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3621B1 - 도로용 중앙분리대 - Google Patents

도로용 중앙분리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3621B1
KR101293621B1 KR1020130065893A KR20130065893A KR101293621B1 KR 101293621 B1 KR101293621 B1 KR 101293621B1 KR 1020130065893 A KR1020130065893 A KR 1020130065893A KR 20130065893 A KR20130065893 A KR 20130065893A KR 101293621 B1 KR101293621 B1 KR 1012936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wind
night
day
rot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58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성욱
Original Assignee
(주) 천진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천진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 천진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300658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36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36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36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7/00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now, sand drifts, side-wind effects, snowslides, avalanches or falling rocks; Anti-dazzle arrangements ; Sight-screens for roads, e.g. to mask accident site
    • E01F7/06Anti-dazzle arrangements ; Securing anti-dazzle means to crash-barrier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E01F15/04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essentially made of longitudinal beams or rigid strips supported above ground at spaced poi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대차선의 차량 불빛을 차단하기 위한 차광판이 설치된 중앙분리대에 관한 것이며, 주간에는 차광판이 중앙분리대 상부로 회전되어 운전자들의 시야를 가리지 않도록 개발된 도로용 중앙분리대에 관한 것이고, 양측 충돌 방지판에는 내측면의 서로 대면되는 부분에 등간격으로 베어링이 설치되고, 베어링에는 충돌 방지판과 직교되게 회전브라켓이 설치되며, 차광판은 충돌 방지판의 회전브라켓에 설치되는 회전체와 회전체의 양측에 부착되는 측면판으로 구성되되, 회전체는 회전브라켓에 고정되고, 측면판은 회전체의 상부 양측에 고정되며, 회전체들의 하부에는 수평방향으로 작동바가 회전되게 설치되고, 회전장치는 차광판의 회전체에 설치된 작동바의 위치를 변경시켜 차광판이 회전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용 중앙분리대로 실현 가능하며, 본 발명은 야간과 강풍이 불지 않는 날씨에만 차광판이 중앙분리대 상부로 펼쳐지도록 하여 운전자에게 최선의 운전환경을 제공해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도로용 중앙분리대{MEDIAN STRIP FOR A ROAD}
본 발명은 도로에 설치되어 양측 반대편 차선에서 주행중인 차량이 중앙선을 넘어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되는 중앙분리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반대차선의 차량 불빛을 차단하기 위한 차광판이 설치된 중앙분리대에 관한 것이며, 차광판이 회전되어 직립 되므로 인해 야간에는 반대 차선의 차량 불빛을 차단하고, 주간에는 차광판이 중앙분리대 상부로 회전되어 운전자들의 시야를 가리지 않도록 개발된 도로용 중앙분리대에 관한 것이다.
고속도로와 산업도로 등과 같이 차량이 고속으로 주행하는 도로에는 주행 중인 차량이 중앙선을 넘어 반대편에서 달려오는 차량과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중앙분리대가 설치된다.
중앙분리대 중에는 상부에 차광판이 추가로 설치되는 경우도 있고, 차광판은 야간에 반대 차선의 차량에서 발산되는 전조등 불빛이 운전자에게 직접 조사되는 것을 방지하여 운전자가 정면을 응시하는데 지장이 없도록 한다.
차광판이 구비된 중앙분리대는 차량이 고속으로 주행하는 도로에서는 안전상 매우 중요한 시설물 중 하나이다.
그러나 차광판이 포함된 중앙분리대 야간 운전자에게는 큰 도움을 주는 시설물이기는 하나, 주간 운전자에게는 시야를 가리는 장해물이기도 하다. 특히, 강풍이 부는 주간에는 운전자의 시야를 가리는 것은 물론, 강풍에 차광판이 파손되는 경우, 도로로 떨어진 차광판으로 인해 주행 중인 차량에 사고가 발생될 수도 있다.
따라서 중앙분리대에 포함된 차광판은 야간을 제외한 다른 시간대에는 운전자의 시야 확보 차원과 풍압에 의한 파손 등을 고려할 경우 제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중앙분리대의 차광판을 설치 및 분리를 반복적으로 실시한다는 것은 불가능한 것이 현실이었다.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차광판이 야간에만 외부로 노출되는 중앙분리대를 제공하여 주간, 야간 및 강풍이 부는 날씨에도 운전자에게 최선의 운전환경을 제공해줄 수 있는 중앙분리대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더불어, 차광판의 구조를 간소화하여 설치비 및 유지관리비가 저렴하게 들도록 하는 것이 목적이다.
