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3152Y1 - 가드레일장치 - Google Patents

가드레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3152Y1
KR200293152Y1 KR2020020021546U KR20020021546U KR200293152Y1 KR 200293152 Y1 KR200293152 Y1 KR 200293152Y1 KR 2020020021546 U KR2020020021546 U KR 2020020021546U KR 20020021546 U KR20020021546 U KR 20020021546U KR 200293152 Y1 KR200293152 Y1 KR 20029315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ardrail
iron core
vehicle
guard rail
synthetic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154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찬수
Original Assignee
김찬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찬수 filed Critical 김찬수
Priority to KR202002002154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315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315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3152Y1/ko

Links

Landscapes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합성수지로 만들어지고 철심이 내장된 가드레일을 포함하는 가드레일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가드레일장치는, 일정간격으로 매설된 다수의 지주봉과, 상기 지주봉의 앞면에 걸쳐 고정되며 횡방향으로 다수 배치된 가드레일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가드레일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드레일은 합성수지로 만들어지며, 횡 방향으로 철심이 내장된 보강부를 구비한 것에 특징이 있다. 이러한 본 고안에 따른 가드레일장치에 의하면, 가드레일에 차량의 충돌시 합성수지로 만들어진 가드레일이 충격에너지를 효과적으로 흡수하여 차량과 인체에 미치는 충격량을 줄일 수 있으며, 가드레일에 내장된 철심으로 인해 차량의 이탈 및 추락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가드레일장치{Guardrail}
본 고안은 지주봉과 가드레일으로 이루어진 도로 가드레일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만들어져 차량의 충돌시 차량과 인체에 미치는 충격을 줄일 수 있으며, 또한 가드레일이 절단되어 차량이 이탈되는 것를 효과적으로 저지할 수 있는 가드레일장치에 관한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의 가장자리에는 행인의 보호를 위해, 또는 교량의 가장자리에는 차량이 교량 아래로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가드레일장치가 설치된다.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가드레일장치는, 철재나 알미늄등의 금속재료로 만들어진 것이 대부분이어서, 차량의 충돌시 그 충격에너지의 상당량이 차량이나 차량에 탄승한 사람의 인체에 미치게 되는 것을 피할 수 없었다. 또한, 강한 충돌시에는 가드레일이 절단되는 경우가 발생하여 충돌한 차량이 도로를 이탈하거나, 교량인 경우에 있어서는 차량이 교량 아래로 사람을 태운 채 추락하는 일이 발생하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차량의 충돌시 충격에너지를 효과적으로 흡수하여 차량과 인체를 보호하며, 가드레일이 절단되는 것을 방지하여 차량이 이탈하거나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는 가드레일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가드레일장치의 개략적 사시도,
도 2는 도 1의 Ⅱ-Ⅱ선 개략적단면도,
도 3은 도 1의 Ⅲ-Ⅲ선 개략적단면도,
도 4는 도1의 가드레일장치의 개략적 배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가드레일장치 10 ... 지주봉
20 ... 가드레일 21 ... 철심
22 ... 상측 보강부 23 ... 중간 보강부
24 ... 하측 보강부 30 ... 안내표지판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가드레일은, 일정간격으로 매설된 다수의 지주봉과, 상기 지주봉의 앞면에 걸쳐 고정되며 횡방향으로 다수 배치된 가드레일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가드레일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드레일은 합성수지로 만들어지며, 횡 방향으로 철심이 삽입된 보강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각 가드레일의 보강부에 삽입된 철심의 양단부는 외부로 노출되며, 상기 각 철심의 노출부분은 인접된 다른 철심의 노출부분과 서로 결합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보강부는, 서로 이격되어 평행하게 위치하는 상측 보강부와 중간 보강부와 하측 보강부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철심의 노출부분의 결합은 상기 지주봉의 뒷면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가드레일과 지주봉 중 적어도 하나에는 차량 안내표지판이 설치되며, 상기 안내표지판은 차량 진행 방향의 하류측 단부가 상류측 단부보다 앞쪽으로 돌출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가드레일장치의 개략적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의 가드레일장치(1)는 지주봉(10)과 가드레일(20)과 안내표지판(30)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지주봉(10)은 사각기둥의 형상을 하고 있으며, 재질은 통상 사용되는 것과 같이 철재로 할 수도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가드레일과 마찬가지로 합성수지로 된 것을 사용한다.
