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9111B1 - 가드레일용 보조휀스 - Google Patents

가드레일용 보조휀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9111B1
KR101109111B1 KR1020090097975A KR20090097975A KR101109111B1 KR 101109111 B1 KR101109111 B1 KR 101109111B1 KR 1020090097975 A KR1020090097975 A KR 1020090097975A KR 20090097975 A KR20090097975 A KR 20090097975A KR 101109111 B1 KR101109111 B1 KR 1011091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nce
guard rail
auxiliary fence
auxiliary
guard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79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41001A (ko
Inventor
오순영
Original Assignee
(주)극동메탈휀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극동메탈휀스 filed Critical (주)극동메탈휀스
Priority to KR10200900979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9111B1/ko
Publication of KR201100410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10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91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91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E01F15/025Combinations of at least two of the barrier member types covered by E01F15/04 - E01F15/08, e.g. rolled steel section or plastic strip backed up by cable, safety kerb topped by rail barrier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E01F15/04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essentially made of longitudinal beams or rigid strips supported above ground at spaced points
    • E01F15/0407Metal r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E01F15/06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essentially made of cables, netting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04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 E01F9/615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signalling purposes, e.g. for indicating curves, road works or pedestrian crossings illumina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로변에 설치되는 가드레일에 있어서, 상기 가드레일은 다수의 지주 및 상기 지주에 설치되는 가드레일판으로 구성되되, 상기 가드레일의 지주에는 보조휀스가 추가로 설치되며, 상기 보조휀스는 가드레일판의 하부공간을 통해서 동물 및 풀들이 진입하는 것을 차단하는 하부보조휀스와, 상기 하부보조휀스 상부에 설치되는 상부보조휀스로 구성되되, 상기 상부보조휀스는 수직부와 상부수평부로 형성되어 수직부는 하부의 하부보조휀스와 결합되며, 상부수평부는 도로 바깥 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되게 형성됨으로써, 가드레일판 상부로 성장한 풀들이 가드레일에 설치된 델리네이트를 가리는 것을 방지하게 구성된 것이 주요 특징인 가드레일용 보조휀스에 관한 것이다.
도로, 가드레일, 델리네이트, 보조휀스, 동물, 풀,

Description

가드레일용 보조휀스{Subsidiary for guardrail}
본 발명은 도로변에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된 다수의 지주 및 상기 지주에 설치된 가드레일판으로 구성된 가드레일에 추가로 설치되는 보조휀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도로변에 설치되는 가드레일에 있어서, 상기 가드레일은 다수의 지주 및 상기 지주에 설치되는 가드레일판으로 구성되되, 상기 가드레일의 지주에는 보조휀스가 추가로 설치되며, 상기 보조휀스는 가드레일판의 하부공간을 통해서 동물 및 풀들이 진입하는 것을 차단하는 하부보조휀스와, 상기 하부보조휀스 상부에 설치되는 상부보조휀스로 구성되되, 상기 상부보조휀스는 수직부와 상부수평부로 형성되어 수직부는 하부의 하부보조휀스와 결합되며, 상부수평부는 도로 바깥 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되게 형성됨으로써, 가드레일판 상부로 성장한 풀들이 가드레일에 설치된 델리네이트를 가리는 것을 방지하게 구성된 것이 주요 특징인 가드레일용 보조휀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속도로, 국도, 지방도 등의 도로변에는 일정간격으로 지주를 설치하고, 상기 지주에 가드레일판을 설치하여 차선을 벗어난 차량이 도로 밖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차량의 충돌시 완충효과에 의하여 인명피해를 줄이도록 하는 기능이 구비된 가드레일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가드레일의 상부에 차량의 전조등으로부터의 빛을 입사 방향과 근사한 방향으로 재귀하여 야간에 운전자에게 전방의 도로 선형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여 차량이 주행하는 도로를 벗어나는 사고를 예방할 수 있게 도와주는 기능을 갖는 델리네이트가 일정간격으로 설치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 가드레일판의 하부 공간으로 동물이 진입하여 주행하는 차량에 치이는 사고가 발생할 뿐만 아니라, 갑자기 도로내로 뛰어든 동물을 피하기 위해 반사적으로 운전자가 핸들을 급히 돌리거나 급정거를 하게 되는 데 이로 인하여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도로의 주변에는 잡초 등의 풀들이 존재하는데, 이러한 풀들의 성장이 촉진되는 여름철이 되면 가드레일의 개방된 상하부 공간을 통하여 도로 내로 풀들이 진입하여 도로의 미관을 훼손할 뿐만 아니라, 특히 가드레일 상부로 웃자란 풀들이 델리네이트를 가리게 됨으로서 야간에 운전자가 도로 선형을 제대로 판단하지 못하여 교통사고를 유발하는 문제가 있었다. 