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44686Y1 - 폐타이어를 이용한 과속방지턱 - Google Patents

폐타이어를 이용한 과속방지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44686Y1
KR200244686Y1 KR2020010013296U KR20010013296U KR200244686Y1 KR 200244686 Y1 KR200244686 Y1 KR 200244686Y1 KR 2020010013296 U KR2020010013296 U KR 2020010013296U KR 20010013296 U KR20010013296 U KR 20010013296U KR 200244686 Y1 KR200244686 Y1 KR 20024468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eed
speed bumps
concrete frame
bumps
waste tir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1329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범상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종합건축사이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종합건축사이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종합건축사이건
Priority to KR202001001329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4468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4468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44686Y1/ko

Links

Landscapes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폐타이어를 이용한 과속방지턱에 관한 것으로, 통상의 과속방지턱에 있어서, 상기 과속방지턱은 지반에 콘크리트틀을 형성하고, 상기 콘크리트틀상에 폐타이어를 재활용하여 제작된 소정의 단면형상을 갖는 규격화된 고무재매트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 자원을 재활용하므로 환경친화적이고, 과속방지턱 제작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차량의 하부프레임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로 할 수 있고, 또한 시공을 간단하고 빠르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폐타이어를 이용한 과속방지턱{Overspeed limitation sill using wasted rubber}
본 고안은 폐타이어를 이용한 과속방지턱에 관한 것으로, 특히 과속을 방지하기 위해 폐타이어 등을 이용한 고무재를 사용하여 시공하는 과속방지턱에 관한것이다.
일반적으로 과속방지턱은 차량의 속도를 감속시키기 위할 목적으로 사람의 왕래가 빈번한 학교앞이나 주택가, 또는 아파트 단지내에 도로에 설치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한 종래의 과속방지턱은 아스팔트나 콘크리트면에 소정의 높이로 둔덕을 형성하는 방식으로 설치하는 바, 즉 도로를 가로질러서 소정의 부분을 굴착한 후, 상기 굴착면상에 중앙부분이 돌출되도록 설치되며, 이때, 아스팔트 포장시 같이 시공할 수도 있으며, 필요에 따라 기존의 아스팔트나 콘크리트 노면상에 콘크리트나 시멘트를 도포하는 방법 등으로 시공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과속방지턱은 통상적으로 과속방지턱의 높이가 일정치 않기 때문에 차량이 과속방지턱을 주행시에는 차량의 하부프레임이 상기 과속방지턱에 걸려 차량에 많은 무리를 주어 차량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시공시 상당한 시간이 걸려 작업이 끝날때까지 도로정체를 유발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제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자원을 재활용하고, 차량의 승차감을 좋게 할 뿐만 아니라 간단한 장비만으로 시공을 완료할 수 있고, 또한 시공시간을 줄일 수 있는 폐타이어를 이용하여 규격화된 고무재매트의 과속방지턱을 제공하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폐타이어를 이용한 과속방지턱은 통상의 과속방지턱에 있어서, 상기 과속방지턱은 지반에 콘크리트틀을 형성하고, 상기 콘크리트틀상에 폐타이어를 재활용하여 제작된 소정의 단면형상을 갖는 규격화된 고무재매트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1은 종래의 과속방지턱을 시공한 것을 도시한 단면도,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폐타이어를 이용한 과속방지턱을 시공한 것을 도시한 단면도,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폐타이어를 이용한 과속방지턱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캡 12 : 포장부재
14, 30 : 포장도로 20 : 콘크리트틀
22, 34 : 고무재매트 32 : 기층
33 : 보조기층
이하, 본 고안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폐타이어를 이용한 과속방지턱은 통상의 과속방지턱에 있어서, 상기 과속방지턱은 지반에 콘크리트틀을 형성하고, 상기 콘크리트틀상에 소정의 단면형상으로 이루어진 고무재 매트(22,34)를 설치함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도2는 본 고안에 따른 폐타이어를 이용한 과속방지턱을 도시한 측면도로서, 포장도로를 가로질러 소정의 넓이로 홈을 형성하고, 상기 홈에 폐타이어를 사용하여 규격대로 제조한 고무매트 과속방지턱(22,34)을 삽입한 것을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과속방지턱(22,34)은 도로의 폭을 고려하여 가로방향과 길이방향, 그리고 돌출된 높이를 규격화 하고, 폐타이어나 플라스틱 등의 산업폐기물을 이용하여 고온에서 용융시키는 등의 방법으로 재 성형하여 제작한다.
따라서, 상기 과속방지턱(22,34)은 플라스틱이나 폐타이어와 같은 산업폐기물을 사용함으로 말미암아 환경친화적일 뿐만 아니라 과속방지턱을 규격에 맞추어 제작하여 생산함으로서 설치 및 시공시간이 단축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과속방지턱의 제조 시 멀리서도 눈에 쉽게 띄는 색상을 혼합하여 제조함으로서, 따로 페인트작업을 할 필요가 없고, 과속방지턱 표면의 마모에 따라색이 벗겨지는 등의 문제점이 없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제조된 상기 과속방지턱(22,34)을 시공하기 위해서는 먼저 도로표면을 콘크리트 절삭기를 사용하여 표면을 절삭 제거한 후 콘크리트틀(20)을 형성시킨다.
여기서, 상술한 바와 같이 포장도로의 표면을 절개할 때에는 상기 과속방지턱(22,34)의 길이방향보다 좀 더 넓게 절삭한 후 제거토록 하여, 콘크리트틀(20)의 타설시 타설면의 확보를 충분히 한다.
그리고, 제거된 포장도로의 내부에 콘크리트틀(20)을 형성시킨 후 설치하고자 하는 과속방지턱(22,34)의 규격에 맞게 홈을 형성시키고, 상기 홈의 상부에 고무재로 된 과속방지턱(22,34)을 견고히 밀착시킴으로써 과속방지턱의 시공은 완료된다.
또한,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아스팔트나 콘크리트 포장도로에는 상기 콘크리트틀(20)을 따로 시공할 필요가 없이 바로 과속방지턱의 하부면적과 동일하게 도로 표면을 절삭 후 제거하여 바닥을 평평하게 다진 후 상기 과속방지턱
(22,34)을 시공한다.
이때, 도2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과속방지턱과 바닥면 사이에는 시멘트나 기타 접착제류를 사용하여 견고한 밀착을 이룰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폐타이어를 이용한 과속방지턱을 제조하여 시공할 경우 자원을 재활용할 수 있어 경제적이고, 또한 과속방지턱의 높이는 차량의 사양에 맞추어 일정규격으로 제조되기 때문에 차량의 하부프레임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으며, 시공이 간단하여 작업효율이 개선될 수 있는 작용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폐타이어를 이용한 과속방지턱은, 폐타이어 등의 고무재를 이용하여 과속방지턱을 제작함으로서 자원을 재활용하므로 환경친화적이고, 상기 과속방지턱 제작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차량의 하부프레임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로 할 수 있고, 또한 시공을 간단하고 빠르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통상의 과속방지턱에 있어서,
    상기 과속방지턱은 지반에 콘크리트틀을 형성하고, 상기 콘크리트틀상에 폐타이어를 재활용하여 제작된 소정의 단면형상을 갖는 규격화된 고무재매트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타이어를 이용한 과속방지턱.
KR2020010013296U 2001-05-08 2001-05-08 폐타이어를 이용한 과속방지턱 KR20024468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3296U KR200244686Y1 (ko) 2001-05-08 2001-05-08 폐타이어를 이용한 과속방지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13296U KR200244686Y1 (ko) 2001-05-08 2001-05-08 폐타이어를 이용한 과속방지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44686Y1 true KR200244686Y1 (ko) 2001-10-12

