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5923Y1 - 교량 난간의 차량 충돌 완화장치 - Google Patents

교량 난간의 차량 충돌 완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5923Y1
KR200215923Y1 KR2020000027083U KR20000027083U KR200215923Y1 KR 200215923 Y1 KR200215923 Y1 KR 200215923Y1 KR 2020000027083 U KR2020000027083 U KR 2020000027083U KR 20000027083 U KR20000027083 U KR 20000027083U KR 200215923 Y1 KR200215923 Y1 KR 20021592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able body
handrail
bridge
support brackets
sliding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708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달
Original Assignee
이영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달 filed Critical 이영달
Priority to KR202000002708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592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592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5923Y1/ko

Links

Landscapes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의한 교량 난간의 차량 충돌 완화장치는, 교량의 난간이 씌워지도록 다수개가 중첩되도록 연결 설치되는 이동체와; 상기 이동체와 상기 난간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이동체를 이동시키는 슬라이딩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르면, 차량이 교량을 주행할때 그 난간에 충돌하였을때 발생된 충격력을 흡수할 수 있는 구조를 중앙 분리대에 설치함으로써, 차량 탑승자의 생명 보호 및 부상 억제 기능을 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교량 난간의 차량 충돌 완화장치{APPARATUS FOR COLLISION RELAXATION OF VEHICLES}
본 고안은 교량 난간의 차량 충돌 완화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이 교량을 주행할때 그 난간에 충돌하였을때 발생된 충격력을 흡수할 수 있는 구조를 중앙 분리대에 설치함으로써, 차량 탑승자의 생명 보호 및 부상 억제 기능을 할 수 있도록 한 교량 난간의 차량 충돌 완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량(1)에는 난간(2)을 설치하여 차량 주행중 자신의 차선을 벗어나 교량의 밖으로 주행하려는 경우 차량의 낙하를 방지하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전술한 교량(1)의 난간(2)은 주로 시멘트로 제작된 구조물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차량 충돌시 완충력이 거의 없어 차량이 파손될 뿐만 아니라, 심한 경우에는 난간(2)의 파손으로 인해 차량이 낙하되어 탑승자가 사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차량이 교량을 주행할때 그 난간에 충돌하였을때 발생된 충격력을 흡수할 수 있는 구조를 중앙 분리대에 설치함으로써, 차량 탑승자의 생명 보호 및 부상 억제 기능을 할 수 있도록 한 교량 난간의 차량 충돌 완화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교량에서 차량이 주행하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교량 난간의 차량 충돌 완화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차량 충돌 완화장치의 결합 횡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차량 충돌 완화장치의 결합 종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이동체가 충첩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교량
2 : 난간
10 : 이동체
11 : 측벽판
12 : 연결판
30 : 슬라이딩 수단
31,32 : 지지 브라켓트
33 : 수직 고정축
34 : 로울러
35 : 수직 회전통체
43 : 수평 고정축
