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4030Y1 - 슬라이드형 차량용 방호장치 - Google Patents

슬라이드형 차량용 방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4030Y1
KR200274030Y1 KR2020020002434U KR20020002434U KR200274030Y1 KR 200274030 Y1 KR200274030 Y1 KR 200274030Y1 KR 2020020002434 U KR2020020002434 U KR 2020020002434U KR 20020002434 U KR20020002434 U KR 20020002434U KR 200274030 Y1 KR200274030 Y1 KR 20027403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rail
friction
guide
barrier
barrier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243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경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이즈앤컴팩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이즈앤컴팩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이즈앤컴팩트
Priority to KR202002000243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403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403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4030Y1/ko

Links

Landscapes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의 통행을 위한 구조물에 설치하여 운전자의 부주의로 차량과 구조물과의 충돌시 충돌압력이 슬라이드 마찰력을 포함한 단계적인 감압작용으로 충분한 완충작용을 수행하는 것을 목적으로한 슬라이드형 차량용 방호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은 방호벽, 지면에 보울팅 고정하는 안내레일, 안내레일의 안내홈을 따라 슬라이드하는 안내관체, 안내관체를 구비하여 방호벽에 매립고정 하는 고정관체, 및 마찰수단으로 안내관체에 수용하는 탄성부재와, 탄성부재의 양측에 지지되어 안내레일의 측면과 탄성적인 지지를 이루는 마찰구와, 마찰구의 일면을 돌출한 상태로 수용하여 안내관체의 양면에 체결하는 캡의 구성과, 안내레일의 측면에 마찰구가 걸리면서 이동하는 걸림부를 등간격으로 형성하고, 안내레일의 후면과 인접한 곳에 고정하여 이동하는 방호벽과 충돌하여 방호벽에 가해진 충돌압력에 대해 완충작용을 수행하는 보조방호벽을 특징적 구성으로 하여, 상기 차량의 충돌과 같은 외력으로 안내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방호벽이 이동과정에서 마찰수단에 의해 충돌 압력이 감압되고, 방호벽이 최종 보조방호벽에 충돌하여 완충되는 것을 그요지로 한다.

Description

슬라이드형 차량용 방호장치{Protection device for car of type slide}
본 고안은 차량의 통행을 위한 구조물에 설치하여 운전자의 부주의로 차량과 구조물과의 충돌시 완충작용을 수행하는 슬라이드형 차량용 방호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차량의 충돌시 충돌압력이 슬라이드 마찰력을 포함한 단계적인 감압작용으로 충분한 완충작용을 수행하는 슬라이드형 차량용 방호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속도로, 자동차전용도로, 일반도로에 설치하여 차량의 통행이 이루어지는 톨게이트, 지하차도, 고가와 같은 구조물에는 구조물의 진입단계에서 운전자의 부주의로 구조물과 차량의 충돌시 완충작용을 수행하도록 구조물의 진입구 측벽 전면 또는 분기지점에 방호장치를 설치한다.
그러나 종래의 방호장치는 충분한 완충작용이 이루어 지지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방호장치에서 차량과 직접 충돌하여 완충작용을 수행하는 방호벽은 그 재질과 구조에 따라 여러 유형이 있으며, 이 중 재질을 콘크리트재로 하여 외주면에 식별용 페인트를 도포한 콘크리트인 방호벽은 식별력을 갖추어 운전자의 주의운전을 유도할 수 있으나, 재질상 완충성이 없기 때문에 차량 충돌시 사고의 위험을 더욱 가중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콘크리트 방호벽의 외측면에 완충재인 고무재, 수지재 등을 부착하여 완충기능을 갖도록 한 것이 있으나, 이는 콘크리트 방호벽의 설치에 부가한 것으로서, 설치작업의 비효율성을 해소하지 못함은 물론 충격을 흡수하기에는 구조적으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고무재, 수지재 등과 같은 완충재를 단일구조물로 하여 설치한 방호벽이나, 폐타이어를 방호벽으로 이용한 것이 있으나, 이는 전술한 종래의 방호벽에 대해 완충작용은 향상되었으나, 충격부위로부터 전달된 압력을 방호벽 전체가 흡수하기에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충분한 완충작용을 수행하지 못함으로서, 충돌 후 반력에 의해 차량이 튕겨져 나가 또다른 차량사고를 발생시켰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차량의 통행을 위한 구조물에 설치하여 운전자의 부주의로 차량과 구조물과의 충돌시 충돌압력이 슬라이드 마찰력을 포함한 단계적인 감압작용으로 충분한 완충작용을 수행하는 슬라이드형 차량용 방호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1 내지 도3은 본 고안의 슬라이드형 차량용 방호장치가 장착된 상태의 외부구성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1은 사시도, 도2는 측면도, 도3은 평면도,
도4는 도3의 A - A선 단면도,
도5는 본 고안에 의한 방호벽이 슬라이드되기 위한 슬라이드수단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6과 도7은 슬라이드수단의 구성요소인 안내레일의 고정 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6은 평면도, 도7은 측단면도,
도8은 슬라이드수단에 포함된 마찰수단의 구성을 나타낸 분해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방호벽 20 : 안내레일
23 : 걸림부 30 : 안내관체
40 : 고정관체 42 : 수직부
44 : 연결부 50 : 탄성부재
60 : 마찰구 70 : 캡
90 : 보조방호벽 100 : 슬라이드형 차량용 방호장치
상기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적 구성을 청구항들에서 참조하면 다음과 같다.
