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75512B1 - 콘크리트 및 아스팔트 혼합도로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및 아스팔트 혼합도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75512B1
KR100675512B1 KR1020040026630A KR20040026630A KR100675512B1 KR 100675512 B1 KR100675512 B1 KR 100675512B1 KR 1020040026630 A KR1020040026630 A KR 1020040026630A KR 20040026630 A KR20040026630 A KR 20040026630A KR 100675512 B1 KR100675512 B1 KR 1006755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rete
road surface
asphalt
road
la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66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01417A (ko
Inventor
정운익
Original Assignee
레인보우스케이프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레인보우스케이프주식회사 filed Critical 레인보우스케이프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266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75512B1/ko
Publication of KR200501014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14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55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55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7/00Coherent pavings made in situ
    • E01C7/08Coherent pavings made in situ made of road-metal and binders
    • E01C7/18Coherent pavings made in situ made of road-metal and binders of road-metal and bituminous binder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02Arrangement or construction of joints; Methods of making joints; Packing for join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7/00Coherent pavings made in situ
    • E01C7/08Coherent pavings made in situ made of road-metal and binders
    • E01C7/10Coherent pavings made in situ made of road-metal and binders of road-metal and cement or like binders
    • E01C7/14Concrete pav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 개의 차선으로 이루어진 도로에서 서로 다른 색깔을 띄는 콘크리트와 아스팔트를 이용해 각 차선을 교대로 나란히 포장함으로써, 콘크리트와 아스팔트의 색깔 차이로 차선을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는 콘크리트 및 아스팔트 혼합도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및 아스팔트 혼합도로는, 콘크리트로 포장되어 차선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콘크리트 노면(1)(2), 및 아스팔트로 포장되어 차선을 형성하되 콘크리트 노면과 교대로 나란히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아스팔트 노면(3)(4)을 포함하여, 운전자로 하여금 각 노면이 갖는 색깔 차이로 차선을 식별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콘크리트 노면, 아스팔트 노면

