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19043A - 보차도 경계석 시공용 거푸집 및 그를 이용한 보차도 경계석 시공 방법 - Google Patents

보차도 경계석 시공용 거푸집 및 그를 이용한 보차도 경계석 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19043A
KR20120019043A KR1020100082134A KR20100082134A KR20120019043A KR 20120019043 A KR20120019043 A KR 20120019043A KR 1020100082134 A KR1020100082134 A KR 1020100082134A KR 20100082134 A KR20100082134 A KR 20100082134A KR 20120019043 A KR20120019043 A KR 201200190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undary stone
concrete
bolt
sidewalk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21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곤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호에코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호에코탑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호에코탑
Priority to KR10201000821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19043A/ko
Publication of KR201200190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904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2Gutters; Kerbs ; Surface drainage of streets, roads or like traffic areas
    • E01C11/221Kerbs or like edging members, e.g. flush kerbs, shoulder retaining means ; Joint members, connecting or load-transfer means specially for kerbs
    • E01C11/222Raised kerbs, e.g. for sidewalks ; Integrated or portable means for facilitating ascent or descent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9/00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 E01C19/50Removable forms or shutterings for road-building purposes; Devices or arrangements for forming individual paving elements, e.g. kerbs, in situ
    • E01C19/502Removable forms or shutterings, e.g. side forms; Removable supporting or anchoring means therefor, e.g. stakes
    • E01C19/506Removable forms or shutterings, e.g. side forms; Removable supporting or anchoring means therefor, e.g. stakes for kerbs, gutters or similar structures, e.g. raised portions, median barrier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16Elements joined together
    • E01C2201/167Elements joined together by reinforcement or mes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보차도 경계석 시공용 거푸집은 상하 방향으로 높이 조절 홀이 형성되는 한 쌍의 판체; 높이 조절 홀을 관통하는 수나사부가 양측부에 각각 형성되는 세파볼트; 및 수나사부에 결합되는 나비 너트를 포함하고, 세파볼트는 상기 한 쌍의 판체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양측부의 사이에 두께가 높이 조절홀의 폭보다 두껍게 형성되는 중앙부를 갖고, 중앙부는 보차도 경계석이 접촉되게 올려지고, 콘크리트에 매설되므로, 보차도 경계석을 시공하기 위한 부품수가 적고, 시공 작업이 작업 공수를 작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보차도 경계석 시공용 거푸집 및 그를 이용한 보차도 경계석 시공 방법{Mould and Constructing process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보차도 경계석 시공용 거푸집 및 그를 이용한 보차도 경계석 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세파볼트가 콘크리트에 매설되는 보차도 경계석 시공용 거푸집 및 그를 이용한 보차도 경계석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차도 경계석은 보도, 차도, 주차장, 정원, 공원 등을 주변과 구분하는 것으로서, 콘크리트 경계석과 자연화강 경계석 등이 주로 사용된다.
상기와 같은 보차도 경계석의 일 시공 방법은 노반 다짐을 한 후 거푸집을 먼저 설치하고, 기초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타설된 콘크리트가 완전히 굳기 전에 그 위에 보차도 경계석을 얹은 다음 콘크리트를 재차 타설하는 방법이다.
또한, 보차도 경계석의 다른 시공 방법은 노반 다짐을 한 후 거푸집을 설치하지 않고, 기초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타설된 콘크리트가 굳으면 보차도 경계석을 시공하고 측구용 거푸집을 설치한 후 측구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방법이다.
