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8759B1 - 가드레일 주변의 잡초 성장 억제 방법 - Google Patents

가드레일 주변의 잡초 성장 억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8759B1
KR101048759B1 KR1020080075010A KR20080075010A KR101048759B1 KR 101048759 B1 KR101048759 B1 KR 101048759B1 KR 1020080075010 A KR1020080075010 A KR 1020080075010A KR 20080075010 A KR20080075010 A KR 20080075010A KR 101048759 B1 KR101048759 B1 KR 1010487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rete
ground
blocking member
boundary stone
guard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50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13478A (ko
Inventor
정은수
Original Assignee
정은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은수 filed Critical 정은수
Priority to KR10200800750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8759B1/ko
Publication of KR201000134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34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87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87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E01F15/04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essentially made of longitudinal beams or rigid strips supported above ground at spaced poin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HSTREET CLEANING; CLEANING OF PERMANENT WAYS; CLEANING BEACHES; DISPERSING OR PREVENTING FOG IN GENERAL CLEANING STREET OR RAILWAY FURNITURE OR TUNNEL WALLS
    • E01H11/00Control of undesirable vegetation on roads or similar surfaces or permanent ways of railways, e.g. devices for scorching weeds or for applying herbicides; Applying liquids, e.g. water, weed-killer bitumen, to permanent w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드레일 주변의 잡초 성장 억제 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도로변에 설치되는 경계석의 바깥방향 일정면적의 지반을 경계석 보다 낮게 정지작업을 수행한 후, 잡초의 틈새 성장을 차단하도록 차단부재를 설치하고, 이후 콘크리트를 포설함으로써, 가드레일 주변의 잡초 성장을 억제함은 물론 콘크리트를 사용함으로 인해 비용이 절감함과 아울러 콘크리트의 틈새를 통해 잡초가 성장하는 것도 방지할 수 있는 가드레일 주변의 잡초 성장 억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도로변에 설치되는 경계석(5) 바깥방향에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다수의 지주(10) 및 상기 지주(10)에 설치되는 가드레일판(20)으로 이루어진 가드레일에 있어서, 상기 경계석(5)의 바깥방향 일정면적의 지반이 경계석(5)의 상단 보다 낮고 평탄하게 되도록 정지작업을 수행하는 지반 정지단계(S1); 상기 지반 정지단계(S1)를 거친 후, 상기 지반의 상측면 중 특정부위에 잡초의 틈새 성장을 차단할 수 있도록 차단부재(110)(111)를 설치하는 차단부재 설치단계(S2); 상기 차단부재 설치단계(S2)를 가친 후, 상기 지반 및 차단부재(110)(111)의 상측에 콘크리트(100)를 포설하는 콘크리트 포설단계(S3); 상기 콘크리트 포설단계(S3)를 거친 후, 상기 콘크리트(100)를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분리하는 콘크리트 분리단계(S4)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가드레일, 잡초, 콘크리트, 차단부재

Description

가드레일 주변의 잡초 성장 억제 방법{A method suppressing growth of weeds surrounding guardrails}
본 발명은 가드레일 주변의 잡초 성장 억제 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도로변에 설치되는 경계석의 바깥방향 일정면적의 지반을 경계석 보다 낮게 정지작업을 수행한 후, 잡초의 틈새 성장을 차단하도록 차단부재를 설치하고, 이후 콘크리트를 포설함으로써, 가드레일 주변의 잡초 성장을 억제함은 물론 콘크리트를 사용함으로 인해 비용이 절감함과 아울러 콘크리트의 틈새를 통해 잡초가 성장하는 것도 방지할 수 있는 가드레일 주변의 잡초 성장 억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변에는 차량의 안전사고 방지를 위해 가드레일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가드레일에 발광체를 일정간격으로 붙여 놓아 야간에 운전자의 안전에 도움이 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도심을 벗어난 고속도로, 국도, 지방도의 가드레일 주변의 경우 봄, 여름, 가을철에 잡초들의 자생으로 인하여 운전자의 시야에 가드레일이 명확하게 인식되기가 쉽지 않고, 또한, 교통안전시설물(반사판, 반사스티커 등)의 식별이 불 가능한 경우가 발생하여 차량통행 시 교통사고 위험의 문제가 있었다.