상기 합성수지는 강화된 특수 합성수지나 강화고무를 말하며,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PE, PP, 염화비닐등의 다양한 플라스틱류의 폐용품을 재활용 처리한 합성수지를 사용한다.
상기 가드레일(20)은 합성수지로 만들어진다. 합성수지에 관해서는지주봉(10)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가드레일(20)은 도 2의 단면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철심(21)을 각각 내장하고 상호간에 이격되어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는 상측 보강부(22)와 중간 보강부(23)와 하측 보강부(24)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의 철심(21)은 강선이나 와이어로프를 사용한다.
상기 중간 보강부(23)의 양단부에는 가드레일(20)을 서로 횡방향으로 연결하여 지주봉에 고정하기 위한 볼트(27)에 간섭되지 않도록 노치부(미도시)가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노치부는 중간 보강부(23)의 철심을 피해서 중심보다 약간 위쪽에 마련되어 있다.
상기 철심(21)의 양쪽 단부는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드레일(20)의 보강부(22,23,24)의 각각의 양쪽 단부에서 가드레일(20)의 뒤쪽면의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
중간 보강부(23)의 앞면에 고정되어 인접한 가드레일(20)간을 결합시키기 위해 연결덮개(25)가 사용된다. 연결덮개(25)는 강철로 만들어지며 높이는 중간 보강부(23)의 높이와 같게 제작되며, 폭은 높이의 약 2배정도의 길이로 한다. 연결덮개(25)에는 연결덮개(25)를 가드레일(20)에 결합시키기는 나사못(26)을 위한 네 개의 구멍과 상술한 중간 보강부(23)의 단부에 구비된 2개의 노치부가 만나서 형성하는 관통공에 대응하는 한 개의 관통공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안내표지판(30)은 합성수지로 만들어진다.
안내표지판(3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류측(31)이 상류측(32)보다 앞쪽으로 돌출되어 있다. 안내표지판(30)이 지주봉(10)의 상단에 고정되는 경우에는, 지주봉(10)의 상단에 끼워지는 연결캡(34)과 길이 조정이 가능한 연결봉(33)을 구비한다. 지주봉(10)에 결합되지 않고 가드레일(20)에 직접 부착되는 경우에 안내표지판(30)에는 가드레일(20)에 마련된 홈에 끼워질 수 있는 돌기가 구비된다. 가드레일(20)에서 안내표지판(30)이 부착되는 위치는 필요에 따라 정해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가드레일장치(1)의 설치와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통상의 방법을 사용하여 지주봉(10)을 바닥에 일정간격으로 고정시킨다. 그 후, 두 개의 가드레일(20)을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주봉(10)의 앞면에 위치시키고 연결덮게(25)을 중간 보강부(23)에 위치시킨 후 나사못(26)을 사용하여 고정한다.
그리고, 연결덮게(25)와 중간 보강부(23)에 마련되어 있는 관통공을 통해 볼트(27)를 끼워 넣은 후 지주봉(10)의 뒷면에서 너트(28)로 체결한다. 이 때, 볼트(27)와 너트(28)의 개수는 필요에 따라 증가할 수 있다.
한편, 볼트(27)와 너트(28)를 사용해 지주봉(10)에 위치가 고정된 가드레일(20)의 뒷면으로 철심(21)이 노출된다.
