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6933A - 경계블럭을 활용한 조립형 도로측구 및 조립형 도로측구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경계블럭을 활용한 조립형 도로측구 및 조립형 도로측구의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6933A
KR20190086933A KR1020180005074A KR20180005074A KR20190086933A KR 20190086933 A KR20190086933 A KR 20190086933A KR 1020180005074 A KR1020180005074 A KR 1020180005074A KR 20180005074 A KR20180005074 A KR 20180005074A KR 20190086933 A KR20190086933 A KR 201900869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fastening
boundary
road
form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50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16837B1 (ko
Inventor
안주환
홍현주
Original Assignee
안주환
홍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주환, 홍현주 filed Critical 안주환
Priority to KR10201800050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6837B1/ko
Publication of KR201900869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69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68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68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2Gutters; Kerbs ; Surface drainage of streets, roads or like traffic areas
    • E01C11/221Kerbs or like edging members, e.g. flush kerbs, shoulder retaining means ; Joint members, connecting or load-transfer means specially for kerbs
    • E01C11/222Raised kerbs, e.g. for sidewalks ; Integrated or portable means for facilitating ascent or descent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12Paving elements vertically interlocking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16Elements joined together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20Drainage details
    • E01C2201/202Horizontal drainage channe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60Planning or developing urban green infra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경계블럭을 활용한 조립형 도로측구 및 조립형 도로측구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도로와 인도의 경계에 설치되는 도로측구의 시공방법으로서, 도로와 인도의 경계부분의 지면에 배치된 이물질을 제거하고 평탄화하는 기초단계; 상기 기초단계 이후에 평탄화된 지면의 상부에 거푸집을 설치하고 모르타르를 타설하여 상면에 체결돌기들이 형성된 기초모르타르층을 형성시키는 기초모르타르층 형성단계; 상기 체결돌기들에 끼움되도록 저면에 체결홈들이 형성되고, 상면부 일측에 결합홈부가 형성되며, 외측면부에 상향으로 경사지게 채움경사면이 형성된 측구블럭을 형성시키는 측구블럭형성단계; 상기 측구블럭의 결합홈부에 체결되는 경계블럭을 형성하는 경계블럭형성단계; 상기 측구블럭을 체결홈들을 상기 기초모르타르층의 체결돌기들에 끼워 상기 기초모르타르층의 상부에 적층되게 상기 측구블럭을 배치시키는 측구블럭체결단계; 상기 측구블럭의 결합홈부에 접착모르타르를 충진한 후 상기 경계블럭의 하부를 상기 결합홈부에 체결하는 경계블럭체결단계; 및 상기 측구블럭의 상기 채움경사면 높이까지 도로면에 아스콘을 타설하여 아스콘층을 형성시키는 아스콘층형성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계블럭을 활용한 조립형 도로측구의 시공방법 및 상기 경계블럭을 활용한 조립형 도로측구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도로와 인도를 구분하도록 설치되는 측구블럭 및 측구블럭에 체결되는 경계블럭을 현장에서 거푸집을 통해 형성시키지 않고 제조공장에서 생산하여 현장에 형성되는 기초모르타르층에 조립식으로 체결함으로써, 시공과정중 측구블럭 및 경계블럭을 형성시키기 위한 거푸집공정과 양생공정 없이 시공이 이루어져 공사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어 신속한 시공이 가능하며, 공정단축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시공 후 보행자나 차량이 통행하더라도 표면층이 부서지거나 벗겨지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므로 미관을 미려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보행자나 차량이 걸려 보행이나 주행에 불평을 초래하거나, 파인 부분을 다시 채우는 보수 작업을 주기적으로 해야 하는 유지 보수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측구블럭의 일부에서 손상 등 유지보수가 필요한 부분이 있을 경우, 그 부분만을 블럭 단위로 교체할 수 있으므로 전체를 뜯어내지 않아도 되어 유지보수에 따른 교통 통제를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경계블럭을 활용한 조립형 도로측구 및 조립형 도로측구의 시공방법 {Assembled road ditch using boarder blocks and construction method of the assembled road ditch}
본 발명은 경계블럭을 활용한 조립형 도로측구 및 조립형 도로측구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시공과정중 측구블럭 및 경계블럭을 형성시키기 위한 거푸집공정과 양생 공정없이 시공이 이루어져 공사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어 신속한 시공이 가능하며, 공정단축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되는 경계블럭을 활용한 조립형 도로측구 및 조립형 도로측구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이 다니는 도로와 사람의 통행을 위한 보도(인도) 사이에는 배수로 등의 확보를 위한 도로측구가 설치되고, 이러한 도로측구에는 우수(빗물) 등을 수집하여 도로의 외부로 배수하기 위한 집수구 및 이에 설치되는 그레이팅 받침대와 그레이팅이 설치된다.
