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31159B1 - 교통안내 마네킹 로봇 - Google Patents

교통안내 마네킹 로봇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31159B1
KR101231159B1 KR1020120100002A KR20120100002A KR101231159B1 KR 101231159 B1 KR101231159 B1 KR 101231159B1 KR 1020120100002 A KR1020120100002 A KR 1020120100002A KR 20120100002 A KR20120100002 A KR 20120100002A KR 101231159 B1 KR101231159 B1 KR 1012311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nnequin
pedestal
support plate
robot
mannequin rob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00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주현
이윤규
Original Assignee
김호경
한국도로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호경, 한국도로공사 filed Critical 김호경
Priority to KR10201201000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3115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311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311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15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illumina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통안내 마네킹 로봇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교통안내 마네킹 로봇에 있어서, 상기 마네킹 로봇의 일측에 결합되며, 부채꼴 형상의 프레임에 일정간격으로 복수개의 LED바가 결합되는 LED신호부와; 상기 LED신호부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 및 상기 LED신호부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복수의 LED바가 순차적으로 점등 또는 점멸되면서 상기 마네킹 로봇이 팔에 LED바를 쥔 상태로 팔을 흔드는 것처럼 보이도록 하여 시인성을 향상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안내 마네킹 로봇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교통안내 마네킹 로봇{MANNEQUIN ROBOT FOR TRAFFIC CONTROL}
본 발명은 교통안내 마네킹 로봇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교통안내 마네킹 로봇에 있어서, 상기 마네킹 로봇의 일측에 결합되며, 부채꼴 형상의 설치대에 일정간격으로 복수개의 LED바가 결합되는 LED신호부와; 상기 LED신호부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 및 상기 LED신호부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복수의 LED바가 순차적으로 점등 또는 점멸되면서 상기 마네킹 로봇이 팔에 LED바를 쥔 상태로 팔을 흔드는 것처럼 보이도록 하여 원거리에서도 시인성을 향상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안내 마네킹 로봇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의 보수공사나 지하철 공사 또는 도로상에 갑작스러운 상황 등이 발생하여 해당 도로의 전 차선 또는 일부 차선에 대해서 차량 통제를 할 경우에는, 차량 통제 차선의 전방에 안내원이 배치되어 수기 또는 방향 안내등을 손에 쥐고서 차량 안내작업을 수행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상기와 같은 경우, 장시간 안내원을 통한 차량 안내작업을 수행하면 피로가 가중되어 교통안내 작업을 수행할 수 없게 됨은 물론, 안내원(인명) 교통사고의 발생이 상존하게 되며, 우천시 등과 같은 악천우에는 상기 차량 교통안내 작업을 제대로 수행할 수 없게 되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단점을 개선하여 최근에는 마네킹 로봇을 이용한 차량 교통안내 장치가 대한민국 등록 실용신안 제20-0318264호에 제안된바 있다.
즉, 그 기술적인 구성은 마네킹 몸통의 내부 하측으로 받침대를 설치하여 이에 감속모터를 장착시키고, 상기 마네킹 우측어깨 내측과 받침대 사이에는 수직 및 수평 지지 프레임이 상기 받침대의 선단부 및 측단부에서부터 연장되게 보강 용접하며, 상기 마네킹 우측어깨 내측부에는 원통형 베어링 하우징을 상기 지지 프레임에 용접 지지된 브라켓을 이용해 위치시키고, 상기 마네킹 오른팔의 상완단에 체결된 선회 축봉을 스페이서 및 원통형 베어링 하우징의 베어링을 관통시켜 상기 감속모터의 회전운동을 직선 왕복 운동으로 변환시켜 주는 크랭크 기구에 연결 조립시켜서 상기 감속모터의 회전운동에 의해서 마네킹 오른팔이 소정 각도 선회운동이 되도록 하며, 절개된 마네킹 몸통부분을 남겨진 마네킹 몸통부에 접착하여 교통통제 마네킹의 상체를 형성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종래의 교통 통제 마네킹은, 감속모터와 연결된 크랭크 기구의 작동에 의해 회전운동이 직선 왕복운동으로 바뀌게 되고, 이때 마네킹의 오른팔이 소정각도 선회운동 되어 교통 통제작업을 수행하는 것으로, 상기와 같은 교통통제 마네킹의 경우, 마네킹 몸통부의 내측으로 비교적 복잡한 구조의 크랭크 기구의 설치에 의해 오른팔을 소정각도 선회운동하는 구성을 갖는다.