청구항1에서 본 고안은 방호벽(10), 지면에 보울팅 고정하는 안내레일(20), 안내레일(20)의 안내홈(21)을 따라 슬라이드하는 안내관체(30), 안내관체(30)를 구비하여 방호벽(10)에 매립고정 하는 고정관체(40), 및 마찰수단으로 안내관체(30)에 수용하는 탄성부재(50)와, 탄성부재(50)의 양측에 지지되어 안내레일(20)의 측면과 탄성적인 지지를 이루는 마찰구(60)와, 마찰구(60)의 일면을 돌출한 상태로 수용하여 안내관체(30)의 양면에 체결하는 캡(70)을 특징적 구성으로 한다.
다른 청구항들에서 본 고안은 안내레일(20)의 측면에 마찰구(60)가 걸리면서 이동하는 걸림부(23)를 등간격으로 형성하고, 안내레일(20)의 후면과 인접한 곳에 고정하여 이동하는 방호벽(10)과 충돌하여 방호벽(10)에 가해진 충돌압력에 대해 완충작용을 수행하는 보조방호벽(90)을 특징적 구성으로 한다.
또다른 청구항들에서 본 고안은 고정관체(40)가 안내관체(30)를 일체로 형성하는 수직부(42)와 이 수직부(42)를 양측에 일체로 갖는 연결부(44)로 구성하고, 캡(70)은 양단이 연통되어 그 내측에 마찰구(60)의 이탈을 방지하는 내향턱(74)을 형성한 것을 특징적 구성으로 한다.
상기 청구항들에서 본 고안은 차량의 충돌과 같은 외력으로 안내레일(20)을 따라 이동하는 방호벽(10)이 이동과정에서 마찰수단에 의해 충돌 압력이 감압되고,방호벽(10)이 최종 보조방호벽(90)에 충돌하여 완충되는 것을 기술적 사상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첨부한 도면 도1 내지 도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 내지 도3에서 부호 100은 본 고안에 의한 슬라이드형 차량용 방호장치 전체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슬라이드형 차량용 방호장치(100)는 차량의 충돌에 의해 완충작용을 수행하는 방호벽(10)과, 방호벽(10)에 가해진 차량의 충돌압력에 따라 방호벽(10)의 마찰이동을 수행하는 안내레일(20)을 포함한 슬라이드수단과, 슬라이드수단에 의해 이동하는 방호벽(10)의 이동거리를 제한함과 방호벽(10)과 최종 충돌하여 완충작용을 수행하는 고정된 보조방호벽(90)의 구성을 제공한다.
방호벽(10)은 단일 몸체로서 그 형상과 기능적인 구조는 의장과 실용신안으로 본원인이 선출원중인 것으로서, 방호벽(10)의 전면 부위는 반원상으로 하여 차량과의 충돌시 접촉면적을 확장하였고, 방호벽(10)의 내부는 상하단을 연통하여 다수의 완충공간(12)을 형성하였다.
방호벽(10)은 지면에 장착한 안내레일(20)을 따라 차량 충돌과 같은 외력에 의해 이동한다.