이때, 도로측구는 도로의 구간에 따라 연속되도록 설치되는데, 도로의 구간이 직선 구간도 있지만 곡선 구간(예를 들어, 좌회전이나 우회전을 위한 커브 구간)도 있어서 도로측구 역시 직선 구간과 곡선 구간이 이어지는 구조를 취하는 것이 보통이다.
그러나, 도로측구는 모르타르를 타설하여 시공이 이루어지게 되는데, 양생하는 과정에서 표면에 물이 차올라 양생 후 표면에 얇은 표면층이 형성되며, 이러한 표면층은 보행자가 차량의 통행에 의해 쉽게 부서지므로 미관을 해치거나 부서진 부분이 점차 파이면서 차량이 통행중 걸려 주행의 불편을 초래하거나, 파인 홈을 채우는 작업을 주기적으로 해야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현장에서 모르타르를 타설하고 일정시간동안 경화시켜야 하므로 공사중 차량이 통행이 차단되어 불편을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이 상존하게 된다.
전술한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배경기술을 의미하며, 종래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951713호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우수(빗물)을 수집하여 배출시키기 위한 도로 측구 시설에 있어, 시공과정 중에 측구블럭 및 경계블럭을 형성시키기 위한 거푸집공정과 양생공정없이 시공이 이루어져 공사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어 신속한 시공이 가능하며, 공정단축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조립형 도로측구 및 조립형 도로측구의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도로와 인도의 경계에 설치되는 도로측구의 시공방법으로서,
도로와 인도의 경계부분의 지면에 배치된 이물질을 제거하고 평탄화하는 기초단계;
상기 기초단계 이후에 평탄화된 지면의 상부에 거푸집을 설치하고 모르타르를 타설하여 상면에 체결돌기들이 형성된 기초모르타르층을 형성시키는 기초모르타르층 형성단계;
상기 체결돌기들에 끼움되도록 저면에 체결홈들이 형성되고, 상면부 일측에 결합홈부가 형성되며, 외측면부에 상향으로 경사지게 채움경사면이 형성된 측구블럭을 형성시키는 측구블럭형성단계;
상기 측구블럭의 결합홈부에 체결되는 경계블럭을 형성하는 경계블럭형성단계;
상기 측구블럭을 체결홈들을 상기 기초모르타르층의 체결돌기들에 끼워 상기 기초모르타르층의 상부에 적층되게 상기 측구블럭을 배치시키는 측구블럭체결단계;
상기 측구블럭의 결합홈부에 접착모르타르를 충진한 후 상기 경계블럭의 하부를 상기 결합홈부에 체결하는 경계블럭체결단계; 및
상기 측구블럭의 상기 채움경사면 높이까지 도로면에 아스콘을 타설하여 아스콘층을 형성시키는 아스콘층형성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계블럭을 활용한 조립형 도로측구의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경계블럭체결단계 이후에는 상기 결합홈부와 상기 체결홈부에 끼움된 상기 경계블럭 사이의 틈에 압박쐬기부재를 체결하는 압박쐬기부재 체결단계가 더 추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기초모르타르층 형성단계 이후에는 상기 기초모르타르층의 상부에 에폭시수지를 도포하여 에폭시수지층을 형성시키는 에폭시수지층 형성단계가 추가도 더 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도로와 인도의 경계에 설치되는 도로측구로서,
도로와 인도의 경계에 모르타르를 타설하여 형성시키고, 상면에 체결돌기들이 형성된 기초모르타르층; 및
상기 기초모르타르층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체결돌기들이 끼움되도록 저면에 체결홈이 형성된 측구블럭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측구블럭의 상면부에는 일측에 결합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부에는 경계블럭의 하부가 끼움되어 고정되며,
상기 결합홈부와 상기 체결홈부에 끼움된 상기 경계블럭 사이의 틈에는 압박쐬기부재가 더 끼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계블럭을 활용한 조립형 도로측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측구블럭의 외측면부에는 상향으로 경사지게 채움경사면이 더 형성되고, 상기 측구블럭의 상면부에는 구배경사면이 더 형성되며, 상기 체결돌기의 양측면에는 체결과정중 걸림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인입경사면이 더 형성되며, 상기 체결홈의 양측면에는 유도경사면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측구블럭의 전면에는 우레탄 패드가 더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경계블럭을 활용한 조립형 도로측구 및 조립형 도로측구의 시공방법에 따르면, 