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28748Y1 - 콘크리트가 충전되는 합성수지 경계블럭의 시공구조 - Google Patents

콘크리트가 충전되는 합성수지 경계블럭의 시공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28748Y1
KR200228748Y1 KR2020010000816U KR20010000816U KR200228748Y1 KR 200228748 Y1 KR200228748 Y1 KR 200228748Y1 KR 2020010000816 U KR2020010000816 U KR 2020010000816U KR 20010000816 U KR20010000816 U KR 20010000816U KR 200228748 Y1 KR200228748 Y1 KR 20022874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crete
case
boundary block
synthetic resin
fil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0081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순호
Original Assignee
이순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순호 filed Critical 이순호
Priority to KR202001000081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874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874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8748Y1/ko

Links

Landscapes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콘크리트가 충전되는 합성수지 경계블럭의 시공구조에 관한 것으로, 경계지반을 따라 상호 간격을 이루며 설치되는 철근과, 상기 철근의 상면에 안착되며 하부가 개방되는 상태로 내부에 공간부를 형성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상면에 콘크리트를 공간부에 충전시키고자 마련된 다수개의 주입공으로 이루어진 구조로서, 우선적으로 가격이 비교적 저렴하면서 경량화가 가능하여 운반 및 시공속도가 빠르고, 아울러 케이스의 내부에 콘크리트가 충전됨으로써, 케이스의 변형 및 파손을 방지하고, 내압 강도를 한층 강화시킬 수 있음은 물론, 색상을 자유롭게 연출하여 미관이 좋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콘크리트가 충전되는 합성수지 경계블럭의 시공구조 {Apparatus for Construction filling a synthetic resins boundary block with concrete}
본 고안은 콘크리트가 충전되는 합성수지 경계블럭의 시공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보,차도를 비롯한 도로의 경계지반에 갖추어지는 경계블럭용 케이스를 합성수지로 성형.제작함으로써, 우선적으로 경량화가 가능하여 운반 및 시공속도가 빠르고, 아울러 케이스의 내부에 콘크리트가 충전됨으로써, 케이스의 변형 및 파손을 방지하고, 내압 강도를 한층 강화시킬 수 있도록 한 콘크리트가 충전되는 합성수지 경계블럭의 시공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경계블럭은 보도나 차도 및 도로의 경계부분을 표시하고자 사용되는 것으로, 대부분 하나의 길이가 1m를 이루며, 화강석이나 콘크리트의 재질로이루어지는데, 우선 화강석 재질의 경계블럭은 표면이 매끄러워 미관이 수려한 장점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나, 가격이 비싸고 화강석 채취로 인한 환경파괴를 유발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화강석 경계블럭을 사용하여 시공할 경우, 경계블럭의 재질상 매우 무거워서 운반에 대한 어려움이 크게 작용함으로써, 시공시간이 길어지고 작업인원 또한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화강석 경계블럭을 보다 용이하게 운반하고자 경계블럭의 단위 길이를 1m 이하로 짧게할 경우에는 짧아진 길이 만큼 무게가 감소하여 운반.시공에 따른 어려움을 해결할 수는 있는 반면, 순차적으로 밀착.나열되는 케이스간에 틈새의 개수가 증가하게 되어 이음부위를 마감처리 하는 작업과 경계블럭간에 단차를 일치시키기 위한 평탄 작업을 더욱 가중시키게 되고, 아울러 시공시 경계블럭간에 충돌이 발생할 경우, 재질상 쉽게 금이 생기면서 부서져 고가품에 대한 시공성을 격하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상기와 같은 화강석 경계블럭의 가격부담을 해결하고자 콘크리트 경계블럭으로 시공할 경우에는 화강석에 비해 가격이 저렴한 반면, 표면이 투박하여 미관이 나쁘고 화강석보다 충격에 약하여 쉽게 파손됨은 물론, 이 또한 화강석 경계블럭과 같이 무거워 운반.시공에 가장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합성수지만으로 제작된 경계블럭을 사용할 경우에는 화강석 및 콘크리트블럭에 비해 견고하여 충격에 따른 파손을 방지할 수 는 있으나, 제작시 합성수지원료가 많이 소요되어 가격이 비싼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보,차도를 비롯한 도로의 경계지반 갖추어지는 경계블럭용 케이스를 합성수지로 성형.제작함으로써, 우선적으로 합성수지 원료를 적게 사용하면서 케이스의 제작이 신속하여 경량화 및 운반 .시공속도를 빠르게 하고, 아울러 케이스의 내부에 콘크리트를 충전시킴으로써, 경계블럭의 변형 및 파손을 방지하고, 내압 강도를 한층 강화시킬 수 있도록 한 콘크리트가 충전되는 합성수지 경계블럭의 시공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합성수지 경계블럭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정단면도
