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9395Y1 - 도로의 차량 충돌 완화장치 - Google Patents

도로의 차량 충돌 완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9395Y1
KR200229395Y1 KR2020010001740U KR20010001740U KR200229395Y1 KR 200229395 Y1 KR200229395 Y1 KR 200229395Y1 KR 2020010001740 U KR2020010001740 U KR 2020010001740U KR 20010001740 U KR20010001740 U KR 20010001740U KR 200229395 Y1 KR200229395 Y1 KR 20022939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inner frame
road
support cylinder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174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달
Original Assignee
이영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달 filed Critical 이영달
Priority to KR202001000174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939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939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9395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 주행시 충돌이 발생하였을 때 발생된 충격력을 흡수할 수 있는 구조로 구성함으로써, 차량의 파손과 탑승자의 생명 보호 및 부상 억제 기능을 할 수 있도록 한 도로의 차량 충돌 완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도로의 중앙선을 따라 다수개가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고, 고정수단(200)을 매개로 하여 도로의 노면에 접촉되게 고정 설치되며, 내부가 비어있는 일정한 길이의 단위 지지통체(100)와; 상기 단위 지지통체(100)가 커버링되도록 씌워지는 내측프레임(310)과, 상기 내측프레임(310)과 일정한 공간부(S)가 형성됨과 아울러 일체로 형성되는 외측프레임(320)으로 이루어지며, 다수개가 중첩되게 연결 설치되는 단위 이동체(300)와; 상기 단위 지지통체(100)와 상기 단위 이동체(300)의 내측프레임(310)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단위 이동체(300)를 이동시키는 슬라이딩 수단(4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도로의 차량 충돌 완화장치{APPARATUS FOR COLLISION RELAXATION OF VEHICLES}
본 고안은 도로의 차량 충돌 완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 주행시 충돌이 발생하였을 때 발생된 충격력을 흡수할 수 있는 구조로 구성함으로써, 차량의 파손과 탑승자의 생명 보호 및 부상 억제 기능을 할 수 있도록 한 도로의 차량 충돌 완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의 중앙선에는 중앙분리대를 설치하여 차량 주행중 중앙선을 침범한 경우 반대편 차선에서 오는 차량과의 충돌을 방지하도록 하고 있다.
이에 본출원인은 2000년 09월27일자로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2000-27078호(고안의 명칭:도로의 차량 충돌 완화장치)와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200-27079호(고안의 명칭:도로의 차량 충돌 완화장치)로 선출원한 바 있다.
전자인 제20-2000-27078호의 구성은 도로의 콘크리트 재질의 중앙 분리대가 덮어씌워지도록 다수개가 중첩되게 연결 설치되는 이동체와, 상기 이동체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이동체와 상기 중앙 분리대 사이에 설치되는 슬라이딩 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도로의 차량 충돌 완화장치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수단은 숭기 중앙 분리대의 양측면에 상하로 적정 거리를 두고 고정 설치되는 한쌍의 지지 브라켓트와; 상기 지지브라켓트를 관통하여 고정 설치되는 수지 고정축과; 상기지지 브라켓트 사이에 해당되는 상기 수직 고정축의 상하부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로울러와; 상기 로울러의 외측을 둘러싸는 형태로 설치되어 상기 이동체의 측부 내면에 접촉되는 수직 회전통체로 이루어져 있다.
반면 후자인 제20-200-27079호의 구성은 한쌍의 가이드 레일과 기둥을 갖는 철재 중앙분리대가 쒸워지도록 다수개가 중첩되게 연설 설치되는 이동체와; 상기 이동체와 상기 철재 중앙분리대의 가이드 레일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이동체를 이동시키는 슬라이딩 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그런데 전술한 전자 및 후자에 해당되는 본 출원인의 종래 기술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 전후 양자의 종래 기술은 모두 이동체가 단일 판상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차량 충돌시 그 충격력에 의해 슬라이딩 이동되어 차량의 파손을 어느 정도는 막을수 있었으나 완벽하게 막을수 없었다.