더불어, 강풍이 부는 경우 차광판이 강풍으로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위한 본 발명은 도로의 중앙에 균일한 간격으로 설치되는 지주와; 도로와 평행하게 지주의 상부 측면 양측에 연속되게 설치되는 충돌 방지판과; 양측 충돌 방지판의 사이에 균일한 간격으로 설치되고 하부가 충돌 방지판에 회동되게 설치되는 차광판과; 차광판을 회동시키는 회전장치와; 태양광의 밝기를 식별하는 주야식별센서와; 풍향과 풍속을 측정하는 풍속센서와; 전원공급부에서 전원을 공급받고, 주야식별센서와 풍속센서로부터 정보를 전달받고 회전장치를 작동시키는 제어부로; 구성되되, 양측 충돌 방지판에는 내측면의 서로 대면되는 부분에 등간격으로 베어링이 설치되고, 베어링에는 충돌 방지판과 직교되게 회전브라켓이 설치되며, 차광판은 충돌 방지판의 회전브라켓에 설치되는 회전체와 회전체의 양측에 부착되는 측면판으로 구성되되, 회전체는 회전브라켓에 고정되고, 측면판은 회전체의 상부 양측에 고정되며, 회전체들의 하부에는 수평방향으로 작동바가 회전되게 설치되고, 회전장치는 차광판의 회전체에 설치된 작동바의 위치를 변경시켜 차광판이 회전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용 중앙분리대로 실현 가능하다.
더불어, 주야식별센서는 태양광패널이고, 제어부에서 태양광패널에서 생산된 전력을 측정하여 주간과 야간을 식별하도록 형성되고, 풍속센서는 풍향에 따라 방향전환되며 전력을 생산하는 풍력발전기이며, 제어부에서는 풍력발전기의 방향으로 풍향을 측정하고, 풍력발전기에서 생산된 전력을 측정하여 풍속을 측정하도록 형성되고, 회전브라켓은 양측에 설치홈이 형성되고, 회전체는 단일체인 금속판이 ㄷ자 형상으로 절곡되어 중앙 평면부와 양측의 측면부로 형성되고, 측면부의 하부에는 회전브라켓의 설치홈과 결합되는 체결홈이 형성되며, 측면부의 하단부에는 링크홀이 형성되고, 측면판은 단일체인 금속판이 ㄱ자 형상으로 절곡되어 측면 평면부와 절곡부로 형성되고, 절곡부는 중앙에서 상하방향으로 ㄱ자 형상으로 절곡된 보강부가 형성되고, 보강부의 단부는 측면 평면부의 단부에 닫도록 형성되며, 회전장치는 작동바의 단부와 지주의 측면에 설치되고 압축공기에 의해 작동되는 실린더와, 실린더에 공급되는 압축공기가 저장되는 압축탱크와, 압축탱크로 공기를 압축시키는 압축기와, 압축기와 압축탱크 및 실린더 사이에서 압축공기가 이동되는 경로를 제어하는 제어밸브로 구성되고, 압축탱크는 지주의 내부에 설치되되 측면의 중앙이 지면과 평행이 되는 지점에 위치되도록 설치되고, 압축기는 지주의 내부 상부에 설치되며, 제어밸브는 지주의 내부에서 압축탱크와 압축기 사이에 설치되고, 지주 중 실린더가 설치되지 않는 지주에는 작동바가 관통되에 설치될 수 있도록 수평방향으로 관통되는 작동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용 중앙분리대로 실현 가능하다.
본 발명은 야간과 강풍이 불지 않는 날씨에만 차광판이 중앙분리대 상부로 펼쳐지도록 하여 운전자에게 최선의 운전환경을 제공해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차광판의 구조를 간소화하여 설치비 및 유지관리비가 저렴하게 들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강풍이 부는 날씨에는 차광판이 강풍으로 인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중앙분리대의 차광판이 세워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중앙분리대의 차광판이 누워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차광판과 충돌 방지판의 결합상태를 상세히 도시한 요부 사시도,
도 4는 도 2의 차광판과 충돌 방지판의 결합상태를 상세히 도시한 요부 사시도,
도 5는 충돌 방지판과 차광판의 결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및 요부 확대도,
도 6은 지주와 실린더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7은 차광판과 작동바를 상세히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8은 차광판를 상세히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9는 회전장치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10은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는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도로용 중앙분리대(1: 이하, 중앙분리대라 함)는 지주(1), 충돌 방지판(20), 차광판(30), 회전장치(40), 주야식별센서(50), 풍속센서(60) 및 제어부(70) 등을 주요 구성으로 한다.
