격력에 의해 상기 차광판의 회전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부재가 절단되면서 상기 차광판의 자유회전을 통해 차량의 충격력을 해소하므서, 종래 파손된 차광판과 주행중인 차량과의 충돌로 인한 차량 파손 및 운전자의 부상이나 사망하는 인명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탁월한 효과도 있다.

Claims (13)

  1. 도로 중앙 반대 차선으로 주행중인 차량의 불빛에 의해 운전자 시야가 방해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도로 중앙선상에 설치 고정되는 차광 플레이트와;
    상기 차광플레이트 양측면에 돌출 형성되어 도로 조건에 맞게 주행중인 운전자의 시선을 유도하는 시선유도 인식부와;
    상기 차광 플레이트 하단 내측 고정체 삽입홀에 삽착 고정되며, 상기 차광 플레이트 및 각도 조절 플레이트 사이에 고정된 회전부재를 통해 상기 차광 플레이트가 회전될 수 있도록 각도 조절 플레이트에 볼트 및 너트로 고정되는 차광 플레이트 고정체와;
    상기 차광 플레이트 고정체와 결합되어 도로 조건에 따라 상기 회전부재에 의해 회전되는 차광 플레이트가 각도조절부재를 통해 소정된 각도로 회전될 수 있도록 플레이트 전후 소정위치에 각도 조절홈들이 다수 관통된 소정 곡률 형태의 각도 조절부가 각각 형성된 각도 조절 플레이트와;
    도로 중앙선상에 설치된 양측 가이드 레일 상단에 반대 차선의 차량 불빛을 차단하는 상기 차광 플레이트를 고정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각도 조절 플레이트 양단에 각각 위치되어 볼트 및 너트로 고정되는 레일 고정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조절이 용이한 차광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 조절 플레이트와 상기 레일 고정부재 양단에는상기 양측 가이드 레일 상단과 결합이 원할할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 레일 상단과 동일한 각도로 절곡된 절곡부가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조절이 용이한 차광판.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양측 가이드 레일의 상단에 결합되는 상기 각도 조절 플레이트 및 레일 고정부재의 절곡부 결합력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상기 각도 조절 플레이트의 절곡부 또는 상기 레일 고정부재의 절곡부에 소정길이의 삼각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조절이 용이한 차광판.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양측 가이드 레일의 상단에 결합되는 상기 각도 조절 플레이트 및 레일 고정부재의 절곡부 결합력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상기 각도 조절 플레이트의 절곡부 또는 상기 레일 고정부재의 절곡부에 다수의 엠보싱 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조절이 용이한 차광판.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조절부재는 도로 조건에 따라 상기 각도 조절 플레이트에 형성된 각도 조절홈에 삽착 고정되어 상기 차광 플레이트가 소정된 각도로 회전될 수 있도록 볼트 핀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조절이 용이한 차광판.
  6. 제 1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차광판에 차량 충돌시, 상기 핀의 절단으로 상기 차광 플레이트가 자유회전 되면서 차량으로부터 전달되는 충격력 해소를 통한 상기 차광판 파손 방지를 위해 상기 볼트 핀 소정위치에 삼각형태의 노치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조절이 용이한 차광판.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조절부재는 도로 조건에 따라 상기 각도 조절 플레이트에 형성된 각도 조절홈에 삽착 고정되어 상기 차광 플레이트가 소정된 각도로 회전될 수 있도록 숫나사 형태의 제 1 결합부재와;
    상기 제 1 결합부재와 나사결합되는 제 2 결합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조절이 용이한 차광판.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결합부재는 상기 제 1 결합부재와 이종재질인 합성수지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조절이 용이한 차광판.
  9. 제 1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차광판에 차량 충돌시, 상기 제 2 결합부재의 절단으로 상기 차광 플레이트가 자유회전 되면서 차량으로부터 전달되는 충격력 해소를 통한 상기 차광판 파손 방지를 위해 상기 제 2 결합부재 소정위치에 삼각형태의 노치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조절이 용이한 차광판.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조절부재는 도로 조건에 따라 상기 각도 조절 플레이트에 형성된 각도 조절홈에 삽착 고정되어 상기 차광 플레이트가 소정된 각도로 회전될 수 있도록 볼트 핀 형태의 제 1 결합부재와;
    상기 제 1 결합부재가 고무링에 의해 삽착 고정되는 중공형태의 제 2 결합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조절이 용이한 차광판.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결합부재 및 제 2 결합부재는 소정강도를 갖는 스틸(steel)재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조절이 용이한 차광판.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결합부재 상단에는 상기 차광판의 차량 충돌시, 상기 제 1 결합부재가 상기 제 2 결합부재의 좌/우측으로 이탈되어 차량의 충격력을 해소함과 동시에, 상기 고무링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원 위치로 복원될 수 있도록 소정각도로 절개된 절개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조절이 용이한 차광판.
  13. 제 1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결합부재 소정위치에는 상기 차광판의 차량 충돌시, 상기 제 2 결합부재의 절단으로 상기 차광 플레이트가 자유회전되면서 차량으로부터 전달되는 충격력을 2차적으로 해소시켜 상기 차광판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삼각형태의 노치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조절이 용이한 차광판.
KR10-2002-0048234A 2002-08-14 2002-08-14 각도조절이 용이한 차광판 KR1004661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8234A KR100466101B1 (ko) 2002-08-14 2002-08-14 각도조절이 용이한 차광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48234A KR100466101B1 (ko) 2002-08-14 2002-08-14 각도조절이 용이한 차광판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4344U Division KR200295924Y1 (ko) 2002-08-14 2002-08-14 각도조절이 용이한 차광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6041A KR20040016041A (ko) 2004-02-21
KR100466101B1 true KR100466101B1 (ko) 2005-01-17

