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52953B1 - 차량충격 흡수장치와 병용되는 차량반발 억제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충격 흡수장치와 병용되는 차량반발 억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52953B1
KR100452953B1 KR10-2002-0038258A KR20020038258A KR100452953B1 KR 100452953 B1 KR100452953 B1 KR 100452953B1 KR 20020038258 A KR20020038258 A KR 20020038258A KR 100452953 B1 KR100452953 B1 KR 1004529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shock absorber
vehicle shock
spring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382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64714A (ko
Inventor
김경동
박정호
박동화
Original Assignee
동일고무벨트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일고무벨트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일고무벨트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382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52953B1/ko
Publication of KR200200647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47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29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295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3/00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 B66F3/24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fluid-pressure operated
    • B66F3/25Constructional features
    • B66F3/26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pist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2700/00Lifting apparatus
    • B66F2700/05Hydraulic jacks
    • B66F2700/052Support- or transmission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2700/00Lifting apparatus
    • B66F2700/05Hydraulic jacks
    • B66F2700/055Jacks with a single cylinder
    • B66F2700/057Pistons, e.g. telescopic; Cylinders or sealing joints; Hydraulic travel-limiting devices or shock damp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Vibration Dampers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종래의 차량충격 흡수장치와 병용되는 차량반발 억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종래의 차량충격 흡수장치의 프론트 내부 노면상 또는 레일 전방 일단부에 설치되어, 차량충격 흡수장치에 차량이 충돌함에 따라 차량이 후방으로 반발하여 주행중인 다른 차량과의 2차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는 차량반발 억제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충격 흡수장치와 병용되는 차량반발 억제장치{Apparatus for car repelling restraint used at the time of car clash}
본 발명은 종래의 차량충격 흡수장치와 병용되는 차량반발 억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종래의 차량충격 흡수장치의 프론트 내부 노면상 또는 레일 전방 일단부에 설치되어, 차량충격 흡수장치에 차량이 충돌함에 따라 차량이 후방으로 반발하여 주행중인 다른 차량과의 2차 충돌하는 것을 방지하는 차량반발 억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차량충격 흡수장치는 충격에너지 흡수능력을 높여 충돌 차량의 후방으로의 반발속도를 최소화 즉, 충돌직전의 전진속도 대비 10% 수준으로 하는데 주력하여 상품을 개발하여 왔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차량충격 흡수장치는 노면의 조건 예컨대, 노면의 결빙, 충돌 차량 반발방향의 경사 정도, 충돌 차량의 상태 등에 따라 에너지 흡수능력과는 무관하게 충돌 차량의 반발을 일으켜 후방에서 주행중인 다른 차량과의 2차 충돌의 위험성을 내포하고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종래의 차량충격 흡수장치에 차량이 충돌할 경우, 이 충돌의 반발로 인해 충돌된 차량이 후방으로 이동되는 것을 어떠한 악조건하에서도 완벽하게 정지시켜, 후방에서 주행중인 다른 차량과의 2차 충돌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반발 억제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해 알게 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충격 흡수장치와 병용되는 차량반발 억제장치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충격 흡수장치와 병용되는 차량반발 억제장치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반발 억제장치가 사용되기 위해 차량충격 흡수장치에 부설되어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사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반발 억제장치가 작동되어 충돌 차량의 후진 반발을 정지시키는 상황을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종래 차량충격 흡수장치의 레일 2 : 바(bar)