그 이유는, 차량 충돌 지점이 이동체의 외측면중 상기 슬라이딩 수단들 사이에 해당되는 외측면일 경우에는 이동체가 휘어지면서 차체의 파손을 대신하는 반면에, 차량 충돌 지점이 이동체의 외측면중 상기 슬라이딩 수단에 대응되는 외측면일 경우에는 슬라이딩 수단의 버팀력에 의해 이동체가 휘어지지 않기 때문이다.
둘째, 전자의 종래 기술은 중앙분리대를 구성하는 부품의 재질이 콘크리트재로 이루어짐과 아울러 부피가 크기 때문에 이의 제작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셋째, 후자의 종래 기술은 철재 중앙분리대의 구성인 한쌍의 가이드 레일이 도로의 중앙선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된 기둥의 상단부측에 도로 노면으로부터 소정 높이 이격된 상태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차량 충돌시 작은 충격력에는 어느 정도는 견딜수 있으나, 큰 충격력에는 견디지 못하고 와해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차량 주행시 충돌이 발생하였을 때 발생된 충격력을 흡수할 수 있는 구조로 구성함으로써, 차량의 파손과 탑승자의 생명 보호 및 부상 억제 기능을 할 수 있도록 한 도로의 차량 충돌 완화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도로의 차량 충돌 완화장치가 도로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일부 외관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도로의 차량 충돌 완화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차량 충돌 완화장치의 횡단면도.
도 4는 도 1의 차량 충돌 완화장치의 횡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단위 이동체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적용되는 단위 이동체의 다른 실시예의 설치 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단위 지지통체 300 : 단위 이동체
310 : 내측프레임 320 : 외측프레임
S : 공간부 400 : 슬라이딩 수단
410 : 지지브라켓트 420, 421 : 고정축
430 : 로울러 440 : 회전통체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도로의 중앙선을 따라 다수개가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고, 고정수단을 매개로 하여 도로의 노면에 접촉되게 고정 설치되며, 내부가 비어있는 일정한 길이의 단위 지지통체와; 상기 단위 지지통체가 커버링되도록 씌워지는 내측프레임과, 상기 내측프레임과 일정한 공간부가 형성됨과 아울러 일체로 형성되는 외측프레임으로 이루어지며, 다수개가 중첩되게 연결 설치되는 단위 이동체와; 상기 단위 지지통체와 상기 단위 이동체의 내측프레임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단위 이동체를 이동시키는 슬라이딩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차량 충돌 완화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도로의 차량 충돌 완화장치가 도로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일부 외관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도로의 차량 충돌 완화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차량 충돌 완화장치의 횡단면도이며, 도 4는 도 1의 차량 충돌 완화장치의 횡단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단위 이동체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도로의 차량 충돌 완화장치는 크게 단위 지지통체(100)와, 단위 이동체(300)와, 슬라이딩 수단(4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단위 지지통체(100)는 내부가 비어있는 형상으로 일정한 길이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일례로 그 형상은 좌ㆍ우측벽부(101a,101b)와, 천정부(102)와, 바닥부(103)를 갖는 사각 형상으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단위 지지통체(100)의 재질은 바람직하게 철재로 할수도 있다.
상기 바닥부(103)의 하부 양측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볼트공(도면 부호 미지정)이 다수개 구비된 좌ㆍ우 플랜지부(104a,104b)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단위 지지통체(100)의 형상을 사각 형상으로 하지 않고 원형 또는 타원형등 다양하게 실시 변경가능함은 물론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단위 지지통체(100)는 도로의 중앙선을 따라 다수개가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며, 고정수단(200)을 매개로 하여 바닥부(103)가 노면에 접촉되게 고정 설치된다.