또한, 각 도로의 관리주체별로 이러한 잡초제거를 위하여 인력을 투입해 주기적인 삭초 작업을 벌이고 있으나 잡초들의 왕성한 자생력으로 인해 삭초 작업후 2~3주 후면 또다시 교통안전 시설물의 식별이 불가능할 정도로 성장하게 되므로 그 삭초작업의 효율성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지속적인 삭초작업으로 인한 막대한 경비가 손실되고 있으며, 도로변 작업자들의 작업 중 발생하는 부상 및 교통사고 등 많은 문제가 있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출원인이 선출원하여 등록받은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763831호(명칭:가드레일 주변의 잡초 성장 억제 방법)는, 도로변에 설치되는 경계석 바깥방향 일정면적의 지반을 투수콘크리트로 덮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따라서, 가드레일 주변의 잡초 성장을 억제하므로 교통안전시설물의 식별을 확보하여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 잡초제거에 따른 인력 및 경제적 손실을 방지함과 아울러 작업자들의 교통사고 위험을 방지할 수 있으며, 특히 투수콘크리트의 사용으로 인해 빗물이 땅속으로 투과되어 친환경적이다.
그러나, 상기 잡초 성장 억제방법은, 투수콘크리트를 사용함으로인해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으며, 아울러 투수콘크리트의 주변 틈새를 통해 잡초가 성장하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도로변에 설치되는 경계석의 바깥방향 일정면적의 지반을 경계석 보다 낮게 정지작업을 수행한 후, 잡초의 틈새 성장을 차단하도록 차단부재를 설치하고, 이후 콘크리트를 포설함으로써, 가드레일 주변의 잡초 성장을 억제함은 물론 콘크리트를 사용함으로 인해 비용이 절감함과 아울러 콘크리트의 틈새를 통해 잡초가 성장하는 것도 방지할 수 있는 가드레일 주변의 잡초 성장 억제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도로변에 설치되는 경계석 바깥방향에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다수의 지주 및 상기 지주에 설치되는 가드레일판으로 이루어진 가드레일에 있어서, 상기 경계석의 바깥방향 일정면적의 지반이 경계석의 상단 보다 낮고 평탄하게 되도록 정지작업을 수행하는 지반 정지단계; 상기 지반 정지단계를 거친 후, 상기 지반의 상측면 중 특정부위에 잡초의 틈새 성장을 차단할 수 있도록 차단부재를 설치하는 차단부재 설치단계; 상기 차단부재 설치단계를 가친 후, 상기 지반 및 차단부재의 상측에 콘크리트를 포설하는 콘크리트 포설단계; 상기 콘크리트 포설단계를 거친 후, 상기 콘크리트를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분리하는 콘크리트 분리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도로변에 설치되는 경계석의 바깥방향 일정면적의 지반을 경계석 보다 낮게 정지작업을 수행한 후, 잡초의 틈새 성장을 차단하도록 차단부재를 설치하고, 이후 콘크리트를 포설함으로써, 가드레일 주변의 잡초 성장을 억제함은 물론 콘크리트를 사용함으로 인해 비용이 절감된다.
또한, 상기 콘크리트의 틈새 부분에 차단부재를 설치함으로 인해 상기 콘크리트의 틈새를 통해 잡초가 성장하는 것이 방지된다.
그리고, 상기 콘크리트를 일정간격으로 분리함으로써 상기 콘크리트의 수축과 팽창시 균열을 방지한다.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출원인이 선출원하여 등록받은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763831호의 개량발명으로써, 상기 특허를 시행하는 과정에서 앞서 설명것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하여 개량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가드레일 주변의 잡초 성장 억제 방법에 의해 시공된 일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 는 도 1의 A-A선 단면도이며, 도 3 은 도 2에서 콘크리트의 경계면에 경사면 대신 경계프레임을 설치한 경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가드레일 주변의 잡초 성장 억제 방법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의 가드레일(1)은 도로변에 설치되는 경계석(5)의 바깥방향에 설치되는 것으로써, 도로변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다수의 지 주(10)와, 상기 지주(10)에 고정 설치되는 가드레일판(20)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지주(10)로는 원형파이프 또는 H빔 등 다양한 형태가 사용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잡초 성장 억제 방법을 설명하기에 앞서 그 구조를 도 1 내지 도 3 을 참조하여 간단히 설명하면, 상기 경계석(5)의 바깥방향 지반은 정지작업을 통해 경계석(5)의 상단 보다 낮고 평탄하게 된다.
