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33145Y1 - 과속방지턱 - Google Patents

과속방지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33145Y1
KR200233145Y1 KR2019980020854U KR19980020854U KR200233145Y1 KR 200233145 Y1 KR200233145 Y1 KR 200233145Y1 KR 2019980020854 U KR2019980020854 U KR 2019980020854U KR 19980020854 U KR19980020854 U KR 19980020854U KR 200233145 Y1 KR200233145 Y1 KR 20023314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road
bumps
plates
m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2085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08974U (ko
Inventor
이재수
Original Assignee
이재수
에스엘 수림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수, 에스엘 수림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재수
Priority to KR201998002085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3145Y1/ko
Publication of KR2000000897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0897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314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3145Y1/ko

Links

Landscapes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과속방지턱를 설치함에 있어서, 도로방지턱을 도로가 아닌 별도의 공간에서 제작한후 도로에서 조립하는 과정을 통해 완성함으로서, 도로를 장시간 동안 통제할 필요가 없으며, 우천시에도 설치를 가능케 하고, 과속방지턱을 강도가 높은 철재의 박스형태로 제조한후 내부에는 압축강도가 뛰어난 철골 콘크리트를 충진하여 대형 차량의 통과시 과속방지턱의 표면이 손상되는 것을 막으며, 과속방지턱을 장기간 사용할 경우에도 라인이 지워지는 것을 막을 수 있는 과속방지턱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수개가 조합되어 중앙에 위치되는 주 플레이트와, 다수의 주 플레이트로 이루어진 조합체의 양측에 조립되는 측 플레이트와, 상기 주,측 플레이트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다수의 주 플레이트와 양측에 위치되는 측 플레이트를 서로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연결구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과속방지턱(A roadsill for preventing from overspeeding)
본 고안은 과속방지턱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도로방지턱을 도로가 아닌 별도의 공간에서 제작한후 도로에서 조립하는 과정을 통해 완성함으로서 도로를 장시간 동안 통제할 필요가 없으며, 우천시에도 설치를 가능케 하고, 과속방지턱을 강도가 높은 철재의 박스형태로 제조한후 내부에는 압축강도가 뛰어난 철골 콘크리트를 충진함으로서 대형 차량의 통과시 과속방지턱의 표면이 손상되는 것을 막아 차량에 의한 사고를 예방하며, 과속방지턱을 장기간 사용할 경우에도 라인이 지워지는 것을 막아 라인의 재 작업으로 인한 비용의 낭비를 막을 수 있는 과속방지턱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과속방지턱이라 함은, 어린이 보호 구역이나 좁은도로 등에 설치되어 차량의 과속주행을 방지함으로서, 차량으로 인한 인명사고 등을 예방하는 목적을 갖는 것이다.
도 4는 종래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아스콘 과속방지턱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아스콘을 사용하여 과속 방지턱을 제작할 경우에는 아스팔트 콘크리트(이하, 아스팔트라 칭함)상에 별도로 거푸집의 역할을 하는 형틀(도시않됨)을 올려놓은후, 형틀의 내부에 아스콘을 충진한후 고착시켜 과속 방지턱의 모형을 완성한 다음, 상기 아스콘 모형(100)의 표면에 노란색 및 하얀색의 라인(101)을 마킹하는 과정을 통해 도로방지턱을 제작 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과속방지턱을 제작할 경우에는, 도로의 교통을 통제한후 아스콘 모형을 제작함으로서, 주변 도로의 정체를 유발시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고, 우천시에는 아스콘 모형의 제작이 불가능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상기 아스콘 모형을 도로표면에 일체로 형성함에 따라서, 대형차량의 통과시 아스콘 재질의 모형이 쉽게 파손되어 차량 사고를 유발하고, 부분 파손시 복구에 많은 어려움을 가지는 문제점도 있었다.
또, 상기 아스콘 모형의 표면에 라인을 도색함으로 인해 단기간에 라인이 지워지게 됨으로서, 수시로 라인작업을 재 수행해야 하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었다.