보조방호벽(90)은 톨게이트, 지하차도, 고가 등과 같은 구조물(92)의 일측면, 즉 구조물(92) 진입구의 벽체 전면에 고정하는 것으로서, 후면이 벽체 같은 구조물(92)에 지지한 상태로 고정하여 그 전면에 연이어 설치한 안내레일(20)에 의해 이동하는 방호벽(10)을 지지하여 완충하는 기능을 갖는다.
전술한 방호벽(10)과 보조방호벽(90)은 완충재로 고무재, 수지재 등의 완충기능을 갖는 모든 소재가 적용가능하며 재활용성, 완충성, 내구성 등이 우수한 우레탄폼(Urethane - Foam)을 재질로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주지된 바와 같이 우레탄폼(Urethane - Foam)은 폴리올, 이소시아 네이트, 후레온계의 발포제 및 첨가제들을 가열 혼합하여 상온 발포시켜 제조하는 것으로서, 미세한 독립기포가 80 ~ 95%로서 각각의 기포는 열전도율이 낮으며, 특히 강도와 탄성이 우수한 기계적인 특성을 갖는다.
슬라이드수단은 안내레일(20)과, 방호벽(10)을 고정하는 부재, 방호벽(10)의 이동시 마찰기능을 갖는 마찰수단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도4와 도5에서와 같이 슬라이드수단은 지면에 보울팅 고정하는 안내레일(20), 안내레일(20)의 안내홈(21)을 따라 슬라이드하는 안내관체(30), 안내관체(30)를 구비하여 방호벽(10)에 매립고정 되는 고정관체(40), 및 안내관체(30)의 이동시 안내레일(20)의 내측면과 마찰을 저항을 갖는 마찰수단으로 구성한다.
도4와 도5, 도6에서와 같이 안내레일(20)은 양측면을 갖는 안내홈(21)을 형성한 것으로서, 양측면에는 등간격으로 걸림부(23)들을 형성함과 양측면의 상단은 내측으로 돌출한 이탈방지단(22)을 형성한다. 그리고 안내레일(20) 외측 양면에는 리브(26)로 보강한 볼트공(25)을 형성한 체결면(24)을 형성하여, 상기 볼트공(25)을 통해 도6과 도7에서와 같이 앵커볼트(80)를 삽입하여 너트(82)로 체결하는 볼트공(25)을 형성한다.
상기 걸림부(23)들은 본 고안에서 관통된 구멍으로 형성하였으나, 이에 한정함이 없이 홈과 같이 마찰구(60)가 진입하여 걸린 후 이탈이 자유로운 형상이면 본 고안의 걸림부(23)들로 그 실시가 가능하다.
이러한 안내레일(20)은 도1 내지 도3에서와 같이 보조방호벽(90)의 전면 양측으로 부터 방호벽(10)의 하단 양면에 위치하도록 연이어 설치한다.
도4와 도5, 도8에서 안내관체(30)는 양단을 연통한 것으로서, 안내홈(21)에 진입하여 슬라이드될 수 있는 길이로 구비하여 마찰수단이 장착된다.
도4와 도5, 도8에서 마찰수단은 안내관체(30)에 수용하는 탄성부재(50)와, 탄성부재(50)의 양측에 지지되어 안내레일(20)의 측면과 탄성적인 지지를 이루는 마찰구(60)와, 마찰구(60)의 일면을 돌출한 상태로 수용하여 안내관체(30)의 양면에 체결되는 캡(70)으로 구성한다.
상기 마찰구(60)는 반원상으로 코일스프링 형상의 탄성부재(50)가 끼워지는 고정돌기를 일체로 형성한 것이나, 이에 한정함이 없이 구체와 같이 안내레일(20)의 측면에 접촉하는 선단이 만곡면을 이룸으로서, 그 실시가 가능하다.
그리고 캡(70)은 양단을 연통하며, 그 내경에 내향턱(74)을 형성하여 마찰구(60)의 선단 일면이 캡(70)의 전면으로 돌출된 상태로 내향턱(74)에 지지되어 탄성부재(50)의 탄성력에 의한 이탈이 방지된다. 캡(70)의 결합은 캡(70)의 후방 외주연에 숫나사산(72)을 형성하고, 안내관체(30)의 양측 내주연에암나사산(32)을 형성하여 나사식 체결을 이루게 된다.
이러한 마찰수단이 장착되는 안내관체(30)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서 고정관체(40)와 일체로 형성한 것이나, 안내관체(30)와 고정관체(40)를 별도의 부재로 하여 용접과 같은 접합방식으로 결합하여도 가능하다.