이중 지주(1)는 지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원통 형상의 기둥이 사용되고, 도로를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도로의 중앙에 설치된다. 지주(1)의 측면에는 충돌 방지판(20)이 설치되며, 충돌 방지판(20)은 중앙분리대(1)의 특성상 차량이 양측에서 진행하게 되므로 지주(1)의 양측 적절한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차광판(30)은 충돌 방지판(20)의 상부에 설치된다. 본 발명에서의 차광판(30)은 충돌 방지판(20)의 상부에 회전되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야간에는 반대 차선의 차량 불빛을 차단하고자 수직으로 세워지고, 주간에는 운전자의 시야 확보를 위해 충돌 방지판(20) 상부로 누워지게 된다.
회전장치(40)는 차광판(30)을 회동시키는 장치로서, 모터, 유압기, 공압기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장기간 사용 시에도 유지보수에 대한 신속한 대응을 할 수 있도록 구조 및 조작이 간편한 공압기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주야식별센서(50)는 지주(1)와 충돌 방지판(20) 중 적당한 위치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태양광의 밝기를 식별하여 주변의 빛이 기준 이하인 경우에는 밤으로 간주하고, 주변의 빛이 기준 이상이면 낮으로 간주하여 밤과 낮의 정보를 제어부(70)로 전달한다.
풍속센서(60)는 풍향과 풍속을 측정하는 것으로서, 풍향과 풍속에 대한 정보를 제어부(70)로 전달한다.
제어부(70)는 주야식별센서(50)로부터 전달된 정보를 통해 주간과 야간을 식별한다. 또한, 풍속센서(60)로부터 전달된 정보를 통해 현재의 풍향과 풍속에 대한 정보를 전달받는다. 따라서 이들 정보를 분석하여 현재 차광판(30)에 가해지는 압력을 산출하여 차광판(30)에 가해지는 압력이 기준 이상인 것으로 판단되면 야간에도 차광판(30)을 충돌 방지판(20) 상부로 회전시켜 누워지게 한다.
도 3 내지 도 5 및 도 7을 참조하면, 차광판(30)은 충돌 방지판(20)에 회전되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양측 충돌 방지판(20)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회전브라켓(220)이 설치된다. 이를 위해 양측 충돌 방지판(20)에는 서로 대면되는 부분에 등간격으로 베어링(210)이 설치되고, 회전브라켓(220)은 베어링(210)에 설치된다.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차광판(30)은 회전브라켓(220)에 고정되는 것으로서, 회전브라켓(220)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차광판(30)과 회전브라켓(220)은 다양한 방법으로 결합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조립이 간편하도록 회전브라켓(220)의 양측에 설치홈(221)을 형성시키고, 차광판(30)은 이 설치홈(221)에 끼움결합 된 뒤 용접에 의해 일체로 고정되도록 하여 견고하게 체결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차광판(30)을 더욱 상세히 살펴보면, 차광판(30)은 회전체(310)와 측면판(320)으로 구성되고, 회전체(310)가 회전브라켓(220)에 고정되며 측면판(320)은 회전체(310)의 상부에 고정된다. 회전체(310)는 단일체인 금속판을 ㄷ자 형상으로 절곡시켜 제작하는 것으로서, 프레스에 의해 절곡되어 입체적인 형상으로 제작된다.
이러한 회전체(310)는 중앙 평면부(311)와 중앙 평면부(311) 양측의 측면부(312)로 형성되고, 측면부(312)의 하부에는 회전브라켓(220)의 설치홈(221)과 결합되는 체결홈(313)이 형성된다. 따라서 체결홈(313)이 설치홈(221)에 결합된 뒤 고정된다. 더불어 측면부(312)의 하단부에는 링크홀(314)이 관통되게 형성된다.
측면판(320)은 단일체인 금속판이 ㄱ자 형상으로 절곡되어 측면 평면부(321)와 절곡부(322)로 형성된다. 또한, 절곡부(322)는 중앙에서 상하방향으로 ㄱ자 형상으로 절곡된 보강부(323)가 형성되되, 보강부(323)는 단부가 측면 평면부(321)의 단부에 닫도록 형성된다.