도로와 인도를 구분하도록 설치되는 측구블럭 및 측구블럭에 체결되는 경계블럭을 현장에서 거푸집을 통해 형성시키지 않고 제조공장에서 생산하여 현장에 형성되는 기초모르타르층에 조립식으로 체결함으로써, 시공과정중 측구블럭 및 경계블럭을 형성시키기 위한 거푸집공정과 양생공정 없이 시공이 이루어져 공사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어 신속한 시공이 가능하며, 공정단축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시공 후 보행자나 차량이 통행하더라도 표면층이 부서지거나 벗겨지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므로 미관을 미려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보행자나 차량이 걸려 보행이나 주행에 불평을 초래하거나, 파인 부분을 다시 채우는 보수 작업을 주기적으로 해야 하는 유지 보수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측구블럭의 일부에서 손상 등 유지보수가 필요한 부분이 있을 경우, 그 부분만을 블럭 단위로 교체할 수 있으므로 전체를 뜯어내지 않아도 되어 유지보수에 따른 교통 통제를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경계블럭을 활용한 조립형 도로측구의 시공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경계블럭을 활용한 조립형 도로측구에 있어, 기초모르타르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경계블럭을 활용한 조립형 도로측구에 있어, 측구블럭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경계블럭을 활용한 조립형 도로측구에 있어, 기초모르타르층에 측구블럭과 경계블럭이 체결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경계블럭을 활용한 조립형 도로측구에 있어, 기초모르타르층에 측구블럭과 경계블럭이 끼움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경계블럭을 활용한 조립형 도로측구에 있어, 기초모르타르층에 측구블럭과 경계블럭이 접착모르타르에 의해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경계블럭을 활용한 조립형 도로측구에 있어, 아스콘층이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경계블럭을 활용한 조립형 도로측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경계블럭을 활용한 조립형 도로측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조립형 도로측구 및 조립형 도로측구의 시공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예시로 제시하는 것이며, 본 기술 사상을 통해 구현되는 다양한 실시예가 있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경계블럭을 활용한 조립형 도로측구의 시공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경계블럭을 활용한 조립형 도로측구에 있어, 기초모르타르층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경계블럭을 활용한 조립형 도로측구에 있어, 측구블럭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경계블럭을 활용한 조립형 도로측구에 있어, 기초모르타르층에 측구블럭과 경계블럭이 체결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경계블럭을 활용한 조립형 도로측구에 있어, 기초모르타르층에 측구블럭과 경계블럭이 끼움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경계블럭을 활용한 조립형 도로측구에 있어, 기초모르타르층에 측구블럭과 경계블럭이 접착모르타르에 의해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경계블럭을 활용한 조립형 도로측구에 있어, 아스콘층이 형성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경계블럭을 활용한 조립형 도로측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경계블럭을 활용한 조립형 도로측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조립형 도로측구의 시공방법은 도로와 인도의 경계에 설치되는 도로측구의 시공방법으로서, 이에 이와같은 도로측구의 시공방법은 기초단계(S1)와 기초모르타르층 형성단계(S2)와 측구블럭형성단계(S3)와 경계블럭형성단계(S4)와 측구블럭체결단계(S5)와 경계블럭체결단계(S6)와 아스콘층형성단계(S7)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기초단계(S1)는 도로와 인도의 경계부분의 지면에 배치된 이물질을 제거하고 상기 도로측구가 설치될 지면의 설치면을 평탄화하는 단계이다.