도 3의 (a)는 합성수지 경계블럭에 마개가 삽입.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b)는 (a)의 마개 대신에 가이드레일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합성수지 경계블럭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5는 도 5의 A-A선을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합성수지 경계블럭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경계지반 12 : 케이스
14 : 철근 16 : 철사
18,20 : 콘크리트 22 : 공간부
24 : 결합공 26 : 굴곡부
28 : 돌출부 30 : 주입공
32 : 반사시트 36 : 마개
38 : 가이드레일 40 : 강재내피
42 : 관통공 44 : 지지판
46 : 철근 48 : 통공
50 : 거푸집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경계지반을 따라 상호 간격을 이루며 설치되는 철근과, 상기 철근의 상면에 안착되며 하부가 개방되는 상태로 내부에 공간부를 형성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상면에 콘크리트를 공간부에 충전시키고자 마련된 다수개의 주입공으로 이루어진 구조로서, 우선적으로 케이스의 제작이 용이하면서 경량화가 가능하여 운반 및 시공속도가 빠르고, 아울러 케이스의 내부에 콘크리트가 충전됨으로써, 케이스의 내압 강도가 한층 강화되어 외부 충돌로 인한 변형과 파손을 방지함은 물론, 색상을 자유롭게 연출하여 미관이 좋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점에 특징이 있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본 고안에 따른 콘크리트가 충전되는 합성수지 경계블럭의 시공구조는 첨부된 예시도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합성수지나 불포화 에스테르수지의 재질을 이용하여 사각모양으로 성형,제작된 케이스(12)의 내부에는 하부를 개방시킨 상태로 공간부(22)가 형성되어 있고, 이 케이스(12)의 양편 하단에는 철사(16)를 매개로 하여 경계지반(10)에 설치된 철근(14)과 용이한 결속이 이루어지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결합공(24)을 등간격으로 형성한 굴곡부(26)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 케이스(12)의 각 내면에는 이와 일체를 이루는 다수개의 돌출부(28)가 길이방향을 따라 간격을 이루며 돌출.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12)의 상면에는 호스를 이용하여 공간부(22)에 콘크리트(20)를 충전시키기 위한 주입공(30)이 일정간격 마다 마련되어 있는데, 이 주입공(30)에는 첨부된 예시도면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사시트(32)를 구비한 마개(36)가 끼워지거나 (b)에 도시된 바와 같은 가이드레일(38)이 삽입.설치되는데, 이때 상기 가이드레일(38)은 여러형태의 안전난간도 대체 가능한 것이다.
한편, 첨부된 예시도면 도 4 내지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경계블럭용 케이스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도 1과 동일한 첨부번호는 동일한 구성을 나타내므로 중복설명을 피하고자 생략하고 상이한 점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첨부된 예시도면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계블럭용 케이스(12)의 내부에는 철판 재질로 일정한 두께를 갖는 강재내피(40)가 적어도 한개 이상 면밀착되는 상태로 끼워져 있는데, 이 강재내피(40)의 내부에는 콘크리트(20)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부(40')가 형성되어 있고, 강재내피(40)의 상면에는 케이스(12)의 주입공(30)과 일치하는 주입공(40')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첨부된 예시도면 도 6에 도시된 경계블럭용 케이스(41)의 내면에는 중앙에 관통공(42)을 형성한 사각모양의 지지판(44)이 일정 간격을 이루며 케이스(41)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데, 이 지지판(44)의 면상에는 철근(46)을 수평으로 끼우기 위한 통공(48)이 각각 마련되어 있는 것이다.