현재에는 도로 내로 성장한 풀들을 인력을 투입하여 제초기를 사용하여 일일이 제거하고 있으나, 풀들의 왕성한 자생력 으로 그 효율성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작업자들의 작업 중 발생하는 부상 및 교통사고 등 많은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풀들의 성장이 누적되어 해마다 더욱 많이 성장하는 것이 아니라 겨울철에 성장이 멈춰서 죽은 후에 다음 해에 새롭게 성장한다는 점에 착안하여, 제초작업을 하지 않고도 가드레일 상부로 웃자란 풀들이 가드레일에 설치된 델리네이트를 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가드레일 하부 공간으로 진입하는 동물 및 풀들을 차단할 수 있고, 기존에 설치되어있는 가드레일을 해체하거나 훼손하지 않고 간편하게 추가로 설치할 수 있는 가드레일용 보조휀스를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가드레일용 보조휀스는, 도로변에 설치되는 가드레일에 있어서, 상기 가드레일은 다수의 지주 및 상기 지주에 설치되는 가드레일판으로 구성되되, 상기 가드레일의 지주에는 보조휀스를 추가로 설치하며, 상기 보조휀스는 가드레일판의 하부공간을 통해서 동물 및 풀들이 진입하는 것을 차단하는 하부보조휀스와, 상기 하부보조휀스 상부에 설치되는 상부보조휀스로 구성되되, 상기 상부보조휀스는 수직부와 상부수평부로 형성되어 수직부는 하부의 하부보조휀스와 결합되며, 상부수평부는 도로 바깥 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되게 형성됨으로써, 가드레일판 상부로 성장한 풀들이 가드레일에 설치된 델리네이트를 가리는 것을 방지하게 구성된 것이 주요 특징인 가드레일용 보조휀스이다.
또한, 상기 상부보조휀스는 가드레일판 고정용 볼트에 의하여 간섭받지 않고 가드레일판과 지주 사이에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수직부의 양측 하부 모서리부분을 제거한 볼트 자리부가 형성되어, 가드레일을 해체하거나 훼손하지 않고도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보조휀스는 각 지주에 설치되는 제1하부보조휀스와, 두 개의 제1하부보조휀스들 사이에 양측 끝부위가 결합되는 제2하부보조휀스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가드레일용 보조휀스는, 가드레일판의 하부공간을 통해서 동물이나 풀들이 진입하는 것을 하부보조휀스로 차단하게 구성되어 도로를 주행 중인 차량에 의하여 동물들이 치이게 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미관을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특히 도로 바깥쪽으로 소정길이 연장 형성된 상부보조휀스의 상부수평부에 의하여 성장한 풀들이 가드레일 상부의 델리네이트를 가리는 것을 방지하게 구성되어 운전자가 도로 선형과 같은 도로 정보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게 되는 것으로 야간에 도로를 주행하는 차량의 교통사고를 크게 줄일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또한, 상기 상부보조휀스의 수직부의 양측 하부 모서리부분에 가드레일 고정용 볼트 자리부를 형성하여, 가드레일판 상부에서부터 가드레일 고정용 볼트의 간섭없이 간단하게 가드레일판과 지주 사이에 삽입하여 하부보조휀스와 결합함으로서, 기존에 설치되어 있는 가드레일을 해체하거나 훼손하지 않고도 빠르고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하부보조휀스는 각 지주에 설치하는 제1하부보조휀스와, 두 개의 제1하부보조휀스 사이에 결합되는 제2하부보조휀스로 구성되어, 하부보조휀스의 설치가 쉬워지고, 미관과 기능성도 우수한 하부보조휀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가드레일용 보조휀스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의 가드레일을 나타낸 사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가드레일용 보조휀스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도 2에서 A부분을 확대한 상세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상부보조휀스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1하부보조휀스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2하부보조휀스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U볼트 및 앵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의 종래의 가드레일을 나타낸 사진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고속도로, 국도, 지방도 등의 도로변에는 일정간격으로 지주(12)를 설치하고, 상기 지주에 가드레일판(14)을 설치하여 차선을 벗어난 차량이 도로 밖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차량의 충돌시 완충효과에 의하여 인명피해를 줄이도록 하는 기능이 구비된 가드레일(10)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가드레일의 상부에는 차량의 전조등으로부터의 빛을 입사 방향과 근사한 방향으로 재귀하여 야간에 운전자에게 전방의 도로 선형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여 차량이 주행하는 도로를 벗어나는 사고를 예방할 수 있게 도와주는 기능을 갖는 델리네이트(16)가 일정간격으로 설치되어 있다.
