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19085Y1 - 배수용 경계석을 겸한 도로중앙분리대 - Google Patents

배수용 경계석을 겸한 도로중앙분리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19085Y1
KR200219085Y1 KR2020000029097U KR20000029097U KR200219085Y1 KR 200219085 Y1 KR200219085 Y1 KR 200219085Y1 KR 2020000029097 U KR2020000029097 U KR 2020000029097U KR 20000029097 U KR20000029097 U KR 20000029097U KR 200219085 Y1 KR200219085 Y1 KR 20021908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ntral
drainage
separator
road
boundary st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2909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부영
Original Assignee
상원개발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상원개발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상원개발산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0002909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908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908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9085Y1/ko

Links

Landscapes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도로 주변에 설치되어 차도와 인도 또는 차도와 자전거도로의 경계석으로 사용되며, 도로경계석 측면하부일부에 배수통공을 만들고 배수공의 하부에 배수로를 형성시켜 차도 또는 인도 쪽으로 흐르는 빗물이나 오수 등을 즉시 상기 배수통공으로 유입시켜 배출토록 하는 배수용 경계석을 겸한 도로중앙분리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배수용 경계석을 겸한 도로중앙분리대 {Drainage for boundary stone use median strip}
본 고안은 배수용 경계석을 겸한 도로중앙분리대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히 설명하면, 도로 주변에 설치되어 차도와 인도 또는 차도와 자전거도로의 경계석으로 사용되며, 도로경계석 측면하부일부에 배수통공을 만들고 배수공의 하부에 배수로를 형성시켜 차도 또는 인도 쪽으로 흐르는 빗물이나 오수 등을 즉시 상기 배수통공으로 유입시켜 배출토록 하는 배수용 경계석을 겸한 도로중앙분리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주변에 설치되어 있는 도로경계석들은 인도와 차도의 경계석으로 사용되는 단순한 기능 외에는 별다른 기능이 없었으며, 도로의 배수를 원활히 하고자 도로의 중앙부에서 도로주변으로 경사지게 한 다음 도로경계석의 일부부분에 배수로역할을 하여 배수통공으로 배수된 물을 배수토록 하여왔다.
국내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171772호에는 단일몸체로 구성하여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배수공을 형성하고 배수공 일측에 차도 쪽을 향하도록 횡으로 빗물이나 오폐수가 유입되도록 입구전방에 망상의 오폐물 걸름망을 결합한 오폐수유입공을 형성하여 차도 양측으로 흐르는 빗물이나 오폐수 등이 오폐수 유입공으로 유입되어 배수공을 통하여 배출토록 하는 배수공을 형성한 도로경계석이 기재되어 있으며,
동공보 등록번호 20-154814호에는 최하부의 일측으로 오픈된 빗물유입구와 상기 빗물 유입구 쪽의 양단에는 앵커볼트구멍을 설치한 특수커버로 형성하고, 맨홀은 내측으로 특수커버가 고정 가능하게 길이방향으로 스틸플리이트를 형성하고 상기 스틸플레이트의 양단으로 조인트 연결앵커를 형성하여 장, 탈착되는 도로의 FRP특수중앙분리대가 기재되어 있으나.
