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0209B1 - 돌담형 경계석 - Google Patents

돌담형 경계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0209B1
KR102130209B1 KR1020180085064A KR20180085064A KR102130209B1 KR 102130209 B1 KR102130209 B1 KR 102130209B1 KR 1020180085064 A KR1020180085064 A KR 1020180085064A KR 20180085064 A KR20180085064 A KR 20180085064A KR 102130209 B1 KR102130209 B1 KR 1021302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undary
stone
protrusion
boundary stone
block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50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9956A (ko
Inventor
한영찬
Original Assignee
한영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영찬 filed Critical 한영찬
Priority to KR10201800850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0209B1/ko
Publication of KR202000099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99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02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02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2Gutters; Kerbs ; Surface drainage of streets, roads or like traffic areas
    • E01C11/221Kerbs or like edging members, e.g. flush kerbs, shoulder retaining means ; Joint members, connecting or load-transfer means specially for kerbs
    • E01C11/222Raised kerbs, e.g. for sidewalks ; Integrated or portable means for facilitating ascent or desc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면, 하면, 전면, 후면, 및 양측면을 포함하는 경계 블럭 본체와, 상기 경계 블럭 본체의 제1측면에 일체화되며, 제1측면의 상부는 만입되고 하부는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1돌출부와, 상기 경계 블럭 본체의 제1측면 반대쪽의 제2측면에 일체화되며, 제2측면의 상부는 돌출되고 하부는 만입되어 형성되는 제2돌출부와, 상기 경계 블럭 본체의 적어도 상면 및 전면에 형성되는 돌담 문양을 포함하며, 상기 제2측면의 제1돌출부의 평면도적 면적은 상기 제1측면의 제1돌출부의 평면도적 면적 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담형 경계석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돌담형 경계석 {Stone wall type boundary stone}
본 발명은 돌담형 경계석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인접한 경계석간의 경계가 식별되지 않아 자연스러운 돌담과 유사한 외관을 보이면서 경계석간의 물리적 결합력을 향상시킨 새로운 경계석을 제안한다.
도로와 보도를 경계하는 도로 경계석은 통상 직육면체로 형성되며, 도로 표면에 콘크리트 기초층을 타설하고 그 위에 경계석을 안착시켜 고정한다. 또한, 인접한 경계석 사이에는 작은 틈이 존재하도록 배치되는데 경계석 사이의 이음부 표면에 벽돌의 줄눈 작업과 유사하게 모르타르를 타설 양생하여 결속시키는 매지 처리를 시행하고 있다.
인접한 경계석에 매지 처리하는 방식은 물에 의한 침식이나 지반이 약하여 내려앉는 등으로 지반이 불규칙하게 될 때 경계석을 균일하게 유지할 수 없을 뿐 아니라 결속력이 취약해 외부로부터의 충격, 예를 들어 도로를 주행하는 차량이 경계석에 부딪히는 등의 외력이 국지적으로 가해지게 되면 경계석이 쉽게 이탈하여 경계석으로서 기능이 저하된다.
특히, 경계석 사이를 메웠던 이음부 상측의 시멘트로 형성한 충진재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탈락되면 경계석 틈새가 쉽게 노출되며, 충진재의 시멘트 성분이 하얗게 흘러내리면서 백화현상이 발생하여 경계석의 외관을 해치게 되고 도시미관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인접한 경계석 사이 틈새를 메웠던 충진재가 탈락하면서 경계석의 물리적 안정성이 떨어지게 되면 보행자의 신발이 경계석 틈에 걸리거나 경계석 주변에서 보행자가 넘어지면서 교통사고를 일으킬 염려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에 등록실용 20-0333961호에 따르면, 인접한 경계석의 양측면에 연결쇄삽입홈을 오목하게 형성하고 연결쇄를 양쪽의 경계석 측면에 형성된 연결쇄삽입홈에 삽입함으로써 경계석과 경계석 사이를 연결함으로써 외력에 대한 경계석의 물리적 안정성을 높이고 있다.
또한, 경계석이 노후되면 경계석을 자체를 새로운 것으로 교체하게 되는데, 이 경우 교체비용이 과다하게 소요되고 공사기간이 길어져서 차량과 행인의 통행에 불편을 줄 뿐만 아니라 건설폐기물이 다량 발생하게 된다. 노후화된 경계석의 교체 대신 경계석의 전면에 노후된 경계석의 전면을 커버하는 커버판을 접착제로 부착하거나 볼트를 이용하여 설치하는 방식이 시도된 바 있다. 이러하 경계석 커버판 역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접착제의 접착력이 저하되거나 볼트 및 너트가 부식되어 외관이 좋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 등록특허 10-1002209에 따르면, 경계석과 전면판에 수직절개홈을 각각 형성하고, 각 수직절개홈에 H 형태의 연결구를 끼워서 전면커버판의 결합력을 강화시키고 시공성을 향상시키고자 하였다.