외부로 노출된 철심(21)들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주봉(10)의 뒤쪽에서, 인접한 다른 가드레일(20)의 보강부로부터 노출되어 있는 철심들과 각각 결합한다. 즉, 상측 보강부(22)에서 노출된 철심(21)은 인접한 다른 가드레일(20)의 상측 보강부(22)에서 노출된 철심(21)과, 중간 보강부(23)에서 노출된 철심(21)은 인접한 다른 가드레일(20)의 중간 보강부(23)에서 노출된 철심(21)과, 하측보강부(24)에서 노출된 철심(21)은 인접한 다른 가드레일(20)의 하측 보강부(23)에서 노출된 철심(21)과 와이어 클립(29)에 의해서 각각 결합된다.
노출된 두 개의 철심(21)을 와이어 클립(29)의 양단에 각각 끼워 넣은 후 도구를 사용해 강하게 압착하면 결합은 간단히 완성된다.
본 실시예에 의한 가드레일장치(1)에서는 지주봉(10)과 가드레일(20)이 합성수지로 만들어졌으므로, 기존 금속으로 만들어진 가드레일장치에 차량등이 충돌하는 경우에 충격에너지가 차량과 인체에 상당량 전달되어 차량의 파손과 인체에 큰 상해를 입히는 것과는 달리, 충돌시 충격에너지의 상당량을 합성수지로 만든 가드레일장치(1)가 변형되면서 흡수하게 되어 차량과 인체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차량이 가볍게 충돌하는 경우에도 차량이 파손되는 기존의 가드레일장치와 비교하여, 본 고안의 가드레일장치(1)는 합성수지의 특성상 가벼운 충돌의 경우에는 합성수지가 탄성변형되며 충격에너지를 대부분 흡수하여 차체에는 거의 영향을 주지 않는다.
또한, 가드레일(20)의 보강부(22,23,24)들에 내장되어 있는 철심(21)들이 인접하는 다른 가드레일(20)의 보강부(22,23,24)들에 내장되어 있는 철심(21)들과 각각 연결되어 강하게 결합되어 있으므로, 차량의 충돌시에도 가드레일의 절단으로 인한 차량의 이탈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점은 특히, 각종 교량의 난간에 본 고안이 실시되는 경우에, 차량이 교량을 이탈하여 추락함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위험으로부터 차량과 인간의 생명을 지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서는 지주봉(10)과 가드레일(20)를 각종 폐플라스틱류의재활용에 의해 생산된 합성수지를 원료로 하였으므로, 생산단가가 기존의 철제제품에 비해 저렴한 것은 물론이고, 자원의 재활용으로 인해 환경오염방지의 측면에서도 큰 기여를 할 수 있다.
한편, 차량 안내표지판(30)은 높이 조절이 가능한 연결봉(33)과 연결캡(34)를 구비한 경우에는 연결캡(34)을 지주봉(10)의 상단에 끼우는 것만으로 결합이 완성된다. 또한, 가드레일(20)에 직접 부착하는 경우에는 미리 마련된 안내표지판(30)의 돌기를 가드레일(20)의 홈에 끼워 결합하면 된다.
