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83367B1 - 충격 흡수형 도로 중앙 분리대 - Google Patents

충격 흡수형 도로 중앙 분리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83367B1
KR100583367B1 KR1020050091411A KR20050091411A KR100583367B1 KR 100583367 B1 KR100583367 B1 KR 100583367B1 KR 1020050091411 A KR1020050091411 A KR 1020050091411A KR 20050091411 A KR20050091411 A KR 20050091411A KR 100583367 B1 KR100583367 B1 KR 1005833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ed
buffer
center
bent portion
mounting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914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희승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남원건설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남원건설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남원건설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0500914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8336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33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33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E01F15/08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essentially made of walls or wall-like elements ; Cable-linked blocks
    • E01F15/081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essentially made of walls or wall-like elements ; Cable-linked block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specific material
    • E01F15/083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essentially made of walls or wall-like elements ; Cable-linked block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specific material using concre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충돌시 그 충격량을 감소시킴과 동시에 변형부위가 최소로 한정되어 유지보수가 쉽고 간편하여 유지관리비용을 크게 절감시킬 수 있는 충격 흡수형 도로 중앙 분리대에 관한 것으로,
폭이 작은 가이드홈(11)이 형성되어 도로 중앙에 매설되는 기초 콘크리트(10)와; 몸체의 중앙부에 작은 폭으로 하향 절곡되는 절곡부가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절곡부의 내측면에 다수의 회전 롤러(21)를 일정한 간격으로 고정되어 상기 절곡부가 가이드홈(11)에 끼워지도록 기초콘크리트의 상면에 조립되는 상부 거치 판넬(20)과;, 양쪽으로 돌출되는 수많은 결속구(31)가 갖는 보강판(32)과, 몸체의 상면 중앙부에 설치되어 상기 보강판(32)의 하부측으로 고정하는 삽입홈부(33)와, 몸체의 중앙 하부측으로 연장되는 거치 돌기(35)와, 몸체의 양쪽 측면으로 연장되는 측판의 저부에 고정되는 다수의 이동 롤러(34)가 구비되어 상부 거치 판넬(20)의 상면을 따라 미끄러지듯이 슬라이딩하도록 된 이동 완충대(30)와;, 폐타이어 분쇄물로 형성되어 이동 완충대(30)의 외주면에 소정의 두께만큼 감싸는 고정 완충대(40)를 포함하는 충격 흡수형 도로 중앙 분리대를 제공한다.
기초 콘크리트, 상부 거치 판넬, 이동 완충대, 고정 완충대

Description

충격 흡수형 도로 중앙 분리대{It is a median strip as an impact absorption typ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충격 흡수형 도로 중앙 분리대의 구성 상태를 분해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충격 흡수형 도로 중앙 분리대의 구성 상태를 도시한 설치 단면도,
도 3은 종래의 중앙분리대가 변형된 모습을 보인 정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기초 콘크리트 11 : 가이드홈
20 : 상부 거치 판넬 21 : 회전 롤러
30 : 이동 완충대 31 : 결속구
32 : 보강판 33 : 삽입홈부
34 : 이동 롤러 35 : 거치 돌기
40 : 고정 완충대
본 발명은 차로의 중앙분리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충돌시 그 충격량을 감소시킴과 동시에 변형부위가 최소로 한정되어 유지보수가 쉽고 간편하여 유지관리비용을 크게 절감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명을 보다 길게 연장시킬 수 있고 충돌한 차량 운전자에게 가해지는 충격량을 크게 줄여 대형사고유발을 방지할 수 있는 충격 흡수형 도로 중앙 분리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중앙분리대 [中央分離臺, median strip]는 4차선 이상의 도로에서 고속으로 주행할 때 차도 방향별로 분리하는 시설로, 폭은 0.5∼3 m가 보통이나 10m인 것도 있다.