상기 고정수단(200)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앵커 볼트와, 이 앵커 볼트에 나사 결합되는 너트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단위 지지통체(100)를 도로의 중앙선에 설치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로의 포장시 상기 앵커 볼트를 함께 포장하여 볼트 일부분이 노면 위로 돌출되도록 하되, 좌ㆍ우 플랜지부(104a,104b)에 대응되게 2열로 다수개 설치한다.
이후, 좌ㆍ우 플랜지부(104a,10b)에 형성된 볼트공으로 앵커 볼트가 삽입되도록 한 후에 좌ㆍ우 플랜지부(104a)(104b)위로 돌출된 앵커 볼트에 너트를 나사 결합하여 최종적으로 도로의 중앙선에 단위 지지통체(100)의 설치 작업을 완료한다.
상기와 같은 설치 순서를 반복하여 도로의 중앙선을 따라 그 위에 단위 지지통체(100)를 길이 방향으로 다수개 배치한다.
상기 단위 이동체(300)는 크게 내측프레임(310)과, 이 내측프레임(310)과 소정의 공간부(S)를 형성하기 위해 내측프레임(310)에 일체로 형성되는 외측프레임(320)으로 구성된다.
상기 내측프레임(310)은 단위 지지통체(100)가 커버링되도록 씌워지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양측벽부(311)(312)와, 이들의 상단을 연결하는 연결부(313)로 이루어진 각이진 역유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단위 이동체(300)는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단위 이동체의 일단부와 다른 단위 이동체가 중첩 연결될 수 있는 중첩 연결수단이 구비되어 있는 바, 이 중첩 연결수단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 상기 내측프레임(310)의 후단부에 확대부(330)를 연장 형성하여, 이 확대부(330)가 내측프레임(310)과 외측프레임(320) 사이의 공간부(S)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출입된다.
상기 외측프레임(320)의 상부에는 일체로 연장 형성된 차단부(321)이 구비되는 바, 이 차단부(321)는 반대편 차선에서 발생된 상황을 차단하기 위한 것으로, 예를 들면, 야간 주행시 반대편 차선의 차량으로부터 주행등에서 발생되는 불빛을 차단하여 안전 운행을 도모하기 위함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단위 이동체(300)를 설치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단위 이동체(300) 한 개를 단위 지지통체(100)가 커버링되도록 설치한 후에, 다른 단위 이동체(300)에 형성된 확대부(330)의 일부를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프레임(310)과 외측프레임(320) 사이의 공간부(S)로 일부 삽입되도록 설치한다.
상기와 같은 순서를 반복하여 다수개의 단위 이동체(300)를 서로 중첩 연결하는 작업을 진행하여 이의 설치 작업을 완료한다.
상기 슬라이딩 수단(400)은 단위 지지통체(100)와 상기 단위 이동체(300)의 내측프레임(310) 사이에 설치되어 단위 이동체(300)를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슬라이딩 수단(400)은 적정 거리를 두고 상기 내측프레임(310)에 고정 설치되는 한쌍의 지지브라켓트(410)(411)와, 이 지지브라켓트(410)(411)를 관통하여 고정 설치되는 고정축(420)(421)과, 상기 지지브라켓트(410)(411)내에 해당되는 상기 고정축(420)(42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다수개의 로울러(430)과, 상기 로울러(430)의 외측을 둘러싸는 형태로 설치되어 상기 내측프레임(310)의 내면에 접촉되는 회전통체(440)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슬라이딩 수단(400)은 상기 단위 지지통체(100)의 좌우측부인 좌ㆍ우측벽부(101a,101b)와 이에 대응되는 단위 이동체(300)의 내측프레임(310)의 내측부인 양측벽부(311)(312) 사이에 설치된다.
