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2811Y1 - 자동차의 충격흡수 도로시설물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충격흡수 도로시설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2811Y1
KR200252811Y1 KR2020010020956U KR20010020956U KR200252811Y1 KR 200252811 Y1 KR200252811 Y1 KR 200252811Y1 KR 2020010020956 U KR2020010020956 U KR 2020010020956U KR 20010020956 U KR20010020956 U KR 20010020956U KR 200252811 Y1 KR200252811 Y1 KR 20025281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ing
spring box
box
fastened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095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택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종합기술개발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종합기술개발공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종합기술개발공사
Priority to KR202001002095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2811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281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2811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의 충격흡수 도로시설물에 관한 것으로, 일반적인 도로의 터널입구에 자동차가 충돌시 충격을 흡수하여 자동차의 파손을 줄이고 인명피해를 최소화 하는 것이 목적이다.
본 고안은 각각의 스프링 박스(90,100,110,120)의 내부에 스프링(85)이 스프링 고정대 피스톤(80)을 공통축으로 하여 내장되어 있고, 상기 스프링 박스(90,100,110,120)의 하단부에 형성된 레일홈(17)과 기초콘크리트(20)에 앙카볼트(56)로 체결되어 있는 레일(55)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체결되고, 상기 스프링 박스(90,100,110,120)의 외곽에는 고무재질의 벌집형 탄성부(130)가 안착되고 고무커버(140)로 체결된 구조를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술한 고안은 표면의 우레탄고무 커버 및 내부의 벌집형상의 우레탄고무와 스프링이 내장된 스프링 박스로 인해 자동차가 상기 장치에 충돌시 박스가 접히면서 벌집형 특수고무가 충격을 흡수하여 차량의 파손과 인명의 피해를 막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충격흡수 도로시설물{Road equipment of impact suction by vehicles}
본 고안은 자동차의 충격흡수 도로시설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충격을 원활히 흡수할 수 있고 충돌사고후에도 스프링이 접혔다 복원력으로 인해 다시 펴지는 역할을 하여 원상복구됨으로써 자동차가 받는 충격을 완화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와 도로시설물의 충돌은 도로현장에서는 빈번히 발생되고 있으며, 상기와 같은 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중앙분리대나 펜스 또는 도로터널입구에 플라스틱통이나 철재시설물을 설치하고 있으나 상기와 같은 시설물은 자동차의 충돌시 자동차의 파손이 크며, 또한 시설물의 손괴도 커서 복구 및 보수에 많은 비용이 소요되고 무엇보다도 인명피해가 커지는 대형사고로 연결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자동차의 충격흡수 도로시설물에 관한 것으로, 일반적인 도로의 터널입구에 자동차가 충돌시 충격을 흡수하여 자동차의 파손을 줄이고 인명피해를 최소화 하는 것이 목적이다.
상기 기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일반적인 도로의 시설물에 있어, 기초 콘크리트에 수직방향의 버팀대가 설치되고, 상기 버팀대의 지면 노출부위의 상단과 하단에 수평방향의 보강빔이 볼트로 체결되며, 상기 보강빔의 전면에 2개의 스프링고정대 피스톤홀이 상하로 형성된 'ㄷ'형상의 보강판이 볼트로 체결되어 있으며, 곡면부의 상하단에 2개의 스프링고정대 피스톤홀이 형성되고 양끝단의 절곡부가 상기 보강판에 볼트로 체결되는 '⊃' 형상의 제1스프링 박스와 상기 제1스프링 박스의 곡면부에는 상기 제1스프링 박스 보다 조금 큰 폭의 제2스프링 박스가 이동가능하게 끼워지며, 마찬가지로 상기 제2스프링 박스 보다 조금 큰 폭의 제3스프링 박스가 이동가능하게 끼워지며, 또한 상기 제3스프링 박스 보다 조금 큰 폭의 제4스프링 박스가 이동가능하게 순차적으로 끼워지는 구조이며, 상기 스프링 박스의 곡면부에 형성된 2개의 스프링고정대 피스톤홀에는 스프링고정대 피스톤이 끼움형식으로 관통되고 상기 제1, 제2, 제3, 제4스프링 박스에는 스프링고정대 피스톤을 공통축으로 하여 각각의 스프링이 장착되어 있어 외부에서 충격시 제4스프링 박스로 부터 순차적으로 내부로 슬라이딩 하여 압착되는 구조이며,
또한 상기 각각의 스프링 박스의 하단에는 기초콘크리트에 앙카볼트로 장착된 레일과 맞물려 슬라이딩 가능하게 레일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4스프링 박스의 외부에는 '⊃' 형상의 고무재질의 벌집형 탄성부가 장착되고, 최외곽에는 고무커버가 보강판의 윙에 볼트로 체결되어 부착되는 구조인 자동차의 충격흡수 도로시설물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
도 4는 본 고안인 자동차의 충격흡수 도로시설물에 자동차가 충돌시의 상황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념도.