이처럼 측면판(320)을 형성시킨 것은 단일체인 금속판을 절곡시켜 제작하므로 용접작업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물론, 금속판을 절곡시킴과 동시에 제작이 이루어져 용접공의 숙련도에 따라 치수의 편차가 발생하는 것을 줄일 수도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금속판을 절단한 뒤 이를 다시 용접하는 것보다 저렴하게 생산할 수 있다.
이러한 차광판(30)은 하단의 링크홀(314)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는 작동바(230)에 의해 다수가 일제히 회전되도록 형성되고, 작동바(230)는 회전장치(40)에 의해 위치가 변경된다.
또한, 회전체(310)의 중앙 평면부(311)와 측면판(320)이 빛을 차단하는 차광면(31)으로 사용된다.
도 6, 도 7, 도 9를 참조하면, 회전장치(40)는 작동바(230)의 단부가 회전되게 결합되는 것으로서, 실린더(410), 압축탱크(420), 압축기(430) 및 제어밸브(440)로 구성된다. 이중, 실린더(410)는 압축공기에 의해 작동되는 것으로서, 압축공기의 공급되는 방향에 따라 실린더(410) 내외부로 로드(411)가 입출 및 인입되는 이방향 실린더(410)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압축탱크(420)는 압축기(430)에서 공급되는 압축공기가 저장되는 곳으로서, 지주(1)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압축탱크(420)의 측면 중앙이 지면과 평행이 되는 지점에 위치되도록 설치되어 지주(1)의 강도를 증가시키는 데 기여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따라서 압축기(430) 역시 지주(1)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압축기(430)는 압축탱크(420)보다 상부인 지주(1)의 내부 상부에 위치되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어밸브(440)는 제어부(70)에 의해 작동되는 것으로서, 압축공기의 흐름을 제어하여 압축공기의 이동되는 경로가 압축기(430)에서 압축탱크(420)로 향하게 하거나 압축탱크(420)에서 실린더(410)로 향하게 조작한다. 따라서 제어밸브(440)는 압축탱크(420)와 압축기(430) 사이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압축공기가 압축탱크(420)에서 실린더(410)로 향하는 경우에는 실린더(410)로부터 로드(411)가 인출되는 경로 또는 로드(411)가 실린더(410) 내부로 인입되는 경로 중 제어부(70)에서 희망하는 경로로 로드(411)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제어된다.
이처럼 구성된 회전장치(40)는 지주(1)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지주(1)의 외부에는 실린더(410)가 결합되는 실린더브라켓(110)이 형성된다. 따라서 실린더(410)는 실린더브라켓(110)과 작동바(230) 사이에 설치된다.
또한, 하나의 회전장치(40)에는 다수의 차광판(30)이 연동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를 위해 차광판(30)들은 하나의 작동바(230)에 결합된다. 이 경우 작동바(230)와 지주(1) 사이에는 간섭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작동바(230)가 지주(1)와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지주(1)의 측면에 수평방향으로 관통되는 작동홀(120)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지주(1)에 작동홀(120)이 형성되는 경우 차광판(30)을 회전시키는 작동바(230)와 지주(1)의 사이에 간섭이 발생되지 않아 장치를 더욱 간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회전장치(40)의 압축기(430)는 상용전원에 의해 작동될 수도 있고, 중앙분리대(1)에서 자체적으로 생산되는 전력에 의해 작동될 수도 있다. 즉, 중앙분리대(1) 자체적으로 전력을 생산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발전장치가 필요하나, 본 발명에서는 별도의 발전장치를 구비하지 않고 주야식별센서(50) 및 풍속센서(60)를 이용하여 전력을 생산하게 된다.
이를 위해 주야식별센서(50)의 경우 태양광패널을 이용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즉, 제어부(70)에서는 태양광패널에서 생산되는 전력을 감지하여 생산된 전력이 기준 이하이면 야간으로 간주하고 기준 이상이면 주간으로 감지하는 방식이다.
따라서 태양광패널에서 생산된 전력은 압축기(430)를 작동시키는 데 사용되는 것은 물론, 제어부(70)에서 주간과 야간을 감지하는 데이터로 사용된다.