또 다른 실시예로, 상기 슬라이딩 수단(400)은 상기 단위 지지통체(100)의 상측부인 천장부(102)와 이에 대응되는 단위 이동체(300)의 내측프레임(310)의 연결부(313) 사이에 설치될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도로의 차량 충돌 완화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차량 주행시 운전자의 실수나 졸음 운전으로 인해 차량이 주행로에서 이탈되면서 단위 이동체(300)를 구성하는 외측프레임(320)에 충돌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된다.
이때, 차량의 측면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측프레임(320)에 비스듬하게 소정의 경사각도를 이루면서 충돌된다.
상기와 같이 차량이 단위 이동체(300)를 구성하는 외측프레임(320)에 충돌되는 순간 발생된 충격력은 단위 이동체(300)를 구성하는 외측프레임(320)에 1차로 흡수된 후, 슬라이딩 수단(400)을 구성하는 로울러(430) 및 회전통체(440)의 회전 안내에 의해 단위 이동체(300)는 소정 거리 이동하게 된다.
여기서, 차량이 단위 이동체(300)를 구성하는 외측프레임(320)에 충돌하는 순간에 내측프레임(310)과 외측프레임(320)에 의해 공간부(S)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외측프레임(320)은 공간부(S)측으로 함몰되는 현상이 발생된다.
즉, 상기와 같이 외측프레임(320)이 공간부(S)측으로 함몰된다는 것은 충돌시 차량의 차체의 손상이 발생되지 않는 것을 의미하므로, 본 고안의 장치는 차체의 파손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차량 충돌에 의해 단위 이동체(300)가 소정 거리 슬라이딩 이동되면, 내측프레임(310)의 단부에 형성된 확대부(330)가 다른 단위 이동체(300)를 구성하는 내측프레임(310)과 외측프레임(320) 사이의 공간부(S)로 일부 인입되어 있는 상태에서 더욱더 인입되어 단위 이동체(300)끼리 부딛칠 때 이들의 파손을 미연에 방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작용은 차량이 단위 이동체(300)에 충돌된 상태로 운전자가 핸들 조작을 유지하고 있는 동안은 지속적으로 발생된다.
상기와 같이 차량 충돌시 발생되는 충격력은 정지 물체에 충돌된 경우에 비해 이동 가능한 단위 이동체(300)에 충돌되었기 때문에 최초 충돌시의 충격력보다 감소된다.
이로 인해, 차량 파손 및 탑승자의 부상을 최소로 줄일 수 있게 된다.
한편, 전술한 본 고안에 적용되는 단위 이동체의 다른 실시예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 단위 이동체(300)를 구성하는 내측프레임(310)과 외측프레임(320)을 평행하게 하지 않고 사다리꼴 형상으로 양측에 각각 확대부(a)와 축소부(b)를 구비할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렇게 구성된 단위 이동체(300)들의 연결 관계는 단위 이동체(300)의 축소부(b)가 다른 단위 이동체(300)의 확대부(a)내에 삽입된 상태가 된다.
이상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차량 주행시 충돌이 발생하였을 때 발생된 충격력을 흡수할 수 있는 구조로 구성함으로써, 차량의 파손과 탑승자의 생명 보호 및 부상 억제 기능을 할 수 있게 된다.