도 5a,5b,5c,5d,5e,5f,5g,5h는 본 고안인 자동차의 충격흡수 도로시설물의 구조를 나타낸 분해 상세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
10 : 버팀대 15 : 체결볼트
16 : 스프링고정대 피스톤홀 17 : 레일홈
18 : 곡면부 19 : 절곡부
20 : 기초 콘크리트 30 : 가로보강빔
40 : 보강판 41 : 윙
55 : 레일 56 : 앙카볼트
80 : 스프링고정대 피스톤 85 : 스프링
90 : 제1스프링 박스 100 : 제2스프링 박스
110 : 제3스프링 박스 120 : 제4스프링 박스
130 : 벌집형 탄성부 140 : 고무커버
본 고안은 자동차의 충격흡수 도로시설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충격을 원활히 흡수할 수 있고 충돌사고 후에도 스프링이 접혔다 복원력으로 인해 다시 펴지는 역할을 하여 원상복구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성과 일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초 콘크리트(20)에 수직방향의 버팀대(10)가 설치되고, 상기 버팀대(10)의 지면 노출부위의 상단과 하단에 수평방향의 보강빔(30)이 볼트(15)로 체결되며, 상기 보강빔(30)의 전면에 2개의 스프링고정대 피스톤홀(16)이 상하로 형성된 'ㄷ'형상의 보강판(40)이 볼트로 체결되어 있으며, 곡면부(18)의 상하단에 2개의 스프링고정대 피스톤홀(16)이 형성되고 양끝단의 절곡부(19)가 상기 보강판(40)에 볼트로 체결되는 '⊃' 형상의 제1스프링 박스(90)와 상기 제1스프링 박스(90)의 곡면부(18)에는 상기 제1스프링 박스(90) 보다 조금 큰 폭의 제2스프링 박스(100)가 이동가능하게 끼워지며, 마찬가지로 상기 제2스프링 박스(100) 보다 조금 큰 폭의 제3스프링 박스(110)가 이동가능하게 끼워지며, 또한 상기 제3스프링 박스(110) 보다 조금 큰 폭의 제4스프링 박스(120)가 이동가능하게 순차적으로 끼워지는 구조이며, 상기 스프링 박스(90,100,110.,120)의 곡면부(18)에 형성된 2개의 스프링고정대 피스톤홀(16)에는 스프링고정대 피스톤(80)이 끼움형식으로 관통되고 상기 제1, 제2, 제3, 제4스프링 박스(90,100,110,120)에는 스프링고정대 피스톤(80)을 공통축으로 하여 각각의 스프링(85)이 장착되어 있어 외부에서 충격시 제4스프링박스(120)로 부터 순차적으로 내부로 슬라이딩 하여 압착되는 구조이며,
또한 상기 각각의 스프링 박스(90,100,110,120)의 하단에는 기초콘크리트(20)에 앙카볼트(56)로 장착된 레일(55)과 맞물려 슬라이딩 가능하게 레일홈(17)이 형성되고, 상기 제4스프링 박스(120)의 외부에는 '⊃' 형상의 고무재질의 벌집형 탄성부(130)가 장착되고, 최외곽에는 고무커버(140)가 보강판(40)의 윙(41)에 볼트로 체결되어 부착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측단면도인 도2 및 평면도인 도3에서 알 수 있듯이, 각각의 스프링 박스(90,100,110,120)의 내부에는 스프링(85)이 스프링 고정대 피스톤(80)을 공통축으로 하여 내장되어 있고 상기 스프링 박스(90,100,110,120)의 하단부에 형성된 레일홈(17)과 기초콘크리트(20)에 앙카볼트(56)로 체결되어 있는 레일(55)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체결되고 상기 스프링 박스(90,100,110,120)의 외곽에는 고무재질의 벌집형 탄성부(130)가 장착되어 자동차와의 충돌시 충격을 흡수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의 본 고안이 자동차와 충돌시의 상황을 도시한 상황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무재질의 벌집형 탄성부(130)에서 1차적으로 충격을 흡수하고 2차적으로 상기 고무재질의 벌집형 탄성부(130)의 내측에 장착되어 있는 스프링 박스(90,100,110,120)에서 외곽의 제4스프링 박스(120)로 부터 순차적으로 접힘형식으로 슬라이딩하여 충격을 흡수하는 기능을 가진다.