도4와 도5, 도8에서 고정관체(40)는 하단에 안내관체(30)를 일체로 형성하는수직부(42)와 이 수직부(42)를 양측에 일체로 갖는 연결부(44)의 구성으로서, 연결부(44)와 수직부(42)는 방호벽(10)의 하단에서 전후 양측면에 매립, 즉 방호벽(10)이 성형 경화되는 과정에서 일체로 매립하여 고정한다.
즉, 고정관체(40)는 안내관체(30)를 일체로 갖추어 방호벽(10)에 고정함으로서 방호벽(10)과 안내관체(30)를 연결한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서 고정관체(40)는 연결부(44)로부터 절곡한 수직부(42)를 갖는 것이나, 이러한 형상에 한정함이 없이 안내관체(30)를 일체로 갖춘 수직부(42)만으로도 방호벽(10)과의 결속을 위한 실시가 가능하며, 방호벽(10)과의 견고한 결속을 위하여 수직부(42)를 포함한 전체적인 형상이 티자 형상과 같이 수직부(42)를 포함한 수직부(42)의 외측면에 방호벽(10)과의 결속면적을 갖는 돌기부를 형성하여도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서 안내레일(20)을 2개소에 설치하고, 고정관체(40)를 방호벽(10)의 하단 전후 양면에 고정하였으나, 이에 한정함이 없이 방호벽(10)이 안정되게 슬라이드될 수 있도록 안내레일(20)과 고정관체(40)의 수효를 증감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한 본 고안의 설치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3에서와 같이 구조물에 보조방호벽(90)을 지지한 상태로 고정한 후 보조방호벽(90) 전면으로부터 연이어 지면의 2개소에 안내레일(20)을 설치하여, 안내레일(20)상에 방호벽(10)을 탑재하여 설치를 완료한다.
안내레일(20)은 도6과 도7에서와 같이 체결면(24)에 앵커볼트(80)와 너트(82)로 지면에 체결하고, 방호벽(10)은 도5와 같이 고정관체(40)에 일체로 형성한 안내관체(30)를 안내레일(20)의 안내홈(21)에 진입함으로서 조립을 완료한다.
이에 도2와 도3에서 화살표로 표시한 바와 같이 차량의 통행을 위한 구조물에 진입하는 차량이 운전자의 부주의로 충돌하는 충돌압력이 발생하는 경우, 방호벽(10)이 1차 완충하고, 방호벽(10)이 안내레일(20)을 따라 이동하면서 마찰수단에 의해 2차 완충하며, 방호벽(10)이 보조방호벽(90)에 충돌하여 3차 완충하며, 방호벽(10)에 형성된 완충공간(12)에 의해 최종 완충된다.
이러한 완충과정에서 마찰수단에 의한 완충작용은 도4에서와 같이 탄성부재(50)에 의해 지지되는 마찰구(60)가 안내홈(21)을 이루는 측면과 마찰력을 갖게되어 이루어지며, 아울러 마찰구(60)가 안내홈(21)에 형성한 걸림부(23)들에 다단계로 걸리면서 이동하여 방호벽(10)에 가해진 차량의 충돌압력에 대해 보다 효율적인 감압작용을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방호벽(10)에 충돌한 충돌 차량은 충돌압력이 연이어 여러차례 완충됨으로써 탑승자의 치명적인 인명사고가 방지됨은 물론 충돌압력에 대한 반력이 약해져 충돌 차량이 튕겨져 나가 또다른 사고의 발생을 방지하게 된다.
아울러 본 고안을 이루는 부재들이 단위체로 대량생산이 가능하여, 제작공장에서 제작된 상태로 운반되어 간단히 설치됨으로서, 교통의 통제 없이 설치가 가능하다.