그런데, 도로의 주변에는 잡초 등의 풀들이 존재하는데, 이러한 풀들의 성장이 촉진되는 여름철이 되면 가드레일의 개방된 상하부 공간을 통하여 도로 내로 풀들이 진입하여 도로의 미관을 훼손할 뿐만 아니라, 특히 가드레일 상부로 웃자란 풀들이 상기 델리네이트(16)를 가리게 됨으로서 야간에 운전자가 도로 선형 등의 도로정보를 제대로 판단하지 못하여 교통사고를 유발하는 문제가 있었다. 현재에는 도로 내로 성장한 풀들을 인력을 투입하여 제초기를 사용하여 일일이 제거하고 있으나, 풀들의 왕성한 자생력으로 그 효율성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작업자들의 작업 중 발생하는 부상 및 교통사고 등 많은 문제가 있었다.
그러므로, 가드레일 하부를 통하여 동물이나 풀들이 도로로 진입하는 것을 차단하는 기능과 더불어 가드레일의 상부에 설치된 델리네이트(16)를 가리는 풀들을 차단하는 기능을 동시에 갖춘 가드레일용 보조휀스의 필요성이 강력하게 요구되었다.
본 발명의 가드레일용 보조휀스는, 도로변에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된 다수의 지주(12) 및 상기 지주에 설치되는 가드레일판(14)으로 구성된 가드레일(10)에 추가로 설치되는 보조휀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가드레일용 보조휀스는, 도로변에 설치되는 가드레일에 있어서, 상기 가드레일은 다수의 지주(12) 및 상기 지주에 설치되는 가드레일판(14)으로 구성되되, 상기 가드레일의 지주(12)에는 보조휀스를 추가로 설치하며, 상기 보조휀스는 가드레일판(14)의 하부공간을 통해서 동물 및 풀들이 진입하는 것을 차단하는 하부보조휀스(20)와, 상기 하부보조휀스(20) 상부에 설치되는 상부보조휀스(30)로 구성되되, 상기 상부보조휀스(30)는 수직부(32)와 상부수평부(34)로 형성되어 수직부(32)는 하부의 하부보조휀스(20)와 결합되며, 상부수평부(34)는 도로 바깥 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되게 형성됨으로써, 가드레일판(14) 상부로 성장한 풀들이 가드레일에 설치된 델리네이트(16)를 가리는 것을 방지하게 구성된 것이 주요 특징인 가드레일용 보조휀스이다.
상기 상부보조휀스(30)에 있어서, 수직부(32)의 높이는 도로변에 자라는 풀들이 해마다 자라는 최대 길이를 감안하여 제작하되 바깥쪽으로 연장 형성된 상부수평부(34)에 의하여 풀들의 성장과 자라는 방향이 제한되는 것을 감안하여 현상 상황에 맞도록 다양하게 제작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부수평부(34)의 폭은 너무 좁으면 그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고 너무 넓으면 바람에 의하여 손상되거나 떨림에 의한 소음이 발생하기 때문에 15~30 cm 정도가 되도록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부보조휀스(20)는 지주(12)의 도로쪽 전면에 붙여 고정 설치하되, 하단부가 지면을 향하게 하거나, 또는 중간부를 경사지게 형성하여 하단부를 도로 경계석(18)에 고정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보조휀스(20)에 바람이 통과하는 다수의 구멍 또는 루버(louver)를 형성하여 심한 바람에 의하여 변형되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보조휀스(30)는 수직부(32)의 양측 하부 모서리부분을 제거한 가드레일판 고정용 볼트 자리부(36)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상부보조휀스의 수직부의 양측 하부 모서리부분을 제거하여 가드레일 고정용 볼트 자리부(36)를 형성하면 가드레일판을 지주에 고정하는 가드레일판 고정용 볼트(15)의 간섭 없이 간단하게 가드레일판(14)과 지주(12) 사이에 상부보조휀스(30)를 삽입하여 하부보조휀스(20)와 결합할 수 있게 되며, 따라서 기존에 설치되어 있는 가드레일(10)을 해체하거나 훼손하지 않고도 빠르고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하부보조휀스(20)의 상부와 상부보조휀스(30)의 하부에 그 단면이 “
Figure 112009063085106-pat00001
” 형상과 “
Figure 112009063085106-pat00002