상기 기초단계(S1)는 지면의 이물질을 제거한 후 롤러 또는 다짐기를 이용하여 다짐공정을 추가로 실시한 후 평탄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초모르타르층 형성단계(S2)는 상기 기초단계 이후에 평탄화된 지면의 상부에 거푸집을 설치하고 모르타르를 타설하여 상면에 체결돌기(11)들이 형성된 기초모르타르층(10)을 형성시키는 단계이다.
상기 기초모르타르층(1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 체결돌기(11)들이 형성되며, 상기 체결돌기(11)들이 일정간격을 유지하면 형성되면서 상기 체결돌기(11)들 사이에 홈이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측구블럭형성단계(S3)는 상기 체결돌기(11)들에 끼움되도록 저면에 체결홈(21)들을 형성시키고, 상면부 일측에 결합홈부(22)가 형성시키며, 외측면부에는 상향으로 경사지게 채움경사면(23)이 형성된 측구블럭(20)을 형성시키는 단계이다.
상기 측구블럭(20)은 제조공장에서 거푸집을 이용하여 형성시키게 되므로, 대량생산이 가능하게 되고, 현장시공시 발생하는 이물질의 유입이나 불균일하게 경화되어 부분적(표면)으로 강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상기 체결홈(21)들은 상기 체결돌기(11)들에 끼움되도록 도 3에서와 같이 저면에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형성시키게 된다.
상기 외측면부에는 상향으로 경사지게 채움경사면(23)이 형성되어, 상기 아스콘층(30)을 형성시키고 가압하여 다지는 과정에서 상기 측구블럭(20)과 걸림없이 아스콘층(30)을 상기 채움경사면(23)에 부착 또는 맞닿게 배치시킬 수 있게 되며, 수직으로 맞닿는 것에 비해 아스콘층(30)과의 부착면적을 넓혀져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고, 결합면이 사선방향으로 형성되어 수직으로 결합면이 발생되는 것에 비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외력에 의해 틈이 벌어지는 문제점이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측구블럭(20)의 상면부에는 구배경사면(24)이 더 형성되어, 상기 아스콘층(30)에서 전달되는 빗물을 안내하여 배수시키게 되며, 아스콘층(30) 방향으로 빗물이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채움경사면(23)에는 액상의 에폭시수지를 도포한 후 상기 아스콘층(30)과 부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채움경사면(23)에는 도포되는 아스콘이 유입되도록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하부에서 상부로 유입홈이 더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입홈은 입구가 상기 채움경사면(23)에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부 방향으로 사선의 홈이 하향으로 형성되게 함으로서, 상기 아스콘층(30)과 상기 측구블럭(20)이 상호 연결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유입홈에는 내측면을 연결하며 양생하는 과정에서 인서트되게 철근인 지지봉을 더 형성시켜, 상기 유입홈에 유입된 아스콘이 지지되어 이동하거나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경계블럭(30)의 전면에는 우레탄 패드(31)가 더 부착되어, 상기 경계블럭(30)이 외력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고, 다른 경계블럭(30)과 연결하여 상호 결합력을 유지할 수 있으며, 운반시 충격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우레탄 패드(31)는 상기 경계블럭(30)의 전면에 부착되며, 다르게는 액상의 우레탄 용액을 도포한 후 경화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경계블럭형성단계(S4)는 상기 결합홈부(22)에 하부가 체결되고, 상부가 외부로 노출되어 차도와 인도를 구분하도록 된 경계블럭(30)을 형성하는 단계이며, 도 4에서와 같이 단면이 직사각형으로 형성된 긴 블럭형상으로 형성되며, 현장이 아닌 제조공장에서 거푸집을 통해 형성시킨 후 현장에서 상기 측구블럭(20)에 설치하게 되므로 양생이 필요없어 공사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측구블럭체결단계(S5)는 상기 측구블럭(20)을 체결홈(21)들을 상기 기초모르타르층(10)의 체결돌기(11)들에 끼워 상기 기초모르타르층(10)의 상부에 도 5에서와 같이 적층되게 상기 측구블럭(20)을 배치시키게 된다.