3 : 스프링 4 : 볼트
5 : 경사 지그 6 : 스프링 탄력유지판
7 : 바 각도 유지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차량충격 흡수장치와 병용되는 차량반발 억제장치는,
종래의 차량 충돌에 따라 레일(1) 상에서 안내되면서 압축되어 충격에너지를 흡수하는 차량충격 흡수장치와 함께 사용되는 것으로서,
상기 레일(1)의 전방 끝단에서 소정 거리 이격된 양측에 적정 길이의 홈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홈을 관통하고 상기 레일(1)의 몸체에 대해 그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며 스프링(3)에 의해 탄성지지되는 바(2)를 포함하며,
상기 바(2)는 상기 차량이 상기 차량충격 흡수장치에 충돌시에는 차량 전진방향으로 자유롭게 눕혀지고, 상기 차량이 상기 차량충격 흡수장치에 충돌함에 따라 상기 차량충격 흡수장치가 압축되면, 상기 스프링(3)의 작용으로 기립되어, 충돌 후 반발 후진하는 상기 차량의 하부 돌출부에 걸려져 상기 차량을 고정함으로써 더 이상 반발 후진되지 못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형태의 본 발명의 차량충격흡수장치와 병용되는 차량반발 억제장치는,
종래의 차량 충돌에 따라 압축되어 충격에너지를 흡수하는 차량충격 흡수장치와 함께 사용되는 것으로서,
상기 차량충격 흡수장치의 프론트 내부 노면상에 고정 설치되며,
레일(1) 형상 프레임의 양측에 적정 길이의 홈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홈을 관통하고 상기 레일(1)의 몸체에 대해 그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며 스프링(3)에 의해 탄성지지되는 바(2)를 포함하며,
상기 바(2)는 상기 차량이 상기 차량충격 흡수장치에 충돌시에는 차량 전진방향으로 자유롭게 눕혀지고, 상기 차량이 상기 차량충격 흡수장치에 충돌함에 따라 상기 차량충격 흡수장치가 압축되면, 상기 스프링(3)의 작용으로 기립되어, 충돌 후 반발 후진하는 상기 차량의 하부 돌출부에 걸려져 상기 차량을 고정함으로써 더 이상 반발 후진되지 못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반발 억제장치는 종래의 차량충격 흡수장치의 앞부분 레일에 설치되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여기서, 바람직하게 종래의 차량충격 흡수장치로는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2000-0058242호에 개시된 "차량용 충격 흡수장치"일 수 있다.
참고로, 상기 공개된 차량충격 흡수장치는 모든 도로상의 중앙분리대 시작점과 고속도로 분기점, 터널입구, 교량의 시작점의 콘크리트방벽 또는 H빔과 같은 고정물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전면고무판, 1, 2단위체 고무판, 파형스틸판, 레일 상에서 이동되도록 하는 안내수단, 충격 흡수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충격 흡수장치와 병용되는 차량반발 억제장치의 사시도를 도 1에, 그리고 그 단면도를 도 2에 각각 나타낸다.
이들을 참조하면, 종래의 차량충격 흡수장치의 일 구성요소인 레일(1)이 있고, 본 발명에 따른 차량반발 억제장치는 상기 레일(1)의 전방 끝단에서 소정 거리 이격된 양측에 적정 길이의 홈을 마련하여 설치된다.
상술한 홈을 관통하고 레일(1)의 몸체에 대해 볼트(4)로서 그 일단이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되며 스프링(3)에 의해 탄성 지지되는 바(bar)(2)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스프링(3)은 경사 지그(5)상에 일단이 고정되며, 그 타단은 스프링 탄력유지판(6)에 의해 바(2)에 고정되어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반발 억제장치가 사용되기 위해 차량충격 흡수장치에 부설되어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사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반발 억제장치가 작동되어 충돌 차량의 후진 반발을 정지시키는 상황을 보여주는 사진으로서 참조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차량반발 억제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바(2)는 차량이 차량충격 흡수장치에 충돌시 차량 전진방향으로 자유롭게 눕혀지고, 이어서 차량이 차량충격 흡수장치에 충돌함에 따라 차량충격 흡수장치가 압축 변형되어 차량충격 흡수장치가 본 발명에 따른 차량반발 억제장치를 벗어나면, 스프링(3)의 탄성력에 의해서 들어 올려진다.
이 때, 들어 올려지는 각도는 미리 설계된 각도 이상을 넘어가지 않도록 레일(1) 홈 일단에 구비된 바 각도 유지부(7)에 의해 고정된다.
다음으로, 충돌한 차량은 충돌에 따라 반발 후진되며, 이 때 기립된 바(2)에 상기 차량의 하부 돌출부의 일부가 걸려져 더 이상 후진되지 못하게 된다.