또한, 상기 지반의 상측면 중 상기 경계석(5)과 맞닿는 부위와 상기 지주(10)의 둘레에는 차단부재(110)(111)가 설치된다.
상기 차단부재(110)(111)는 지반의 상측면에 콘크리트(100)가 형성될 경우, 상기 콘크리트(100)의 틈새를 통해 잡초가 성장하는 것을 차단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차단부재(100)(111)는 "ㄴ"자 형태의 단면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는데, 이때 상기 경계석(5)과 맞닿는 부위에는 경계석(5)을 따라 직선형태로 차단부재(100)가 설치되고, 상기 지주(10)의 둘레에는 지주(10)의 둘레를 감싸는 링형태로 차단부재(111)가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차단부재(110)(111)는 합성수지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지반의 상측면에는 일정두께의 콘크리트(100)가 포설 형성된다.
이때, 상기 콘크리트(100)의 상측면은 상기 경계석(5)의 상측면과 동일 높이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콘크리트(100)의 바깥 경계면은 지반쪽으로 경사지게 경사 면(101)을 형성하거나, 또는 상기 콘크리트(100)의 바깥 경계면에 "ㄴ"자형태의 경계프레임(102)을 설치하여 상기 콘크리트(100)의 외관을 향상하고 바깥 경계면의 균열/파손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콘크리트(100)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줄눈(105)이 형성된다. 즉, 상기 콘크리트(100)는 온도에 따라 수축과 팽창을 하게 되므로 균열을 방지하기 위해 일정간격으로 분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가드레일 주변의 잡초 성장 억제 방법은 도 4와 같이, 지반 정지단계(S1)와, 차단부재 설치단계(S2), 콘크리트 포설단계(S3)와, 콘크리트 분리단계(S4)로 이루어지며,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가. 지반 정지단계(S1)
상기 지반 정지단계(S1)는 상기 경계석(5)의 바깥방향 일정면적의 지반이 경계석(5)의 상단 보다 낮고 평탄하게 되도록 정지작업을 수행하는 단계이다. 정지작업시 풀 등은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 차단부재 설치단계(S2),
상기 차단부재 설치단계(S2)는, 상기 지반 정지단계(S1)를 거친 후, 상기 지반의 상측면 중 특정부위에 잡초의 틈새 성장을 차단할 수 있도록 차단부재(110)(111)를 설치하는 단계이다.
상기 차단부재(110)(111)는 상기 경계석(5)과 맞닿는 부위와, 상기 지주(10)의 둘레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콘크리트(100)의 주변 틈새를 통해 잡초가 성장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즉, 상기 차단부재(110)(111)는 상기 콘크리트(100)의 주변 틈새인, 상기 경계석(5)과 콘크리트(100) 사이와, 상기 지주(10)와 콘크리트(100)의 지주공(103) 사이에 각각 설치되는 것이다.
한편, 아래의 콘크리트 포설단계(S3)에서 상기 지반에 콘크리트(100)가 포설되면, 상기 경계석(5)과 상기 지주(10)의 둘레에 상기 콘크리트(100)가 밀착되긴 하지만, 겨울철과 같이 낮은 온도에서는 상기 콘크리트(100)가 수축하게 되므로 상기 경계석(5)과 콘크리트(100) 사이, 그리고 상기 지주(10)와 콘크리트(100) 사이에 틈새가 생길 수 있고, 이러한 틈새를 통해 잡초가 성장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차단부재(110)(111)로 상기 콘크리트(100)의 주변 틈새를 폐쇄함으로써, 상기 틈새를 통해 잡초가 성장을 하는것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차단부재(110)(111)는 "ㄴ"자 형태의 단면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되, 상기 경계석(5)과 맞닿는 부위에 설치되는 차단부재(110)는 경계석(5)의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형태로 설치되고, 상기 지주(10)의 둘레에 설치되는 차단부재(111)는 지주(10)의 둘레를 감싸는 링형태로 설치된다.