상기의 마네킹 로봇을 포함하는 종래의 교통안내 마네킹은 일반적으로 마네킹의 팔에 경광봉이나 깃발 등을 꽂은 다음 마네킹의 팔을 작동시켜 안내작업을 진행하는 것이 일반적이었으나, 이러한 종래의 교통안내 마네킹은 팔을 운동시키기 위한 모터 가동으로 인해 불필요한 전력이 낭비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으며, 또한 상부에 설치된 부품 및 동력에 의한 무게로 인하여 전도에 의한 파손 및 모터나 기타 부품의 교체가 빈번하게 이루어져 그에 따른 비용과 시간이 소모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깃발이나 경광봉을 마네킹 팔에 결합하더라도 특히 야간에는 시인성과 역동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고속으로 차량이 주행하는 고속도로의 경우 대형사고로 이어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교통안내 마네킹의 팔을 운동시키기 위한 모터 가동으로 인해 불필요한 전력이 낭비되는 문제점과, 모터 가동으로 인한 불필요한 전력이 낭비되는 문제점과, 모터나 기타 부품의 파손 및 기계적인 잦은 고장으로 인한 교체작업과 그에 따른 비용과 시간이 소모되는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고속도로와 같이 고속으로 차량이 주행하는 도로에서 특히 야간작업을 진행하는 경우에도 시인성과 역동성을 극대화함으로써 교통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마네킹 로봇; 상기 마네킹 로봇이 직립되는 받침대와, 상기 받침대의 후방으로부터 직립하여 결합 설치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후방 양쪽에 설치되는 바퀴와, 상기 프레임의 후방에 구비된 손잡이를 포함하며 구성되는 이동수단과; 상기 이동수단에 결합되는 지지판; 상기 지지판에 결합되며 부채꼴 형상의 설치대와, 상기 설치대에 방사상 방향으로 설치되는 복수개의 LED바로 구성되는 LED신호부; 상기 LED신호부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 및 상기 LED신호부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복수의 LED바가 순차적으로 점등 또는 점멸되면서 상기 마네킹 로봇이 팔에 LED바를 쥔 상태로 팔을 흔드는 것처럼 보이도록 하여 원거리에서도 시인성을 향상시키며, 상기 받침대의 후방 양단에는 상기 받침대에 직립되는 마네킹 로봇이 안정적으로 균형을 유지하도록 상기 받침대로부터 외측으로 회전시켜 받침대 측면의 지면에 지지되고 끝단에는 노면의 상황에 맞게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높낮이 조절볼트가 구비되는 지지대가 힌지 결합되어 있고, 상기 지지판은 상기 지지판이 프레임 내측에 위치하였다가 LED신호부 설치시에 지지판이 프레임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회동시켜 프레임에 볼트결합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또한, 상기 지지판에는 LED신호부가 볼트결합될 수 있도록 체결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마네킹 로봇의 일측에는 태양광을 집광하여 전기를 생산함으로써 상기 LED신호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태양광 전지판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마네킹 로봇은 보관이 운반 및 용이하도록 상반신과 하반신이 분리·결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은 교통안내 마네킹의 팔을 운동시키기 위한 모터 가동으로 인해 불필요한 전력이 낭비되는 문제점과, 상부 무게에 의한 전도파손 및 기계적인 모터나 기타 부품의 교체작업에 따른 비용과 시간이 소모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마네킹의 이동 및 운반이 용이하고, 안정적으로 지면에 직립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고속도로와 같이 고속으로 차량이 주행하는 도로에서 야간작업을 진행하는 경우에도 원거리에서의 시인성이 확보되어 크고 작은 교통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1 내지 3은 본 발명에 따른 교통안내 마네킹 로봇의 예시도.