상기와 같은 보차도 경계석 시공 방법은 보차도 경계석과 기초 콘크리트 간의 결합력이 떨어지고, 경계석과 측구가 일체화되지 않아 경계석 시공 후 측구 파손이 많고 여러 단계의 시공으로 공기가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KR 10-2009-0070852
종래 기술에 따른 보차도 경계석 시공방법 및 장치는, PVC 파이프 안에 콘볼트를 결합하는 단계와, 콘볼트를 푸는 단계가 포함되므로, 부품수가 많고, 시공이 복잡한 문제점이 있으며, 강판의 손상 가능성이 높은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세파볼트가 콘크리트에 매설되므로 시공이 간편한 보차도 경계석 시공용 거푸집을 이용한 보차도 경계석 시공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부품수가 적은 보차도 경계석 시공용 거푸집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보차도 경계석 시공용 거푸집은 상하 방향으로 높이 조절 홀이 형성되는 한 쌍의 판체와; 상기 높이 조절 홀을 관통하는 수나사부가 양측부에 각각 형성되는 세파볼트; 및 상기 수나사부에 결합되는 나비 너트를 포함하고, 상기 세파볼트는 상기 한 쌍의 판체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상기 양측부의 사이에 두께가 상기 높이 조절홀의 폭보다 두껍게 형성되는 중앙부를 갖고, 상기 중앙부는 보차도 경 계석이 접촉되게 올려지고, 콘크리트에 매설된다.
상기 한 쌍의 판체는 상기 높이 조절홀 주변에 보강판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보강판에는 높이를 확인할 수 있는 눈금이 표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보차도 경계석 시공용 거푸집을 이용한 보차도 경계석 시공 방법은, 한 쌍의 판체에 형성된 높이 조절 홀에 세파 볼트의 양측부에 형성된 수나사부를 관통시키고, 상기 양측부 사이에 형성된 중앙부가 상기 한 쌍의 판체의 간격을 유지시키게 상기 세파 볼트를 배치시키는 보차도 경계석 시공용 거푸집 구성 단계와; 상기 세파 볼트에 보차도 경계석을 접촉시키면서 올리고, 상기 세파 볼트의 높이를 조절하면서 나비 너트를 상기 수나사부에 체결하여 상기 세파 볼트를 상기 한 쌍의 판체에 고정시키는 경계석 높이 조절 단계와; 상기 보차도 경계석의 하측과 상기 보차도 경계석의 측면 하부의 주변으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상기 세파볼트를 매설하면서 보차도 경계석을 콘크리트와 고정하는 콘크리트 타설 단계와; 상기 콘크리트 타설 단계 후 상기 콘크리트를 양생하는 양생 단계와; 상기 양생 단계 후 상기 콘크리트와 고정된 세파 볼트에서 나비 너트를 분리하는 나비 너트 분리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보차도 경계석 시공용 거푸집을 이용한 보차도 경계석 시공 방법은 상기 경계석 높이 조절 단계 이전에 보차도 경계석의 선단과 후단 중 적어도 일단에 1~5mm 두께의 완충 패드를 설치하는 완충 패드 설치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세파 볼트가 한 쌍의 판체를 지지 고정함과 아울러 보차도 경계석과 접촉된 상태에서 콘크리트에 매설되므로, 부품수가 최소화되는 이점이 있고, 세파 볼트를 콘크리트에서 분리할 필요가 없으므로, 작업 공정이 간편하게 시공이 손쉬운 이점이 있다.
또한, 나비 너트의 체결시 보강판이 높이 조절홀 주변을 보호하여 높이 조절홀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한 쌍의 판체의 재활용 횟수를 늘릴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보강판에 눈금이 형성되어, 세파 볼트의 수평 조절 및 보차도 경계석의 높이 조절이 손쉬운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보차도 경계석 시공용 거푸집 일실시예의 개략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세파 볼트가 한 쌍의 판체에 고정된 상태가 도시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보차도 경계석 시공용 거푸집을 이용한 보차도 경계석 시공 방법 일실시예의 순서도,
도 4는 평탄화되고 다짐된 지면에 보차도 경계석 시공용 거푸집을 구성하였을 때의 단면도,
도 5는 도 4의 세타 볼트 상측에 보차도 경계석을 올렸을 때의 단면도,
도 6은 도 5의 보차도 경계석 시공용 거푸집의 내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였을 때의 단면도,
도 7은 도 6의 세타 볼트에서 너트를 분리하였을 때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보차도 경계석 시공용 거푸집 일실시예의 개략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세파 볼트가 한 쌍의 판체에 고정된 상태가 도시된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보차도 경계석 시공용 거푸집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 방향으로 높이 조절 홀(2)(4)이 형성되는 한 쌍의 판체(6)(8)와, 높이 조절 홀(2)(4)을 관통하는 수나사부(14)(16)가 양측부(18)(20)에 각각 형성되고 보차도 경계석(22)이 올려지는 세파볼트(26)와, 수나사부(14)(16)에 결합되는 나비 너트(28)(30)를 포함한다.
