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8782Y1 - 폐타이어를 이용한 교통 안전표시용 포스트 - Google Patents

폐타이어를 이용한 교통 안전표시용 포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8782Y1
KR200208782Y1 KR2020000019684U KR20000019684U KR200208782Y1 KR 200208782 Y1 KR200208782 Y1 KR 200208782Y1 KR 2020000019684 U KR2020000019684 U KR 2020000019684U KR 20000019684 U KR20000019684 U KR 20000019684U KR 200208782 Y1 KR200208782 Y1 KR 20020878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ffic safety
post
heat shrink
shrink tube
waste tir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1968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기만
Original Assignee
금호엔지니어링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호엔지니어링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금호엔지니어링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0001968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878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878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8782Y1/ko

Links

Landscapes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도로상에 설치되어 차량의 교통을 안내하는 교통 안전표시용 포스트에 관한 것으로서, 폐타이어를 펼쳐 편평하게 성형하며 이를 절취하여 적어도 한 면이 편평한 봉편을 형성하고, 상기 봉편 2개를 편평한 면이 접하도록 접착하여 봉부재를 형성하며, 상기 봉부재의 외주에 열수축튜브를 끼워 결합하고, 상기 열수축튜브의 외주 혹은 상기 봉부재의 상단부에 운전자가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는 야광 혹은 반사수단을 설치함으로써, 차량 추돌시 충격 흡수성을 향상시키고 구조의 단순화와 용이한 제조를 실현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폐타이어를 이용한 교통 안전표시용 포스트{Post used in traffic safety signplate}
본 고안은 차량 교통을 안내하기 위해 도로상에 설치하는 안전시설물에 관한 것으로, 특히 폐타이어를 재활용하여 차량 추돌시 충격 흡수성을 향상시키며, 구조의 단순화와 용이한 제조를 실현할 수 있도록 한 폐타이어를 이용한 교통 안전표시용 포스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의 교통 안전시설물은 차량의 추돌이나 낙하 방지, 그리고 사고나 도로 공사시의 차선 변경 표시를 위해 사용한다.
교통 안전시설물의 일 예로서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 10-0226141호(1999. 7. 26)에는 폐타이어로 성형한 보강편을 이용하여 완충 효과를 부여한 가드레일 완충 펜스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폐타이어를 이용한 가드레일 완충 펜스는 다수 부품을 조립하여 구성하므로 구조가 복잡하고 제조 공정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
또한 교통 안전시설물의 다른 예로서 국내 실용신안등록 공개 제 93-025728호(1993. 12. 20)에는 사고나 도로 공사시 혹은 복잡 구간에서 차량을 유도하기 위한 교통 안전 표시용 충격 완화 포스트 레일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교통 안전 표시용 충격 완화 포스트 레일은 스프링을 이용하여 차량의 추돌시 유동성을 부여하고 있기는 하지만, 구성이 복잡하고 제조 공정이 어려우며, 지면에 고정 설치되므로 차량의 강한 추돌에 의해 포스트 레일이 파괴 및 비산되는 문제점이 있다.
앞서 설명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폐타이어를 이용하여 차량 추돌시의 충격 흡수성을 향상시키고 차량 추돌에 의한 파괴를 방지하며, 구성의 단순화로 용이한 제조를 실현할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상기 목적에 따라 본 고안에서는 도로상에 설치되어 차량의 교통을 안내하는 교통 안전표시용 포스트에 있어서, 폐타이어를 펼쳐 편평하게 성형하고 이를 절취하여 적어도 한 면이 편평한 봉편을 형성하고, 상기 봉편 2개를 편평한 면이 접하도록 접착하여 봉부재를 형성하며, 상기 봉부재의 외주에 열수축튜브를 끼워 결합 구성한 폐타이어를 이용한 교통 안전표시용 포스트를 제안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상기 열수축튜브의 외주면에는 야광 혹은 반사 테이프를 부착한다. 또한 상기 봉부재의 상부에는 야광 혹은 반사판을 설치하여 운전자가 용이하게 식별하게 안전 운전을 도모한다.
도 1A 내지 도 1E는 본 고안의 폐타이어를 이용한 교통 안전표시용 포스트의 제조 공정을 설명하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폐타이어를 이용한 교통 안전표시용 포스트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트레드부 3-폐타이어
5-봉편 7-봉부재
8-열수축튜브 9-야광 혹은 반사 테이프
10-야광 혹은 반사판
이하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A 내지 도 1E는 본 고안의 폐타이어를 이용한 교통 안전표시용 포스트의 제조 공정을 보여주고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교통 안전표시용 포스트는 폐타이어를 재활용하여 제조하는 것으로, 이것은 단독으로 도로상에 설치되거나 폐타이어를 이용한 받침대에 꽂아 사용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고안은 먼저 폐타이어를 펼쳐 전개하고 이를 열간 프레스하여 트레드부(1)와 양쪽 사이드부(2)가 편평한 상태로 펼쳐지도록 폐타이어(3)를 성형한다. 이렇게 성형한 폐타이어(3)는 전단기(4)를 이용하여 양쪽 사이드부(2)를 절취 제거하며, 이어서 전단기(4)를 이용하여 나머지의 트레드부(1)를 전단하여 라인상으로 된 봉편(5)을 형성한다.
전단된 봉편(5)은 적어도 한편이 편평한 상태로 되어야 하며, 그 단면 모양이 사다리꼴이 되도록 형성하는 것이 좋다. 또 상기 봉편(5)은 단면 모양을 반원형으로 형성할 수도 있지만, 트레드부(1)의 모양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자원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사다리꼴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렇게 형성된 봉편(5)은 편평한 면이 서로 접하도록 2개를 마주 배치하고, 그 사이에 접착제(6)를 도포하여 부착하므로 도 1C와 같은 봉부재(7)를 형성할 수 있다. 봉부재(7)는 도시한 바와 같이 육각형 모양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형성된 봉부재(7)는 도 1D와 같이 열수축튜브(8)의 내측으로 삽입한 후, 열을 가하여 상기 열수축튜브(8)를 압착하므로 결합성과 탄력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열수축튜브(8)의 외주에는 야광 혹은 반사 테이프(9)를 부착한다. 야광 혹은 반사 테이프(9)는 안전 운전을 도모하기 위한 것으로, 운전자가 용이하고 확연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고안의 교통 안전표시용 포스트는 상기와 같은 목적으로 열수축튜브(8)가 착용된 봉부재(7)의 상단부에 야광 혹은 반사판(10)을 설치한다. 야광 혹은 반사판(10)과 야광 혹은 반사 테이프(9)는 단독 혹은 함께 설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본 고안의 포스트는 도로상에 직접 설치하거나 폐타이어를 이용하여 제조된 받침대에 꽂아 시설할 수 있으며, 열을 맞추어 나열하므로 도로상의 중간 분리대를 구성하고, 또한 고속도로 인터체인지나 복잡 구간의 진출입로에 설치되어서 차량의 교통을 안내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폐타이어를 이용한 교통 안전표시용 포스트는 구조가 단순하고 제조가 용이하며, 폐타이어로 된 봉부재에 열수축튜브를 착용시켜 강화하므로 차량 추돌시 충격 흡수성이 뛰어나고, 아울러 제조 비용이 저렴하며 운전자에게 경고하여 안전 운전을 도모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4)