물론, 상기 차단부재(110)(111)는 "ㄴ"자 형태의 단면 형상 뿐만 아니라 상기 콘크리트(100) 틈새를 차단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지주(10)의 둘레를 감싸도록 설치되는 차단부재(111)는 양단부를 다양한 결합수단(미도시)을 통해 상호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 콘크리트 포설단계(S3)
상기 콘크리트 포설단계(S3)는, 상기 차단부재 설치단계(S2)를 거친 후, 상기 지반 및 차단부재(110)(111)의 상측에 콘크리트(100)를 포설하는 단계이다.
이때, 상기 콘트리트(100)의 상측면이 상기 경계석(5)의 상측면과 동일 높이가 되도록 포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콘크리트(100)는 상기 경계석(5)의 측면에서부터 상기 지주(10)를 넘어 일정 폭만큼 포설된다.
이와 같이, 상기 경계석(5)의 바깥방향 지반에 콘크리트(100)를 포설하게 됨으로써 가드레일(1) 주변에서 잡초가 성장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콘크리트 포설단계(S3)를 거친 후, 상기 콘크리트(100)의 바깥 경계면을 지반쪽으로 경사지게 경사면(101)을 형성하는 콘크리트 경계면 처리단계를 진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콘크리트(100)의 바깥 경계면을 처리하는 다른 방법으로는, 상기 콘크리트 포설단계(S3)시 상기 경계석(5)과 일정간격 이격된 지반의 상측면에 "ㄴ"자형태의 경계프레임(102)을 설치한 후, 상기 경계석(5)과 상기 경계프레임(102) 사이에 콘크리트(100)를 포설하는 것이다.
이처럼, 상기 콘크리트(100)의 바깥 경계면을 경사면(101)으로 형성하거나 경계프레임(102)을 설치하여 상기 콘크리트(100)의 외관을 향상시키게 되며, 콘크 리트(100)의 바깥 경계면이 쉽게 균열/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라. 콘크리트 분리단계(S4)
상기 콘크리트 분리단계(S4)는 상기 콘크리트 포설단계(S3)를 거친 후, 상기 콘크리트(100)를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분리하는 단계이다.
즉, 상기 콘크리트(100)는 온도에 따라 수축과 팽창을 하게 되므로 균열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콘크리트(100)에 일정간격으로 줄눈(105)을 형성하여 분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한 각 단계의 순서는 일예를 나타낸 것일 뿐 설치장소 및 목적에 따라 자유롭게 변경이 가능하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가드레일 주변의 잡초 성장 억제 방법에 의해 시공된 일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2 는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3 은 도 2에서 콘크리트의 경계면에 경사면 대신 경계프레임을 설치한 경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가드레일 주변의 잡초 성장 억제 방법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가드레일 5: 경계석
10: 지주 20: 가드레일판
100: 콘크리트 101: 경사면
102: 경계프레임 103: 지주공
110,111: 차단부재

Claims (4)

  1. 도로변에 설치되는 경계석(5) 바깥방향에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다수의 지주(10) 및 상기 지주(10)에 설치되는 가드레일판(20)으로 이루어진 가드레일에 있어서,
    상기 경계석(5)의 바깥방향 일정면적의 지반이 경계석(5)의 상단 보다 낮고 평탄하게 되도록 정지작업을 수행하는 지반 정지단계(S1);
    상기 지반 정지단계(S1)를 거친 후, 상기 지반의 상측면 중 상기 경계석(5)과 맞닿는 부위와 상기 지주(10)의 둘레에 잡초의 틈새 성장을 차단할 수 있도록, 상기 경계석(5)과 맞닿는 부위와 상기 지주(10)의 둘레에 각각 차단부재(110)(111)를 설치하는 차단부재 설치단계(S2);
    상기 차단부재 설치단계(S2)를 거친 후, 상기 지반 및 차단부재(110)(111)의 상측에 콘크리트(100)를 포설하는 콘크리트 포설단계(S3);
    상기 콘크리트 포설단계(S3)를 거친 후, 상기 콘크리트(100)의 바깥 경계면을 지반쪽으로 경사지게 경사면(101)을 형성하는 콘크리트 경계면 처리단계;