Family

ID=373221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8234A KR100466101B1 (ko) 2002-08-14 2002-08-14 각도조절이 용이한 차광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6610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3398B1 (ko) * 2008-08-12 2011-02-14 김형근 가드레일 부착형 표시판
KR101293621B1 (ko) 2013-06-10 2013-08-13 (주) 천진엔지니어링 도로용 중앙분리대
KR200481044Y1 (ko) * 2015-12-04 2016-08-05 홍준표 차량 번호 인식 주차 차단기
KR101776836B1 (ko) * 2016-12-09 2017-09-11 제주특별자치도 발광형 경계구조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9517B1 (ko) * 2012-06-20 2013-04-02 케이솔 주식회사 가드레일용 델리네이터
CN106504640B (zh) * 2016-11-04 2019-05-07 叶丽琴 一种改进型组合交通指示牌
CN110992818A (zh) * 2019-11-26 2020-04-10 国网江苏省电力有限公司南通供电分公司 一种基于三站合一的变电站标识牌遮光框架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3398B1 (ko) * 2008-08-12 2011-02-14 김형근 가드레일 부착형 표시판
KR101293621B1 (ko) 2013-06-10 2013-08-13 (주) 천진엔지니어링 도로용 중앙분리대
KR200481044Y1 (ko) * 2015-12-04 2016-08-05 홍준표 차량 번호 인식 주차 차단기
KR101776836B1 (ko) * 2016-12-09 2017-09-11 제주특별자치도 발광형 경계구조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16041A (ko) 2004-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66101B1 (ko) 각도조절이 용이한 차광판
US20030234390A1 (en) Impact assembly for an energy absorbing device
KR200359983Y1 (ko) 교체가 용이한 차선규제봉
US6190085B1 (en) Railing
KR100619807B1 (ko) 교통시설물 보호용 전기시설
KR100681735B1 (ko) 추락방지기능을 갖는 교량용 안전난간
KR200295924Y1 (ko) 각도조절이 용이한 차광판
JP3823179B2 (ja) 歩行者横断防止柵
KR102071829B1 (ko) 가드레일 지주용 델리네이터
KR20120007395A (ko) 충격흡수성 및 형태복원성을 보강한 가드레일구조물
KR102335890B1 (ko) 도로 안전용 시선유도 표지판
KR101134563B1 (ko) 가드레일 장치
KR100942760B1 (ko) 자동 복귀기능을 갖는 교통안전표지판 지지장치
KR101507481B1 (ko) 충격흡수용 도로 방호대
KR100727058B1 (ko) 충격흡수용 가드레일
KR101703944B1 (ko) 중앙분리대용 차광판 설치구조
KR200207038Y1 (ko) 충격완화용 중앙분리대
KR20210141238A (ko) 아동지킴이 과속방지시설
KR200283316Y1 (ko) 합성수지 재질의 가드레일용 델리네이터
KR200208782Y1 (ko) 폐타이어를 이용한 교통 안전표시용 포스트
KR200207045Y1 (ko) 도로 경계석용 반사경
KR20070122087A (ko) 도로 설치용 완충장치
KR200361139Y1 (ko) 자전거도로용 안전 가이드 레일
KR200474514Y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안전 삼각대
KR200313288Y1 (ko) 도로의 2중 충격흡수 가드레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10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