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5678B1 - 중앙분리대 스마트게이트장치 - Google Patents

중앙분리대 스마트게이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5678B1
KR101785678B1 KR1020170023165A KR20170023165A KR101785678B1 KR 101785678 B1 KR101785678 B1 KR 101785678B1 KR 1020170023165 A KR1020170023165 A KR 1020170023165A KR 20170023165 A KR20170023165 A KR 20170023165A KR 101785678 B1 KR101785678 B1 KR 1017856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ed
housing
rail
block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31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동헌
Original Assignee
(주)에스알디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스알디코리아 filed Critical (주)에스알디코리아
Priority to KR10201700231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567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56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56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06Lane control by movable lane separating barriers, e.g. shiftable barriers, retractable kerbs ; Apparatus or barrier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wheeled barrier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E01F15/1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and having means for providing occasional passage, e.g. for emergency veh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1/00Means for allowing passage through fences, barriers or the like, e.g. stiles
    • E06B11/02Gates; Doors
    • E06B11/022Gates; Door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 E06B11/023Gates; Door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where the gate opens within the plane of the gate
    • E06B11/026Gates; Doors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movement where the gate opens within the plane of the gate horizontal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발명 중앙분리대 스마트게이트장치는 고속도로의 중앙선을 따라 지면에 볼트로 고정된 레일(210), 상기 레일(210) 위에 안착되는 바퀴(220)가 구비된 하우징(260), 상기 하우징(260)의 상부면에 구비된 래크(250); 상기 래크(250)는 하우징(260)의 상부면 아래측에 고정되어 있는 C형강(251)의 내부에 고정된 것으로 이루어진 이동블록(B2), 측면 상단부에 구동부(10)가 형성된 고정블록(B1)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고정블록(B1)은 측면에 형성된 측면가이드롤러(20)와, 상면에 형성된 상면가이드기어(30)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부(10)는 고정블록(B1)의 측면 상단부에 고정된 고정판(16)에 고정된 모터받침대(12)와, 상기 모터받침대(12)에 안착된 모터(11)와, 상기 모터(11)와 연결된 회전축(15)의 끝단에 고정된 구동기어(13)와, 상기 고정판(16)의 상단면에 회전,가능하게 축결합된 피니어기어(14)로 이루어지고, 상기 구동부(10)는 스마트폰 또는 리모콘 또는 인터넷의 제어명령에 의하여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중앙분리대 스마트게이트장치 {Central strip smart gate device}
본 발명은 긴급비상회차용 중앙 분리대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고속도로의 터널에서 차량사고 발생 시 또는 폭설이나 폭우 및 산사태 등 기타의 자연재해로 터널에서 차량의 통행이 불가능한 상태에서 터널 입구 또는 출구 근처의 고속도로 중앙 분리대를 구성하고 있는 가드레일을 스마트폰, 리모콘, 인터넷 등으로 원격제어하여 길이방향으로 이송시켜 중앙 분리대를 제거함으로써, 차량을 긴급하게 회차시킬 수 있는 중앙분리대 스마트게이트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변이나 고속도로의 중앙 및 갓길측에는 주행중인 차량이 차선을 벗어나 충,추돌의 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마주보는 차량의 라이트에 의한 눈부심을 방지하기 위한 방안으로 가드레일이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가드레일은 일정간격으로 지중에 일정부분 매설되도록 시공된 지주의 일측 또는 양측에 완충면을 갖도록 절곡된 가드레일판을 결합시킴으로써 주행중인 차량의 사고 및 이탈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고속도로의 중앙으로 시공된 중앙 분리대는 가드레일이 차선의 방향을 따라 설치되며 가드레일의 일정구간을 이동시켜 차량이 회차할 수 있는 공간이 마련되어 있는 것도 있다.