위와 같은 본 고안은 첨부된 예시도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보,차도 및 도로의 경계지반(10)에 철근(14)이 삽입.설치되어 있는 상태에서 이 철근(14)의 상면에 케이스(12)를 거치시키게 되는데, 이때 상기 케이스(12)는 합성수지나 불포화에스테르수지의 재질로 성형.제작됨으로써, 우선 무게가 종래의 경계블럭에 비해 현저히 가벼워 길이 단위를 1m이상으로 연장하더라도 운반이 용이하고, 이로 인하여 연장된 길이만큼 케이스(12)의 설치 갯수를 줄일 수 있음은 물론, 이음틈새의 개수가 줄어들게 되어 평탄화 작업과 이음틈새를 마감처리하는 작업량이 현저히 감소하게 됨으로써, 시공을 빠르게 마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케이스(12)의 공간부(22)에는 주입공(30)을 통하여 콘크리트(20)가 충전되는데, 이때 케이스(20)의 내면에 구비된 다수개의 돌출부(28)는 주입된 콘크리트(20)가 케이스(12)의 내면에 면밀착되는 상태로 굳어지도록 도모하게 되는것이다.
그리고, 상기 주입공(30)에는 첨부된 예시도면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에 반사시트(32)를 구비한 마개(36)가 콘크리트(20) 굳기전에 끼워지거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레일(38)을 추가적으로 삽입.설치함으로써, 야간에 도로를 주행하는 운전자가 마개(36)의 반사시트(32)에서 반사되는 빛에 의해 도로의 굴곡상태를 시각적으로 충분히 확보하여 충돌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가이드레일(38)이 설치된 경우에는 차량의 보도 진입에 따른 보행자를 보호할 수 있으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레일(38) 대신에 여러형태의 구조를 취하는 안전난간으로 대체하여 통행인이 많은 보도에서 통행인이 차도에 접근 방지되도록 도모할 수도 있는 것이다.
한편, 첨부된 예시도면 도 4 및 도 5는 상기 경계블럭용 케이스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케이스(12)의 내부에는 적어도 한개 이상의 강재내피(40)가 면밀착되는 상태로 끼워져 있는데, 이때 상기 강재내피(40)의 재질이 철판으로 이루어져 있어, 케이스(12)의 강도를 강화시켜 충돌에 의한 변형 및 파손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추후 케이스(12)의 강도를 한층 강화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별도의 강화 케이스(12)에 대한 교체작업 없이 바로 케이스(12)의 주입공(30)을 통하여 콘크리트(20)를 내부에 충전시킴으로써, 케이스(12)의 내압 강도를 한층 강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첨부된 예시도면 도 6은 상기 경계블럭용 케이스의 또 다른 실시예를나타낸 것으로, 케이스(41)의 공간부(22)에는 면상에 다수개의 통공(48)을 형성한 지지판(44)이 일정간격 마다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이 지지판(44)의 통공(48)간에는 철근(46)을 일정간격으로 유지시키면서 관통되는 상태로 끼워져 있어서, 추후 케이스(41)의 공간부(22)에 콘크리트(20)가 충전될 경우에는 그 견고함을 한층 강화시킬 수 있는 것이다.
참고적으로, 상기 케이스(41)는 보,차도 및 도로의 경계부분에만 국한 되는 것이 아니라 주택가 혹은 아파트 단지의 경계석으로 대체하여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표면에 다양한 무늬모양 또는 채색을 하여 보는 이로 하여금 깔끔한 인상을 주는 등 미관을 아름답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위와 같이 본 고안은 보,차도 및 도로의 경계지반에 갖추어지는 경계블럭용 케이스를 합성수지로 성형.제작함으로써, 우선적으로 케이스의 제작이 신속.용이하면서 경량화가 가능하여 현장에서의 운반.시공이 쉽고, 아울러 케이스의 내부에 가격이 비교적 저렴한 콘크리트를 선택적으로 충전시킴으로써, 견고함을 한층 강화하여 외부 충돌로 인한 변형과 파손을 방지함은 물론, 색상을 자유롭게 연출하여 미관이 좋은 상태를 유지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7)

  1. 보도나 차도의 경계지반에 갖추어지는 경계블럭의 시공구조에 있어서,
    상기 경계지반을 따라 상호 간격을 이루며 설치되는 철근과,
    상기 철근의 상면에 안착되며 하부가 개방되는 상태로 내부에 공간부를 형성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상면에 콘크리트를 공간부에 충전시키고자 마련된 다수개의 주입공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가 충전되는 합성수지 경계블럭의 시공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내면에는 콘크리트가 면밀착되는 상태로 굳어지도록 다수개의 돌출부가 내측 방향으로 돌출.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가 충전되는 합성수지 경계블럭의 시공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공에는 차량의 주행을 유도하고자 반사시트를 상단에 부착한 마개가 끼워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가 충전되는 합성수지 경계블럭의 시공구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마개 대신에 가이드레일로 대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가 충전되는 합성수지 경계블럭의 시공구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양편 하단에 철근과의 용이한 결속이 이루어지도록 다수개의 결합공을 형성한 굴곡부가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가 충전되는 합성수지 경계블럭의 시공구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는 소정두께를 갖는 철판 재질의 강재내피가 면밀착되는 상태로 끼워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가 충전되는 합성수지 경계블럭의 시공구조.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는 일정간격 마다 다수개의 지지판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이 지지판상에는 철근을 수평의 상태로 끼우기 위한 다수개의 통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가 충전되는 합성수지 경계블럭의 시공구조.