이상으로 상기 기술한 본 고안인 자동차의 충격흡수 도로시설물의 분해 상세도를 설명하면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팀대(10) 역할을 하는 H형강을 항타하고 기초 콘크리트(20)를 타설하여 고정하며, 상기 버팀대(10)에 수평방향으로 가로보강빔(30)을 거치하고 볼트체결하여 버팀부위가 형성되고, 도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부위에 상하로 2개의 스프링고정대 피스톤홀(16)이 형성된 'ㄷ'형상의 보강판(40)이 상기 가로보강빔(30)의 전방에 체결되며, 도5c는 기초 콘크리트(20)에 레일 앙카볼트(56)로 레일을 체결한 구조를 나타내고 있으며, 도5d는 각각의 스프링 박스(90,100,110,120)를 관통하여 체결되는 스프링 고정대 피스톤(80)과 상기 스프링 고정대 피스톤(80)을 공통축으로 하여 스프링(85)이 삽입되어 있는 구조를 나타내고 있으며, 도5e에서는 제1단, 제2단, 제3단, 제4단 스프링 박스(90,100,110,120)가 끼움형식으로 체결되어 있는 구조와 상기 도5c의 레일과 슬라이딩 가능하게 맞물리게 형성된 레일홈(17)이 스프링 박스(90,100,110,120)의 하단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프링 박스(90,100,110,120)를 둘러싸며 '⊃'형상의 고무재질의 벌집형 탄성부(130)를 도5f에서 도시하고 있으며, 본 고안의 최외곽에는 도5g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무커버(140)가 보강판(40)의 윙(41)에 볼트결합되어 고정되는 구조로 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고안인 자동차의 충격흡수 도로시설물은 도로시설물 표면의 우레탄고무 커버와 내부의 우레탄고무 재질의 벌집형상의 탄성부로 인해 자동차가 상기 장치에 충돌시 박스가 접히면서 벌집형상의 탄성부와 상기 스프링 박스가 충격을 흡수하여 차량의 파손과 인명의 피해를 막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일반적인 도로의 시설물에 있어, 기초 콘크리트(20)에 수직방향의 버팀대(10)가 설치되고, 상기 버팀대(10)의 지면 노출부위의 상단과 하단에 수평방향의 보강빔(30)이 볼트(15)로 체결되며, 상기 보강빔(30)의 전면에 2개의 스프링고정대 피스톤홀(16)이 상하로 형성된 'ㄷ'형상의 보강판(40)이 볼트로 체결되어 있으며, 상기 보강판(40)의 전면에는 '⊃'형상의 제1스프링 박스(90)가 볼트로 체결되고 이어 순차적으로 제2,제3,제4스프링 박스(100,110,120)가 끼움형식으로 장착되며,
    상기 각각의 스프링 박스(90,100,110,120)의 하단에는 기초콘크리트(20)에 앙카볼트(56)로 장착된 레일(55)과 맞물려 슬라이딩 가능하게 레일홈(17)이 형성되고, 상기 제4스프링 박스(120)의 외벽에는 '⊃' 형상의 고무재질의 벌집형 탄성부(130)가 안착되며, 최외곽에는 고무커버(140)가 보강판(40)의 윙(41)에 볼트결합되어 부착되는 구조를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충격흡수 도로시설물.