종래 중앙분리대의 구성을 도면 제1도를 참조하여 살펴보면,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중앙분리대(1)는 양측으로 나란한 가이드레일(2)이 마련되고, 상기 가이드레일(2)을 일정한 높이로 고정시키도록 원기둥 형태의 철재기둥(3)이 다수개 갖추어 지며, 상기 철재기둥(3)에 가이드레일(2)이 다수개의 볼트체(4)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철재기둥(3)은 도로의 중앙선 부위에 소정 깊이로 매입되어 설치된다.
또한, 중앙분리대(1)는 도로의 중앙선에 연속적으로 설치되며 심각한 교통 체증이나, 교통사고가 발생하였을 경우 또는 다른 필요에 의해 일방향으로 진행하는 차량이 다른 방향으로 진행하기 위한 개구부(6)가 마련되며, 개구부(6)는 평상시에는 사용하지 못하도록 특정 형상의 블록(5)으로 폐쇄시켜 놓고, 사용할 경우에 블록(5)의 위치를 이동시켜 개구부(6)를 개방하여 차량이 진입할 수 있도록 하여 차량이 유-턴 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중앙분리대에 형성된 개구부를 폐쇄하고 있는 블록의 부피가 매우 크고, 이동이 매우 힘들어 작업자가 필요시에 블록을 이동시키기가 매우 불편한 점이 있으며, 터널의 입구에서 불시에 발생하는 산사태 등의 비상사태에 의하여 차량을 긴급히 회차하여야 하는 비상상황에서 신속하게 볼록을 이동시킬 수 없어, 차량이 터널의 입구 부근에서 적체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산사태가 일어나는 경우에는 적체된 다수의 차량이 대량으로 파손되는 사고의 위험성이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터널입구 또는 출구의 고속도로 중앙 분리대를 구성하고 있는 가드레일을 기어전동과 롤러를 이용하여 길이방향으로 이송시켜 중앙 분리대를 신속하게 제거함으로써 터널 내부의 차량사고 또는 폭설이나 폭우 및 산사태 등 기타의 자연재해로 터널 내로 통행이 불가능한 상태에서 차량을 긴급하게 회차시킬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모든 차량을 회차시키고 난 후 중앙 분리대를 신속하게 다시 설치할 수 있는 긴급 비상회차용 중앙분리대 스마트게이트장치를 제공하고자 함이다.
또한 중앙분리대 스마트게이트장치의 이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리모콘, 스마트폰, 인터넷과 연동시켜 원격으로 중앙분리대 스마트게이트장치의 이동을 제어하고자 함이다.
본 발명 중앙분리대 스마트게이트장치는 고속도로의 중앙선을 따라 지면에 볼트로 고정된 레일, 레일 위에 안착되는 바퀴가 구비된 하우징, 하우징의 상부면에 구비된 래크; 래크는 하우징의 상부면 아래측에 고정되어 있는 C형강의 내부에 고정된 것으로 이루어진 이동블록, 상단부에 구동부가 형성된 고정블록으로 이루어지되; 고정블록은 측면에 형성된 측면가이드롤러와, 상면에 형성된 상면가이드기어를 포함하며, 구동부는 고정블록의 측면 상단부에 고정된 고정판에 고정된 모터받침대와, 상기 모터받침대에 안착된 모터와, 상기 모터와 연결된 회전축의 끝단에 고정된 구동기어와, 상기 고정판의 상단면에 회전,가능하게 축결합된 피니어기어로 이루어지고, 구동부는 스마트폰 또는 리모콘 또는 인터넷의 제어명령에 의하여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하우징은 철판을 프레스 성형하여 일체로 제작되며, 양측면에 개구부가 형성된 사다리꼴 박스형상으로 하고 있고, 하우징의 측면에 보강리브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레일의 중앙에 돌출부가 형성되고, 레일의 일정구간 양단에 리미트스위치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하우징은 양측하단에 절곡된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양단에 지면을 향하여 볼트로 고정되어 있는 지지부를 포함하며, 하우징의 상단 양측 모서리에 LED조명등이 구비되며, 하우징 측면에는 습도센서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고정부에 일정 간격을 두고 제설장치가 구비되며; 상시 제설장치는 하단에 다수의 노즐이 지면을 향하여 형성되며, 제설장치의 내부에는 코일형상의 열선 및 