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8377Y1 - 경계석 - Google Patents

경계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8377Y1
KR200248377Y1 KR2020010012393U KR20010012393U KR200248377Y1 KR 200248377 Y1 KR200248377 Y1 KR 200248377Y1 KR 2020010012393 U KR2020010012393 U KR 2020010012393U KR 20010012393 U KR20010012393 U KR 20010012393U KR 200248377 Y1 KR200248377 Y1 KR 20024837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undary stone
boundary
front side
road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239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부영
Original Assignee
오부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부영 filed Critical 오부영
Priority to KR202001001239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837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837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8377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경계석의 상부(1)와, 상기 상부의 일측면 하부에 형성된 전면 측부(2)와, 상기 전면측부(2)의 일측에 형성된 측면요홈부(3)와, 상기 측면요홈부(3)의 일측에 형성되어 경계석내부로 관통되어 배수되는 두개의 배수공(4)과, 상기 전면측부(2) 하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소정두께의 걸림턱 역할을 하여 경계석을 고정시키는 단턱(5)과, 상기 전면측부(2)의 반대편에 형성되어 있으며 배수공(4)이 형성된 후면부(6)로 구성된 경계석인 것이다.

Description

경계석{Boundary stone}
본 고안은 인도와 차도를 구분하는 도로용 경계석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일반도로의 측부 또는 배수로의 일측면에 형성하여 배수를 원할 히 할 수 있으며, 뛰어난 경제성과 시공상의 편리와 보다 견고하고 미려한 외관을 가지는 경계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도로용 경계석은 전면이 경사지게 형성되어 상박하후 형태가 되면서, 그전면 상부가 원호형으로 형성된 소정길이의 블록을 콘크리트로 제작 형성한 뒤, 이를 차도와 인도의 경계선상에 설치하게 되는데, 이를 설치할 때에는 각각의블록 저면과 이음부인 양측면을 모르타르로써 접착하였다.
그러나, 이는 블록이 콘크리트로서 속이 꽉차게 형성되었기 때문에 무게가 대단히 무거워 건장한 성인 2명이 공구를 사용하여 들어야만 듣릴정도로 무거워서, 시공 및 운반상의 문제점으로 시공시간의 지연과 안전사고가 빈번하게 발생되는 등의 폐단을 내포하고 있었으며 중요하게는 블록이 중량체 이므로 하부의 지반이 침하됨에 따라 빗물 등이 블록하부로 스며들어 기온이 낮은 겨울철에는 동결되어 부피가 팽창하고 해빙기에는 녹아 부피가 수축되는 동작이 반복적으로 발생됨에 따라서 경계블록이 들떠 본래 시공된 위치에서 벗어나, 보수작업을 요하는 문제점이 있어 이를 개량하고자 많은 연구가 있어 왔다.
국내공개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 제94-20776호에는 콘크리트부재가 충진되도록 하부측으로 충진홈이 형성된 폴리에틸렌과 부자재와의 혼합재질로 이루어진 블록과, 상기 블록의 상부와 전면에 대해 길이 방향으로 야광도료가 도색 되도록 요홈이 형성된 도로 경계블록이 기재되어 있으며,
국내공개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 제95-33374호에는 블록의 내측면에 일정간격으로 매입공을 형성하고, 상기 매입공에 글라스 비이드의 일부가 매입되게 고착시켜 야간에 글라스 비이드가 가로등 또는 전조등의 불빛을 받아 반짝이게 하여 블록의 위치를 운전자가 용이하게 식별하여 도로의 경계를 알 수 있도록 구성한 도로경계블록이 공개되어 있고,
국내공개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 제90-3029호에는 요입부와 경계블록 본체에 다수개의 구멍이 뚫려 있는 동공부와 모서리에 일체로 형성된 야광표시층으로 구성된 경계블록이 기재되어 있으며,
국내공개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 제92-4492호에는 전단부를 돌출부로 돌출하고 후미부를 요입부를 형성한 경계블록은 측단을 고정부로 일체로 돌설하되, 상기 경계블록 몸체내부에 홈을 형성한 도로용 경계블록이 기술되어 있고,
국내공개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 제97-18120호에는 본체 저면에 반타원형 홈을 내고 기역자 형 철근을 일정간격으로 삽입한 도로경계블록이 알려져 있으나,
상기 종래의 도로용 경계블록은 강도가 너무 높아 모서리나 가장자리가 충격에 의해 쉽게 파손되어 미관상 좋지 못하고 배수가 되지 않아 물이 고요 보수가 요구되며, 시공 시에도 많은 어려운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반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경계석 형성함으로써, 시공시간의 단축과 운반상의 편리성 도모는 물론 도로의 하수를 배수통공을 이용하여 빗물 등을 단시간 내에 배수시켜, 도로의 파손 및 도시경관을 깨끗하게 하여 환경오염의 방지와 경제성을 대폭향상 시킬 수 있는 도로용 경계석을 제공함에 있다.
도1 본 고안의 경계석 상세도
도2 본 고안의 경계석 측면상세도
도3 본 고안의 경계석 설치상태도
<도면의 부호>
상부(1), 측부(2), 측면요홈부(3), 배수통공(4), 단턱(5),
후면부(6)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경계석의 상부(1)와, 상기 상부의 일측면 하부에 형성된 전면 측부(2)와, 상기 전면측부(2)의 일측에 형성된 측면요홈부(3)와, 상기 측면요홈부(3)의 일측에 형성되어 경계석내부로 관통되어 배수되는 두개의 배수공(4)과, 상기 전면측부(2) 하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소정두께의 걸림턱 역할을 하여 경계석을 고정시키는 단턱(5)과, 상기 전면측부(2)의 반대편에 형성되어 있으며 배수공(4)이 형성된 후면부(6)로 구성된 경계석인 것이다.
이하 이 고안에 따른 도로용 경계블럭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 본 고안의 경계석 상세도, 도2 본 고안의 경계석 측면상세도, 도3 본 고안의 경계석 설치상태도를 도시한 것이며, 상부(1), 측부(2), 측면요홈부(3), 배수통공(4), 단턱(5), 후면부(6)를 나타낸 것임을 알 수 있다.
구성을 살펴보면, 도면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도와 차도 또는 차도와 자전거도로의 경계선상에 설치되어 인도와 차도를 구분하는 도로용 경계석에 있어서, 전면이 경사지어 상박하후 형태를 지니면서 소정길이를 가진 경계석의 상부(1)와, 상기 상부의 일측면 하부에 형성된 전면 측부(2)와, 상기 전면측부(2)의 일측에 형성된 측면요홈부(3)와, 상기 측면요홈부(3)의 일측에 형성되어 경계석내부로 관통되어 배수되는 두개의 배수공(4)과, 상기 전면측부(2) 하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소정두께의 걸림턱 역할을 하여 경계석을 고정시키는 단턱(5)과, 상기 전면측부(2)의 반대편에 형성되어 있으며 배수공(4)이 형성된 후면부(6)로 구성된 경계석인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크리트 바닥으로 형성되거나 아스팔트로 된 도로 측면의 배수로 상에 고정 부착된 경계석에 이어서 또 다른 도로용 경계석을 설치하는데, 먼저 설치된 도로용 배수구의 상부 일측에 단턱(5)이 얹히도록 고정시켜 설치한 후에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원하는 길이까지 다수개의 경계석을 설치하거나, 또 다른 종래의 경계석을 교대로 설치하여 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은 공장에서 대량으로 제조하여 시공 시까지 운반하여 현장에서는 준비된 본 고안의 경계석을 시공하므로서, 운반및 시공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경계석의 하부로 침투된 물이 배수공에 의해 즉시 배수로로 배수시키므로서, 기온이 낮은 겨울철 동결에 의해 도로의 모르타르에 고인 빗물이 얼어 부피 팽창되어 파손되는 현상을 방지하고, 상기 경계석에 다양한 색상으로 표면 처리하여 주차가능 구역이나 정류장 구역 또는 일반통행로등 각종 표시용으로의 사용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외형이 미려하여 도시미관을 좋게 하는 이점을 지니고 있는 것이다.
또한, 경계석과 배수로간에는 단턱(5)이 형성되어 있어 설치가 용이하고, 경계석을 고정시킬 수 있으며, 선을 맞추기가 편리하고 이음부를 별도로 공사하지 않아도 되어 공사비를 대폭 절감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Claims (1)