본 고안은 차량의 통행을 위한 구조물에 설치하여 운전자의 부주의로 차량과 구조물과의 충돌시 자동차의 충돌압력을 1차 방호벽이 완충하고, 2차 방호벽이 슬라이드되는 과정에서 마찰수단에 의해 감압된 후 방호벽이 보조방호벽에 의해 완충됨으로써, 충돌압력에 의한 인명피해를 최소화함과 반력에 의한 또다른 사고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방호벽의 재질을 완충재인 우레탄폼으로 하여 대량생산이 가능하고, 방호벽의 설치 및 교체 작업이 조립식에 의해 간편하면서도 신속하게 이루어짐으로써, 교통의 통제없이 설치가 이루어지는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5)

  1. 방호벽(10),
    지면에 보울팅 고정하는 안내레일(20),
    안내레일(20)의 안내홈(21)을 따라 슬라이드하는 안내관체(30),
    안내관체(30)를 구비하여 방호벽(10)에 매립고정 하는 고정관체(40), 및
    마찰수단으로 안내관체(30)에 수용하는 탄성부재(50)와, 탄성부재(50)의 양측에 지지되어 안내레일(20)의 측면과 탄성적인 지지를 이루는 마찰구(60)와, 마찰구(60)의 일면을 돌출한 상태로 수용하여 안내관체(30)의 양면에 체결하는 캡(70)의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형 차량용 방호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안내레일(20)의 측면에는 안내관체(30)가 다단계의 이동이 이루어지도록 마찰구(60)가 진입하여 걸리는 걸림부(23)를 등간격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형 차량용 방호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안내레일(20)의 후면과 인접한 곳에 고정하여 방호벽(10)의 이동거리를 제한함과 방호벽(10)과 충돌하여 방호벽(10)에 가해진 충돌압력에 대해 완충작용을 수행하는 보조방호벽(90)의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형 차량용 방호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고정관체(40)는 안내관체(30)를 일체로 형성하는 수직부(42)와 이 수직부(42)를 양측에 일체로 갖는 연결부(44)인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형 차량용 방호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캡(70)은 양단이 연통되어 그 내측에 마찰구(60)를 지지하여 탄성부재(50)의 탄성력에 의한 마찰구(60)의 이탈을 방지하는 내향턱(74)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형 차량용 방호장치.
KR2020020002434U 2002-01-25 2002-01-25 슬라이드형 차량용 방호장치 KR20027403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2434U KR200274030Y1 (ko) 2002-01-25 2002-01-25 슬라이드형 차량용 방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2434U KR200274030Y1 (ko) 2002-01-25 2002-01-25 슬라이드형 차량용 방호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4030Y1 true KR200274030Y1 (ko) 2002-05-01

Family

ID=731166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2434U KR200274030Y1 (ko) 2002-01-25 2002-01-25 슬라이드형 차량용 방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403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2953B1 (ko) * 2002-07-03 2004-10-14 동일고무벨트주식회사 차량충격 흡수장치와 병용되는 차량반발 억제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2953B1 (ko) * 2002-07-03 2004-10-14 동일고무벨트주식회사 차량충격 흡수장치와 병용되는 차량반발 억제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527233B1 (en) Vehicular impact absorbing apparatus having cushion pins
KR101964396B1 (ko) 방호울타리 단부 충격흡수장치
EP3040480A1 (en) Collision shock-absorbing device
KR101658915B1 (ko) 도로안전시설용 차량 충격흡수장치
KR100500653B1 (ko) 차량방호 울타리의 설치구조
KR100348707B1 (ko) 차량용 충격 흡수장치
KR100649365B1 (ko) 커브길 도로에 설치되는 차량 충격 흡수용 가드레일
KR200391835Y1 (ko) 복합형 차량 방호책
KR200274030Y1 (ko) 슬라이드형 차량용 방호장치
KR100499530B1 (ko) 가드레일
KR101267446B1 (ko) 가드레일 전방부의 차량 충돌시 충격흡수장치
KR101710167B1 (ko) 충격흡수식 이중 차량용 방호울타리
KR100587652B1 (ko) 소음 및 충격 흡수 수단이 구비된 도로 중앙분리대
KR20120090908A (ko) 충격흡수가드레일
KR101328677B1 (ko) 충격완화형 가드레일
KR101422598B1 (ko) 차량충돌 완충장치 및 이의 설치방법
KR100711965B1 (ko) 충격흡수용 도로용 가드레일 설치구조
KR100889943B1 (ko) 절삭에너지를 이용한 충격흡수시설
KR20070122087A (ko) 도로 설치용 완충장치
KR20160027702A (ko) 차량방호울타리 레일 프레임
KR20090102263A (ko) 도로설치용 복원형 충격흡수장치
KR100515988B1 (ko) 방호책용 완충지주
KR200207038Y1 (ko) 충격완화용 중앙분리대
KR200252858Y1 (ko) 고무판과 슬립 파이프를 이용한 충격흡수용 도로시설물
KR20030077903A (ko) 충격완화 되는 도로용 가이드레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125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