송풍기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설장치의 외표면에 시온도료가 도포되며; 상기 시온도료는 도료 100중량부당 산화아연 8 내지 10중량부, 티타늄다이옥사이드 10 내지 15중량부, 및 시너메이트 5 내지 7 중량부, 감온 온도역대 및 색상이 상이한 두 개 이상의 시온도료 각각 10 내지 22중량부 및 경화제 20 내지 30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온도감응색변화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터널 내부의 차량사고 또는 폭설이나 폭우 및 산사태 등 기타의 자연재해로 터널 내로 차량의 통행이 불가능한 상태에서 차량을 긴급하게 회차시킬 수 있도록 회차로를 확보하고, 아울러 모든 차량을 회차시키고 난 후 중앙 분리대(스마트게이트)를 신속하게 다시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중앙분리대 스마트게이트장치의 이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리모큰, 스마트폰, 인터넷과 연동시켜 원격으로 중앙분리대 스마트게이트장치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1은 종래 가이드레일의 사시도
도2는 본 발명 중앙분리대 스마트게이트장치를 보여주는 개략도
도3은 본 발명 중앙분리대 스마트게이트장치 고정블록의 우측면 사시도
도4는 본 발명 중앙분리대 스마트게이트장치 이동블록의 사시도 및 부분확대도
도5는 본 발명 제어부와 전력공급부의 개략도
도6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인 제설장치가 구비된 중앙분리대 스마트게이트장치의 측면도 및 부분확대도
도7은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인 습도센서 및 엘이디램프가 구비된 중앙분리대 스마트게이트장치의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참조하는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 선의 두께 등은 이해의 편의상 다소 과장되게 표현되어 있을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설명에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한 것이므로 사용자, 운용자 의도,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이 용어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리는 것이 마땅하다.
또한,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2는 본 발명 중앙분리대 스마트게이트장치를 보여주는 개략도이다.
도2a에서 보여지는 것처럼 이동식블록(B2)은 고정식블록(B1)과 연동하여 중앙선을 차단하고 있으며, 도2b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이동식블록(B2)이 레일(210)을 따라 이동하여 고정식블록(B1)에 중첩됨으로써, 이동식블록(B2)이 위치하던 곳에 공간이 생기게 되어 차량을 회차할 수 있는 회차로가 형성된다.
도3은 본 발명 중앙분리대 스마트게이트장치 고정블록의 우측면 사시도이고, 도4는 본 발명 중앙분리대 스마트게이트장치 이동블록의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블록(B1)은 고속도로의 중앙분리대에 설치되는 콘크리트 구조물로서, 구동부(10), 측면가이드롤러(20), 상면가이드기어(30)로 대별된다.
상기 구동부(10)의 구체적 구성을 살펴보면, 고정블록(B1)의 길이방향 단면 상단부에 볼트로 고정되어 있는 고정판(16)에 모터받침대(12)가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모터받침대(12)에 모터(11)가 안착, 고정되어 있고, 모터(11)와 연결된 회전축(15)의 끝단에는 구동기어(13)가 고정되어 있다.
또한, 고정판(16)의 상단면에는 피니어기어(14)가 회전,가능하게 축결합되어 있어, 상기 구동기어(13)와 치합한다.
상기 측면가이드롤러(20)는 고정블록(B1)의 측면에 구비되며, 후술하는 이동블록(B2)이 가이드면(240)과 면접촉하여 이동블록(B2)의 이동이 원활하도록 가이드 한다.