도 4 내지 5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수단의 예시도.
도 6 내지 8은 본 발명에 따른 LED신호부의 예시도.
도 9a 내지 9f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시키기에 가장 적합한 실시예들을 기초로 하여 설명될 것이며,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과 같이 본 발명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예시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아래 설명된 실시예들을 통해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 속한다 할 것이다. 그리고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기재된 부호에 있어서, 각 실시예에서 동일한 작용을 하게 되는 구성요소 중 관련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연장 선상의 숫자로 표기하였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들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교통안내 마네킹 로봇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교통안내 마네킹 로봇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교통안내 마네킹 로봇에 있어서, 마네킹 로봇(10); 상기 마네킹 로봇이 직립되는 받침대(33)와, 상기 받침대의 후방으로부터 직립하여 결합 설치되는 프레임(31)과, 상기 프레임의 후방 양쪽에 설치되는 바퀴(34)와, 상기 프레임의 후방에 구비된 손잡이(32)를 포함하며 구성되는 이동수단과(30); 상기 이동수단에 결합되는 지지판(40); 상기 지지판에 결합되며 부채꼴 형상의 설치대(21)와, 상기 설치대에 방사상 방향으로 설치되는 복수개의 LED바(22)로 구성되는 LED신호부(20); 상기 LED신호부(2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11); 및 상기 LED신호부(20)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12);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복수의 LED바(22)가 순차적으로 점등 또는 점멸되면서 상기 마네킹 로봇(10)이 팔에 LED바를 쥔 상태로 팔을 흔드는 것처럼 보이도록 하여 원거리에서도 시인성을 향상시키며, 상기 받침대(33)의 후방 양단에는 상기 받침대에 직립되는 마네킹 로봇이 안정적으로 균형을 유지하도록 상기 받침대로부터 외측으로 회전시켜 받침대 측면의 지면에 지지되고 끝단에는 노면의 상황에 맞게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높낮이 조절볼트(36)가 구비되는 지지대(35)가 힌지 결합되어 있고, 상기 지지판(40)은 상기 지지판이 프레임 내측에 위치하였다가 LED신호부 설치시에 지지판이 프레임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회동시켜 프레임에 볼트결합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먼저, 상기 마네킹 로봇(10)은 보수공사나 지하철 공사 또는 교통사고 등의 갑작스러운 상황 등이 발생한 도로 등을 포함한 지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시각적으로 통상의 교통 통제원과 같은 느낌을 주도록 사람 형태로 형성된 몸체에 의복을 입힌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LED신호부(20)는 부채꼴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설치대(21)과, 상기 설치대(21)에 일정간격으로 방사상 방향으로 결합되는 복수개의 LED바(22)로 구성되며, 상기 LED바(22)는 직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지는 복수개의 LED램프를 상기 설치대(21)과 대응되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형성하여 이루어진다.
도 6 내지 7을 참조하면, 상기 설치대(21)은 상기 LED바(22)가 부채꼴 형상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이와 대응되는 부채꼴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복수의 LED바(22)가 결합되었을 때 그 하중을 견딜 수 있도록 호 형상의 보강부재가 결합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보강부재는 LED바의 시인성이 저하되지 않도록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복수개의 LED램프가 길이방향으로 배열형성된 LED바(22)를 설치대(21)를 따라 부채꼴 형상으로 방사상으로 결합하게 되면 상기 마네킹 로봇(10)이 팔에 LED바를 쥔 상태로 팔을 흔드는 것처럼 보이기 때문에 운전자에게 더욱 효과적으로 도로의 상황(도로의 복구작업이나 교통사고 등)을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교통안내 마네킹 로봇(10)은 상기 LED신호부(2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11)와, 상기 LED신호부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12)가 구비되며, 상기 LED신호부(20)가 점등되는 패턴이나 속도를 조절하기 위한 복수의 버튼이 구비되는 별도의 컨트롤러(미도시)가 구비된다.