Description

콘크리트 및 아스팔트 혼합도로{Concrete and asphalt mixture roa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및 아스팔트 혼합도로를 나타낸 평면도.
도 2는 도 1의 Ⅱ-Ⅱ 선단면도.
도 3a 내지 도 3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및 아스팔트 혼합도로를 시공하는 공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2 : 콘크리트 노면 3, 4 : 아스팔트 노면
5 : 신축부재 6, 7 : 갓길
본 발명은 적어도 두 개 이상의 차선으로 이루어진 도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콘크리트로 포장된 콘크리트차선과 아스팔트로 포장된 아스팔트차선이 교대로 나란히 형성되어 차선의 식별이 용이하도록 된 콘크리트 및 아스팔트 혼합도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가 통행하는 도로에는 자동차의 운행을 편리하게 하기 위 해 아스팔트나 콘크리트로 포장한다. 이처럼, 도로에 아스팔트나 콘크리트를 포장함으로써 도로가 단단해지고 평평해짐에 따라 비나 눈이 와도 도로가 패일 염려가 없고, 덜컹거림 등이 완화되어 편안하게 운전할 수 있으며 고속주행이 가능하게 되었다.
이러한 포장도로중 복수 개의 차선이 구비되는 도로에서는 노란색 또는 흰색의 도료를 차선과 차선의 경계에 도포하는데, 일반적으로 중앙선에는 노란색의 도료가 도포되고 동일한 방향의 차선과 차선 사이에는 흰색의 도료가 도포됨으로써, 운전자로 하여금 차선과 차선을 식별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야간이나 악천후시 운전하게 되면 시야가 밝지 않기 때문에 차선과 차선 사이에 도포된 도료를 식별하기가 쉽지 않다. 중앙선의 경우에는 도로표지병이나 중앙분리대들이 설치되어 있어 어느 정도 식별이 가능하기는 하나 같은 방향으로 진행하는 차선의 경우에는 도로표지병이나 중앙분리대 등을 설치할 수 없기 때문에 자기 차선을 식별하지 못하고 다른 차량의 차선으로 진입할 우려가 있으며, 그로 인해 충돌사고가 빈번하게 발생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중앙선에 도로표지병이나 중앙분리대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도로의 경우에도, 운전자가 중앙선을 식별하지 못하여 반대쪽 차선으로 진입할 우려가 있으며, 이로 인해 발생되는 차량간의 충돌은 같은 방향으로 진행하는 차량간의 충돌보다 그 강도가 더 크기 때문에 대형사고로 이어지게 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복수 개의 차선으로 이루어진 도로에서 서로 다른 색깔을 띄는 콘크리트와 아스팔트를 이용해 각 차선을 교대로 나란히 포장함으로써, 콘크리트와 아스팔트의 색깔 차이로 차선을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는 콘크리트 및 아스팔트 혼합도로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및 아스팔트 혼합도로는, 콘크리트로 포장되어 차선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콘크리트 노면, 및 아스팔트로 포장되어 차선을 형성하되 콘크리트 노면과 교대로 나란히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아스팔트 노면을 포함하여, 운전자로 하여금 각 노면이 갖는 색깔 차이로 차선을 식별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구성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및 아스팔트 혼합도로는, 콘크리트 노면과 아스팔트 노면 사이에 설치되어 각 노면의 인장과 수축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신축부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전술한 구성에 있어서, 신축부재는 콘크리트 노면과 아스팔트 노면 사이의 전체에 걸쳐 길게 설치된다.
전술한 구성에 있어서, 신축부재는 콘크리트 노면과 아스팔트 노면 사이에 이격 설치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및 아스팔트 혼합도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들의 특징과 그 작용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의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및 아스팔트 혼합도로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Ⅱ-Ⅱ 선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및 아스팔트 혼합도로는, 콘크리트로 포장되어 차선을 형성하는 콘크리트 노면(1)(2)과, 아스팔트로 포장되어 차선을 형성하는 아스팔트 노면(3)(4), 및 콘크리트 노면(1)(2)과 아스팔트 노면(3)(4) 사이에 설치되는 신축부재(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 때, 콘크리트 노면(1)(2)과 아스팔트 노면(3)(4)은 교대로 나란히 형성된다. 그리고, 콘크리트 노면(1)(2)은 콘크리트의 특성상 흰색에 가까운 회색을 띄게 되고, 아스팔트 노면(3)(4)은 아스팔트의 특성상 검정색을 띄게 된다.
따라서, 운전자는 차선과 차선 사이에 흰색 또는 노란색의 도료가 도포되어 형성되는 분리선뿐만 아니라 콘크리트 노면(1)(2) 및 아스팔트 노면(3)(4)이 갖는 색깔 차이로 차선을 식별할 수 있다.