상기 상면가이드기어(30)는 고정블록(B1)의 상면에 구비되며,후술하는 이동블록(B2)에 형성된 래크(250)와 치합하여, 이동블록(B2)의 이동이 원활하도록 가이드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블록(B2)은 레일(210), 바퀴(220), 보강리브(230), 가이드면(240), 래크(250), 하우징(260)으로 대별된다.
상기 레일(210)은 이동블록(B2)을 안내하는 구성으로서, 고속도로의 중앙선을 따라 설치된 이동블록(B2)의 양측 저면에 대응하는 지면에 볼트로 고정되어 있으며, 중앙에 돌출부(211)가 형성되어 후술하는 바퀴(220)가 안착된다.
상기 레일(210)의 일정구간 양단에 리미트스위치(미도시)를 형성함으로써, 리미트스위치에 의하여 고정블록(B1)에 구비된 모터(11)의 전원이 단속되어 이동블록(B2)의 이동구간을 제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하우징(260)은 철판을 프레스성형하여 일체로 제작되며, 양측면에 개구부(261)가 형성된 사다리꼴 형상의 박스형상을 하고 있다. 상기 하우징(260)은 레일(210)을 타고 이동하여 고정블록(B1)을 개구부(261)로 삽입시켜, 고정블록(B1)과 이동블록(B2)이 겹쳐지는 구조를 가지게 한다.
상기 하우징(260)의 레일(210)을 향하는 끝단부에는 외측으로 절곡된 고정부(262)가 하우징(260)의 양측 하단에 형성되어 있고, 고정부(262)의 양단에는 지지부(263)가 지면을 향하여 볼트로 고정되어 있으므로, 양 고정부(263) 사이는 홈부(264)가 형성되도록 결합된다. 홈부(264)에는 후술하는 바퀴(220)가 삽입되어 지지부(263)에 회전 가능하도록 축결합 되어 있다.
상기 보강리브(230)는 하우징(260)의 상단부 측면에 돌출되어 레일(210)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보강리브(230)는 차량이 충돌할 경우 하우징(260)이 파손되는 것을 최소화하는 보강의 기능을 갖는다.
상기 가이드면(240)은 하우징(260) 측면의 보강리브(230) 사이에 형성되어 있으며, 고정블록(B1)의 측면가이드롤러(20)와 면접촉하여, 이동블록(B2)이 원활하게 이동되도록 가이드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바퀴(220)는 레일(210)의 돌출부(211)위에 안착되어 레일(220)과 구름접촉을 한다.
상기 래크(250)는 하우징(260)의 상부면 아래측에 고정되어 있는 C형강(251)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고정블록(B1)의 피니언기어(14)와 치합되어 있다. 래크(250)와 C형강(251)은 볼트, 리벳, 용접 등 공지의 고정수단으로 하우징(260)의 상면에 고정된다.
상기 C형강(251)은 래크(250)를 고정하는 효과와 하우징(260)을 보강하는 효과를 복합적으로 가지고 있다.
위와 같이 구성된 고정블록(B1)과 이동블록(B2)의 작동관계를 살펴보면, 고정블록(B1)이 고속도로의 중앙선에 고정된 상태에서, 터널의 입구 또는 출구에서 차량의 사고 및 산사태 등 차량의 회차가 필요한 상황이 발생된 경우에, 고정블록(B1)의 구동부(10)를 가동하는데, 모터(11)가 가동되면, 모터(11)와 연결되어 있는 회전축(15)이 회전하게 되고, 회전축(15)에 고정된 구동기어(13)도 회전하게 되며, 구동기어(13)가 회전하면, 구동기어(13)와 치합되어 있는 피니언기어(14)도 회전한다.
이렇게 회전하는 피니언기어(14)는 이동블록(B2)에 형성된 래크(250)와 치합되어 있는 것이므로, 래크(250)는 직선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따라서 래크(250)와 연결,고정되어 있는 하우징(260)의 끝단면에 형성된 바퀴(220)가 레일(210)에 형성된 돌출부(211)를 따라 이동하는 것이므로, 이동블록(B2)이 레일(210)을 따라 이동하여 고정블록(B1)을 개구부(261)로 삽입시킨다.