또, 도로의 재포장시 상기 아스콘 모형을 재시공해야 함으로서, 경제적인 손실을 가져오는 문제점도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도로방지턱을 제작함에 있어서, 도로방지턱을 도로가 아닌 별도의 공간에서 제작한후 도로에서 조립하는 과정을 통해 완성함으로서, 도로를 장시간 동안 통제할 필요가 없으며, 우천시에도 설치가 가능한 과속방지턱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는 것이다.
또한, 과속방지턱을 강도가 높은 철재의 박스형태로 제조하고 내부에는 압축강도가 뛰어난 철골 콘크리트를 충진함으로서, 대형 차량의 통과시 과속방지턱의 표면이 손상되는 것을 막고자 하는 목적도 있는 것이다.
또, 상기 과속방지턱 라인은 반사성 도료를 충진고착 시킴으로서, 과속방지턱을 장기간 사용할 경우에도 라인이 지워지는 것을 막고자 하는 목적도 있는 것이다.
또, 상기 과속방지턱을 조립식으로 제작함으로서, 도로의 재포장시 분리후 과속방지턱의 재 사용을 가능케 하는 목적도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다수개가 조합되어 중앙에 위치되는 주 플레이트와, 다수의 주 플레이트로 이루어진 조합체의 양측에 조립되는 측 플레이트와, 상기 주,측 플레이트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다수의 주 플레이트와 양측에 위치되는 측 플레이트를 서로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연결구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과속방지턱을 나타낸 일부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A선 확대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과속방지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4는 종래의 과속방지턱을 나타낸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주 플레이트 11 : 몸체
111 : 전방 경사판 112 : 후방 경사판
113 : 상판 12 : 철골
13 : 연결부 삽입홈 14 : 콘크리트
2 : 측 플레이트 21 : 몸체
211 : 전방 경사판 212 : 후방 경사판
213 : 측 경사판 214 : 측판
23 : 삽입부 231 : 연결부 삽입홈
232 : 끝단부 삽입홈 24 : 콘크리트
3 : 연결구 31 : 고정체
32 : 삽입부 33 : 끝단부
4 : 도료 적층부 41 : 하면
411 : 금속 엠보싱부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과속방지턱을 나타낸 일부분해 사시도로서, 그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전,후방 경사판(111,112)과 상판(113) 및 양측판(114)로 이루어져 있으며 다수개가 조합되어 중앙에 위치되는 주 플레이트(1)와, 다수의 주 플레이트(1)로 이루어진 조합체의 양측에 조립되며 전,후방 경사판(211,212)과 측 경사판(213)이 형성되어 있는 측 플레이트(2)와, 상기 다수의 주 플레이트(1)와 양측에 위치되는 측 플레이트(2)를 서로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연결구(3)로 이루어진 것이다.
그리고, 상기 주,측 플레이트(1,2)를 이루는 상판(113)과 전,후방 경사판(111,112,211,212) 및 측 경사판(213)의 표면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사성 도료층(5)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부로 함몰된 도료 적층부(4)가 형성되고, 이 도료 적층부(4)의 하면에(41)는 도료의 외부이탈을 방지하고 도료의 접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금속 엠보싱부(441;이스팬 리드메탈등)가 형성되며, 상기 도료 적층부(4)에는 색깔을 달리하는 반사성 도료층(5)이 충진되는 것이다.
이하 도 3를 참조하여 상기 구성을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주 플레이트(1)는, 양측면이 서로 밀착되어 다수개의 조합체로 사용되는 것으로서, 전,후방 경사판(111,112)과 상판(113) 및 양 측판(114)으로 이루어진 몸체(11)의 내부에는 주 플레이트의 강도를 높이기 위한 철골(12)이 장착되고, 하부에는 하나이상의 연결부 삽입홈(13)이 형성되며, 상기 몸체(11)의 내부에는 압축강도를 높이기 위하여 콘크리트(14)가 충진된 것이다.
상기 측 플레이트(2)는, 상기 주 플레이트(1)들이 이루는 조합체의 양측을 마감하는 것으로서, 전,후방 경사판(211,212)과 측 경사판(213) 및 측판(214)으로 이루어진 몸체(21)의 내부에는 측 플레이트(2)의 강도를 높이기 위하여 철골(22)이 장착되고, 상기 측판(214)의 내측인 상기 몸체(21)의 하부에는 연결부 삽입홈(231)과 끝단부 삽입홈(232)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삽입부(23)가 형성되는 것이다.