특히, 운전자의 시야가 제한되는 야간이나 악천후시에는 차선 사이에 부분적으로 형성된 분리선의 경우 용이하게 식별되지 않으나, 콘크리트 노면(1)(2)과 아스팔트 노면(3)(4)은 그 자체가 분리선의 기능을 할 뿐만 아니라 그 식별면적이 넓기 때문에 운전자가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다.
콘크리트 노면(1)(2)과 아스팔트 노면(3)(4)은 콘크리트 및 아스팔트의 특성상 인장성 및 신축성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각 노면(1)(2)(3)(4) 사이에는 전체에 걸쳐 각 노면(1)(2)(3)(4)의 인장 및 신축이 자유롭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신축부재(5)가 설치된다. 이러한 신축부재(5)는 각 노면(1)(2)(3)(4) 사이의 전체에 걸쳐 길게 충진된다.
한편, 갓길(6)(7)을 이루는 노면의 경우에도 운전자가 용이하게 식별하여 차로를 이탈하지 않도록 콘크리트나 아스팔트로 포장된다. 갓길(6)(7)을 이루는 노면도 차선을 이루는 각 노면(1)(2)(3)(4)과 마찬가지로 인접하는 차선과 다른 재료로 포장되어야 한다.
즉, 인접되는 차선이 콘크리트 노면이면 아스팔트로 갓길을 포장해야 하고, 인접되는 차선이 아스팔트 노면이면 콘크리트로 갓길을 포장해야 한다. 그리고, 차선과 갓길(6)(7) 사이에도 각 노면(1)(2)(3)(4) 사이에 설치되는 신축부재(5)가 설치된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및 아스팔트 혼합도로의 시공과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의 도 3a 내지 도 3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콘크리트 및 아스팔트 혼합도로를 시공하는 공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및 아스팔트 혼합도로를 시공하기 위해서는, 먼저 장비를 이용해 노반(10)을 다지고 고르는 작업이 선행되어야 한다.
노반(10)이 고르게 다져지면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선 하나의 폭만큼 한 쌍의 거푸집(20)을 이격 설치한 후 그 사이로 콘크리트나 아스팔트를 타설하여 노면을 형성하고, 이 노면(1)이 양생되면 도 3b와 같이 거푸집(20)을 해체한다.
이 때, 노면들의 시공은 도면에서처럼 차선의 중심측부터 시공한 다음 양쪽 갓길로 시공해 나가는 것이 바람직하나, 경우에 따라 한쪽 갓길을 먼저 시공한 다음 다른 갓길쪽으로 시공해 나갈 수도 있다.
도 3b와 같이 노면(1)이 양생되면, 도 3c와 같이 노면(1)의 양쪽면에 신축부재(5)를 각각 입설하고, 이 신축부재(5)로부터 차선 하나의 폭만큼 거푸집(20)을 이격 설치한 후, 신축부재(5)와 거푸집(20) 사이로 기존에 양생된 노면(1)과는 다른 재료를 타설한 후 양생하고, 양생이 완료되면 거푸집(20)을 해체한다.
이러한 공정을 반복하면 도 3d와 같이 차선 및 갓길을 이루는 노면(1)(2)(3)(4)(6)(7)들의 포장이 모두 완료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공정중에서 신축부재(5) 대신 얇은 판넬을 미리 노면의 양쪽면에 입설한 후 거푸집을 이격 설치하고, 판넬과 거푸집 사이로 재료를 양생된 노면과 다른 재료를 타설하여 또 다른 노면을 형성하며, 이러한 과정을 반복하여 모든 노면의 포장을 완료한 다음, 노면과 노면 사이에 설치된 판넬을 모두 제거함으로써, 노면과 노면 사이에 각 노면의 인장과 신축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하는 신축공간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 때, 각 신축공간에는 시간이 경과되면 흙이나 모래, 자갈 등이 충진되어 각 노면의 인장과 신축을 방해할 염려가 있기 때문에, 신축부재를 충진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따른 콘크리트 및 아스팔트 혼합도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 상세히 설명된 실시예와 도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각 노면 사이에 설치되는 신축부재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와 같이 길게 형성하지 않고 도막 형태로 형성한 후 각 노면 사이에 이격 설치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실시예 역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또한, 차선 사이에 충진되는 신축부재의 상부에 일정간격으로 요홈을 형성하여 차선과 차선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차량이 차선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을 지날 때 즉, 차선을 변경할 때 소리가 발생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콘크리트 및 아스팔트 혼합도로에 따르면, 복수 개의 차선으로 이루어진 도로에서 서로 다른 색깔을 띄는 콘크리트와 아스팔트를 이용해 각 차선을 교대로 나란히 포장함으로써, 콘크리트와 아스팔트의 색깔 차이를 이용해 야간이나 악천후시에도 차선을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어 사고의 위험을 현저히 줄일 수 있다.
또한, 각 차선을 이루는 노면 사이에 신축부재를 충진함으로써, 이웃하는 노면의 인장 및 신축이 자유롭게 이루어짐에 따라 노면의 뒤틀림이 발생되지 않으며, 그에 따라 도로의 파손을 예방할 수 있으며 안전운행을 할 수 있다.