즉, 고정블록(B1)은 이동블록(B2)의 개구부(261)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고정블록(B1)과 이동블록(B2)은 중첩된 구조를 가지게 되므로, 이동블록(B2)이 위치했던 중앙선이 개방되어 회차로가 형성되는 것이다.
도5는 본 발명 제어부와 전력공급부의 개략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전력공급부는 태양열집열판(90)에서 전력을 생산, 충전하여 구동부(10) 등에 전력을 공급한다. 본 발명 중앙분리대 스마트게이트장치가 설치되는 장소가 터널의 입구나 출구인데, 터널은 산속 깊은 곳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전력선을 끌어오는 것이 어려우므로, 태양열집열판(90)을 이용하여 전력을 생산하는 것이다.
상기 제어부(100)는 리모콘, 인터넷, 스마트폰에서 제어명령을 송신하면, 제어부(100)는 모터(11)를 정,역 방향으로 작동시켜, 중앙분리대 스마트게이트장치를 길이방향으로 이동시켜, 회차로를 형성하거나, 차단하게 된다.
상기 제어부(100)는 모터(11)의 동작을 제어하는데, 네트워크 접속되는 원격제어컨트롤러와 네트워크 접속되어 원격제어컨트롤러에 제어신호를 입력하는 사용자 스마트폰 및 상기 사용자 스마트폰에 탑재되는 원격제어어플로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인 제설장치가 구비된 중앙분리대 스마트게이트장치의 측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설장치(300)는 상기 이동블록(B2)의 하우징(260) 양측하단에 절곡되어 있는 고정부(262)에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설장치(300)는 원통형 파이프 형상이 구조를 가지고 있다.
상기 제설장치(300)의 하단에는 다수개의 노즐(310)이 지면을 향하여 형성되어 있으며, 제설장치(300)의 내부에는 코일형상의 열선(320)이 구비되어 있고, 내부의 일측에는 송풍기(330)가 형성되어 있어, 열풍을 지면을 향하여 분사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위와 같은 제설장치(300)를 스마트폰, 리모콘 등으로 원격제어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은 구성의 작동관계를 살펴보면, 본 발명과 같이 깊은 산속에 위치하는 터널의 입구 또는 출구에 설치되는 중앙분리대 스마트게이트장치에는 동절기에 눈이 쌓이거나 결빙되는데, 이렇게 결빙되거나, 눈이 많이 내릴 때, 차량의 사고 또는 천재지변 등으로 회차를 해야 하는 비상상황에서, 중앙분리대 스마트게이트장치에 쌓인 눈 때문에 차량을 회차할 수 없다,
본 실시 예에서는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눈이 조금 쌓여서 송풍만으로도 제설을 할 수 있는 경우에는 제설장치(300)의 노즐(310)에서 고압으로 바람을 송풍하는 것만으로 눈을 스마트게이트의 외측으로 날려보내 중앙분리대 스마트게이트장치의 회차로에 눈이 쌓이지 않게 하는 것이며, 폭설이 내리거나, 중앙분리대 스마트게이트장치가 결빙되어 있을 때는 열선(320)에 전원을 인가하여 노즐(310)로부터 열풍을 토출시켜 눈을 중앙분리대 스마트게이트장치의 외측으로 날려보내는 기능과 결빙된 부분을 녹여 해빙하는 기능을 동시에 가지게 하여 동절기에도 중앙분리대 스마트게이트장치가 회차로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제설장치(300)외 외면에는 시온도료가 일정간격을 두고 도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제설장치의 외면에 도포되어 있는 시온도료는 노즐에서 열풍을 송풍할 때, 제설장치(300) 케이스의 온도가 일정온도 이상 올라가면, 색깔이 변하는 것이므로, 제설장치가 온풍을 송풍하고 있다는 것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시온(示溫) 도료란 특정온도에서 변색하는 안료이며 일반적으로 가역성 시온도료는 기준온도 -15℃에서 70℃의 범위를 가지게 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고온에서 저온 또는 저온에서 고온으로 변화하는 온도변화에 따라 순차적으로 3 개이상의 색상을 나타낼 수 있는 온도감응색변화조성물을 포함하게 시온도료가 제조되었으며, 그 조성물은 도료 100중량부당 산화아연 8 내지 10중량부, 티타늄다이옥사이드 10 내지 15중량부, 및 시너메이트 5 내지 7 중량부, 감온 온도역대 및 색상이 상이한 두 개 이상의 시온도료 각각 10 내지 22중량부 및 경화제 20 내지 30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온도감응색변화조성물이다.