더불어 풍속센서(60)의 경우에도 소형 풍력발전기를 사용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이때 사용되는 풍력발전기는 대기의 흐름에 따라 방향을 바꿔가면서 전력을 생산하는 것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제어부(70)에서는 풍력발전기의 방향과 풍력발전기에서 생산된 전력량을 기준으로 현재의 풍향과 풍속을 측정하게 된다.
따라서 제어부(70)에서는 풍향과 풍속 데이터를 기준으로 현재 차광판(30)에 가해지는 풍압을 측정할 수 있고, 풍압이 기준 이상으로 증가하면 차광판(30)을 충돌 방지판(20) 상부로 누워지게 회전시킨다.
도 1 내지 도 4 및 도 9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이처럼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중앙분리대(1)는 야간에서 주간으로 변경되는 시간이면 태양광패널에서 공급되는 전력이 기준 이상으로 증가되는 시간을 기점으로 제어부(70)에서는 주간인 것으로 간주한다.
제어부(70)에서는 이 시점을 기준으로 태양광패널에서 공급되는 전력을 압축기(430)에 공급하고 압축기(430)에서는 압축공기가 생성되며, 생성된 압축공기는 제어밸브(440)를 통해 압축탱크(420)에 저장된다.
본 발명에서 실린더(410)는 주간과 야간이 변경되는 시점에만 작동되므로 일 2회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즉, 주간 동안인 10시간 이상은 압축공기를 압축하게 된다. 따라서 장시간 안정적으로 압축공기를 생산할 수 있는 소용량의 것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처럼 장시간에 걸쳐 압축공기가 저장된 압축탱크(420)는 주간에는 내부로 유입된 압축공기를 저장만 하게 된다.
이후, 주야식별센서(50)인 태양광패널에서 공급되는 전력이 기준 이하로 내려가면 제어부(70)에서는 이를 야간이 되는 시점으로 간주한다. 제어부(70)에서 야간인 것으로 간주되면, 제어부(70)는 실린더(410)로부터 로드(411)가 인출되는 방향으로 제어밸브(440)를 조작하여 압축공기의 흐름을 전환시킨다.
실린더(410)의 로드(411)가 인출되면 실린더(410)의 로드(411)와 단부가 연결된 작동바(230)는 로드(411)의 인출되는 방향으로 이동되고, 작동바(230)의 단부에 연결된 차광판(30)의 회전체(310)는 회전브라켓(220)과 함께 베어링(210)을 기준으로 회전되어 직립 된다.
이처럼 회전체(310)가 직립된 차광판(30)은 회전체(310)의 중앙 평면부(311)와 측면판(320)의 측면 평면부(321)가 반대 차선의 차량 불빛을 차단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다시 주간이 되어 태양광패널에서 전력이 생산되고 이 전력이 기준 이상이 되면, 야간과는 반대로 제어부(70)는 로드(411)가 실린더(410) 내부로 인입되는 방향으로 제어밸브(440)를 전환시키고, 로드(411)가 실린더(410) 내부로 인입됨과 동시에 작동바(230)는 실린더(410) 방향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작동바(230)와 연결된 차광판(30)은 다시 충돌 방지판(20) 상부로 회전되어 누워지게 되어 운전자의 시야를 넓게 하는 효과가 있다.