45 : 수평 회전통체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교량 난간의 차량 충돌 완화장치는, 교량의 난간이 씌워지도록 다수개가 중첩되도록 연결 설치되는 이동체와; 상기 이동체와 상기 난간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이동체를 이동시키는 슬라이딩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교량 난간의 차량 충돌 완화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교량 난간의 차량 충돌 완화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차량 충돌 완화장치의 결합 횡단면도이며,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차량 충돌 완화장치의 결합 종단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이동체가 충첩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교량 난간의 차량 충돌 완화장치는, 교량(1)의 난간(2)이 씌워지도록 다수개가 중첩되도록 연결 설치되는 이동체(10)와, 이동체(10)와 난간(2) 사이에 설치되어 이동체(10)를 이동시키는 슬라이딩 수단(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이동체(10)는, 난간(2)의 양측면에 각각 대응하여 슬라이딩 수단(30)에 접촉되는 한쌍의 측벽판(11)과, 이 측벽판(11)의 상부측을 연결하는 연결판(12)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으로, 그 재질은 플렉시블한 연질 강판 또는 합성수지재를 이용하여 제작된다.
상기 슬라이딩 수단(30)은, 난간(2)의 양측면에 상하로 적정 거리를 두고 고정 설치되는 한쌍의 지지 브라켓트(31)(32)와, 지지 브라켓트(31)(32)를 관통하여 고정 설치되는 수직 고정축(33)과, 지지 브라켓트(31)(32) 사이에 해당되는 수직 고정축(33)의 상하부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로울러(34)와, 이 로울러(34)의 외측을 둘러싸는 형태로 설치되어 이동체(10)의 측부 내면에 접촉되는 수직 회전통체(35)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수직 회전통체(35)의 길이는 이동체(10)의 내측면에 거의 대부분 접촉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차량 충돌시 이동체(10)를 원활하게 슬라이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함과 아울러 이동체(10)의 파손 정도를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로울러(34)는 그 일례로 베어링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난간(2)의 상면과 상기 이동체(10)의 하면 사이에는 슬라이딩 수단(40)이 더 설치되는데, 이 슬라이딩 수단(40)은 난간(2)의 상면에 적정 거리를 두고 고정 설치되는 한쌍의 지지 브라켓트(41)(42)와, 이 지지 브라켓트(41)(42)를 관통하여 고정 설치되는 수평 고정축(43)과, 지지 브라켓트(41)(42) 사이에 해당되는 상기 수평 고정축(43)의 좌우측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로울러(44)와, 로울러(44)의 외측을 둘러싸는 형태로 설치되어 상기 이동체(10)의 상측 내면에 접촉되는 수평 회전통체(45)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난간(2)의 상면과 이동체(10)의 하면 사이에 슬라이딩 수단(40)을 더 설치함으로써, 차량 충돌시 이동체(10)의 이동을 보조하여 더 원활하게 진행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차량 주행시 운전자가 실수나 졸음 운전으로 인해 차량이 주행로에서 이탈되면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살표 방향으로 교량의 난간(2)에 충돌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된다.
이때, 차량은 이동체(10)의 측벽판(11)에 충돌되는 순간 발생된 충격력은 이동체(10)의 측벽판(11)에 전달되어 1차로 흡수되며, 이후, 차량 충돌시에 발생된 충격력으로 인해 이동체(10)는 슬라이딩 수단(30)을 구성하는 로울러(34)와 함께 회전하는 수직 회전통체(26)의 안내를 받아 소정 거리 이동한 후에 다른 이동체내로 마찰되면서 인입된다.
상기의 과정에서 차량 충돌시 발생된 충격력은 정지 물체에 충돌된 경우에 비해 이동하고 있는 이동체(10)에 충돌되었기 때문에 감소된다.
이로 인해, 차량 파손 및 탑승자의 부상을 최소로 줄일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동체를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수단의 일부 구성의 하나인 수직 회전체가 소정 길이로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이동체의 내벽면에 접촉되어 있기 때문에 차량 충돌시 이동체를 원활하게 슬라이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차량이 교량을 주행할때 그 난간에 충돌하였을때 발생된 충격력을 흡수할 수 있는 구조를 중앙 분리대에 설치함으로써, 차량 탑승자의 생명 보호 및 부상 억제 기능을 할 수 있게 된다.

Claims (4)