한 쌍의 판체(6)(8)는 합판으로 형성될 수 있고, 높이 조절 홀(2)(4)의 복수개가 한 쌍의 판체(6)(8)의 길이 방향으로 이격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판체(6)(8)는 세파볼트(16)의 관통이나 나비 너트(28)(30)의 결합시, 높이 조절홀(2)(4) 주변이 마모되거나 손상될 수 있으므로, 높이 조절홀(2)(4)의 형상 유지하게 하는 보강판(10)(12)이 높이 조절홀(2)(4) 주변에 설치된다.
보강판(10)(12)은 금속재로 형성되고, 높이 조절홀(2)(4)과 동일 형상 및 동일 크기의 개구부(11)(13)가 형성되며, 보강판(10)(12)에 의해 한 쌍의 판체(6)(8)의 재사용 횟수가 증대될 수 있게 된다.
보강판(10)(12)에는 높이를 확인할 수 있는 눈금(13)이 표시될 수 있고, 작업자는 세파 볼트(26)의 수평 조절 및 보차도 경계석(22)의 높이 조절을 손쉽게 할 수 있다.
보차도 경계석(22)은 길이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설치되고, 그 각각은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된다.
보차도 경계석(22)은 시공시 인접한 타 보차도 경계석과 충돌되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그 길이 방향 선단과 후단 중 적어도 일단에 완충 패드(24)가 설치될 수 있다.
완충 패드(24)는 대략 1~5mm 두께로 부착되어 시공이 완료된 후에 보차도 경계석과 보차도 경계석 사이에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게 하여 외부의 온도에 의한 보차도 경계석의 팽창과 수축에 대비한 실리콘 처리가 용이하게 된다.
보차도 경계석(22)은 세파볼트(26)의 후술하는 중앙부(32)에 직접 올려져서, 세파볼트(26)의 중앙부(32)와 접촉되게 올려지고, 중앙부(32)에 의해 지지된다.
세파볼트(26)는 양측부(18)(20)의 사이에 중앙부(32)를 갖고, 중앙부(32)는 중앙부(32)가 한 쌍의 판체(6)(8) 사이의 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그 두께가 높이 조절홀(2)(4)의 폭보다 두껍게 형성된다.
즉, 세파볼트(26)는 일측부(18)와 타측부(20)를 높이 조절홀(2)(4)에 삽입하였을 때, 중앙부(32)의 좌측단과 우측단이 높이 조절홀(2)(4)의 주변에 걸리고, 한 쌍의 판체(6)(8)는 중앙부(32)의 방향으로 휘지 않고 그 세워진 상태가 유지되게 된다.
세파볼트(26)는 보차도 경계석(22)을 직접 지지하는 것으로서, 중앙부(32)가 보차도 경계석(22)과 직접 접촉되고, 보차도 경계석(22)의 하부와 함께 후술하는 콘크리트(40)에 매설된다.