상기 종래의 기술들은 통상의 경계석 또는 중앙분리대의 구성 및 작용기능을 탈피하지 못한 채 단순한 구성의 변경으로 종래의 문제점을 일부 개량하였을 뿐 근본적으로 경계석 또는 중앙분리대의 역할과 배수구의 역할의 기능을 동시에 갖고 있지 못한 문제점이 있어 배수의 문제점과, 경계석의 문제점을 별개로 해결하여 왔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경계석 또는 중앙분리대의 문제점과 도로의 배수에 관한 문제점을 동시에 해결하고자 고안한 것으로서, 도로공사에 필수적으로 사용되어야하는 흄관 및 집수정을 설치할 필요가 없으며, 설치가 간단한 배수용 경계석을 겸한 도로중앙분리대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도1은 본 고안의 배수용 경계석을 겸한 도로중앙분리대 상세도
도2는 본 고안의 배수용 경계석을 겸한 도로중앙분리대 단면도
도3은 본 고안의 배수를 겸한 경계선 도로중앙분리대 시공된 측면도
도4는 본 고안의 중앙분리대 상부로 야광경고등이 시공된 상태도
도5는 본 고안의 중앙분리대 상부로 차광판이 시공된 상태도
〈도면의 부호>
중앙분리대상부(1), 중앙분리대하부홈(2), 중앙분리대하부 돌기부(3),
통공(4), 배수관(5), 배수로(6), 중앙분리대측면(7), 중앙분리대(10),
차광판고정볼트(11), 차광판(12), 차광판지지대(13), 지지대베이스판(14),
상부가 경사진 중앙분리대(20), 야광경고등통공(21), 야광경고등(22)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영어 알파벳의 'T'자를 거꾸로 놓은 형태이며, 횡으로 길게 형성된 중앙분리대(10)와, 상기 중앙분리대(10)의 양끝단을 지지하는 두 개의 배수관(5)와, 성된 배수용 경계석을 겸한 도로중앙분리대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중앙분리대상부(1)와, 상기 중앙분리대상부(1)로부터 하부로 약간 경사진 형상을 갖는 측면(7)과, 상기 양 측면(7)하부에 형성된 중앙분리대하부홈(2)과, 상기 중앙분리대하부홈(2)에 형성된 다수개의 통공(4)과, 상기 중앙분리대 하부홈(2)의 테두리를 형성하며 상부로 약간 돌출된 중앙분리대 하부 돌기부(3)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중앙분리대하부돌기부(3)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중앙분리대(10)를 지지하는 배수관(5)과, 상기 중앙분리대(10)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다수개의 통공(4)과 관통된 배수로 (6)로 구성된 배수용 경계석을 겸한 도로중앙분리대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장치는 길이를 1m이상으로 배수공을 통하여 기계화 시공을 함으로 시공비의 절감 및 공사비 절감을 가져올 수 있으며, 하부에 측구 수로를 설치하여 그 위에 상기 제품을 올려놓는 것으로 차량 충돌로 인하여 파손이 되었을 때 즉시 교체가 가능하며 상기 제품이 수로관의 턱에 끼워짐으로 파손의 염려가 거의 없고
도로 공사에 필수적으로 사용되어야 하는 흄관 및 집수정을 설치할 필요가 없으므로 많은 비용 절감과 공기 단축을 가져올 수 있으며, 폭우로 인하여 도로의 이물질이 집수정을 통하여 측구 수로에 적층되더라도 간단히 경계석을 들어 올려 청소한 후에 다시 올려놓으면 물의 흐름 방해로 인하여 발생되는 모든 사고를 방지할 수 있으며,
도로와 자전거 도로에 별도의 턱을 만들 필요 없이 수로관을 설치한 후 경계석을 올려놓으면 자연적인 분위기에서 배수를 겸하며 경계가 분리되고 보행자나 자전거가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고
상단부위에 조립식 앵커를 설치하여 고속도로 중앙분리대로 사용할 경우에는 위에서 불빛 반사막을 설치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야광판을 설치하여 야간에 도로 주행 및 인도의 보도 주행에 편리함을 줄 수 있으며,
고속도로 중앙대로 사용시에는 양쪽 옆에 상단과 단에 조인트 볼트를 설치하여 윗부분에 불빛 차단막을 위한 볼트를 삽입하여 제작한 분리대를 도면의 폭에 따라 강수량을 계산하여 밑부분에 적적한 크기의 측구 수로관을 설치하여 길이 2m이상 배수공을 갖춘 중앙분리대를 설치하여 일석이조의 효과를 얻을 수 있고,
콘크리트 경계석의 문제점으로 대두된 동파 및 내구성에 대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콘크리트 배합설계 300㎏F/㎠ 이상의 강도로 채택하여 시멘트 물 비율을 현저히 낮추어 제품을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표면은 자연석 문양과 다양한 표현으로 환경 친화적인 제품으로 도심과 야외주변에 조화를 이룰 수 있으며, 경사석이나 낮춤석을 자유자재로 시공 할 수 있도록 제작하여 사용할 수 있는 고안인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고안의 배수용 경계석을 겸한 도로중앙분리대 상세도, 도2는 본 고안의 배수용 경계석을 겸한 도로중앙분리대 측면도, 도3은 본 고안의 배수를 겸한 경계선 도로중앙분리대 시공된 상태도, 도4는 본 고안의 중앙분리대 상부로 야광경고등이 시공된 상태도 및 도5는 본 고안의 중앙분리대 상부로 차광판이 시공된 상태도를 도시한 것이며, 중앙분리대상부(1), 중앙분리대하부홈(2), 중앙분리대하부 돌기부(3), 통공(4), 배수관(5), 배수로(6), 중앙분리대측면(7), 중앙분리대(10), 차광판고정볼트(11), 차광판(12), 차광판지지대(13), 지지대베이스판(14), 상부가 경사진 중앙분리대(20), 야광경고등통공(21) 및 야광경고등(22)을 나타낸 것임을 알 수 있다.