” 형상인 보강힘살부를 각각 형성하여, 결합시에 보강힘살의 수평한 부분이 중첩되게 결합할 수 있는 데, 이와 같이 보강힘살부를 형성하여 중첩결합하면 결합부의 손상이나 진동에 의한 소음을 줄이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하부보조휀스(20)는 각 지주(12)에 설치하는 제1하부보조휀스(22)와, 두 개의 제1하부보조휀스 사이에 양측 끝단부가 중첩되게 결합되는 제2하부보조휀스(24)로 구성될 수 있는 데, 이는 하부보조휀스를 두 지주 사이의 간격보다 긴 한 가지 종류의 하부보조휀스로 설치하는 것 보다 제1하부보조휀스와 제2하부보조휀스로 구분되는 두 종류로 구성하여 설치하는 것이 보다 빠르고 쉽게 설치할 수 있는 장점뿐만 아니라, 색상이나 문양, 두께, 재질 등이 다른 두 종류의 하부보조휀스를 제작하여 설치함으로써, 보다 우수한 미관과 기능성을 부가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제1하부보조휀스(22)와 제2하부보조휀스(24)의 설치예로서, 제1하부보조휀스(22)와 제2하부보조휀스(24)의 양측 끝부위에 상호 일치하는 구멍(46)을 각각 형성하여, 제1하부보조휀스(22)와 제2하부보조휀스(24)의 끝부위를 중첩하여 U볼트(40)로 두 구멍을(46)을 동시에 관통하여 반대편에서 지주를 감싸고 있는 반원형 앵커(42)와 너트(44)로 조여 지주에 안정적으로 고정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제1하부보조휀스와 제2하부보조휀스 있어서, 제1하부보조휀스와 제2하부보조휀스의 상부에 그 단면이 “
Figure 112009063085106-pat00003
” 형상인 보강힘살부가 형성되어 상부보조휀스의 하부에 형성된 “
Figure 112009063085106-pat00004
” 형상의 보강힘살부와 수평한 부분이 중첩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하부보조휀스에는 바람이 통과하는 다수의 구멍을 형성하여 심한 바람에 의하여 변형되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가드레일용 보조휀스는 도로변에 기존 설치되어 있는 가드레일에 현장 설치되는 것으로서, 각 구성품 상호간의 결합이나 도로변 경계석에 고정할 때, 필요에 따라 통상의 피스나사나 볼트를 사용하여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음은 당연한 사실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종래의 가드레일을 나타낸 사진.
도 2는 본 발명의 가드레일용 보조휀스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2에서 A부분을 확대한 상세도.
도 4는 본 발명의 상부보조휀스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1하부보조휀스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2하부보조휀스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U볼트 및 앵커를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가드레일 12 : 지주
14 : 가드레일판 15 : 가드레일판 고정용 볼트
16 : 델리네이트 18 : 경계석
20 : 하부보조휀스 22 : 제1하부보조휀스
24 : 제2하부보조휀스 30 : 상부보조휀스
32 : 수직부 34 : 상부수평부
36 : 가드레일판 고정용 볼트 자리부 40 : U볼트
42 : 앵커 44 : 너트
46 : 구멍

Claims (4)

  1. 도로변에 설치되는 가드레일(10)에 있어서, 상기 가드레일은 다수의 지주(12) 및 상기 지주에 설치되는 가드레일판(14)으로 구성되되, 상기 가드레일의 지주에는 보조휀스를 추가로 설치하며, 상기 보조휀스는 가드레일판의 하부공간을 통해서 동물 및 풀들이 진입하는 것을 차단하는 하부보조휀스(20)와, 상기 하부보조휀스 상부에 설치되는 상부보조휀스(30)로 구성되되, 상기 상부보조휀스는 수직부(32)와 상부수평부(34)로 형성되어 수직부는 하부의 하부보조휀스(20)와 결합되며, 상부수평부(34)는 도로 바깥 방향으로 소정길이 연장되게 형성됨으로써, 가드레일판(14) 상부로 성장한 풀들이 가드레일(10)에 설치된 델리네이트(16)를 가리는 것을 방지하게 구성된 것이 특징인 가드레일용 보조휀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보조휀스(20)는 각 지주(12)에 설치되는 제1하부보조휀스(22)와, 두 개의 하부보조휀스 사이에 양측 끝부위가 중첩되어 결합되는 제2하부보조휀스(24)로 구성된 것이 특징인 가드레일용 보조휀스.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보조휀스(30)는 수직부(32)와 상부수평부(34)로 형성되어 수직부(32)는 지주(12)와 가드레일판(14)의 공간 사이로 삽입된 후 하부 의 하부보조휀스(20)의 상단부와 중첩결합되는 것이 특징인 가드레일용 보조휀스.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보조휀스(30)는 가드레일판(14)을 지주에 고정하는 가드레일판 고정용 볼트(15)에 의하여 간섭받지 않도록 수직부의 양측 하부 모서리부분을 제거한 가드레일판 고정용 볼트 자리부(36)가 형성된 것이 특징인 가드레일용 보조휀스.