보차도 경계석 시공용 거푸집은 한 쌍의 판체(6)(8)의 간격을 유지하기 위해 한 쌍의 판체(6)(8)에 결합되는 플랫 타이(32)(3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플랫타이(32)(34)는 판체(6)(8)와 판체(6)(8)를 길이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연결시킬 때, 높이 조절홀(2)(4) 보다 높이가 낮게 위치되고, 그 단부측에 형성된 구멍(33)에 웨지핀(wedge pin) 등의 고정부재(미도시)를 고정하여 판체(6)와 판체(8)간에 일정한 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보차도 경계석 시공용 거푸집을 이용한 보차도 경계석 시공 방법 일실시예의 순서도이고, 도 4는 평탄화되고 다짐된 지면에 보차도 경계석 시공용 거푸집을 구성하였을 때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세타 볼트 상측에 보차도 경계석을 올렸을 때의 단면도이며, 도 6은 도 5의 보차도 경계석 시공용 거푸집의 내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였을 때의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세타 볼트에서 너트를 분리하였을 때의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보차도 경계석 시공용 거푸집을 이용한 보차도 경계석 시공 방법은 보차도 경계석 시공용 거푸집 구성 단계(S1)와, 경계석 높이 조절 단계(S2)와, 콘크리트 타설 단계(S3)와, 양생 단계(S4)와, 나비 너트 분리 단계(S5)를 포함할 수 있다.
보차도 경계석 시공용 거푸집 구성 단계(S1)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탄화되고 다짐된 지면에 보차도 경계석 시공용 거푸집을 설치하는 단계로서, 한 쌍의 판체(6)(8)에 형성된 높이 조절 홀(2)(4)에 세파 볼트(20)의 양측부(18)(20)에 형성된 수나사부(14)(16)를 관통시키고, 양측부(18)(20) 사이에 형성된 중앙부(32)가 한 쌍의 판체(6)(8)의 간격을 유지시키게 세파 볼트(20)를 배치시킨다.
그리고, 플랫타이(32)(34)를 이용하여 한 쌍의 판체(6)(8)와, 그 전방 또는 그 후방에 위치하는 다른 판체(6)(8)를 연속적으로 결합할 때 판체 (6)(8)의 하부에 일정한 간격으로 고정한다.
즉, 보차도 경계석 시공용 거푸집은 한 쌍의 판체(6)(8)와, 세파 볼트(20)와, 플랫 타이(32)(34)가 일체로 구성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세파 볼트(20)를 배치시켰을 때, 중앙부(32)는 좌측단과 우측단이 한 쌍의 판체(6)(8)에 구속되고, 한 쌍의 판체(6)(8)는 세파 볼트(20)와 플랫 타이(32)(34)에 의해 그 간격이 유지된다.
경계석 높이 조절 단계(S2)는 도 3에 도시된 세파 볼트(20)의 위에 보차도 경계석(22)을 올리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차도 경계석(22)을 시공하고자 하는 높이로 맞추는 단계로서, 세파 볼트(20)에 보차도 경계석(22)을 접촉시키면서 올리고, 세파 볼트(20)의 높이를 시공 희망 높이로 조절하면서 나비 너트(28)(30)를 수나사부(14)(16)에 체결하여 세파 볼트(20)를 한 쌍의 판체(6)(8)에 고정시킨다.
여기서, 보차도 경계석(22)은 상기와 같이, 세파 볼트(20)의 중앙부(32)에 올려지기 이전에 선단과 후단 중 적어도 일단에 완충 패드(24)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완충 패드(24)는 대략 1~5mm 두께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차도 경계석 시공용 거푸집을 이용한 보차도 경계석 시공 방법은 경계석 높이 조절 단계(S2) 이전에 보차도 경계석(22)의 선단과 후단 중 적어도 일단에 1~5mm 두께의 완충 패드(24)를 설치하는 완충 패드 설치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나비 너트(28)(30)를 수나사부(14)(16)에 체결할 때, 중앙부(32)와 나비너트(28)(30)는 판체(6)(8) 및 보강판(10)을 사이에 두고 조임력이 작용되고, 세파 볼트(20)는 그 하측으로 이동되지 않고, 보차도 경계석(22)을 희망하는 높이에 위치시킨다.