  1. 인도와 차도 또는 차도와 자전거도로의 경계선상에 설치되어 인도와 차도를 구분하며 전면이 경사지어 상박하후 형태를 지니면서 소정길이를 가진 경계석에 있어서,
    경계석의 상부(1)와, 상기 상부의 일측면 하부에 형성된 전면 측부(2)와, 상기 전면측부(2)의 일측에 형성된 측면요홈부(3)와, 상기 측면요홈부(3)의 일측에 형성되어 경계석내부로 관통되어 배수되는 두개의 배수공(4)과, 상기 전면측부(2) 하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소정두께의 걸림턱 역할을 하여 경계석을 고정시키는 단턱(5)과, 상기 전면측부(2)의 반대편에 형성되어 있으며 배수공(4)이 형성된 후면부(6)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경계석.
KR2020010012393U 2001-04-28 2001-04-28 경계석 KR20024837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2393U KR200248377Y1 (ko) 2001-04-28 2001-04-28 경계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2393U KR200248377Y1 (ko) 2001-04-28 2001-04-28 경계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8377Y1 true KR200248377Y1 (ko) 2001-10-31

Family

ID=730652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2393U KR200248377Y1 (ko) 2001-04-28 2001-04-28 경계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837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49001A (en) Safety roadway delineator effective during rainy night-time driving conditions
KR100935790B1 (ko) 매립형 가로등기초대 및 이를 이용한 가로등 설치방법
KR20110016158A (ko) 수로가 구비된 엘형 유공 측구
KR200248377Y1 (ko) 경계석
KR100717112B1 (ko) 다기능 도로경계블록
JP2003074008A (ja) 排水性舗装用境界ブロック
CN204825561U (zh) 连锁功能隐蔽式混凝土路边石
KR200378344Y1 (ko) 도로경계석
KR200327724Y1 (ko) 도로경계블록
CN211897677U (zh) 一种嵌挤式建筑垃圾路缘石
CN201024368Y (zh) 一种排水路缘石
KR20040017262A (ko) 도로포장용 조립식 콘크리트 패널 및 이를 이용한 도로포장 방법
KR0126376Y1 (ko) 차선경계블럭
KR102475902B1 (ko) 폐자재를 이용한 기능성 보차도 경계석 및 이의 시공 방법
KR200185662Y1 (ko) 보차도 경계블럭
CN211547229U (zh) 一种沥青复合式市政道路路面结构
CN220413921U (zh) 一种坡面防滑路缘石
KR101406295B1 (ko) 경계석
KR200288079Y1 (ko) 탈 부착이 가능한 보차도 경계블럭과 경계블럭 받침대
CN213013749U (zh) 一种市政公路用防内涝海绵砖结构
KR20110015772A (ko) 자전거 도로 구축용 블럭
KR200219085Y1 (ko) 배수용 경계석을 겸한 도로중앙분리대
KR102206774B1 (ko) 매설형 신호등이 구비된 험프형 횡단보도
KR101135324B1 (ko) 간선도로용 자전거 도로 구축용 블럭
KR200248495Y1 (ko) 차도 인도 경계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917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