풍속센서(60)의 경우 대기의 흐름에 따라 전력을 생산하는 것으로서, 생산된 전력은 주간과 야간에 상관없이 압축기(430)를 가동시키는데 사용된다. 그러나 제어부(70)에서는 풍속센서(60)인 풍력발전기에서 생산되는 전력의 세기와 풍력발전기가 위치하는 각도를 측정하여 이를 기준으로 현재 대기의 방향과 풍압을 계산하게 되고, 이를 기준으로 차광판(30)에 일정 압력 이상의 풍압이 가해지는 것으로 판단되면 차광판(30)을 회전시켜 차광판(30)이 충돌 방지판(20) 상부로 누워지게 하여 차광판(30)이 풍압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처럼 풍속이 빨라지는 경우는 태풍인 날씨를 고려한 것으로서, 이러한 경우에는 통상 강한 바람과 비가 동반되기 때문에 반대차선의 차량 불빛에 의해 운전이 방해되기보다는 바람에 의해 차광판(30)이 파손되어 차광판에 의해 차량이 파손되는 사고를 더 유의해야 한다. 따라서 차광판(30)을 충돌 방지판(30) 상부로 접철시켜 이차적이 사고를 방지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1: 중앙분리대 10: 지주
20: 충돌 방지판 30: 차광판
40: 회전장치 50: 주야식별센서
60: 풍속센서 70: 제어부
110: 실린더브라켓 120: 작동홀
210: 베어링 220: 회전브라켓
221: 설치홈 230: 작동바
310: 회전체 311: 중앙 평면부
312: 측면부 313: 체결홈
314: 링크홀 320: 측면판
321: 측면 평면부 322: 절곡부
323: 보강부 410: 실린더
411: 로드 420: 압축탱크
430: 압축기 440: 제어밸브

Claims (2)

  1. 도로의 중앙에 균일한 간격으로 설치되는 지주(1)와; 도로와 평행하며 지주(1)의 상부 측면 양측에 연속되게 설치되는 충돌 방지판(20)과; 양측 충돌 방지판(20)의 사이에 균일한 간격으로 설치되고 하부가 충돌 방지판(20)에 회동되게 설치되는 차광판(30)과; 차광판(30)을 회동시키는 회전장치(40)와; 태양광의 밝기를 식별하는 주야식별센서(50)와; 풍향과 풍속을 측정하는 풍속센서(60)와; 전원공급부에서 전원을 공급받고, 주야식별센서(50)와 풍속센서(60)로부터 정보를 전달받고 회전장치(40)를 작동시키는 제어부(70)로; 구성되되,
    양측 충돌 방지판(20)에는 내측면의 서로 대면되는 부분에 등간격으로 베어링(210)이 설치되고, 베어링(210)에는 충돌 방지판(20)과 직교되게 회전브라켓(220)이 설치되며,
    차광판(30)은 충돌 방지판(20)의 회전브라켓(220)에 설치되는 회전체(310)와 회전체(310)의 양측에 부착되는 측면판(320)으로 구성되고, 회전체(310)는 회전브라켓(220)에 고정되며, 측면판(320)은 회전체(310)의 상부 양측에 고정되고, 회전체(310)들의 하부에는 수평방향으로 작동바(230)가 회전되게 설치되며,
    회전장치(40)는 차광판(30)의 회전체(310)에 설치된 작동바(230)의 위치를 변경시켜 차광판(30)이 회전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용 중앙분리대.
  2. 제 1항에 있어서,
    주야식별센서(50)는 태양광패널이고, 제어부(70)는 태양광패널에서 생산된 전력을 측정하여 주간과 야간을 식별하고,
    풍속센서(60)는 풍향에 따라 방향전환되며 전력을 생산하는 풍력발전기이고, 제어부(70)는 풍력발전기의 방향으로 풍향을 측정하며, 풍력발전기에서 생산된 전력을 측정하여 풍속을 측정하고,
    회전브라켓(220)은 양측에 설치홈(221)이 형성되고,
    회전체(310)는 단일체인 금속판이 ㄷ자 형상으로 절곡되어 중앙 평면부(311)와 양측의 측면부(312)로 형성되고, 측면부(312)의 하부에는 회전브라켓(220)의 설치홈(221)과 결합되는 체결홈(313)이 형성되며, 측면부(312)의 하단부에는 링크홀(314)이 형성되고,
    측면판(320)은 단일체인 금속판이 ㄱ자 형상으로 절곡되어 측면 평면부(321)와 절곡부(322)로 형성되고, 절곡부(322)는 중앙에서 상하방향으로 ㄱ자 형상으로 절곡된 보강부(323)가 형성되며, 보강부(323)의 단부는 측면 평면부(321)의 단부에 닫도록 형성되고,
    회전장치(40)는 작동바(230)의 단부와 지주(1)의 측면에 설치되고 압축공기에 의해 작동되는 실린더(410)와, 실린더(410)에 공급되는 압축공기가 저장되는 압축탱크(420)와, 압축탱크(420)로 공기를 압축시키는 압축기(430)와, 압축기(430)와 압축탱크(420) 및 실린더(410) 사이에서 압축공기가 이동되는 경로를 제어하는 제어밸브(440)로 구성되고,
    회전장치(40)의 압축탱크(420)는 측면의 중앙이 지면과 평행이 되는 지점에 위치되도록 지주(1)의 내부에 설치되고, 압축기(430)는 지주(1)의 내부 상부에 설치되며, 제어밸브(440)는 지주(1)의 내부에서 압축탱크(420)와 압축기(430) 사이에 설치되고,
    지주(1) 중 실린더(410)가 설치되지 않는 지주(1)에는 작동바(230)가 관통되에 설치될 수 있도록 수평방향으로 관통되는 작동홀(12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용 중앙분리대.