특히, 상기 삽입부(23)를 이루는 끝단부 삽입홈(232)은 연결부 삽입홈(231)보다 확장되게 형성 됨으로서, 연결구(3)의 조립후 주,측 플레이트(1,2)가 양측으로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상기 연결구(3)는, 다수의 주 플레이트(1)와 양측에 위치되는 측 플레이트(2)를 서로 연결하는 것으로서, 하부에는 도로의 표면에 고정되는 가로 방향의 고정체(31)가 형성되고, 고정체(31)의 상면에는 수직으로 세워진 가로 방향의 삽입부(32)가 형성되며, 상기 삽입부(32)의 양측에는 세로방향의 끝단부(33)가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이다.
이하, 도 1및 도 3을 참조하여 상기와 같이 구성된 과속 방지턱의 조립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로의 표면에 하나 이상의 연결구(3)를 등간격으로 고정한다. 즉, 연결구(3)에 형성된 고정체(31)를 도로에 삽입하거나 별도의 고정요소(기초보울트등)을 통해 고정하는 것이다.
다음, 상기 연결구(3)의 일측에 위치된 연결부(32)와 끝단부(33)를 상기 측 플레이트(2)에 형성되어 있는 연결부 삽입홈(231)과 끝단부 삽입홈(232)으로 이루어진 삽입부(23)에 삽입함으로서, 먼저, 상기 연결구(3)의 일측에 측 플레이트(21)를 세팅하는 것이다.
다음, 상기 측 플레이트(21)의 측판(214)에는 다수의 주 플레이트(1)로 이루어진 조합체가 장착되는 것으로서, 상기 연결구(3)상에 수직으로 세워진 연결부(32)를 상기 주 플레이트(1)의 하부에 가로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다수의 삽입홈(13)에 삽입하여 다수의 주플레이트(1)를 세팅한다.
그후, 상기 연결구(3)의 타측에 위치된 연결부(32)와 끝단부(33)를 상기 측 플레이트(2)에 형성되어 있는 연결부 삽입홈(231)과 끝단부 삽입홈(232)으로 이루어진 삽입부(23)에 삽입함으로서, 상기 연결구(2)의 타측에 측 플레이트(2) 세팅하여 과속 방지턱을 완성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도로방지턱을 도로가 아닌 별도의 공간에서 제작한후 도로에서 조립하는 과정을 통해 완성함으로서, 도로를 장시간 동안 통제할 필요가 없어 주변도로의 정체를 막으며, 우천시에도 설치를 가능케 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과속방지턱을 강도가 높은 철재의 박스형태로 제조하고 내부에는 압축강도가 뛰어난 철골 콘크리트를 충진함으로서, 대형 차량의 통과시 과속방지턱의 표면이 손상되는 것을 막아 차량에 의한 사고를 예방하는 효과도 있는 것이다.
또, 상기 과속방지턱의 라인은 반사성 도료를 충진고착 시킴으로서, 과속방지턱을 장기간 사용할 경우에도 라인이 지워지는 것을 막아 라인의 재 작업으로 인한 비용의 낭비를 막을 수 있는 효과도 있는 것이다.