상기 컨트롤러는 다양한 형상이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LED신호부(2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야간에는 운전자가 상기 LED신호부(20)의 작동상태(점등 또는 점멸상태)를 쉽게 인식할 수 있으나 주간에는 인식하기 쉽지 않기 때문에 마네킹 로봇(10)이 설치되는 도로의 기상이나 날씨에 맞게 상기 LED신호부(20)의 점등·점멸 패턴을 바꿔줄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LED바(22)가 점등과 점멸동작을 2회씩 반복한 다음 순차적으로 인접한 LED바(22)가 동일하게 작동되도록 하여 시인성을 더욱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마네킹 로봇(10)의 운반이나 이동이 용이하도록 하고 지면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마네킹 로봇의 후방에 이동수단(30)이 결합된다.
상기 이동수단(30)은 상기 마네킹 로봇이 직립되고 배터리(11)가 놓여지는 받침대(33)와, 상기 받침대의 후방으로부터 직립하여 결합 설치되는 프레임(31)과, 상기 프레임의 하단부 후방 양쪽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바퀴(34)와, 상기 프레임의 상단부 후방에 구비된 손잡이(32) 및 상기 받침대의 후방 양단에 각각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되며, 끝단에는 노면의 상황에 맞게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높낮이 조절볼트(36)가 구비되는 지지대(35)로 이루어진다.
삭제
상기 받침대(33)는 사각의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마네킹 로봇(10)과 배터리(11)가 안착 될 수 있도록 소정의 면적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터리(11)가 상기 받침대(33)에 놓여지는 이유는 소정의 무게를 갖는 배터리(11)가 무게중심을 잡도록 하여 상기 마네킹 로봇(10)이 비가 오거나 바람이 강하게 불더라도 쓰러지지 않고 안정적으로 서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바퀴(34)는 상기 마네킹 로봇(10)의 후방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마네킹 로봇이 직립된 상태에서는 지면과 맞닿거나 미세하게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균형을 잡아주는 역할을 하고, 상기 마네킹 로봇(10)을 이동시키고자 할 경우 상기 마네킹 로봇을 후방 측으로 기울여 용이하게 이동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지지대(35)는 상기 마네킹 로봇(10)이 쓰러지지 않고 안정적으로 서있도록 균형을 잡아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소정의 길이를 갖는 사각의 파이프로써 상기 받침대(33)의 후방 양단에 각각 회전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된다.
상기 지지대(35)와 받침대(33)의 결합 부위에 볼트를 결합하여 잠그거나 풀어서 상기 지지대를 전개하거나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대(35)의 끝단에는 설치되는 노면의 상황에 맞게 상기 지지대(35)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높낮이 조절볼트(36)가 구비된다.
일반적으로 차량이 다니는 도로의 경우 노면이 평평치 않고 울퉁불퉁하기 때문에 상기 교통안내 마네킹 로봇을 안정적으로 세우기 쉽지 않으므로 이러한 도로의 상황을 고려해 상기 지지대의 끝단에 구비된 높낮이 조절볼트(36)를 조이거나 풀어서 상기 마네킹 로봇을 설치할 때 현장 상황에 따라 적절한 대응이 가능하다.
삭제
한편, 상기 프레임(31)은 상부에는 복수의 체결공이 형성된 지지판(40)을 볼트결합하여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 지지판(40)은 직사각 또는 사다리꼴 형상의 소정의 두께를 갖는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일측은 이동수단의 프레임(31)과 볼트결합할 수 있도록 볼트공(37)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상기 LED신호부와 결합 될 수 있도록 복수의 체결공(41)이 형성된다.