구조를 살펴보면, 영어 알파벳의 'T'자를 거꾸로 놓은 형태이며, 횡으로 길게 형성된 중앙분리대(10)와, 상기 중앙분리대(10)의 양 끝단을 지지하는 두 개의 배수관(5)으로 구성된 배수용 경계석을 겸한 도로중앙분리대에 관한 것으로서,
도1 및 도2는 중앙분리대(10)의 형상을 나타낸 것으로서, 중앙분리대상부(1)와, 상기 상부에 형성된 차광판고정볼트(11) 및 야광경고등통공(21)과,
상기 중앙분리대상부(1)로부터 하부로 약간 경사진 형상을 갖는 측면(7)과, 상기 양 측면(7)하부에 형성된 중앙분리대하부홈(2)과,
상기 중앙분리대하부홈(2)에 형성된 다수개의 통공(4)과,
상기 중앙분리대 하부홈(2)의 테두리를 형성하며 상부로 약간 돌출된 중앙분리대 하부 돌기부(3)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중앙분리대하부돌기부(3)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중앙분리대 (10)를 지지하는 배수관(5)과, 상기 중앙분리대(10)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다수개의 통공(4)과 관통된 배수로(6)로 구성된 배수용 경계석을 겸한 도로중앙분리대인 것이다.
도3은 본 고안의 배수용 경계석을 겸한 도로중앙분리대를 설치한 측면을 나타낸 것으로서, 도로의 시작이나 마지막 부분은 상부가 경사진 중앙분리대(20)를 형성하여 도시의 미관을 수려하게 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상기 중앙분리대상부(1)와, 상기 상부에 형성된 차광판고정볼트(11)에 설치된 차광판(12)과, 상기 차광판(12)을 지지하는 차광판지지대(13)와, 상기 차광판지지대(13)에 연결되어 상기 중앙분리대(10)에 부착시키는 지지대베이스판(14)으로 구성된 것이며,
도4는 본 고안의 중앙분리대 상부로 야광경고등이 시공된 상태도로서, 상기 중앙분리대 상부(1)의 중앙에 설치되어 있으며, 운전자의 안전운행을 도와주는 야광경고등(22)을 부착시킨 것이고,
도5는 본 고안의 중앙분리대 상부로 차광판이 시공된 상태로 도3의 배수용 경계석을 겸한 도로중앙분리대를 설치한 측면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것으로서, 전방에서 오는 차량들의 불빛을 차단하여 운전자의 안전운행을 도와주는 차광판(12)을 설치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본 고안은 차량 충돌로 인하여 파손이 되었을 때 즉시 교체가 가능하며 상기 제품이 수로관의 턱에 끼워짐으로 파손의 염려가 거의 없고
도로 공사에 필수적으로 사용되어야 하는 흄관 및 집수정을 설치할 필요가 없으므로 많은 비용 절감과 공기 단축을 가져올 수 있으며, 폭우로 인하여 도로의 이물질이 집수정을 통하여 측구 수로에 적층되더라도 간단히 경계석을 들어 올려 청소한 후에 다시 올려놓으면 물의 흐름 방해로 인하여 발생되는 모든 사고를 방지할 수 있으며,
도로와 자전거 도로에 별도의 턱을 만들 필요 없이 수로관을 설치한 후 경계석을 올려놓으면 자연적인 분위기에서 배수를 겸하며 경계가 분리되고 보행자나 자전거가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고, 상단부위에 조립식 앵커를 설치하여 고속도로 중앙분리대로 사용할 경우에는 위에서 불빛 반사막을 설치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야광판을 설치하여 야간에 도로 주행 및 인도의 보도 주행에 편리함을 줄 수 있으며,
자연석 문양과 다양한 표현으로 환경 친화적인 제품으로 도심과 야외주변에 조화를 이룰 수 있으며, 경사석이나 낮춤석을 자유자재로 시공 할 수 있도록 제작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2)

  1. 배수용 경계석을 겸한 도로중앙분리대에 있어서,
    중앙분리대상부(1)와, 상기 상부에 형성된 차광판고정볼트(11) 및 야광경고등통공(21)과, 상기 중앙분리대상부(1)로부터 하부로 약간 경사진 형상을 갖는 측면(7)과, 상기 양 측면(7)하부에 형성된 중앙분리대하부홈(2)과, 상기 중앙분리대하부홈(2)에 형성된 다수개의 통공(4)과, 상기 중앙분리대 하부홈(2)의 테두리를 형성하며 상부로 약간 돌출된 중앙분리대 하부 돌기부(3)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중앙분리대하부돌기부(3)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중앙분리대 (10)를 지지하는 배수관(5)과, 상기 중앙분리대(10)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다수개의 통공(4)과 관통된 배수로(6)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용 경계석을 겸한 도로중앙분리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분리대상부(1)는 차광판고정볼트(11)에 설치되는 차광판(12)과, 상기 차광판(12)을 지지하는 차광판지지대(13)와, 상기 차광판지지대(13)에 연결되어 상기 중앙분리대(10)에 부착시키는 지지대베이스판(14)과, 상부의 또 다른 일측에 형성되어 있으며, 야광경고등(22)을 부착시키는 야광경고등통공 (21)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용 경계석을 겸한 도로중앙분리대.