주행하는 자동차가 반대 차도에 들어가지 않도록 분리대는 차도면보다 높게 만들지만, 그래도 충분하지 않을 때는 다시 분리대 속에 가드레일 등을 설치한다
여러 종류의 도로 중앙 분리대가 있겠으나 일 예를 들어 설명하자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 분리대(1)는 단순한 형상의 콘크리트 구조물 또는 FRP구조물로 이루어진 시설물을 도로 중앙에 연속 반복적으로 설치하여 이루어진 구조를 갖는다.
그러므로, 이런 종래의 중앙분리대(1)는 차량이 충돌하게 되면, 차량과 운전자에게 크나큰 위해를 입히는 문제와 더불어 자체의 파손 역시 크게 초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그 충격 에너지에 의해서 중앙 분리대(1)가 쉽게 반대편 차로로 진입되어 대형사고를 유발시키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들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차량의 충돌시 그 충격량을 감소시킴과 동시에 변형부위가 최소로 한정되어 유지보수가 쉽고 간편하여 유지관리비용을 크게 절감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명을 보다 길게 연장시킬 수 있고 충돌한 차량 운전자에게 가해지는 충격량을 크게 줄여 대형사고유발을 방지할 수 있는 충격 흡수형 도로 중앙 분리대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수단은,
상면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폭이 작은 가이드홈(11)이 형성되어 도로 중앙에 매설되는 기초 콘크리트(10)와;
폭이 작고 길이가 긴 평판으로 형성되는 몸체의 중앙부에 작은 폭으로 하향 절곡되는 절곡부가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절곡부의 내측면에 다수의 회전 롤러(21)를 일정한 간격으로 고정되어 상기 절곡부가 가이드홈(11)에 끼워지도록 기초콘크리트의 상면에 조립되는 상부 거치 판넬(20),
양쪽으로 돌출되는 수많은 결속구(31)가 갖는 보강판(32)과, 몸체의 상면 중앙부에 설치되어 상기 보강판(32)의 하부측으로 고정하는 삽입홈부(33)와, 몸체의 중앙 하부측으로 연장되는 거치 돌기(35)와, 몸체의 양쪽 측면으로 연장되는 측판의 저부에 고정되는 다수의 이동 롤러(34)가 구비되어 상부 거치 판넬(20)의 상면을 따라 미끄러지듯이 슬라이딩하도록 된 이동 완충대(30)와;
폐타이어 분쇄물로 형성되어 상기 이동 완충대(30)의 거치 돌기(35)를 제외한 양쪽 측판과 보강판(32)의 외주면에 소정의 두께만큼 감싸도록 포설되는 고정 완충대(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 흡수형 도로 중앙 분리대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충격 흡수형 도로 중앙 분리대의 구성 상태를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충격 흡수형 도로 중앙 분리대의 구성 상태를 도시한 설치 단면도이다.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작용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될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였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와 운영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가이드홈(11)이 형성되어 도로 중앙에 매설되는 기초 콘크리트(10), 폭이 작고 길이가 긴 평판의 절곡부에 다수의 회전 롤러(21)가 고정되어 상기 가이드홈(11)에 끼워지도록 기초콘크리트의 상면에 조립되는 상부 거치 판넬(20), 상부 거치 판넬(20)의 상면을 따라 슬라이딩하는 이동 완충대(30), 폐타이어 분쇄물로 되어 이동 완충대(30)의 외주면을 소정의 두께만큼 감싸는 고정 완충대(4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기초 콘크리트(10)는 상면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폭이 작은 가이드홈(11)이 형성되어 도로 중앙에 매설된다.
상부 거치 판넬(20)은 폭이 작고 길이가 긴 평판으로 형성되어 몸체의 중앙부에 작은 폭으로 하향 절곡되는 절곡부가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절곡부의 내측면에 다수의 회전 롤러(21)를 일정한 간격으로 고정되어 상기 절곡부가 가이드홈(11)에 끼워지도록 기초콘크리트의 상면에 조립된다.