    상기 콘크리트 포설단계(S3)와 상기 콘크리트 경계면 처리단계를 거친 후, 상기 콘크리트(100)를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분리하는 콘크리트 분리단계(S4)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차단부재(110)(111)는 "ㄴ"자 형태의 단면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되, 상기 경계석(5)과 맞닿는 부위에 설치되는 차단부재(110)는 경계석(5)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되고, 상기 지주(10)의 둘레에 설치되는 차단부재(111)는 지주(10)의 둘레를 감싸는 링형태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드레일 주변의 잡초 성장 억제 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080075010A 2008-07-31 2008-07-31 가드레일 주변의 잡초 성장 억제 방법 KR1010487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5010A KR101048759B1 (ko) 2008-07-31 2008-07-31 가드레일 주변의 잡초 성장 억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5010A KR101048759B1 (ko) 2008-07-31 2008-07-31 가드레일 주변의 잡초 성장 억제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3478A KR20100013478A (ko) 2010-02-10
KR101048759B1 true KR101048759B1 (ko) 2011-07-14

Family

ID=420874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5010A KR101048759B1 (ko) 2008-07-31 2008-07-31 가드레일 주변의 잡초 성장 억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875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1668B1 (ko) 2022-02-07 2023-02-21 주식회사 신웅 잡초 및 우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는 가드레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549963B2 (ja) * 2015-10-13 2019-07-24 株式会社アマケンテック 水性塗料を用いた舗装道路や道路橋の舗装面の防草防水補強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92341A (ja) * 1997-04-15 1998-11-04 Sadatoshi Mori 雑草繁茂防止板付支柱
KR100763831B1 (ko) * 2007-03-22 2007-10-05 정은수 가드레일 주변의 잡초 성장 억제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92341A (ja) * 1997-04-15 1998-11-04 Sadatoshi Mori 雑草繁茂防止板付支柱
KR100763831B1 (ko) * 2007-03-22 2007-10-05 정은수 가드레일 주변의 잡초 성장 억제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1668B1 (ko) 2022-02-07 2023-02-21 주식회사 신웅 잡초 및 우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는 가드레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3478A (ko) 2010-0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48759B1 (ko) 가드레일 주변의 잡초 성장 억제 방법
KR20120022381A (ko) 자갈 및 토사의 도로 유실 방지용 화단
KR20090102355A (ko) 지주형 시설물의 하부보호구조
KR101109111B1 (ko) 가드레일용 보조휀스
KR101701220B1 (ko) 도로 확장 구조 및 그 시공 방법
KR100763831B1 (ko) 가드레일 주변의 잡초 성장 억제 방법
KR100617351B1 (ko) 가드레일 주변의 잡초 성장 억제 방법
KR100655519B1 (ko) 가로수 보호 보도 블럭 시공 방법
KR200354771Y1 (ko) 가드레일 주변의 잡초 성장 억제 구조
KR101395136B1 (ko) 도로변의 지반 보강용 가드 펜스 및 그 시공 방법
KR102118885B1 (ko) 방초매트 고정구 및 이를 이용한 방초매트 시공 방법
KR200373217Y1 (ko) 가드레일 주변의 잡초 성장 억제 구조
KR20180009094A (ko) 가드레일 주변의 잡초 성장 억제 방법
KR101944376B1 (ko) 식생 억제 블럭체
CN205134135U (zh) 一种带栏杆的路缘石
KR101335893B1 (ko) 도로변 방초매트
KR101268090B1 (ko) 도로변 방초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20050067866A (ko) 가드레일 주변의 잡초 성장 억제 구조
KR102532815B1 (ko) 식물생장 억제를 위한 식생억제매트
JP4562330B2 (ja) 道路立入防止柵の改修工事用資材および改修工法
KR101008194B1 (ko) 가로수 보호대
KR101889308B1 (ko) 보강지주와 보강철근콘크리트를 이용한 방호울타리 구조물 및 이의 설치방법
KR200435158Y1 (ko) 가드레일 주변의 잡초 생장 억제장치
KR20130073125A (ko) 가드레일 주변의 잡초 성장 억제 방법
KR20120019043A (ko) 보차도 경계석 시공용 거푸집 및 그를 이용한 보차도 경계석 시공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3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