KR1020130065893A 2013-06-10 2013-06-10 도로용 중앙분리대 KR1012936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5893A KR101293621B1 (ko) 2013-06-10 2013-06-10 도로용 중앙분리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5893A KR101293621B1 (ko) 2013-06-10 2013-06-10 도로용 중앙분리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93621B1 true KR101293621B1 (ko) 2013-08-13

Family

ID=492199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5893A KR101293621B1 (ko) 2013-06-10 2013-06-10 도로용 중앙분리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362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5223B1 (ko) 2015-05-06 2016-08-03 권처현 차량용 방호책
CN105913665A (zh) * 2016-06-29 2016-08-31 肖锐 一种智能斑马线护栏
KR20160131858A (ko) 2016-01-14 2016-11-16 권처현 차량용 방호책
CN114561893A (zh) * 2022-03-22 2022-05-31 合肥市科惠特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光电环保型绿化隔离栏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6101B1 (ko) 2002-08-14 2005-01-17 이문표 각도조절이 용이한 차광판
KR100522115B1 (ko) 2003-05-07 2005-10-18 (주)경동기술공사 도로의 높이 조절용 중앙 분리대
KR200433018Y1 (ko) 2006-09-22 2006-12-07 김동근 전방의 사고지역 식별이 가능한 중앙분리대 및 가이드레일반사판
KR100980783B1 (ko) 2010-06-15 2010-09-14 송원호 시선유도용 회전날개가 구비된 중앙분리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6101B1 (ko) 2002-08-14 2005-01-17 이문표 각도조절이 용이한 차광판
KR100522115B1 (ko) 2003-05-07 2005-10-18 (주)경동기술공사 도로의 높이 조절용 중앙 분리대
KR200433018Y1 (ko) 2006-09-22 2006-12-07 김동근 전방의 사고지역 식별이 가능한 중앙분리대 및 가이드레일반사판
KR100980783B1 (ko) 2010-06-15 2010-09-14 송원호 시선유도용 회전날개가 구비된 중앙분리대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5223B1 (ko) 2015-05-06 2016-08-03 권처현 차량용 방호책
KR20160131858A (ko) 2016-01-14 2016-11-16 권처현 차량용 방호책
CN105913665A (zh) * 2016-06-29 2016-08-31 肖锐 一种智能斑马线护栏
CN114561893A (zh) * 2022-03-22 2022-05-31 合肥市科惠特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光电环保型绿化隔离栏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3621B1 (ko) 도로용 중앙분리대
CN107044096B (zh) 一种气囊缓冲道路隔离带装置
CN103217943A (zh) 一种移动式道路引导屏
CN203383164U (zh) 一种可移动交通指示箭头牌
KR20210146558A (ko) 터널조명등 전원공급용 태양광패널 설치구조물
CN209428995U (zh) 公路指示装置
CN109680622A (zh) 一种公路路况监控系统
CN213716169U (zh) 一种车辆行驶智慧路径诱导装置
CN104709159A (zh) 基于路况检测的汽车智能前照灯随动系统
KR100608932B1 (ko) 에어를 이용한 가변식 도로 중앙 분리봉
CN107165091B (zh) 一种缓冲弹性可调道路隔离带装置
CN206530127U (zh) 一种停车库汽车防水淹装置
CN202600968U (zh) 桥梁涵洞车辆限高装置
KR20150077879A (ko) 견인차량의 경광등 회동 구조
CN211312293U (zh) 电力架空线路过路弹簧式警示装置
CN211815785U (zh) 一种智能限高架
KR20090058820A (ko) 가로등
CN212473309U (zh) 一种无人驾驶汽车导航装置
CN209460916U (zh) 一种地下停车场充电桩防撞报警装置
CN106015863A (zh) 一种龙门架显示屏用旋转装置
KR200473308Y1 (ko) 교통표지판
CN205354360U (zh) 一种智能交通感应照明系统
KR101231159B1 (ko) 교통안내 마네킹 로봇
CN110042777A (zh) 一种高速公路车载警示机架
CN216586243U (zh) 一种公路工程用弯道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3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