콘크리트 타설 단계(S3)는 보차도 경계석(22)의 하측과 보차도 경계석(22)의 측면 하부의 주변으로 콘크리트(40)를 타설하여 세파볼트(20)를 콘크리트(40)에 매설하면서 보차도 경계석(22)을 콘크리트(40) 및 세파볼트(20)와 고정한다.
즉, 콘크리트(40)의 타설시, 보차도 경계석(22)의 측면 하부는 콘크리트측구(40a)와 일체로 고정되고, 보차도 경계석(22)의 저면은 세파볼트(20) 및 콘크리트기초(40b)와 일체로 고정된다.
양생 단계(S4)는 콘크리트 타설 단계(S3) 후 콘크리트(40)를 양생한다.
나비 너트 분리 단계(S5)는 양생 단계(S4) 후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40)와 고정된 세파 볼트(20)에서 나비 너트(20)(30)를 분리한다.
그런 다음, 작업자는 한 쌍의 판체(6)(8)를 떼어내는 해체작업을 실시한다.
상기와 같은 해체작업시, 세파 볼트(20)와 플랫타이(32)(34)는 보차도 경계석(22)과 함께 콘크리트(40)와 고정된 상태를 유지한다.
2,4: 높이 조절홀 6,8: 판체
10,12: 나비너트 14,16: 수나사부
22: 보차도 경계석 28,30: 나비 너트
32: 중앙부 40: 콘크리트

Claims (5)

  1. 상하 방향으로 높이 조절 홀이 형성되는 한 쌍의 판체;
    상기 높이 조절 홀을 관통하는 수나사부가 양측부에 각각 형성되는 세파볼트; 및
    상기 수나사부에 결합되는 나비 너트를 포함하고,
    상기 세파볼트는 상기 한 쌍의 판체 사이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상기 양측부의 사이에 두께가 상기 높이 조절홀의 폭보다 두껍게 형성되는 중앙부를 갖고,
    상기 중앙부는 보차도 경계석이 접촉되게 올려지고, 콘크리트에 매설되는 보차도 경계석 시공용 거푸집.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판체는 상기 높이 조절홀 주변에 보강판이 설치되는 보차도 경계석 시공용 거푸집.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판에는 높이를 확인할 수 있는 눈금이 표시된 보차도 경계석 시공용 거푸집.
  4. 한 쌍의 판체에 형성된 높이 조절 홀에 세파 볼트의 양측부에 형성된 수나사부를 관통시키고, 상기 양측부 사이에 형성된 중앙부가 상기 한 쌍의 판체의 간격을 유지시키게 상기 세파 볼트를 배치시키는 보차도 경계석 시공용 거푸집 구성 단계와;
    상기 세파 볼트에 보차도 경계석을 접촉시키면서 올리고, 상기 세파 볼트의 높이를 조절하면서 나비 너트를 상기 수나사부에 체결하여 상기 세파 볼트를 상기 한 쌍의 판체에 고정시키는 경계석 높이 조절 단계와;
    상기 보차도 경계석의 하측과 상기 보차도 경계석의 측면 하부의 주변으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상기 세파볼트를 매설하면서 보차도 경계석을 콘크리트와 고정하는 콘크리트 타설 단계와;
    상기 콘크리트 타설 단계 후 상기 콘크리트를 양생하는 양생 단계와;
    상기 양생 단계 후 상기 콘크리트와 고정된 세파 볼트에서 나비 너트를 분리하는 나비 너트 분리 단계를 포함하는 보차도 경계석 시공용 거푸집을 이용한 보차도 경계석 시공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보차도 경계석 시공용 거푸집을 이용한 보차도 경계석 시공 방법은 상기 경계석 높이 조절 단계 이전에 보차도 경계석의 선단과 후단 중 적어도 일단에 1~5mm 두께의 완충 패드를 설치하는 완충 패드 설치 단계를 더 포함하는 보차도 경계석 시공 방법.