덧붙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반발 억제장치의 성능을 발휘하는데는 스프링(3)의 탄성을 차량이 정지될 때까지 유지시켜야 하는 부수적인 수단이 요구되는데, 이를 위해 경사 지그(5)와 스프링 탄력유지판(6)은 바(2)가 기립시에 스프링(3)의 상태가 탄성을 가장 잘 유지시킬 수 있는 적합한 상태를 가지도록 설계된다.
그리고, 경사 지그(5)의 상부면 직각방향으로 스프링(3) 하부면이 고정되고, 스프링(3) 상부면은 스프링 탄력유지판(6)에 직각방향으로 놓여져 스프링(3)이 탄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설계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스프링(3)은 코일형 스프링뿐만 아니라 판형 스프링이 이용될 수 있으며, 탄성력을 가지는 고무, 우레탄, 플라스틱 등이 대체 사용될 수도 있다.
그리고, 레일(1)에 대한 상기 바(2)의 힌지(hinge)의 역할은 상술한 형태이외에도 축과 베어링의 조합 등 여러 다양한 변형이 있을 수 있음은 물론이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차량반발 억제장치가 종래의 차량충격 흡수장치의 레일측에 설치되는 경우를 설명하였으나, 이와 다른 실시예로서 별도 독립된 레일(1) 형상 프레임에 상술한 바와 같은 동일 구성을 갖추어, 상기 차량충격 흡수장치의 프론트 내부 노면상에 고정 설치되어 이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설치, 해체, 보수 및 관리가 용이한 차량반발 억제장치가 제공되어, 어떠한 악조건에서도 1차 차량 충돌에 따른 2차 충돌을 방지하여 인명 및 차량피해를 방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종래의 차량 충돌에 따라 레일(1) 상에서 안내되면서 압축되어 충격에너지를 흡수하는 차량충격 흡수장치와 함께 사용되는 것으로서,
    상기 레일(1)의 전방 끝단에서 소정 거리 이격된 양측에 적정 길이의 홈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홈을 관통하고 상기 레일(1)의 몸체에 대해 그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며 스프링(3)에 의해 탄성지지되는 바(2)를 포함하며,
    상기 바(2)는 상기 차량이 상기 차량충격 흡수장치에 충돌시에는 차량 전진방향으로 자유롭게 눕혀지고, 상기 차량이 상기 차량충격 흡수장치에 충돌함에 따라 상기 차량충격 흡수장치가 압축되면, 상기 스프링(3)의 작용으로 기립되어, 충돌 후 반발 후진하는 상기 차량의 하부 돌출부에 걸려져 상기 차량을 고정함으로써 더 이상 반발 후진되지 못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충격 흡수장치와 병용되는 차량반발 억제장치.
  2. 종래의 차량 충돌에 따라 압축되어 충격에너지를 흡수하는 차량충격 흡수장치와 함께 사용되는 것으로서,
    상기 차량충격 흡수장치의 프론트 내부 노면상에 고정 설치되며,
    레일(1) 형상 프레임의 양측에 적정 길이의 홈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홈을 관통하고 상기 레일(1)의 몸체에 대해 그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며 스프링(3)에 의해 탄성지지되는 바(2)를 포함하며,
    상기 바(2)는 상기 차량이 상기 차량충격 흡수장치에 충돌시에는 차량 전진방향으로 자유롭게 눕혀지고, 상기 차량이 상기 차량충격 흡수장치에 충돌함에 따라 상기 차량충격 흡수장치가 압축되면, 상기 스프링(3)의 작용으로 기립되어, 충돌 후 반발 후진하는 상기 차량의 하부 돌출부에 걸려져 상기 차량을 고정함으로써 더 이상 반발 후진되지 못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충격 흡수장치와 병용되는 차량반발 억제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3) 대신에 탄성력을 가지는 고무, 우레탄 및 플라스틱 중에서 어느 하나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충격 흡수장치와 병용되는 차량반발 억제장치.