KR2020000029097U 2000-10-19 2000-10-19 배수용 경계석을 겸한 도로중앙분리대 KR20021908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9097U KR200219085Y1 (ko) 2000-10-19 2000-10-19 배수용 경계석을 겸한 도로중앙분리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29097U KR200219085Y1 (ko) 2000-10-19 2000-10-19 배수용 경계석을 겸한 도로중앙분리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9085Y1 true KR200219085Y1 (ko) 2001-04-02

Family

ID=730589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29097U KR200219085Y1 (ko) 2000-10-19 2000-10-19 배수용 경계석을 겸한 도로중앙분리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9085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2030Y1 (ko) * 2016-02-04 2016-12-08 권혁희 수밀형 자연석문양 맨홀슬라브
CN110629701A (zh) * 2019-09-06 2019-12-31 中国建筑第八工程局有限公司 车辆限流桩及其施工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2030Y1 (ko) * 2016-02-04 2016-12-08 권혁희 수밀형 자연석문양 맨홀슬라브
CN110629701A (zh) * 2019-09-06 2019-12-31 中国建筑第八工程局有限公司 车辆限流桩及其施工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7138707A (ja) 透水性舗装用歩車道境界ブロック及び透水性舗装の排水構造
KR20120097848A (ko) 배수형 보차도 경계 블록
KR20110016158A (ko) 수로가 구비된 엘형 유공 측구
KR200219085Y1 (ko) 배수용 경계석을 겸한 도로중앙분리대
KR100466889B1 (ko) 도로용 보도블록
KR100917355B1 (ko) 보도블럭용 사각맨홀
CN201024368Y (zh) 一种排水路缘石
KR101301038B1 (ko) 타 도로 경계석과의 결합이 용이한 배수용 도로 경계석
KR200364528Y1 (ko) 도로의 측구 수로관 및 경계의 일체형 블록
KR100478606B1 (ko) 도로면과 접하는 인도면에 시공한 청소 및 빗물 배수로의구조
CN201151865Y (zh) 公路排水系统
CN205776674U (zh) 一种城市道路用排水井
JP3861082B2 (ja) 鋼製縁石兼排水溝ユニット
JP2005273154A (ja) 離脱防止機構を有する着脱自在の函渠用グレーチングおよびそれを利用した函渠用ブロック
CN213267385U (zh) 一种夜跑导航渗水跑道
KR200416122Y1 (ko) 도로용 배수구 구조
KR200230713Y1 (ko) 물튀김방지 휀스
RU221713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тведения воды с автомобильных дорог и тротуаров
KR200288079Y1 (ko) 탈 부착이 가능한 보차도 경계블럭과 경계블럭 받침대
RU222416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тведения воды с автомобильных дорог и тротуаров
CN220686247U (zh) 一种立箅式雨水口结构
KR100464500B1 (ko) 도로의 보도부 설치구조
KR100422609B1 (ko) 차도의 엘형측구에 배수형 측구를 설치하는 방법
KR102475902B1 (ko) 폐자재를 이용한 기능성 보차도 경계석 및 이의 시공 방법
CN220952777U (zh) 一种具备排水功能的路缘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122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