Claims (5)

  1. 도로의 중앙선을 따라 다수개가 길이 방향으로 배치되고, 고정수단(200)을 매개로 하여 도로의 노면에 접촉되게 고정 설치되며, 내부가 비어있는 일정한 길이의 단위 지지통체(100)와;
    상기 단위 지지통체(100)가 커버링되도록 씌워지는 내측프레임(310)과, 상기 내측프레임(310)과 일정한 공간부(S)가 형성됨과 아울러 일체로 형성되는 외측프레임(320)으로 이루어지며, 다수개가 중첩되게 연결 설치되는 단위 이동체(300)와;
    상기 단위 지지통체(100)와 상기 단위 이동체(300)의 내측프레임(310)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단위 이동체(300)를 이동시키는 슬라이딩 수단(4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의 차량 충돌 완화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수단(400)은 적정 거리를 두고 상기 내측프레임(310)에 고정 설치되는 한쌍의 지지브라켓트(410)(411)와;
    상기 지지브라켓트(410)(411)를 관통하여 고정 설치되는 고정축(420)(421)과;
    상기 지지브라켓트(410)(411)내에 해당되는 상기 고정축(420)(42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다수개의 로울러(430)와;
    상기 로울러(430)의 외측을 둘러싸는 형태로 설치되어 상기 내측프레임(310)의 내면에 접촉되는 회전통체(44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의 차량 충돌 완화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수단(400)은 상기 단위 지지통체(100)의 좌우측부와 이에 대응되는 상기 내측프레임(310)의 내측부 사이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의 차량 충돌 완화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수단(400)은 상기 단위 지지통체(100)의 상측부와 이에 대응되는 상기 내측프레임(310)의 내측부에 사이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의 차량 충돌 완화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지지통체(100)의 재질은 철재인 것을 도로의 차량 충돌 완화장치.
KR2020010001740U 2001-01-20 2001-01-20 도로의 차량 충돌 완화장치 KR20022939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1740U KR200229395Y1 (ko) 2001-01-20 2001-01-20 도로의 차량 충돌 완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1740U KR200229395Y1 (ko) 2001-01-20 2001-01-20 도로의 차량 충돌 완화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9395Y1 true KR200229395Y1 (ko) 2001-07-19

Family

ID=730952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1740U KR200229395Y1 (ko) 2001-01-20 2001-01-20 도로의 차량 충돌 완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9395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3367B1 (ko) 2005-09-29 2006-05-26 주식회사 남원건설엔지니어링 충격 흡수형 도로 중앙 분리대
KR101785678B1 (ko) * 2017-02-21 2017-10-17 (주)에스알디코리아 중앙분리대 스마트게이트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3367B1 (ko) 2005-09-29 2006-05-26 주식회사 남원건설엔지니어링 충격 흡수형 도로 중앙 분리대
KR101785678B1 (ko) * 2017-02-21 2017-10-17 (주)에스알디코리아 중앙분리대 스마트게이트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2322601C1 (en) Energy absorption apparatus with collapsible modules
EP1527233B1 (en) Vehicular impact absorbing apparatus having cushion pins
CA2917337C (en) Crash cushion
KR100348707B1 (ko) 차량용 충격 흡수장치
KR200229395Y1 (ko) 도로의 차량 충돌 완화장치
KR101852515B1 (ko) 회전형 가드레일
JP2019112767A (ja) 誤発進車止め
KR200361409Y1 (ko) 이동식 과속방지턱
KR101613275B1 (ko) 가드 레일의 회전식 충격 완충 장치
KR20030071682A (ko) 로울러가 부착된 도로용 가드레일
KR200215920Y1 (ko) 도로의 차량 충돌 완화장치
KR200196465Y1 (ko) 도로의 차량 충돌 완화장치
KR200215922Y1 (ko) 도로의 차량 충돌 완화장치
KR200215921Y1 (ko) 도로의 차량 충돌 완화장치
KR200252858Y1 (ko) 고무판과 슬립 파이프를 이용한 충격흡수용 도로시설물
KR200215923Y1 (ko) 교량 난간의 차량 충돌 완화장치
KR100390627B1 (ko) 도로의 차량 충돌 완화장치
KR200433036Y1 (ko) 중앙분리대의 완충장치
KR100560732B1 (ko) 회전마찰재를 이용한 충격 흡수장치
JP4077401B2 (ja) 可動ガードレール
KR100386860B1 (ko) 폐타이어를 이용한 충격흡수장치
CN219386115U (zh) 公路防撞警示护栏
KR102411708B1 (ko) 차량 이탈 방지장치
KR20110131966A (ko) 차량 안전주행 유도장치
CN208545704U (zh) 一种停车设备用防护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421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