따라서 제설장치(300)에 특정의 센서 등을 설치하고, 그 센서에서 오는 신호를 받아 온풍이 토출되는 것을 감지하는 특별한 장치가 없이도, 외부에서 작업자가 시각적으로 온풍이 토출되는 것을 식별할 수 있으므로, 제설장치에서 온풍이 나오는 것인지 여부를 작업자가 즉시 판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설장치가 온풍으로 인하여 뜨거워져 있음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의 신체가 무의식 중에 제설장치에 접촉되어 화상을 입는 것을 미리 방지할 수 있는 복합적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도7은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인 습도센서 및 엘이디램프가 구비된 중앙분리대 스마트게이트장치의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에서는 하우징(260)의 상단 양측 모서리에 LED조명등(500)이 형성되어 있으며, 하우징(260) 측면에는 습도센서(40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의 습도센서(400)는 하우징(260)의 어느 부분에 설치하여도 무방하다.
본 실시 예는 종래 운전자에게 게이트의 위치를 식별하는 수단으로, 날이 어두워지는 것에 반응하는 조도센서와 연동하여 램프를 발광하는 구성이 게이트에 구비되어 있는 것이 있었는데, 날 어두워지지는 않았지만, 안개가 끼거나 비가 올 때와 같이 운전자가 전방을 선명하게 주시하지 못하는 경우에 조도센서가 반응하지 않아, 운전자가 게이트의 위치를 식별하기 어려운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함이다.
즉 본 발명 스마트게이트(G)가 설치되는 장소가 산속이어서, 스마트게이트(G)의 주변에 수시로, 눈, 비, 안개 등이 발생되는데, 이렇게 급변하는 기후변화에도 중앙분리대 스마트게이트장치의 위치를 운전자에게 명확하게 식별되도록 하고자 함이다. 따라서 위와 같은 구성을 채택하는 것으로 인하여, 안개가 끼거나, 비 또는 눈이 와서 습도가 높아질 때는 습도센서(400)에서 감지된 신호와 연동하여 LED조명등(500)이 발광하게 되어 운전자에게 중앙분리대 스마트게이트장치의 회차로를 명확하게 알려주는 효과가 있다.