또, 상기 과속방지턱을 조립식으로 제작함으로서, 도로의 재포장시 분리후 과속방지턱의 재 사용을 가능케 하여 경제적인 효과도 노릴 수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예를 참고로 설명 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지닌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Claims (3)

  1. 전,후방 경사판(111,112)과 상판(113) 및 양 측판(114)으로 이루어진 몸체(11)의 내부에는 철골(12)이 장착되고, 하부에는 하나 이상의 연결부 삽입홈(13)이 형성되며, 상기 몸체(11)의 내부에는 콘크리트(14)가 충진되고, 상기 양측면이 서로 밀착되어 다수개의 조합체로 사용되는 주 플레이트(1)와;
    상기 주 플레이트(1)들이 이루는 조합체의 양측을 마감하며, 전,후방 경사면(211,212)과 측 경사면(213) 및 측판(214)으로 이루어진 몸체(21)의 내부에는 철골(22)이 장착되고, 상기 측판(214)의 내측인 상기 몸체(21)의 하부에는 연결부 삽입홈(231)과 끝단부 삽입홈(232)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삽입부(23)가 형성되며, 상기 몸체(21)의 내부에는 콘크리트(24)가 충진되어 있는 측 플레이트(2)와;
    도로에 다수로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주 플레이트(1)와 측 플레이트(2)에 형성된 연결부 삽입홈(13)과 삽입부(23)에 장착되고, 가로 방향의 고정체(31)와 고정체(31)의 상면에 수직으로 세워진 가로 방향의 삽입부(32) 및 상기 삽입부(32)의 양측에 세로방향의 끝단부(33)가 일체로 형성된 연결구(3)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과속 방지턱.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23)를 이루는 끝단부 삽입홈(232)은 연결부 삽입홈(231)보다 확장되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과속 방지턱.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주,측 플레이트(1,2)를 이루는 상판(113)과 전,후방 경사판(111,112,211,212) 및 측 경사판(213)의 표면에는 하부로 함몰된 도료 적층부(4)가 형성되고, 이 도료 적층부(4)의 하면(41)에는 도료의 외부이탈을 방지하고 도료의 접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금속 엠보싱부(411)가 형성되며, 상기 도료 적층부(4)에는 색깔을 달리하는 반사성 도료층(5)이 충진됨을 특징으로 하는 과속 방지턱.
KR2019980020854U 1998-10-29 1998-10-29 과속방지턱 KR20023314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0854U KR200233145Y1 (ko) 1998-10-29 1998-10-29 과속방지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0854U KR200233145Y1 (ko) 1998-10-29 1998-10-29 과속방지턱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8974U KR20000008974U (ko) 2000-05-25
KR200233145Y1 true KR200233145Y1 (ko) 2001-08-07

Family

ID=695222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20854U KR200233145Y1 (ko) 1998-10-29 1998-10-29 과속방지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314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9007A (ko) * 2002-02-18 2003-08-25 이예순 조립식 차량 과속 방지턱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9007A (ko) * 2002-02-18 2003-08-25 이예순 조립식 차량 과속 방지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08974U (ko) 2000-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33145Y1 (ko) 과속방지턱
KR0133380Y1 (ko) 도로용 경계블럭
KR100625468B1 (ko) 도로용 중앙분리대
KR100660804B1 (ko) 합성수지 하우징에 콘크리트가 충전된 조립형 중앙분리대
KR200179649Y1 (ko) 과속방지턱
KR200245240Y1 (ko) 도로 경계용 블록
KR200234664Y1 (ko) 도로경계블럭
KR100361039B1 (ko) 강한 결속력을 가지는 폐고무 재활용 조립식 과속방지턱
KR200274543Y1 (ko) 조립식 차선분리대
JP2008019700A (ja) 駐車場施工方法、車止め付側溝蓋及び駐車場
KR200357091Y1 (ko) 합성수지 하우징에 콘크리트가 충전된 조립형 중앙분리대
JP2645191B2 (ja) 道路用安全障壁
KR20060029659A (ko) 횡단보도의 보행자 안전보호용 합성수지재 과속방지블럭
KR200205618Y1 (ko) 보·차도용 블록
KR100372977B1 (ko) 조립식 가드레일
KR20060056925A (ko) 조립식 과속방지턱 및 이를 구성하는 간판체와 단판체의제조방법
KR200228748Y1 (ko) 콘크리트가 충전되는 합성수지 경계블럭의 시공구조
KR200252800Y1 (ko) 도로의 중앙분리구
KR200244686Y1 (ko) 폐타이어를 이용한 과속방지턱
KR200311367Y1 (ko) 조립식 과속방지턱
KR200235026Y1 (ko) 지중 라멘교량용 날개벽
KR200239175Y1 (ko) 도로안전분리대
JP2000204511A (ja) 縁石ブロックの外枠
KR0126376Y1 (ko) 차선경계블럭
JP2630578B2 (ja) 覆工版の連結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511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