KR1020100082134A 2010-08-24 2010-08-24 보차도 경계석 시공용 거푸집 및 그를 이용한 보차도 경계석 시공 방법 KR2012001904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2134A KR20120019043A (ko) 2010-08-24 2010-08-24 보차도 경계석 시공용 거푸집 및 그를 이용한 보차도 경계석 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2134A KR20120019043A (ko) 2010-08-24 2010-08-24 보차도 경계석 시공용 거푸집 및 그를 이용한 보차도 경계석 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9043A true KR20120019043A (ko) 2012-03-06

Family

ID=461280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2134A KR20120019043A (ko) 2010-08-24 2010-08-24 보차도 경계석 시공용 거푸집 및 그를 이용한 보차도 경계석 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1904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17612A (zh) * 2016-08-29 2016-12-14 无锡市锡山区仁景模具厂 一种可调节长度的路沿石模具
CN110016858A (zh) * 2019-05-14 2019-07-16 四川省铁路产业投资集团有限责任公司 标高可调节的桥梁支座垫石模板体系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217612A (zh) * 2016-08-29 2016-12-14 无锡市锡山区仁景模具厂 一种可调节长度的路沿石模具
CN110016858A (zh) * 2019-05-14 2019-07-16 四川省铁路产业投资集团有限责任公司 标高可调节的桥梁支座垫石模板体系
CN110016858B (zh) * 2019-05-14 2023-11-17 四川省铁路产业投资集团有限责任公司 标高可调节的桥梁支座垫石模板体系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5016726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ifting and securing a concrete panel in place above a road bed
KR100654170B1 (ko) 도로경계석 시공장치
CN104452554A (zh) 一种道路立沿石施工方法及立沿石后背砼钢模
KR20120046919A (ko) 경계석 시공장치 및 시공방법
JP2013040467A (ja) 縁石併用型防護柵の支柱基礎ブロック
KR20120019043A (ko) 보차도 경계석 시공용 거푸집 및 그를 이용한 보차도 경계석 시공 방법
KR20110132880A (ko) 단지 토목, 조경, 도로, 공원용 한 쌍의 경계석 및 경계석 받침을 동시에 설치할 수 있는 콘크리트 레벨링 시공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단지 토목, 조경, 도로, 공원용 한 쌍의 경계석 및 경계석 받침을 동시에 설치할 수 있는 콘크리트 레벨링 시공 방법
KR20090070852A (ko) 보차도 경계석 시공방법 및 장치
KR101097995B1 (ko) 강성포장용 콘크리트 모듈러 패널 및 이를 이용한 급속시공방법
KR101378967B1 (ko) 경계석 시공장치
KR101116628B1 (ko) 설치가 용이한 경계블록
KR101158445B1 (ko) 도로경계석 설치용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도로경계석 설치공법
KR100432863B1 (ko) 보차도 경계석의 건식 시공방법과 경계석 받침구
US20080145144A1 (en) Precast Curb System and Method of Installation thereof
KR200456737Y1 (ko) 도로경계석 받침대
SK8287Y1 (sk) Kanalizačná šachta s poklopom, s výškovým a uhlovým nastavením
KR100892365B1 (ko) 도로 경계석 시공방법
KR200481346Y1 (ko) 도로경계석 거푸집 지그구조
KR101050205B1 (ko) 단지 토목과 조경과 도로에서 사용되는 경계석과 경계석 받침 및 측구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구조물 평탄 시공 장치 및 방법
KR101756965B1 (ko) 유지 보수가 가능한 높낮이 조절형 철도궤도선로 시공방법 및 이를 이용한 철도궤도선로 보수방법
KR200272862Y1 (ko) 보차도 경계석 시공용 받침구
US20120210653A1 (en) Roadway grat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KR101180388B1 (ko) 경계석 설치프레임
CN210658117U (zh) 一种交通信号灯灯杆的安装结构
KR101354890B1 (ko) 경계석거푸집을 이용한 경계석의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