  1. 교량(1)의 난간(2)이 씌워지도록 다수개가 중첩되도록 연결 설치되는 이동체(10)와;
    상기 이동체(10)와 상기 난간(2)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이동체(10)를 이동시키는 슬라이딩 수단(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난간의 차량 충돌 완화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체(10)는,
    상기 난간(2)의 양측면에 각각 대응하여 상기 슬라이딩 수단(30)에 접촉되는 한쌍의 측벽판(11)과, 상기 측벽판(11)의 상부측을 연결하는 연결판(1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난간의 차량 충돌 완화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수단(30)은,
    상기 난간(2)의 양측면에 상하로 적정 거리를 두고 고정 설치되는 한쌍의 지지 브라켓트(31)(32)와;
    상기 지지 브라켓트(31)(32)를 관통하여 고정 설치되는 수직 고정축(33)과;
    상기 지지 브라켓트(31)(32) 사이에 해당되는 상기 수직 고정축(33)의 상하부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로울러(34)와;
    상기 로울러(34)의 외측을 둘러싸는 형태로 설치되어 상기 이동체(10)의 측부 내면에 접촉되는 수직 회전통체(35)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난간의 차량 충돌 완화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난간(2)의 상면과 상기 이동체(10)의 하면 사이에는 슬라이딩 수단(40)이 더 설치되며, 상기 슬라이딩 수단(40)은 상기 난간(2)의 상면에 적정 거리를 두고 고정 설치되는 한쌍의 지지 브라켓트(41)(42)와, 상기 지지 브라켓트(41)(42)를 관통하여 고정 설치되는 수평 고정축(43)과, 상기 지지 브라켓트(41)(42) 사이에 해당되는 상기 수평 고정축(43)의 좌우측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로울러(44)와, 상기 로울러(44)의 외측을 둘러싸는 형태로 설치되어 상기 이동체(10)의 상측 내면에 접촉되는 수평 회전통체(45)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 나간의 차량 충돌 완화장치.
KR2020000027083U 2000-09-27 2000-09-27 교량 난간의 차량 충돌 완화장치 KR20021592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7083U KR200215923Y1 (ko) 2000-09-27 2000-09-27 교량 난간의 차량 충돌 완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7083U KR200215923Y1 (ko) 2000-09-27 2000-09-27 교량 난간의 차량 충돌 완화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5923Y1 true KR200215923Y1 (ko) 2001-03-15

Family

ID=730892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7083U KR200215923Y1 (ko) 2000-09-27 2000-09-27 교량 난간의 차량 충돌 완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592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8288A (ko) * 2002-05-14 2003-11-19 김종운 도로교통 안전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8288A (ko) * 2002-05-14 2003-11-19 김종운 도로교통 안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16703B2 (en) Retractable step
EP1155940A3 (en) Impact absorbing steering apparatus
KR101153856B1 (ko) 차량충돌 충격흡수장치
WO2021215724A1 (ko) 도로 가드레일의 지지장치
CN110359369A (zh) 一种公路桥梁的防撞护栏
KR200215923Y1 (ko) 교량 난간의 차량 충돌 완화장치
KR100256394B1 (ko) 충격 흡수성이 우수한 가드레일
KR101073539B1 (ko) 차량충돌 완충장치
KR200196465Y1 (ko) 도로의 차량 충돌 완화장치
KR200215920Y1 (ko) 도로의 차량 충돌 완화장치
KR101852515B1 (ko) 회전형 가드레일
KR200215921Y1 (ko) 도로의 차량 충돌 완화장치
KR200229395Y1 (ko) 도로의 차량 충돌 완화장치
KR200215922Y1 (ko) 도로의 차량 충돌 완화장치
KR102147231B1 (ko) 도로 설치용 안내 대피 구조물
KR20110024027A (ko) 차량용 차단바의 개폐시스템
KR100390627B1 (ko) 도로의 차량 충돌 완화장치
KR200361189Y1 (ko) 도로 가드레일 롤러
KR101040017B1 (ko) 스티어링컬럼의 충격흡수 향상구조
JP4077401B2 (ja) 可動ガードレール
KR200252858Y1 (ko) 고무판과 슬립 파이프를 이용한 충격흡수용 도로시설물
KR200323064Y1 (ko) 급커브 도로용 안전장치
KR100452953B1 (ko) 차량충격 흡수장치와 병용되는 차량반발 억제장치
KR101980608B1 (ko) 범퍼 결합 롤러를 통한 차량 안전장치
KR20110037701A (ko) 조향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228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