상기 지지판(40)은 최초 상기 이동수단의 프레임(31) 내측에 위치하였다가 상기 LED신호부(20)를 상기 마네킹 로봇(10)에 결합하고자 하면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한 다음 프레임에 볼트공(37)을 통하여 볼트결합(47)함으로써, 상기 LED신호부(20)를 안정적으로 고정설치할 수 있으며, 반대로 상기 LED신호부(20)가 분리되면 지지판(40)을 원래 상태인 프레임 내측으로 복귀시켜 마네킹 로봇(10)을 이동시킬 때 사용자가 지지판에 부딪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네킹 로봇(10)의 일측에는 태양광을 집광하여 전기를 생산함으로써 상기 LED신호부에 전력을 공급하는 태양광 전지판(13)이 설치된다.
상기 태양광 전지판(13)은 태양광을 효율적으로 집광할 수 있도록 상기 마네킹 로봇의 머리 또는 헬멧 측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배터리(11)를 통해 상기 LED신호부(20)에 전력을 공급하되 태양광을 집광할 수 있는 낮에는 상기 태양광 전지판을 통해 태양광을 집광하여 배터리에 전력을 공급하여 저장하고, 밤에는 상기 배터리를 통해 상기 LED신호부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마네킹 로봇(10)은 보관이 운반 및 용이하도록 상반신과 하반신이 분리·결합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일반적인 교통안내 마네킹 로봇은 분리가 불가능한 단일 구조로 형성되기 때문에 보관이나 이동시 크기나 무게 때문에 어려움이 많았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 마네킹 로봇의 상반신의 하단부 중앙에 돌기(14)를 형성하고 반대 측에는 상기 돌기와 대응되는 위치에 걸림홈(15)을 형성하여 상반신과 하반신이 별도로 분리되도록 하여 마네킹 로봇의 보관이나 이동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교통안내 마네킹 로봇은 이동수단이 구비되므로 운반이 용이하며, 복수의 LED바가 부채꼴 형상으로 결합된 LED신호부를 통해 시인성을 확보할 수 있고, 상반신과 하반신의 분리가 가능하므로 보관·이동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10 : 마네킹 로봇 11 : 배터리
12 : 제어부 13 : 태양광 전지판
20 : LED신호부 21 : 설치대
22 : LED바 30 : 이동수단
31 : 프레임 32 : 손잡이
33 : 받침대 34 : 바퀴
35 : 지지대 36 : 높낮이 조절볼트
40 : 지지판 41 : 체결공

Claims (5)

  1. 마네킹 로봇(10);
    상기 마네킹 로봇이 직립되는 받침대(33)와, 상기 받침대의 후방으로부터 직립하여 결합 설치되는 프레임(31)과, 상기 프레임의 후방 양쪽에 설치되는 바퀴(34)와, 상기 프레임의 후방에 구비된 손잡이(32)를 포함하며 구성되는 이동수단과(30);
    상기 이동수단에 결합되는 지지판(40);
    상기 지지판에 결합되며 부채꼴 형상의 설치대(21)와, 상기 설치대에 방사상 방향으로 설치되는 복수개의 LED바(22)로 구성되는 LED신호부(20);
    상기 LED신호부(2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11); 및
    상기 LED신호부(20)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12);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복수의 LED바(22)가 순차적으로 점등 또는 점멸되면서 상기 마네킹 로봇(10)이 팔에 LED바를 쥔 상태로 팔을 흔드는 것처럼 보이도록 하여 원거리에서도 시인성을 향상시키며,
    상기 받침대(33)의 후방 양단에는 상기 받침대에 직립되는 마네킹 로봇이 안정적으로 균형을 유지하도록 상기 받침대로부터 외측으로 회전시켜 받침대 측면의 지면에 지지되고 끝단에는 노면의 상황에 맞게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높낮이 조절볼트(36)가 구비되는 지지대(35)가 힌지 결합되어 있고,
    상기 지지판(40)은 상기 지지판이 프레임 내측에 위치하였다가 LED신호부 설치시에 지지판이 프레임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회동시켜 프레임에 볼트결합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안내 마네킹 로봇.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40)에는 LED신호부(20)가 볼트결합될 수 있도록 체결공(41)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안내 마네킹 로봇.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네킹 로봇(10)의 일측에는 태양광을 집광하여 전기를 생산함으로써 상기 LED신호부(20)에 전력을 공급하는 태양광 전지판(13)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안내 마네킹 로봇.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네킹 로봇(10)은 보관이 운반 및 용이하도록 상반신과 하반신이 분리·결합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통안내 마네킹 로봇.
