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5907Y1 - 와이어매쉬가 보강된 보차도 경계블럭 및 중앙분리대 - Google Patents

와이어매쉬가 보강된 보차도 경계블럭 및 중앙분리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5907Y1
KR200255907Y1 KR2020010023921U KR20010023921U KR200255907Y1 KR 200255907 Y1 KR200255907 Y1 KR 200255907Y1 KR 2020010023921 U KR2020010023921 U KR 2020010023921U KR 20010023921 U KR20010023921 U KR 20010023921U KR 200255907 Y1 KR200255907 Y1 KR 20025590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wire mesh
artificial stone
concrete
boundary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392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성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스마텍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스마텍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스마텍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202001002392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590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590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5907Y1/ko

Links

Landscapes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와이어매쉬가 보강된 보차도 경계블럭 및 중앙분리대에 관한 것으로, 인조석을 이용하여 외벽을 형성하고 내측에 공간부를 형성하는 벽체와, 상기 벽체에 내장되어 구비되고 소정 길이로 연장된 단부가 절곡되어 상기 공간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벽체의 내측으로 노출된 보강용 와이어매쉬와, 상기 와이어매쉬의 단부를 매립하도록 상기 공간부에 채워져서 상기 벽체 및 상기 와이어매쉬의 단부와 일체로 결합된 콘크리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구조이다.
본 고안의 보차도 경계블럭은, 가격이 저렴하고 미관이 우수한 인조석을 이용하여 외벽을 형성함으로써 비용을 절감하고 외적인 미를 한층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은 인조석의 내부에 와이어매쉬를 보강함으로써 인조석의 강도를 상승시켜 전체 경계블럭 및 중앙분리대의 강도를 훨씬 더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은 인조석 내부의 와이어매쉬가 외측으로 연장하여 인출되도록 하고, 이 인출된 와이어매쉬 단부를 절곡하여 콘크리트 내부에 매설시킨 구조를 갖춤으로써 콘크리트의 내구성을 높이는 한편, 별도의 복잡한 구조 없이도 외벽과 콘크리트의 결합력을 현저히 상승시켜 탈리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와이어매쉬가 보강된 보차도 경계블럭 및 중앙분리대{Boundary block and Central separating block of a road with wire meshes}
본 고안은 보도와 차도 사이에 설치되는 보차도 경계블럭과, 차도 중앙에 설치되는 중앙분리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와이어매쉬로 보강된 인조석을 이용하여 외벽을 형성하고, 인조석 내부에 구비된 상기 와이어매쉬를 연장시켜 외벽의 내측 공간부에 위치되도록 한 후, 상기 공간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인조석과 콘크리트가 견고하게 일체로 구성되도록 한 와이어 메쉬가 보강된 보차도 경계블럭 및 중앙분리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차도 경계블럭은 차도와 인도의 경계선상에 설치되어 차도와 인도를 구분하고 교통흐름을 유도하며 교통사고시 자동차의 이탈을 방지하여 보행자를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통상 도로보다 높게 설치되어 운전자에게 인도의 존재를 인식시키는 경고물 역할을 수행함과 동시에 차량의 인도진입을 차단하는 역할을 수행하여 행인의 안전을 보호하도록 된 구조물이다.
도 1은 종래 보차도 경계블럭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종래 보차도 경계블럭의 내부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보차도 경계블럭(10)은 상면과 측면을 이루도록 소정크기의 제1 벽체(11)와 제2 벽체(12)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제1 벽체(11)와 제2 벽체(12)가 만나는 모서리 부분에는 금속판(13)이 구비된 구조를 이루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경계블럭(10)에서는 제1 및 제2 벽체(11,12)와 금속판(13)의 분리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제1 및 제2 벽체(11,12)의 외면에는 길이방향으로 결합홈(11a,12a)을 형성하고, 상기 금속판(13)의 양단에는 소정각도로 절곡시킨 결합부(14)를 형성하여 이 결합부(14)를 상기 결합홈(11a,12a)에 삽입,고정시킨다.