  2. 상기 제1항의 스프링 박스에 있어, 곡면부(18)의 상하단에 2개의 스프링고정대 피스톤홀(16)이 형성되고 양끝단의 절곡부(19)가 상기 보강판(40)에 볼트로 체결되는 '⊃' 형상의 제1스프링 박스(90)와 상기 제1스프링 박스(90)의 곡면부(18)에는 제2스프링 박스(100)가 이동가능하게 끼워지며, 상기 제2스프링 박스(100)의 곡면부(18)에는 제3스프링 박스(110)가 이동가능하게 끼워지며, 또한 상기 제3스프링 박스(110)의 곡면부(18)에는 제4스프링 박스(120)가 이동가능하게 끼워지는 구조를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충격흡수 도로시설물.
  3. 상기 제1항의 스프링 박스에 있어, 상기 스프링 박스(90,100,110,120)의 곡면부(18)에 형성된 2개의 스프링고정대 피스톤홀(16)에는 스프링고정대 피스톤(80)이 끼움형식으로 관통되고 상기 제1, 제2, 제3, 제4스프링 박스(90,100,110,120)에는 스프링고정대 피스톤(80)을 공통축으로 하여 각각의 스프링(85)이 장착되어 있어 외부에서 충격시 제4스프링 박스(120)로 부터 순차적으로 내부로 슬라이딩 하여 압착되는 구조를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충격흡수 도로시설물.
KR2020010020956U 2001-07-11 2001-07-11 자동차의 충격흡수 도로시설물 KR20025281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0956U KR200252811Y1 (ko) 2001-07-11 2001-07-11 자동차의 충격흡수 도로시설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0956U KR200252811Y1 (ko) 2001-07-11 2001-07-11 자동차의 충격흡수 도로시설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2811Y1 true KR200252811Y1 (ko) 2001-11-17

Family

ID=731049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0956U KR200252811Y1 (ko) 2001-07-11 2001-07-11 자동차의 충격흡수 도로시설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2811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2953B1 (ko) * 2002-07-03 2004-10-14 동일고무벨트주식회사 차량충격 흡수장치와 병용되는 차량반발 억제장치
KR100782050B1 (ko) 2006-11-08 2007-12-04 신성이앤씨 주식회사 도로 분기점용 충격흡수장치
KR100869344B1 (ko) 2008-05-27 2008-11-19 광주광역시 남구 도로용 충격흡수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2953B1 (ko) * 2002-07-03 2004-10-14 동일고무벨트주식회사 차량충격 흡수장치와 병용되는 차량반발 억제장치
KR100782050B1 (ko) 2006-11-08 2007-12-04 신성이앤씨 주식회사 도로 분기점용 충격흡수장치
KR100869344B1 (ko) 2008-05-27 2008-11-19 광주광역시 남구 도로용 충격흡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36986B1 (en) Energy absorption apparatus with collapsible modules
CN113123274B (zh) 一种高速公路防撞护栏
GB2433285A (en) Vehicle restraining fence for a building
KR100348707B1 (ko) 차량용 충격 흡수장치
KR100584083B1 (ko) 도로의 충격흡수용 가드레일
KR200252811Y1 (ko) 자동차의 충격흡수 도로시설물
KR100588257B1 (ko) 교량용 차량 방호책 장치 및 시공방법
KR101630852B1 (ko) 탄성 지주를 이용한 방호 울타리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1630851B1 (ko) 완충형 핸드레일을 갖는 방호 울타리 및 이의 시공 방법
CN215518549U (zh) 一种公路护栏防撞气囊装置
KR101791997B1 (ko) 완충 구조를 겸비한 충격흡수가드레일
CN113356112A (zh) 一种公路护栏防撞气囊装置
KR102185578B1 (ko) 가드레일에 대한 충격흡수 및 승월방지를 위한 가드레일 보강구조
CN210597123U (zh) 一种城市道路用防撞吸能柱结构
KR200321305Y1 (ko) 지하차도 입구용 충격흡수장치
KR101172470B1 (ko) 차량 방호책
KR101420213B1 (ko) 충격 흡수 장치
JP3831776B2 (ja) ガードレールの衝撃吸収構造体
KR100900792B1 (ko) 보도 차도용 방호 울타리
KR100944623B1 (ko) 도로 분리대
CN219992300U (zh) 一种路桥防撞护栏
KR200339521Y1 (ko) 교량용 휀스
KR100515988B1 (ko) 방호책용 완충지주
KR200323065Y1 (ko) 도로 중앙분리대 입구용 충격흡수장치
KR100560732B1 (ko) 회전마찰재를 이용한 충격 흡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907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