B1:고정블록 B2:이동블록 10:구동부 20:측면가이드롤러 30:상면가이드기어 11:모터 12:모터받침대 13:구동기어 14:피니언기어 15:회전축 16:고정판 90:태양열집열판 100:제어부 210:레일 220:바퀴 230:보강리브 240:가이드면 250:래크 260:하우징 211:돌출부 251:C형강 263:지지부 264:홈부 300:제설장치 310:노즐 320:열선 330:송풍기 400:습도센서 500:LED조명등

Claims (6)

  1. 고속도로의 중앙선을 따라 지면에 볼트로 고정된 레일(210),
    상기 레일(210) 위에 안착되는 바퀴(220)가 구비된 하우징(260),
    상기 하우징(260)의 상부면에 구비된 래크(250);
    상기 래크(250)는 하우징(260)의 상부면 아래측에 고정되어 있는 C형강(251)의 내부에 고정된 것으로 이루어진 이동블록(B2)과,
    상단부에 구동부(10)가 형성된 고정블록(B1)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고정블록(B1)은 측면에 형성된 측면가이드롤러(20)와, 상면에 형성된 상면가이드기어(30)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부(10)는 고정블록(B1)의 측면 상단부에 고정된 고정판(16)에 고정된 모터받침대(12)와, 상기 모터받침대(12)에 안착된 모터(11)와, 상기 모터(11)와 연결된 회전축(15)의 끝단에 고정된 구동기어(13)와, 상기 고정판(16)의 상단면에 회전,가능하게 축결합된 피니어기어(14)로 이루어지고,
    상기 구동부(10)는 스마트폰 또는 인터넷의 제어명령에 의하여 구동되되;
    상기 하우징(260)은 철판을 프레스 성형하여 일체로 제작되며, 양측면에 개구부(261)가 형성된 사다리꼴 박스형상이고, 하우징(260)의 측면에 보강리브(230)가 구비되며,
    상기 레일(210)의 중앙에 돌출부(211)가 형성되고, 레일(210)의 일정구간 양단에 리미트스위치가 형성되며,
    상기 하우징(260)은 양측하단에 절곡된 고정부(262)와, 상기 고정부(262)의 양단에 지면을 향하여 볼트로 고정된 지지부(263)를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260)의 상단 양측 모서리에 LED조명등(500)이 구비되고, 하우징(260) 측면에는 습도센서(400)가 구비되되;
    상기 고정부(262)에 일정 간격을 두고 제설장치(300)가 구비되며;
    상기 제설장치(300)는 하단에 다수의 노즐(310)이 지면을 향하여 형성되고, 제설장치(300)의 내부에는 코일형상의 열선(320) 및 송풍기(330)가 구비되며,
    상기 제설장치(300)의 외표면에 시온도료가 도포되고;
    상기 시온도료는 도료 100중량부당 산화아연 8 내지 10중량부, 티타늄다이옥사이드 10 내지 15중량부, 및 시너메이트 5 내지 7 중량부, 감온 온도역대 및 색상이 상이한 두 개 이상의 시온도료 각각 10 내지 22중량부 및 경화제 20 내지 30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온도감응색변화조성물이되;
    가이드면(240)이 더 구비되되; 상기 가이드면(240)은 하우징(260) 측면의 보강리브(230) 사이에 형성되어, 고정불록(B1)의 측면가이드롤러(20)와 면접촉하며,
    전력공급부가 더 구비되되; 상기 전력공급부는 태양열집열판(90)에서 전력을 생산, 충전하여 구동부(10)에 전력을 공급하고,
    상기 제설장치(300)는 송풍만으로도 제설을 할 수 있는 경우에는 노즐(310)에서 고압으로 바람을 송풍하고, 결빙되어 있을 때는 열선(320)에 전원을 인가하여 노즐(310)로부터 열풍을 토출시켜, 눈을 날려보내는 기능과 결빙된 부분을 녹여 해빙하는 기능을 동시에 가지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앙분리대 스마트게이트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70023165A 2017-02-21 2017-02-21 중앙분리대 스마트게이트장치 KR1017856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3165A KR101785678B1 (ko) 2017-02-21 2017-02-21 중앙분리대 스마트게이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3165A KR101785678B1 (ko) 2017-02-21 2017-02-21 중앙분리대 스마트게이트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85678B1 true KR101785678B1 (ko) 2017-10-17

Family

ID=602979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3165A KR101785678B1 (ko) 2017-02-21 2017-02-21 중앙분리대 스마트게이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567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10383A (zh) * 2019-01-17 2019-04-12 中交四公局第十工程有限公司 一种防撞护栏混凝土冬季施工蓄热系统及其使用方法