KR1020090097975A 2009-10-15 2009-10-15 가드레일용 보조휀스 KR1011091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7975A KR101109111B1 (ko) 2009-10-15 2009-10-15 가드레일용 보조휀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7975A KR101109111B1 (ko) 2009-10-15 2009-10-15 가드레일용 보조휀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1001A KR20110041001A (ko) 2011-04-21
KR101109111B1 true KR101109111B1 (ko) 2012-02-29

Family

ID=440470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7975A KR101109111B1 (ko) 2009-10-15 2009-10-15 가드레일용 보조휀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911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733331B (zh) * 2012-06-17 2016-05-11 苏州汇诚智造工业设计有限公司 一种绿化护栏及其制造方法
CN103669257B (zh) * 2013-12-20 2016-03-02 苏州多固工程设计有限公司 一种底部带有绿化槽的马路隔离栏
CN105475015B (zh) * 2013-12-22 2018-08-24 宿迁峰驰安防有限公司 一种玻璃钢马路隔离绿化槽的制造方法
KR101643750B1 (ko) * 2014-12-08 2016-07-29 에코리아 주식회사 가드레일을 이용한 방음벽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47519A (ja) * 1994-03-09 1995-09-26 Sekisui Jushi Co Ltd 緑化防音壁形成用壁体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47519A (ja) * 1994-03-09 1995-09-26 Sekisui Jushi Co Ltd 緑化防音壁形成用壁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1001A (ko) 2011-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46846B1 (ko) 조립식 패널로 설치되는 야생동물 보호 가드레일
KR100967138B1 (ko) 동물 및 식물 침입 방지용 가드레일
KR100611058B1 (ko) 도로의 가드레일에 설치되는 친환경적인 동물의침입방지장치
KR101626257B1 (ko) 다이크 설치용 지주 보강구조
KR100737501B1 (ko) 가드레일을 이용한 동물 침입방지용 펜스
KR101109111B1 (ko) 가드레일용 보조휀스
US20140334875A1 (en) Jersey Barrier Improvements
KR100946096B1 (ko) 가이드레일을 이용한 야생동물 보호휀스 및 방초매트 설치구조
US7387295B2 (en) Tire fence
KR200413446Y1 (ko) 도로의 안전주행 확보용 가드레일
KR200422790Y1 (ko) 가드레일을 이용한 동물 침입방지용 펜스
KR200407504Y1 (ko) 로드킬 방지구
KR100969810B1 (ko) 트러스 구조의 완충부를 구비한 차량안전 방호책
US9051699B2 (en) Pedestrian and vehicle barrier
KR100970465B1 (ko) 가드레일에 설치되는 야생동물보호 및 잡초방지펜스
KR100774956B1 (ko) 야생동물 보호 겸용 잡초 방지 펜스
JP2008002259A (ja) 自動車道路の高架橋の路版側端部の老朽化した壁高欄の改良方法
KR101260458B1 (ko) 덩굴식물 유입방지펜스
KR100638264B1 (ko) 로드킬 방지구
KR20080001191U (ko) 가드레일용 동물 보호망
KR20090013986A (ko) 가드레일 주변 식물 성장 억제 및 동물 침입 방지용덮개구조
KR20060035554A (ko) 도로용 중앙분리대
KR100847685B1 (ko) 도로용 가이드레일에 야생동물 보호용 펜스의 설치장치
KR101048759B1 (ko) 가드레일 주변의 잡초 성장 억제 방법
KR200354771Y1 (ko) 가드레일 주변의 잡초 성장 억제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