상기 경계블럭체결단계(S6)는 상기 측구블럭(20)의 결합홈부(22)에 모르타르인 접착모르타르를 충진한 후 상기 경계블럭(30)의 하부를 상기 결합홈부(22)에 끼워, 상기 접착모르타르에 의해 상기 결합홈부(22)에 상기 경계블럭(30)을 고정시키는 단계이다.
상기 경계블럭(30)의 하부가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결합홈부(22)에 끼움되며, 상부가 외부로 돌출되게 배치되어 차도와 인도를 구분하게 된다.
상기 결합홈부(22)에는 상기 접착모르타르를 대체하여 에폭시수지를 충진한 후 상기 경계블럭(30)을 끼워 부착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경계블럭(30)의 하부에는 양측면에 내측으로 경사지게 체결경사면을 더 형성하여, 상기 결함홈부(22)에 인입시 걸림없이 인입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아스콘층형성단계(S7)는 상기 측구블럭(20)의 상기 채움경사면(23) 높이까지 도로에 아스콘을 타설한 후 경화시켜 차량이 통행하도록 아스콘층(30)을 형성시키는 단계이다.
이때, 상기 체결돌기(11)의 양측면에는 체결과정중 걸림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인입경사면(111)이 더 형성되며, 상기 체결홈(21)의 양측면에는 유도경사면(211)이 더 형성되어, 체결시 상기 인입경사면(111)과 상기 유도경사면(211)을 따라 상기 체결돌기(11)와 상기 체결홈(21)이 상호 끼움되어, 끼움되는 과정에서 걸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체결돌기(11)의 상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걸림홈을 형성하고, 상기 체결홈(21)의 내측상부에는 상기 걸림홈에 끼움되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을 유지하며 걸림돌기를 형성하여, 상기 측구블럭(20)이 체결된 상기 기초모르타르층(10)의 상부에서 경사진 지면에 의해 슬라이드 되어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초모르타르층 형성단계(S2) 이후에는 상기 기초모르타르층(10)의 상부에 에폭시수지를 도포하여 에폭시수지층(40)을 형성시키는 에폭시수지층 형성단계(S6)가 추가되어 더 시공됨으로서, 상기 기초모르타르층(10)에 끼움된 상기 측구블럭(20)이 외력에 의해 이동되거나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기초모르타르층(10)의 탄성에 의해 상기 기초모르타르층(10)과 상기 측구블럭(20)의 마찰 또는 충돌을 완충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기초모르타르층(10)의 상부에 액상의 에폭시수지를 도포한 후 상기 측구블럭(20)을 상기 기초모르타르층(10)에 끼워 경화되는 상기 에폭시수지에 접착되도록한다.
여기서, 상기 경계블럭체결단계(S4) 이후에는 상기 결합홈부(22)와 상기 결합홈부(22)에 끼움된 상기 경계블럭(30) 사이의 틈에 압박쐬기부재를 체결하는 압박쐬기부재 체결단계를 더 추가하게 된다.
상기 압박쐬기부재(40)는 합성수지재 또는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며, 도 4에서와 같이 단면이 직각삼각형으로 형성시키게 되며, 정 삼각형 형상으로 형성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압박쐬기부재(40)는 상기 결합홈부(22)에 접착모르타르를 충진하고, 상기 경계블럭(30)을 상기 결합홈부(22)에 끼움과 동시에 상기 결합홈부와 상기 경계블럭(30)의 틈으로 억지끼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잡착모르타르를 충진하기 전에 끼우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압박쐬기부재(40)는 체결함으로서, 상기 경계블럭(30)이 상기 결합홈부(22)에서 빠지거나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상, 본 발명에 따른 경계석을 활용한 도로측구 및 조립형 도로측구의 시공방법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경계석을 활용한 조립형 도로측구 및 조립형 도로측구의 시공방법에 따르면, 도로와 인도를 구분하도록 설치되는 측구블럭 및 측구블럭에 체결되는 경계블럭을 현장에서 거푸집을 통해 형성시키지 않고 제조공장에서 생산하여 현장에 형성되는 기초모르타르층에 조립식으로 체결함으로써, 시공과정중 측구블럭 및 경계블럭을 형성시키기 위한 거푸집공정과 양생공정 없이 시공이 이루어져 공사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어 신속한 시공이 가능하며, 공정단축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시공 후 보행자나 