KR10-2002-0038258A 2002-07-03 2002-07-03 차량충격 흡수장치와 병용되는 차량반발 억제장치 KR1004529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8258A KR100452953B1 (ko) 2002-07-03 2002-07-03 차량충격 흡수장치와 병용되는 차량반발 억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38258A KR100452953B1 (ko) 2002-07-03 2002-07-03 차량충격 흡수장치와 병용되는 차량반발 억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4714A KR20020064714A (ko) 2002-08-09
KR100452953B1 true KR100452953B1 (ko) 2004-10-14

Family

ID=277271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38258A KR100452953B1 (ko) 2002-07-03 2002-07-03 차량충격 흡수장치와 병용되는 차량반발 억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5295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7930B1 (ko) * 2006-02-17 2006-05-10 주식회사 우전그린 도로 안전 방호대의 반발 방지장치
CN102518058B (zh) * 2011-12-06 2014-07-30 中国核电工程有限公司 移动式抗撞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22114A (ja) * 1989-10-06 1991-05-24 Somar Corp 硬化剤組成物、その製造方法及び熱硬化性エポキシ樹脂組成物
KR200180132Y1 (ko) * 1999-11-29 2000-04-15 이종태 도로용 충격흡수장치
KR200252811Y1 (ko) * 2001-07-11 2001-11-17 주식회사 한국종합기술개발공사 자동차의 충격흡수 도로시설물
KR200268033Y1 (ko) * 2001-11-22 2002-03-15 서일화학 주식회사 자동차의 충돌 충격 완화장치
KR200274030Y1 (ko) * 2002-01-25 2002-05-01 주식회사 포이즈앤컴팩트 슬라이드형 차량용 방호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22114A (ja) * 1989-10-06 1991-05-24 Somar Corp 硬化剤組成物、その製造方法及び熱硬化性エポキシ樹脂組成物
KR200180132Y1 (ko) * 1999-11-29 2000-04-15 이종태 도로용 충격흡수장치
KR200252811Y1 (ko) * 2001-07-11 2001-11-17 주식회사 한국종합기술개발공사 자동차의 충격흡수 도로시설물
KR200268033Y1 (ko) * 2001-11-22 2002-03-15 서일화학 주식회사 자동차의 충돌 충격 완화장치
KR200274030Y1 (ko) * 2002-01-25 2002-05-01 주식회사 포이즈앤컴팩트 슬라이드형 차량용 방호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4714A (ko) 2002-08-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40480B1 (en) Collision shock-absorbing device
CN210766543U (zh) 高速公路滚轮式撼撞缓移护栏
SE514218C2 (sv) Anordning vid gångjärn till motorhuvar på personbilar
KR100348707B1 (ko) 차량용 충격 흡수장치
KR100649365B1 (ko) 커브길 도로에 설치되는 차량 충격 흡수용 가드레일
KR100452953B1 (ko) 차량충격 흡수장치와 병용되는 차량반발 억제장치
KR102100439B1 (ko) 전방지지대의 후퇴 저항수단이 구비된 차량 충격흡수장치
KR100514503B1 (ko) 철도차량 종점부의 한계 방호책의 구조
KR101022863B1 (ko) 차량충돌 충격완충장치
AU2017200567A1 (en) Traffic Barrier Structure
KR101379607B1 (ko) 차량 방호 울타리
US20040091314A1 (en) Energy absorbing safety wall for motor racing
KR100462364B1 (ko) 자동차의 범퍼 장착장치
KR100662877B1 (ko) 철도레일 종점부 탈선방지시설
KR20120090908A (ko) 충격흡수가드레일
KR200252858Y1 (ko) 고무판과 슬립 파이프를 이용한 충격흡수용 도로시설물
KR200435121Y1 (ko) 충격흡수대
KR200323065Y1 (ko) 도로 중앙분리대 입구용 충격흡수장치
KR200196465Y1 (ko) 도로의 차량 충돌 완화장치
CN215706151U (zh) 一种车辆防碰撞安全保护装置
KR200343181Y1 (ko) 충격 흡수 기능을 갖는 가이드 레일 구조
KR200229377Y1 (ko) 가드레일 완충구
KR200353244Y1 (ko) 하중분산형 저충격도 가이드 레일
KR102292574B1 (ko) 하이브리드 차량충격흡수시설
CN214459934U (zh) 桶式防撞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0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4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