이동 완충대(30)는 양쪽으로 돌출되는 수많은 결속구(31)가 갖는 보강판(32)과, 몸체의 상면 중앙부에 설치되어 상기 보강판(32)의 하부측으로 고정하는 삽입홈부(33)와, 몸체의 중앙 하부측으로 연장되는 거치 돌기(35)와, 몸체의 양쪽 측면으로 연장되는 측판의 저부에 고정되는 다수의 이동 롤러(34)가 구비되어 상부 거치 판넬(20)의 상면을 따라 미끄러지듯이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거치 돌기(35)는 거치판넬(20)의 절곡부 내측에 설치한 회전롤러(21)와 접촉하게 하고, 이동 롤러(34)는 상부 거치 판넬(20)의 상면에 각각 접촉하도록 상부 거치 판넬(20) 위에 안치되게 조립한다.
고정 완충대(40)는 폐타이어 분쇄물로 형성되어 상기 이동 완충대(30)의 거치 돌기(35)를 제외한 양쪽 측판과 보강판(32)의 외주면에 소정의 두께만큼 감사도록 포설된다.
삭제
삭제
이와 같은 구성 요소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는 도시된 바와 같이 도로의 중앙에 의도하는 길이만큼 연결 설치하거나 등간격으로 위치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충돌 사고 발발시에는 제일 먼저 사고 대상물과 맞닿게 되는 고정 완충대(40)가 전달되는 충돌 에너지를 일향으로 밀리는 가운데 완충 소멸시켜 그 충격량을 크게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차량과 탑승자는 물론이고 도로 중앙분리대 자체의 파손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충돌 에너지에 의해 이동이 취해지게 한 이유와 상기 고정 완충대(40)의 이동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주행하는 차량의 충돌에 의해 전달되는 충돌 에너지는 대부분 정 방향보다는 사선 방향으로 이루진다.
이때, 상기 고정 완충대(40)가 고정된 형태를 취하고 있다면 아무리 완충력이 우수한 재질의 구조물을 적용하였다고 하더라도 효과적인 완충을 기대하긴 어렵기 때문에 이동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었다.
이러한 이동은 상술한 바와 같이 고정 완충대(40)를 고정 유지시켜 주는 이동 완충대(30)의 하부 양측과 중앙에 상부 거치 판넬(20) 양측 평면부위에 맞닿는 수개의 이동 롤러(34)와 회전 롤러(21)에 거치할 수 있는 거치 돌기(35)가 형성되 어 있기 때문이다.
참고로, 본 발명은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고, 여러 가지의 형태를 취할 수 있으나 상기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 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차량의 충돌시 그 충격량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킴과 동시에 변형부위가 최소로 한정되어 유지보수가 쉽고 간편하여 유지관리비용을 크게 절감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명을 보다 길게 연장시킬 수 있고 충돌한 차량 운전자에게 가해지는 충격량을 크게 줄여 대형사고유발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여 결과적으로 도로상의 안전성을 크게 향상시켜 줄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사고 발생 후 후속적으로 취해져야 하는 유지보수가 매우 간소화 됨에 따른 편의성과 경제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상면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폭이 작은 가이드홈(11)이 형성되어 도로 중앙에 매설되는 기초 콘크리트(10)와;
    폭이 작고 길이가 긴 평판으로 형성되는 몸체의 중앙부에 작은 폭으로 하향 절곡되는 절곡부가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절곡부의 내측면에 다수의 회전 롤러(21)를 일정한 간격으로 고정되어 상기 절곡부가 가이드홈(11)에 끼워지도록 기초콘크리트의 상면에 조립되는 상부 거치 판넬(20)과;
    양쪽으로 돌출되는 수많은 결속구(31)가 갖는 보강판(32)과, 몸체의 상면 중앙부에 설치되어 상기 보강판(32)의 하부측으로 고정하는 삽입홈부(33)와, 몸체의 중앙 하부측으로 연장되는 거치 돌기(35)와, 몸체의 양쪽 측면으로 연장되는 측판의 저부에 고정되는 다수의 이동 롤러(34)가 구비되어 상부 거치 판넬(20)의 상면을 따라 미끄러지듯이 슬라이딩하도록 된 이동 완충대(30)와;
    폐타이어 분쇄물로 형성되어 상기 이동 완충대(30)의 거치 돌기(35)를 제외한 양쪽 측판과 보강판(32)의 외주면에 소정의 두께만큼 감싸도록 포설되는 고정 완충대(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 흡수형 도로 중앙 분리대.