한편, 상기 제1 및 제2 벽체(11,12)의 내측 공간에는 콘크리트(18)가 타설되는데, 이 콘크리트(18)가 제1 및 제2 벽체(11,12)의 내면에 부착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금속판(13)의 배면에는 소정의 강도를 갖는 보강판(15)을 길이방향으로 부착하고, 상기 보강판(15)에는 지지대(16)를 매개로 고정대(17)를 일체로 결합시키며, 상기 고정대(17)의 양단을 제1 및 제2 벽체(11,12)의 배면에 형성된 고정홈(11b,12b)에 삽입,고정시킨 후, 상기 보강판(15), 지지대(16) 및 고정대(17)와 함께 굳으면서 보차도 경계블럭(10)의 몸체를 형성하도록 된 구조이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종래의 보차도 경계블럭(10)은 모서리 부분을 금속판(13)으로 구성함에 따라 외부충격에 의한 모서리 부분의 파손은 최소화할 수 있는 반면, 측면과 상면을 구성하는 제1 및 제2 벽체(11,12)의 표면은 여전히 충격에 약하여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벽체(11,12)와 콘크리트(18)의 결합을 위해 복잡한 구조를 설치하여야 하고, 이러한 복잡한 구조에도 불구하고 콘크리트(18)와의 결합력은 여전히낮아 벽체가 쉽게 이탈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종래의 보차도 경계블럭(10)에서 상기 제1 및 제2 벽체(11,12)를 콘크리트, 천연화강암, 인조화강암, 철재 및 합성수지 등을 재질로 하여 구성할 수도 있는데, 콘크리트 경계블럭의 경우에는 재료비는 저렴하지만 외관상 미감이 떨어지고 내구성이 약하여 작은 충격에도 쉽게 파손되는 한편, 천연 화강암으로 된 경계블럭의 경우에는 미관은 우수하지만 중량이 많이 나가고 재료비가 고가이며, 화강암을 채석해서 제조해야 하기 때문에 자연을 훼손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인조화강암 경계블럭의 경우에는 먼저 콘크리트블럭을 성형하고 이 콘크리트 블럭의 외면에 인조화강암을 부착하게 되는데, 상기 콘크리트블럭과 인조화강암의 결합력이 낮아 쉽게 이탈되는 한편, 내충격 강도가 천연화강암에 비해 낮아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고, 철재 또는 합성수지로 된 경계블럭의 경우에는 철재나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외곽을 형성하고 그 내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채운 것으로, 석재나 시멘트 재질의 경계블럭이 쉽게 파손되는 단점을 다소 해결한 장점은 있으나 충격 또는 열에 의한 변형이 많아 미관상 좋지 않으며 제조비용이 고가인 관계로 극히 제한된 경우에만 사용되고 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 가격이 천연화강암보다 훨씬 저렴하고 미관은 자연석과 대등한 수준을 가지면서도 내구성 및 내충격성이 현저히 향상되고, 외벽의 탈리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보차도 경계블럭 및 중앙분리대를 제공함에 고안의 목적이 있다.
도 1은 일반 보차도 경계블럭의 외형을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2는 종래 보차도 경계블럭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보차도 경계블럭의 일실시예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4a는 도 3에 도시된 보차도 경계블럭의 조립사시도이고,
도 4b는 본 고안에 따른 보차도 경계블럭의 결합형태를 보여주기 위한 도 4a의 선A-A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5a는 본 고안에 따른 중앙분리대의 일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5b는 본 고안에 따른 중앙분리대의 결합형태를 보여주기 위한 도 5a의 선B-B에 따른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20 : 보차도 경계블럭 21 : 제1 벽체
22 : 제2 벽체 23 : 제3 벽체
24,34 : 공간부 21a,22a,23a,31a,32a,33a : 와이어매쉬
25,35 : 콘크리트 26,36 : 반사체
30 : 중앙분리대 31 : 제1 측벽
32 : 제2 측벽 33 : 덮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본 고안에 따른 보차도 경계블럭은, 경계블럭의 외벽을 형성하고 내측에 공간부를 형성하는 인조석의 벽체와, 인조석 벽체의 강성을 보강하기 위하여 상기 인조석 벽체에 내장되어 구비되고 소정 길이로 연장된 단부가 절곡되어 상기 공간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벽체의 내측으로 노출되어 있는 와이어매쉬와, 상기 와이어매쉬의 단부를 매립하도록 상기 공간부에 채워져서 상기 벽체 및 상기 와이어매쉬의 단부와 일체로 결합된 콘크리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위와 같은 본 고안의 구성은 도로의 중앙에 설치되는 통상의 중앙분리대에도 적용될 수 있는데, 본 고안에 따른 도로의 중앙분리대는, 인조석을 이용하여 외벽을 형성하며 내측에 공간부를 형성하는 벽체와, 인조석의 강성을 보강하기 위하여 상기 인조석으로 이루어진 벽체에 내장되어 구비되고 소정 길이 연장된 단부가 절곡되어 상기 공간부에 위치되도록 상기 벽체의 내측으로 노출되어 있는 와이어매쉬와, 상기 와이어매쉬의 단부를 매립하도록 상기 공간부에 채워져서 상기 벽체 및 와이어매쉬의 단부와 일체로 결합된 콘크리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보차도 경계블럭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분리사시도이고, 도 4a는 도 3에 도시된 보차도 경계블럭의 조립사시도이고, 도 4b는 결합된 형태를 보여주기 위하여 도 4a의 선A-A에 따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보차도 경계블럭의 외면을 인조석(artificial stone)을 이용하여 구성한다.