차량이 통행하더라도 표면층이 부서지거나 벗겨지는 것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므로 미관을 미려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보행자나 차량이 걸려 보행이나 주행에 불평을 초래하거나, 파인 부분을 다시 채우는 보수 작업을 주기적으로 해야 하는 유지 보수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측구블럭의 일부에서 손상 등 유지보수가 필요한 부분이 있을 경우, 그 부분만을 블럭 단위로 교체할 수 있으므로 전체를 뜯어내지 않아도 되어 유지보수에 따른 교통 통제를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 기초모르타르층 20 : 측구블럭
30 : 경계블럭 40 : 압박쐬기부재
50 : 아스콘층 60 : 에폭시수지층
11 : 체결돌기 111 : 인입경사면
21 : 체결홈 211 : 유도경사면
22 : 결합홈부 23 : 채움경사면
24 : 구배경사면
31 : 우레탄 패드
S1 : 기초단계
S2 : 기초모르타르층 형성단계
S3 : 측구블럭형성단계
S4 : 경계블럭형성단계
S5 : 측구블럭체결단계
S6 : 경계블럭체결단계
S7 : 아스콘층형성단계

Claims (6)

  1. 도로와 인도의 경계에 설치되는 도로측구의 시공방법으로서,
    도로와 인도의 경계부분의 지면에 배치된 이물질을 제거하고 평탄화하는 기초단계;
    상기 기초단계 이후에 평탄화된 지면의 상부에 거푸집을 설치하고 모르타르를 타설하여 상면에 체결돌기들이 형성된 기초모르타르층을 형성시키는 기초모르타르층 형성단계;
    상기 체결돌기들에 끼움되도록 저면에 체결홈들이 형성되고, 상면부 일측에 결합홈부가 형성되며, 외측면부에 상향으로 경사지게 채움경사면이 형성된 측구블럭을 형성시키는 측구블럭형성단계;
    상기 측구블럭의 결합홈부에 체결되는 경계블럭을 형성하는 경계블럭형성단계;
    상기 측구블럭을 체결홈들을 상기 기초모르타르층의 체결돌기들에 끼워 상기 기초모르타르층의 상부에 적층되게 상기 측구블럭을 배치시키는 측구블럭체결단계;
    상기 측구블럭의 결합홈부에 접착모르타르를 충진한 후 상기 경계블럭의 하부를 상기 결합홈부에 체결하는 경계블럭체결단계; 및
    상기 측구블럭의 상기 채움경사면 높이까지 도로면에 아스콘을 타설하여 아스콘층을 형성시키는 아스콘층형성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계블럭을 활용한 조립형 도로측구의 시공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경계블럭체결단계 이후에는 상기 결합홈부와 상기 체결홈부에 끼움된 상기 경계블럭 사이의 틈에 압박쐬기부재를 체결하는 압박쐬기부재 체결단계가 더 추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계블럭을 활용한 조립형 도로측구의 시공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초모르타르층 형성단계 이후에는 상기 기초모르타르층의 상부에 에폭시수지를 도포하여 에폭시수지층을 형성시키는 에폭시수지층 형성단계가 추가도 더 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계블럭을 활용한 조립형 도로측구의 시공방법.
  4. 도로와 인도의 경계에 설치되는 도로측구로서,
    도로와 인도의 경계에 모르타르를 타설하여 형성시키고, 상면에 체결돌기들이 형성된 기초모르타르층; 및
    상기 기초모르타르층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체결돌기들이 끼움되도록 저면에 체결홈이 형성된 측구블럭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측구블럭의 상면부에는 일측에 결합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부에는 경계블럭의 하부가 끼움되어 고정되며,
    상기 결합홈부와 상기 체결홈부에 끼움된 상기 경계블럭 사이의 틈에는 압박쐬기부재가 더 끼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계블럭을 활용한 조립형 도로측구.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측구블럭의 외측면부에는 상향으로 경사지게 채움경사면이 더 형성되고, 상기 측구블럭의 상면부에는 구배경사면이 더 형성되며,
    상기 체결돌기의 양측면에는 체결과정중 걸림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인입경사면이 더 형성되며, 상기 체결홈의 양측면에는 유도경사면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계블럭을 활용한 조립형 도로측구.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경계블럭의 전면에는 우레탄 패드가 더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계블럭을 활용한 조립형 도로측구.