Claims (4)

  1. 자동차가 주행하는 도로에 있어서,
    콘크리트로 포장되어 차선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콘크리트 노면;
    아스팔트로 포장되어 차선을 형성하되 상기 콘크리트 노면과 교대로 나란히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아스팔트 노면; 및
    상기 콘크리트 노면과 상기 아스팔트 노면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각 노면의 인장과 수축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신축부재를 포함하여,
    운전자로 하여금 상기 각 노면이 갖는 색깔 차이로 차선을 식별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및 아스팔트 혼합도로.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부재는 상기 콘크리트 노면과 상기 아스팔트 노면 사이의 전체에 걸쳐 길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및 아스팔트 혼합도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부재는 상기 콘크리트 노면과 상기 아스팔트 노면 사이에 이격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및 아스팔트 혼합도로.
KR1020040026630A 2004-04-19 2004-04-19 콘크리트 및 아스팔트 혼합도로 KR1006755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6630A KR100675512B1 (ko) 2004-04-19 2004-04-19 콘크리트 및 아스팔트 혼합도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6630A KR100675512B1 (ko) 2004-04-19 2004-04-19 콘크리트 및 아스팔트 혼합도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1417A KR20050101417A (ko) 2005-10-24
KR100675512B1 true KR100675512B1 (ko) 2007-01-30

Family

ID=372798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6630A KR100675512B1 (ko) 2004-04-19 2004-04-19 콘크리트 및 아스팔트 혼합도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7551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1353B1 (ko) 2007-12-06 2009-08-07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제어 운행 차량용 주행 경로 운용 장치 및 이를 이용한차량 운행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12046A (ko) * 1988-01-23 1989-08-24 원종식 방수 철근 콩크리트 차선 아스팔트 포장공법
KR20020026327A (ko) * 2002-03-05 2002-04-09 김명원 영구적인 콘크리트 구조의 모든 도로 지시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12046A (ko) * 1988-01-23 1989-08-24 원종식 방수 철근 콩크리트 차선 아스팔트 포장공법
KR20020026327A (ko) * 2002-03-05 2002-04-09 김명원 영구적인 콘크리트 구조의 모든 도로 지시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1353B1 (ko) 2007-12-06 2009-08-07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제어 운행 차량용 주행 경로 운용 장치 및 이를 이용한차량 운행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1417A (ko) 2005-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87210B1 (ko) 도로포장용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
Harrington Guide to concrete overlays for resurfacing & rehabilitating existing pavements: seminar.
US2220628A (en) Art of constructing highways or other massive structures
US2368330A (en) Road marker
KR100675512B1 (ko) 콘크리트 및 아스팔트 혼합도로
US1922462A (en) Street marker, construction form, and screed
KR100763416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을 이용한 험프식 기능성횡단보도
US3837756A (en) Precast or extruded central dividers for high chairs and curbs for road construction
US9163363B2 (en) Load-bearing paver and method of installation
US2033028A (en) Pavement curb
JP2010095904A (ja) 横断歩道ユニットおよびこれを用いた横断歩道
Lee et al. Streamlined strategies for faster, less traffic-disruptive highway rehabilitation in urban networks
JP2018188945A (ja) コンクリート部材
KR20070074994A (ko) 아스콘 포장도로의 차량 급정차지역에 시공되는 재활용이가능한 도로포장 구조물 및 이 도로포장 구조물의 시공방법
KR20040017262A (ko) 도로포장용 조립식 콘크리트 패널 및 이를 이용한 도로포장 방법
KR100361039B1 (ko) 강한 결속력을 가지는 폐고무 재활용 조립식 과속방지턱
JPH11241317A (ja) 車両減速用バンプの形成方法
CN213653083U (zh) 道路修补用冷补沥青结构
NL1031863C2 (nl) Elementsysteem voorzien van een flexibele verbinding.
Tayabji Precast Concrete Panel (PCP) Roundabouts [tech brief]
JPH0620514U (ja) 道路標示ブロック板
Seeds et al. Hot Mix Asphalt Pavement (HMAP) Roundabouts [tech brief]
KR200213559Y1 (ko) 금속판으로 보강한 건설용 블록
CN1580405A (zh) 道桥路面板
KR100986095B1 (ko) 위치 안내용 보도블록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1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2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3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2

Year of fee payment: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