안내표지판(30)은 기존의 제품과는 달리 하류측(31)이 상류측(32)보다 약 15도 정도 돌출 되어 있으므로, 차량을 운전하는 운전자에게 안내표지판(30)이 전달하고자하는 내용을 시각적 감각을 통해 보다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으므로, 교통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서는 안내표지판(30)의 내용을 전방에 있는 커브길의 존재와 방향을 표시하는 안내표지판(30)으로 예를 들었으나, 이는 여러 가지 다른 내용의 안내표지판(30)으로 대체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안내표지판(30) 뿐만 아니라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봉(33)과 연결캡(34)을 구비한 반사경(35)을 지주봉(10)에 고정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철심(21)이 노출되어 서로 결합되는 것으로 예를 들었으나, 노출되어 결합되지 아니한 경우에도 상술한 본 고안에 따른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에서는 보강부(22,23,24)들이 세 개이고 철심(21)이 지주봉(10)의뒷면에서 결합되는 것으로 예를 들었으나, 보강부의 숫자가 다르거나 철심(21)이 다른 방법으로 결합되는 경우에도 본 고안에 따른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가드레일장치에 의하면, 가드레일에 차량의 충돌시 합성수지로 만들어진 가드레일이 충격에너지를 효과적으로 흡수하여 차량과 인체에 미치는 충격량을 줄일 수 있으며, 가드레일에 내장된 철심으로 인해 차량의 이탈 및 추락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4)

  1. 일정간격으로 매설된 다수의 지주봉과, 상기 지주봉의 앞면에 걸쳐 고정되며 횡방향으로 다수 배치된 가드레일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가드레일장치에 있어서,
    상기 가드레일은 합성수지로 만들어지며, 횡 방향으로 철심이 내장된 보강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드레일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가드레일의 보강부에 삽입된 철심의 양단부는 외부로 노출되며, 상기 각 철심의 노출부분은 인접된 다른 철심의 노출부분과 서로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드레일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는, 서로 이격되어 평행하게 위치하는 상측 보강부와 중간 보강부와 하측 보강부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철심의 노출부분의 결합은 상기 지주봉의 뒷면에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드레일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드레일과 지주봉 중 적어도 하나에는 차량 안내표지판이 설치되며,
    상기 안내표지판은 차량 진행 방향의 하류측 단부가 상류측 단부보다 앞쪽으로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드레일장치.
KR2020020021546U 2002-07-19 2002-07-19 가드레일장치 KR20029315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1546U KR200293152Y1 (ko) 2002-07-19 2002-07-19 가드레일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1546U KR200293152Y1 (ko) 2002-07-19 2002-07-19 가드레일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3152Y1 true KR200293152Y1 (ko) 2002-10-28

Family

ID=730776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1546U KR200293152Y1 (ko) 2002-07-19 2002-07-19 가드레일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315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3800B1 (ko) * 2002-09-12 2005-04-20 주식회사 우진종합건축사사무소 가드레일부착용 도로표지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3800B1 (ko) * 2002-09-12 2005-04-20 주식회사 우진종합건축사사무소 가드레일부착용 도로표지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00053U (ko) 지주식 시선유도봉
US4333674A (en) Vehicle bumpers with collapsible parts
KR102071829B1 (ko) 가드레일 지주용 델리네이터
KR200293152Y1 (ko) 가드레일장치
KR101280769B1 (ko) 가드레일 보호장치
KR200422066Y1 (ko) 차량 이탈 방지턱
KR200293141Y1 (ko) 교차로의 삼각 코너부용 충격 흡수 안전 가드 레일 구조
KR200207038Y1 (ko) 충격완화용 중앙분리대
KR100491508B1 (ko) 충격 흡수용 가이드 레일
KR100657561B1 (ko) 차량 이탈 방지턱
JP4410765B2 (ja) 道路用防護柵
JPH0124183Y2 (ko)
CN217104858U (zh) 一种组合式电力防撞墩
KR102062009B1 (ko) 가드레일 부착형 알루미늄 델리네이터
KR200270838Y1 (ko) 폐타이어를주재로한도로중앙분리대장치
KR102429514B1 (ko) 태양광패널 부착용 완충부재를 구비한 차량 방호울타리
KR200382801Y1 (ko) 높이조절이 가능한 완충용 중앙분리대
EP2053166A1 (en) Roadway protective strip
KR200389208Y1 (ko) 가드레일용 충격흡수 표지체
KR100964549B1 (ko) 자동차도로용 운전자 위험 인식매트
KR19980065285U (ko) 충격흡수난간
KR200293172Y1 (ko) 커브 도로구간 중앙분리대의 충격흡수시설
KR200373880Y1 (ko) 반사지가 부착된 밴드클램프
KR100940599B1 (ko) 차선규제봉
KR200385179Y1 (ko) 가드레일 단부의 안전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