KR1020050091411A 2005-09-29 2005-09-29 충격 흡수형 도로 중앙 분리대 KR1005833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1411A KR100583367B1 (ko) 2005-09-29 2005-09-29 충격 흡수형 도로 중앙 분리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91411A KR100583367B1 (ko) 2005-09-29 2005-09-29 충격 흡수형 도로 중앙 분리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83367B1 true KR100583367B1 (ko) 2006-05-26

Family

ID=371819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91411A KR100583367B1 (ko) 2005-09-29 2005-09-29 충격 흡수형 도로 중앙 분리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8336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8107U (ko) * 1998-11-16 1999-02-25 김동수 폐타이어를주재로한도로중앙분리대장치
KR200229395Y1 (ko) 2001-01-20 2001-07-19 이영달 도로의 차량 충돌 완화장치
KR200321283Y1 (ko) 2003-04-28 2003-07-28 주식회사 대한콘설탄트 도로 차선변경용 이동식 중앙 분리대 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8107U (ko) * 1998-11-16 1999-02-25 김동수 폐타이어를주재로한도로중앙분리대장치
KR200229395Y1 (ko) 2001-01-20 2001-07-19 이영달 도로의 차량 충돌 완화장치
KR200321283Y1 (ko) 2003-04-28 2003-07-28 주식회사 대한콘설탄트 도로 차선변경용 이동식 중앙 분리대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53458B1 (ko) 충격흡수용 도로 중앙분리대
EP3040480A1 (en) Collision shock-absorbing device
KR100348707B1 (ko) 차량용 충격 흡수장치
AU2006235939A1 (en) Guardrail type road safety barrier
CN210459055U (zh) 一种高速公路护栏的安全防撞装置
KR100583367B1 (ko) 충격 흡수형 도로 중앙 분리대
KR200453404Y1 (ko) 충격흡수 및 가드레일판이 상승되는 가드레일
KR101507481B1 (ko) 충격흡수용 도로 방호대
KR20110043005A (ko) 슬라이딩 빔을 이용한 충격완화 고성능 가드레일
KR20060107483A (ko) 중앙분리대의 롤러형 완충장치
KR20110068698A (ko) 가드레일
KR20130068744A (ko) 에너지 흡수부재를 갖는 도로용 가드레일
KR101613275B1 (ko) 가드 레일의 회전식 충격 완충 장치
KR200293141Y1 (ko) 교차로의 삼각 코너부용 충격 흡수 안전 가드 레일 구조
CN209760104U (zh) 一种改良的防车撞套箱
KR200289967Y1 (ko) 교량 중앙 분리대용 충격흡수 안전장치
KR20070122087A (ko) 도로 설치용 완충장치
KR20090032901A (ko) 교량 방호벽용 안전블럭
KR200364642Y1 (ko) 충격흡수용 방호책
KR200239181Y1 (ko) 도로시설물에 설치하는 우레탄고무를 이용한 이동식충격흡수장치
KR200355899Y1 (ko) 차량 충격방지대
KR200274017Y1 (ko) 완충용 가드레일
KR200313293Y1 (ko) 중앙분리대 및 방호벽의 차량방호 충격흡수판
KR200180109Y1 (ko) 충격완화용 도로중앙분리대
KR100390627B1 (ko) 도로의 차량 충돌 완화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1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1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0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