KR2020010000816U 2001-01-12 2001-01-12 콘크리트가 충전되는 합성수지 경계블럭의 시공구조 KR20022874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0816U KR200228748Y1 (ko) 2001-01-12 2001-01-12 콘크리트가 충전되는 합성수지 경계블럭의 시공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00816U KR200228748Y1 (ko) 2001-01-12 2001-01-12 콘크리트가 충전되는 합성수지 경계블럭의 시공구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01704A Division KR20020061025A (ko) 2001-01-12 2001-01-12 콘크리트가 충전되는 합성수지 경계블럭의 시공방법 및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8748Y1 true KR200228748Y1 (ko) 2001-07-19

Family

ID=730947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00816U KR200228748Y1 (ko) 2001-01-12 2001-01-12 콘크리트가 충전되는 합성수지 경계블럭의 시공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8748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2671B1 (ko) 2006-11-30 2007-11-02 신상종 보도경계석 받침대 및 이를 이용한 보도경계석 시공방법
KR101342984B1 (ko) * 2011-11-11 2013-12-18 구동철 충격 흡수 기능을 구비한 도로 경계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2671B1 (ko) 2006-11-30 2007-11-02 신상종 보도경계석 받침대 및 이를 이용한 보도경계석 시공방법
KR101342984B1 (ko) * 2011-11-11 2013-12-18 구동철 충격 흡수 기능을 구비한 도로 경계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68976B1 (ko) 전단면 pc 슬래브용 방호벽 구조체
US5492438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taining wall top panel
KR101138829B1 (ko) 고속도로의 중앙분리대 및 교량용 난간방호벽의 개량공법과 그 중앙분리대 및 그 난간방호벽
KR200228748Y1 (ko) 콘크리트가 충전되는 합성수지 경계블럭의 시공구조
KR100984019B1 (ko) 조립식 횡단보도
KR20020061025A (ko) 콘크리트가 충전되는 합성수지 경계블럭의 시공방법 및 구조
JP7025857B2 (ja) コンクリート部材
KR100673306B1 (ko) 도로용 중앙분리대
JPH0258610A (ja) 中央分離帯の改修方法およびそれに使用される防護壁ブロック
KR100662858B1 (ko) 콘크리트 거푸집 및 이것을 이용한 도로 콘크리트 구조물
KR101037594B1 (ko) 날개형 블록
KR200245240Y1 (ko) 도로 경계용 블록
JP2000204511A (ja) 縁石ブロックの外枠
KR200327724Y1 (ko) 도로경계블록
KR200287820Y1 (ko) 안전 유도대
KR200317919Y1 (ko) 교량 상판 방호벽용 보강 구조물
KR200180170Y1 (ko) 그라우트홀이 형성된 차량용 방호벽
KR200255908Y1 (ko) 복합재료 합성수지 도로 경계석
KR200272029Y1 (ko) 폐타이어 블록 및 이를 이용한 도로 교통시설물
KR200185662Y1 (ko) 보차도 경계블럭
KR200213559Y1 (ko) 금속판으로 보강한 건설용 블록
KR200423086Y1 (ko) 프리캐스트 방호벽 부재 및 이를 이용한 교량 방호벽 구조
JPH09291516A (ja) コンクリートガードフェンス
KR200403797Y1 (ko) 시각장애인 안내용 유도블록
KR200255907Y1 (ko) 와이어매쉬가 보강된 보차도 경계블럭 및 중앙분리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