통상의 인조석은 천연석을 모방하여 인공으로 만든 건축재료의 일종으로서, 실리카 등의 골재에 무기질 안료 및 수지를 혼합한 후, 압축성형하는 공지의 기술에 의해 제작된다. 인조석 중에서 가장 일반적인 것으로는 테라초(terrazzo)가 있는데, 이 테라초는 포틀랜드 시멘트나 백색포틀랜드 시멘트를 결합재로 하고, 종석에는 색채와 모양의 특징이 뚜렷한 화강암 또는 대리석의 석분이나 쇄석을 가하며, 황토나 산화철 등을 안료로 써서 물로 반죽하여 판상으로 성형한 것으로서, 결합재로 안료와 조합한 컬러시멘트를 사용하기도 한다.
이러한 인조석은 외관상 천연석과 유사하고 색상과 무늬가 뛰어나 최상의 미적효과를 제공하며, 내구성이 강하고 의장성과 가공성이 천연석보다 훨씬 좋기 때문에 건축물의 벽, 바닥, 기둥 등 건축 내,외장재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공지된 통상의 인조석 내부에 와이어매쉬를 매립하여 보강한 인조석을 사용하게 되는데, 이 인조석은 실리카 등의 골재와 무기질 안료 및 수지를 혼합하여 만든 혼합재료를 형틀에 부어 층을 형성한 후, 그 위에 와이어매쉬를 놓은 상태에서 상기 혼합재료를 더 부어 소요두께가 되도록 한 다음, 압축성형하여 만들어진다.
도 3,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차도 경계블럭(20)은 상기와 같이 와이어매쉬를 매립하여 만들어진 인조석을 이용하여 각각 경계블럭(20)의 상면과 측면을 이루는 제1 벽체(21) 및 제2 벽체(22)를 형성하고, 상기 제1 벽체(21)와 제2 벽체(22) 사이의 모서리 부분에는 상기 인조석으로 된 제3 벽체(23)를 형성한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 제1, 제2 및 제3 벽체(21,22,23)는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와이어매쉬(21a,22a,23a)가 내장되어 있다. 상기 제1, 제2 및 제3 벽체(21,22,23)는 그 배면으로 후술할 콘크리트가 위치하게 될 공간부(24)를 형성한다.
상기 제1, 제2 및 제3 벽체(21,22,23)에 내장되어 있는 와이어매쉬(21a,22a,23a)는 그 단부가 연장되어 상기 공간부(24)에 위치하도록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와이어매쉬(21a,22a,23a)의 단부는 상기 제1, 제2 및 제3 벽체(21,22,23)의 둘레면 부근에서 절곡되어 상기 제1, 제2 및 제3 벽체(21,22,23)의 내측면으로 돌출되어 상기 공간부(24)의 내측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공간부(24)에는 콘크리트(25)가 타설되어 본 고안의 보차도 경계블럭(20)을 완성하게 되는데, 이때 절곡되어 외부로 노출된 상기 와이어매쉬(21a,22a,23a)의 단부는 콘크리트(25) 내부에 매설되어 콘크리트(25)와 일체로 된다.
한편, 콘크리트(25)가 굳는 과정에서 상기 제1, 제2 및 제3 벽체(21,22,23)의 내면은 상기 콘크리트(25)와 결합하게 되고, 상기 공간부(24)에서 상기 와이어매쉬(21a,22a,23a)의 단부가 상기 콘크리트(25) 속에 매설되므로써 상기 제1, 제2및 제3 벽체(21,22,23)와 콘크리트(25)의 결합력을 더욱 강화시켜 상기 제1, 제2 및 제3 벽체(21,22,23)가 콘크리트(25)로부터 탈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제1, 제2 및 제3 벽체(21,22,23)의 내면을 거친 면으로 형성하면 콘크리트(25)와의 결합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로 된 본 고안의 보차도 경계블럭(20)은 상기 제1, 제2 및 제3 벽체(21,22,23)의 내부에 와이어매쉬(21a,22a,23a)가 보강되어 있어 내충격성이 현저히 향상되므로 외부충격에 의한 경계블록 표면의 파손을 줄일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의 경계블럭(20)은 상기 제1 및 제2 벽체(21,22) 사이에 형성된 공간부(24)에 타설된 콘크리트(25)가 굳는 과정에서 와이어매쉬(21a,22a,23a)의 단부와 단단하게 결합되므로 충격에 의해 상기 제1, 제2 및 제3 벽체(21,22,23)가 탈리되는 것을 크게 줄일 수 있게 된다.