KR1020180005074A 2018-01-15 2018-01-15 경계블럭을 활용한 조립형 도로측구 및 조립형 도로측구의 시공방법 KR1020168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5074A KR102016837B1 (ko) 2018-01-15 2018-01-15 경계블럭을 활용한 조립형 도로측구 및 조립형 도로측구의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5074A KR102016837B1 (ko) 2018-01-15 2018-01-15 경계블럭을 활용한 조립형 도로측구 및 조립형 도로측구의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6933A true KR20190086933A (ko) 2019-07-24
KR102016837B1 KR102016837B1 (ko) 2019-10-21

Family

ID=674813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5074A KR102016837B1 (ko) 2018-01-15 2018-01-15 경계블럭을 활용한 조립형 도로측구 및 조립형 도로측구의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6837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81712A (ja) * 1997-12-19 1999-07-06 Hayashiya Concrete Kogyo Kk 道路用境界ブロック及び道路境界部の施工構造
KR200248484Y1 (ko) * 2001-06-20 2001-10-31 (주)평강산업개발 타이어의 파손을 방지하는 완충부를 구비한 도로경계석
KR200320465Y1 (ko) * 2003-04-09 2003-07-23 정성필 도로 경계석
KR200378344Y1 (ko) * 2004-12-22 2005-03-14 이상태 도로경계석
KR100951713B1 (ko) 2008-05-30 2010-04-07 태륭건설 (주) 도로측구 보수용 모르타르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81712A (ja) * 1997-12-19 1999-07-06 Hayashiya Concrete Kogyo Kk 道路用境界ブロック及び道路境界部の施工構造
KR200248484Y1 (ko) * 2001-06-20 2001-10-31 (주)평강산업개발 타이어의 파손을 방지하는 완충부를 구비한 도로경계석
KR200320465Y1 (ko) * 2003-04-09 2003-07-23 정성필 도로 경계석
KR200378344Y1 (ko) * 2004-12-22 2005-03-14 이상태 도로경계석
KR100951713B1 (ko) 2008-05-30 2010-04-07 태륭건설 (주) 도로측구 보수용 모르타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6837B1 (ko) 2019-10-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86101C2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безбалластного пути
KR102200955B1 (ko) 산악철도용 선로 시공방법
US10689814B2 (en) Modular railing for on-site construction
EP3263766B1 (fr) Dalle pour un véhicule ferroviaire et/ou un véhicule sur pneus guidés
CN110195394B (zh) 一种市政道路硬底化方法
EP2268866B1 (en) Drainage system, apparatus, and method
CS265399B1 (en) Dilatation bridge closing device and method for producing thereof
KR20190086933A (ko) 경계블럭을 활용한 조립형 도로측구 및 조립형 도로측구의 시공방법
KR101419449B1 (ko) 트렌치 누수방지용 보강재 및 그 시공방법
KR100679480B1 (ko) 지하층 바닥에 시공되는 배수판
KR101641050B1 (ko) 바닥용 배수판
KR100899680B1 (ko) 일체형 구조를 갖는 배수블럭
KR101327378B1 (ko) 건물의 최저층 바닥 시공용 배수판
KR102016836B1 (ko) 조립형 도로 측구 및 조립형 도로 측구의 시공방법
EP2811071B1 (en) Rail slab with an elastic mat for a floating railway
JP7306053B2 (ja) プレキャスト床版の接続部構造及び接続部の施工方法
JPH08120604A (ja) 舗装体
KR101560189B1 (ko) 키 형상을 활용한 강성 포장도로의 신축이음구조 및 시공방법
JP7249202B2 (ja) 排水溝形成部材及び道路橋排水溝の交換補修工法
EP0980451A1 (en) Concrete surface
JP4105595B2 (ja) 歩車道境界体を構築するための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
NL1019992C2 (nl) Geprefabriceerd constructie-element voor toepassing in een busperron, vluchtheuvel, verkeersgeleider of dergelijke.
JP7028639B2 (ja) 継手部の充填施工方法
KR100499731B1 (ko) 주차장 바닥 시공방법
KR101279858B1 (ko) 투수매트 및 이를 이용한 도로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