  1. 도로상에 설치되어 차량의 교통을 안내하는 교통 안전표시용 포스트에 있어서,
    폐타이어를 펼쳐 편평하게 성형하고 이를 절취하여 적어도 한 면이 편평한 봉편(5)을 형성하고, 상기 봉편 2개를 편평한 면이 접하도록 접착하여 봉부재(7)를 형성하며, 상기 봉부재의 외주에 열수축튜브(8)를 끼워 결합 구성한 폐타이어를 이용한 교통 안전표시용 포스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수축튜브(8)의 외주면에 야광 혹은 반사 테이프(9)를 부착한 구성을 포함하는 폐타이어를 이용한 교통 안전표시용 포스트.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봉부재(7)의 상부에 야광 혹은 반사판(10)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타이어를 이용한 교통 안전표시용 포스트.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봉부재(7)는 육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타이어를 이용한 교통 안전표시용 포스트.
KR2020000019684U 2000-07-10 2000-07-10 폐타이어를 이용한 교통 안전표시용 포스트 KR20020878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9684U KR200208782Y1 (ko) 2000-07-10 2000-07-10 폐타이어를 이용한 교통 안전표시용 포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19684U KR200208782Y1 (ko) 2000-07-10 2000-07-10 폐타이어를 이용한 교통 안전표시용 포스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8782Y1 true KR200208782Y1 (ko) 2001-01-15

Family

ID=730859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9684U KR200208782Y1 (ko) 2000-07-10 2000-07-10 폐타이어를 이용한 교통 안전표시용 포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8782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3481B1 (ko) * 2001-09-20 2004-08-09 주식회사 대경기업 차선용 안전 규제봉
KR20150097086A (ko) 2014-02-18 2015-08-26 (주)모스트디자인 자연풍과 주행풍을 이용한 교통안전표시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3481B1 (ko) * 2001-09-20 2004-08-09 주식회사 대경기업 차선용 안전 규제봉
KR20150097086A (ko) 2014-02-18 2015-08-26 (주)모스트디자인 자연풍과 주행풍을 이용한 교통안전표시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155152A (en) Vehicle bumpers with collapsible parts
KR200208782Y1 (ko) 폐타이어를 이용한 교통 안전표시용 포스트
US4333674A (en) Vehicle bumpers with collapsible parts
CN212865713U (zh) 一种市政工程用防撞护栏
KR20120007395A (ko) 충격흡수성 및 형태복원성을 보강한 가드레일구조물
KR102299247B1 (ko) 쐐기 고정 기능을 갖는 방호 울타리 조립체
KR20040016041A (ko) 각도조절이 용이한 차광판
KR200207038Y1 (ko) 충격완화용 중앙분리대
KR200248484Y1 (ko) 타이어의 파손을 방지하는 완충부를 구비한 도로경계석
KR200208783Y1 (ko) 폐타이어를 이용한 교통 안전표시용 포스트 레일
KR100372977B1 (ko) 조립식 가드레일
KR101253593B1 (ko) 경계석
KR200216852Y1 (ko) 도로 중앙 분리대
KR200215182Y1 (ko) 조립식 가드레일
KR200163854Y1 (ko) 폐타이어를 이용한 도로 경계대
KR100491508B1 (ko) 충격 흡수용 가이드 레일
KR200208784Y1 (ko) 폐타이어를 이용한 교통안전 보호구
KR200184733Y1 (ko) 재활용 도로 표지병
KR200305611Y1 (ko) 다종류의 완충재로 형성된 자동차 충돌방지대
KR200263535Y1 (ko) 충격 흡수용 교명주
JPH0124183Y2 (ko)
KR200293152Y1 (ko) 가드레일장치
KR200245928Y1 (ko) 특수 고무스폰지를 이용한 보도진입을 방지하는 볼라드
KR100935086B1 (ko) 충격완화 저지봉
KR200215156Y1 (ko) 안전통행 유도용 포스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009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