차도와 마주하게 되는 제2 벽체(22)에는 야간에 차량의 불빛을 반사시키거나 또는 자체적으로 빛을 발하여 보도와 차도를 구분할 수 있도록 하는 반사체(26)가 구비될 수도 있다.
위 실시예에서는 경계블럭(20)이 제1, 제2 및 제3 벽체(21,22,23)와 같이 3개의 벽체로 구성되어 있으나,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제1 벽체(21)와 제2 벽체(22) 또는 상기 제2 벽체(22)와 제3 벽체(23)가 일체로 형성된 구조, 또는 상기 제1, 제2 및 제3 벽체(21,22,23)가 일체로 형성된 구조 등 다양한 구조에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고안은 다른 실시예로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매쉬(31a,32a,33a)로 보강된 중앙분리대(30)를 제공한다. 상기 중앙분리대(30)는 도 3의 보차도 경계블럭(20)과 마찬가지로 와이어매쉬(31a,32a,33a)가 내장된 인조석을 이용하여 제1 및 제2 측벽(31,32)과 덮개(33)를 구성한다. 상기 중앙분리대(30)에서, 상기 제1 및 제2 측벽(31,32)은 상호 대향하며 이격되어 그 사이에 공간부(34)를 형성하고, 이 공간부(34)의 상측은 상기 덮개(33)로 덮인 구조를 이루고 있다.
도 5a에는 도시되어 있지 아니하나, 상기 제1 및 제2 측벽(31,32)과 덮개(33)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유사하게 와이어매쉬(31a,32a,33a)가 내장되어 있으며, 상기 와이어매쉬(31a,32a,33a)는 그 단부가 상기 제1 및 제2 측벽(31,32)과 덮개(33)의 둘레면 부근에서 절곡되어,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및 제2 측벽(31,32)과 덮개(33)의 내측면으로 돌출되어 상기 공간부(34)의 내측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공간부(34)에는 콘크리트(35)가 타설되며, 상기 와이어매쉬(31a,32a,33a)의 단부는 상기 공간부(34)에 타설된 콘크리트(35)에 매설된다.
이때, 상기 공간부(34)에 채워진 콘크리트(35)가 굳는 과정에서 상기 콘크리트(35) 속에 매설된 상기 와이어매쉬(31a,32a,33a)의 단부는 콘크리트(35)와 인조석(31,32,33)의 결합력을 크게 향상시켜 주어 외부충격으로부터 중앙분리대(30)의 파손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위와 같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중앙분리대(30)가 제1 및 제2측벽(31,32)과 덮개(33)로 된 3개의 부재로 구성되어 있으나, 본 고안은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제1 측벽(31)과 제2 측벽(32) 또는 상기 제2 측벽(32)과 제3 측벽(33)이 일체로 형성된 구조, 또는 상기 제1, 제2 및 제3 측벽(31,32,33)이 일체로 형성된 구조 등 다양한 구조에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제1 측벽(31) 및 제2 측벽(32)에도 야간에 차량의 불빛을 반사시키거나 또는 자체적으로 빛을 발하여 보도와 차도를 구분할 수 있도록 하는 반사체(36)가 구비될 수 있다.
위와 같이, 본 고안은 가격이 저렴하고 미관이 우수한 인조석을 이용하여 외곽을 형성함으로써 비용을 절감하고 외적인 미를 한층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은 인조석의 내부에 와이어매쉬를 보강함으로써 외벽을 이루는 인조석의 강도를 상승시켜 전체 경계블럭 및 중앙분리대의 강도를 훨씬 더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은 인조석 내부의 와이어매쉬를 연장시켜 절곡하므로써 콘크리트가 채워지는 공간부로 그 단부가 노출되도록 한 후, 노출된 단부를 콘크리트 내부에 매설시킨 구조를 갖춤으로써 콘크리트의 내구성을 높이는 한편, 외벽과 콘크리트의 결합력을 현저히 상승시켜 탈리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은 인조석 내부에 와이어매쉬를 내장시키고 그 단부를 콘크리트에 매립시키는 구조를 이용하여 인조석 벽체의 탈리를 방지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벽체의 탈리를 위하여 복잡한 장치와 구조를 형성하여야만 했던 종래의 기술에 비하여 그 구조가 매우 간단하며, 그에 따라 제조원가가 절감되며 시공이 용이하게 된다.