Family

ID=730655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13296U KR200244686Y1 (ko) 2001-05-08 2001-05-08 폐타이어를 이용한 과속방지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4468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70381B2 (en) Road stud
KR200244686Y1 (ko) 폐타이어를 이용한 과속방지턱
KR100984019B1 (ko) 조립식 횡단보도
KR200401214Y1 (ko) 도로 경계석
KR100586876B1 (ko) 경계석 이음부에 설치되는 도로표시구
KR101253593B1 (ko) 경계석
CN209052964U (zh) 一种抗车辙路面结构
JP3681091B2 (ja) 車両減速用バンプの形成方法
KR200320465Y1 (ko) 도로 경계석
KR200248484Y1 (ko) 타이어의 파손을 방지하는 완충부를 구비한 도로경계석
JP3713527B2 (ja) 車両の走行速度抑制用舗装体
KR20060029659A (ko) 횡단보도의 보행자 안전보호용 합성수지재 과속방지블럭
KR200252633Y1 (ko) 폐타이어 고무칩을 이용한 야광 유도 경계블럭
KR100966851B1 (ko) 탄성 보도블록
KR100361039B1 (ko) 강한 결속력을 가지는 폐고무 재활용 조립식 과속방지턱
KR200391852Y1 (ko) 조립식 횡단보도
KR200233145Y1 (ko) 과속방지턱
KR200178967Y1 (ko) 보·차도용 콘크리트 인터록킹 블록 및 각종 인도용블록
JP4495566B2 (ja) 舗装用ブロック
KR200193283Y1 (ko) 합성 수지재 커버를 일체로 성형한 보,차도용 콘크리트블럭
KR200327724Y1 (ko) 도로경계블록
KR200212558Y1 (ko) 인터록킹형 도로 경계블록
KR200216852Y1 (ko) 도로 중앙 분리대
KR200213559Y1 (ko) 금속판으로 보강한 건설용 블록
KR200172564Y1 (ko) 폐타이어를 이용한 도로포장용 블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114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