CN111021290A (zh) * 2019-11-22 2020-04-17 深圳市综合交通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子母式可启闭的中央防撞栏系统
KR20220074063A (ko) 2020-11-27 2022-06-03 홍광이 가연성 폐기물 소각용 촉매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세라믹 필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9395Y1 (ko) * 2001-01-20 2001-07-19 이영달 도로의 차량 충돌 완화장치
KR200416949Y1 (ko) * 2006-03-06 2006-05-23 (주) 경화엔지니어링 도로용 중분대가이드레일의 개폐구조
KR200448402Y1 (ko) * 2009-07-28 2010-04-09 대양산업(주) 쏠라부를 구비한 도로표지병
KR101009051B1 (ko) * 2008-10-08 2011-01-17 정희준 온도감응색변화조성물
KR101056906B1 (ko) * 2010-12-27 2011-08-12 유지현 자동 수납형 볼라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9395Y1 (ko) * 2001-01-20 2001-07-19 이영달 도로의 차량 충돌 완화장치
KR200416949Y1 (ko) * 2006-03-06 2006-05-23 (주) 경화엔지니어링 도로용 중분대가이드레일의 개폐구조
KR101009051B1 (ko) * 2008-10-08 2011-01-17 정희준 온도감응색변화조성물
KR200448402Y1 (ko) * 2009-07-28 2010-04-09 대양산업(주) 쏠라부를 구비한 도로표지병
KR101056906B1 (ko) * 2010-12-27 2011-08-12 유지현 자동 수납형 볼라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10383A (zh) * 2019-01-17 2019-04-12 中交四公局第十工程有限公司 一种防撞护栏混凝土冬季施工蓄热系统及其使用方法
CN111021290A (zh) * 2019-11-22 2020-04-17 深圳市综合交通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子母式可启闭的中央防撞栏系统
CN111021290B (zh) * 2019-11-22 2023-12-15 深圳市综合交通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子母式可启闭的中央防撞栏系统
KR20220074063A (ko) 2020-11-27 2022-06-03 홍광이 가연성 폐기물 소각용 촉매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세라믹 필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5678B1 (ko) 중앙분리대 스마트게이트장치
US7857543B2 (en) Traffic installation
WO2010060720A2 (de) Verfahren zum automatischen laden von vollständig oder teilweise elektrisch betriebenen fahrzeugen und anordnung zur herstellung eines ladekontaktes
CN105082948A (zh) 用于车辆的遮阳板组件及车辆
US3299570A (en) Canopy
KR100999475B1 (ko) 주차장 조명 자동 제어장치
EP4353537A2 (de) Nutzfahrzeug mit gesteuerter musterprojektion
CN109898406A (zh) 一种护栏可升降的市政桥梁
JP5770287B2 (ja) 駐車場でマルチトラック車両を走行方向に方向を正して整列させるための装置
CN112258890B (zh) 基于车位监控传感器的停车场车位监控方法
JP2013533407A5 (ko)
KR101778767B1 (ko) 터널 회차용 스마트 게이트
JP2000008335A (ja) 道路の車線切替え誘導システム
CN112627077B (zh) 一种露天矿无人驾驶道路智能识别装置
KR20200062619A (ko) 안전삼각대 설치 로봇
CN217259973U (zh) 龙门往复式洗车机
KR101241600B1 (ko) 지하 주차장의 진입 차량에 부착된 눈 및 빗물 제거장치
CN205524236U (zh) 自动传输轻轨公交系统
JP5902944B2 (ja) 自走式縦列駐車装置とその運転方法
CN209409987U (zh) 校车防护栏
CN220548473U (zh) 一种搅拌站料棚出入口安全装置
CN217863913U (zh) 标位系统和车辆
CN220522086U (zh) 一种道路施工防护通道
KR101280029B1 (ko) 대형차량용 건조장치
JP2001311123A (ja) 交通制御装置および交通手段の自動課金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