Claims (2)

  1. 차도와 인도를 구분하는 통상의 보차도 경계블럭에 있어서,
    인조석으로 제조되어 경계블럭의 외벽을 형성하고 배면으로는 공간부(24)를 형성하는 벽체(21,22,23)와,
    인조석의 강성을 보강하기 위하여 상기 인조석으로 이루어진 벽체(21,22,23)에 내장되어 구비되고 소정 길이로 연장된 단부가 절곡되어 상기 공간부(24)에 위치되도록 상기 벽체(21,22,23)의 내측으로 노출된 와이어매쉬(21a,22a,23a)와,
    상기 와이어매쉬(21a,22a,23a)의 단부를 매립하도록 상기 공간부(24)에 채워져서 상기 벽체(21,22,23) 및 상기 와이어매쉬(21a,22a,23a)의 단부와 일체로 결합된 콘크리트(2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메쉬가 보강된 보차도 경계블럭.
  2. 도로의 중앙에 설치되어 도로의 양측을 구분하는 중앙분리대에 있어서,
    인조석으로 제조되어 중앙분리대의 외벽을 형성하며 그 배면으로는 공간부(34)를 형성하는 벽체(31,32,33)와,
    인조석의 강성을 보강하기 위하여 상기 인조석으로 이루어진 벽체(31,32,33)에 내장되어 구비되고 소정 길이로 연장된 단부가 절곡되어 상기 공간부(34)에 위치되도록 상기 벽체(32,32,33)의 내측으로 노출된 와이어매쉬(31a,32a,33a)와,
    상기 와이어매쉬(31a,32a,33a)의 단부를 매립하도록 상기 공간부(34)에 채워져서 상기 벽체(31,32,33) 및 와이어매쉬(31a,32a,33a)의 단부와 일체로 결합된 콘크리트(3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이어 메쉬가 보강된 중앙분리대.
KR2020010023921U 2001-08-07 2001-08-07 와이어매쉬가 보강된 보차도 경계블럭 및 중앙분리대 KR20025590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3921U KR200255907Y1 (ko) 2001-08-07 2001-08-07 와이어매쉬가 보강된 보차도 경계블럭 및 중앙분리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3921U KR200255907Y1 (ko) 2001-08-07 2001-08-07 와이어매쉬가 보강된 보차도 경계블럭 및 중앙분리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5907Y1 true KR200255907Y1 (ko) 2001-12-13

Family

ID=730685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3921U KR200255907Y1 (ko) 2001-08-07 2001-08-07 와이어매쉬가 보강된 보차도 경계블럭 및 중앙분리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5907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293162C1 (ru) Блок для несъемной опалубки
KR200255907Y1 (ko) 와이어매쉬가 보강된 보차도 경계블럭 및 중앙분리대
KR200446327Y1 (ko) 미끄럼방지용 경계석
KR200401214Y1 (ko) 도로 경계석
KR100797678B1 (ko) 경계블록 및 그 제조방법
KR101253593B1 (ko) 경계석
KR200381325Y1 (ko) 보도블록
KR920001116Y1 (ko) 도로경계석
KR101135350B1 (ko) 자전거 도로 구축용 블럭
KR200171777Y1 (ko) 보도블록
KR200185662Y1 (ko) 보차도 경계블럭
KR200228748Y1 (ko) 콘크리트가 충전되는 합성수지 경계블럭의 시공구조
KR200468954Y1 (ko) 복합부재로 이루어진 도로 경계블록
JP2002201605A (ja) 歩車道用縁石ブロック
KR200348729Y1 (ko) 도로 경계 블록
KR200297349Y1 (ko) 타일 부착형 보도블록 조립체
KR102314408B1 (ko) 엣지 배수모듈 착탈 조립식 듀얼 투수블록
CN2402715Y (zh) 一种仿大理石反光“路牙”
KR102130209B1 (ko) 돌담형 경계석
KR101040492B1 (ko) 재생합성수지를 이용한 조립식 다공블록
KR100468940B1 (ko) 타일 부착형 보도블록 조립체
JP2005036489A (ja) パーキングブロック及びブロック
KR200295930Y1 (ko) 블럭결합형 과속방지턱
KR200436545Y1 (ko) 반사플레이트가 부착된 도로용 야광반사 경계블록
KR200222513Y1 (ko) 차량 진입방지용 지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101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