KR1020120100002A 2012-09-10 2012-09-10 교통안내 마네킹 로봇 KR1012311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0002A KR101231159B1 (ko) 2012-09-10 2012-09-10 교통안내 마네킹 로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0002A KR101231159B1 (ko) 2012-09-10 2012-09-10 교통안내 마네킹 로봇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31159B1 true KR101231159B1 (ko) 2013-02-07

Family

ID=478991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0002A KR101231159B1 (ko) 2012-09-10 2012-09-10 교통안내 마네킹 로봇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3115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4518B1 (ko) * 2016-05-31 2017-02-09 신도산업 주식회사 교통안전 유도로봇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24310A (ja) * 1994-05-30 1995-12-12 Kyowa Exeo Corp ロボット型交通誘導機
JP2004334166A (ja) * 2003-05-09 2004-11-25 Kil-Suo Lee Led道路標識板を備えたハーフミラー反射鏡装置
JP2007002478A (ja) * 2005-06-22 2007-01-11 Saftec Co Ltd 交通誘導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24310A (ja) * 1994-05-30 1995-12-12 Kyowa Exeo Corp ロボット型交通誘導機
JP2004334166A (ja) * 2003-05-09 2004-11-25 Kil-Suo Lee Led道路標識板を備えたハーフミラー反射鏡装置
JP2007002478A (ja) * 2005-06-22 2007-01-11 Saftec Co Ltd 交通誘導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4518B1 (ko) * 2016-05-31 2017-02-09 신도산업 주식회사 교통안전 유도로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3221B1 (ko) 높이 조절이 용이한 엘이디 설치형 가로등
KR102254556B1 (ko) 가로등암의 회전 및 승강이 가능한 가로등주
KR101037948B1 (ko) 차량용 크레인 운전석 케빈
CN207123947U (zh) 一种拖链式公路信号灯安装架
US20110185962A1 (en) Humanoid traffic control robot
CN107119925B (zh) 一种交通用岗亭
KR101231159B1 (ko) 교통안내 마네킹 로봇
JP2004011183A (ja) 交通指示ロボット
CN210072918U (zh) 一种可移动多向伸缩交通信号灯架
CN207277235U (zh) 一种公路施工路障警示装置
KR101293621B1 (ko) 도로용 중앙분리대
CN212316776U (zh) 一种市政道路施工防护栏
CN111910563A (zh) 一种具有多种标识功能的潮汐式车道机器人
CN221000745U (zh) 一种公路施工用具有防撞功能的路障
CN212724518U (zh) 一种交通安全工程用反光标志板
US7155850B2 (en) Safety traffic controller station
CN219992280U (zh) 翻牌装置
CN207842793U (zh) 一种汽车用遥控三角警告牌
CN220150138U (zh) 一种用于道路施工的安全警示装置
CN211446684U (zh) 一种市政工程临时施工警示牌
CN205318626U (zh) 多用途智能交通灯
CN211547482U (zh) 一种公路施工用警示通告牌
CN218322450U (zh) 一种道路施工升降式路障
CN216130001U (zh) 一种交通道路标识用便捷固定座
CN213746498U (zh) 一种具自适应光强功能的智能交通照明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