한편, 도로 경계석은 콘크리트 또는 모르타르 재질의 인조석으로 제조하거나 화강석이나 현무암 등의 천연석을 가공하여 형성하고 있다. 천연석의 경우 자연스러운 외관을 보이는 점에서 장점이 있지만, 재료를 수입하게 되면 공사 비용이 증가할 뿐만 아니라 별도의 가공 과정이 필요하여 공공 목적의 도로경계석에 활용하기에 한계가 있다. 또한, 지역 소재 천연석을 경계석으로 다량 소비하게 되면 천연 자원의 고갈이나 환경 파괴 등의 복합적인 문제를 피할 수 없다. 특히, 종래의 경계석 관련 기술에서 제안된 연결구 또는 연결쇄는 경계석에 별도의 삽입홈을 마련하는 등 경계석 제조 후 부가적인 가공절차를 거쳐야 하며, 연결 수단을 따로 제작하여 시공하기 때문에 전체적인 시공 비용과 기간이 증가할 수 밖에 없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에 본 출원의 발명자들이 기존 경계석의 외면에 천연 현무암 또는 인조 현무암을 부착하여 돌담과 유사한 형태를 갖는 경계석을 시공한 바 있다(도 1 참조). 이러한 돌담형 경계석은 도로 경계석이나 보차도 경계석을 돌담 형식으로 시공함으로써 자연스럽고 정감있는 도시 미관을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는 반면, 기존 경계석을 일차로 시공한 후 타일 형식으로 현무암을 경계석 표면에 조밀하게 부착하여 돌담과 같은 시각적 효과를 연출해야 하기 때문에 시공상의 부담이 커질 수 밖에 없다. 특히 경계석에 부착된 현무암 타일이 시간이 경과되면서 탈착될 경우에 오히려 도로 미관이 저해되는 단점도 피하기 어렵다.
따라서, 도시 미관과 보행자의 안전을 고려하여 천연석에 가까운 외관을 보이면서도 물리적인 강도가 향상되고, 인접한 경계석간의 강한 결속력이 있는 새로운 인조 경계석이 필요하다. 특히 시공성이 우수하며 개별 경계석을 인접하여 배치하였을 때 외부 문양이 시각적으로 단절되지 않고 연속된 자연스러운 외관을 보일 수 있는 경계석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기술적 배경하에서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천연석에 가까운 외관을 지니면서 시공과 설치가 용이한 경계석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인접하는 경계석 사이의 결합력이 뛰어나고 외력에 대한 내구성이 향상된 새로운 경계석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직선형 시공 뿐만 아니라 사거리 또는 회전 교차로에서 곡선 구간의 시공이 용이한 도로 경계석을 제공하는 것이다.
기타,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 및 기술적 특징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제시될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면, 하면, 전면, 후면, 및 양측면을 포함하는 경계 블럭 본체와, 상기 경계 블럭 본체의 제1측면에 일체화되며, 제1측면의 상부는 만입되고 하부는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1돌출부와, 상기 경계 블럭 본체의 제1측면 반대쪽의 제2측면에 일체화되며, 제2측면의 상부는 돌출되고 하부는 만입되어 형성되는 제2돌출부와, 상기 경계 블럭 본체의 적어도 상면 및 전면에 형성되는 돌담 문양을 포함하며, 상기 제2측면의 제2돌출부의 평면도적(plan view) 면적은 상기 제1측면의 제1돌출부의 평면도적 면적 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담형 경계석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돌출부의 돌출된 면과 만입된 면, 상기 제2돌출부의 돌출된 면과 만입된 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경계 블럭 본체의 전면과 후면을 잇는 가상의 수직선에 대해 소정의 각을 이루도록 경사진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경계 블럭 본체의 상면 모양은 직사각형, 사다리꼴, 역사다리꼴 중의 어느 하나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측면의 제1돌출부의 평면도적 형태 및 상기 제2측면의 제2돌출부의 평면도적 형태는 삼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제1측면의 제1돌출부의 평면도적 형태는 사다리꼴이고 상기 제2측면의 제2돌출부의 평면도적 형태는 삼각형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천연석에 가까운 외관을 지니면서 시공과 설치가 용이한 경계석을 제공한다. 특히 인접하는 경계석 사이의 결합력이 뛰어나고 외력에 대한 내구성이 향상된 새로운 경계석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돌담형 경계석은 직선형 시공 뿐만 아니라 사거리 또는 회전 교차로에서 곡선 구간의 시공이 용이하고, 도로 경계석이나 보차도 경계석에 폭넓게 활용될 수 있다.
도 1은 기존 경계석의 표면에 타일형 현무암을 부착한 경계석 사진
도 2a는 본 발명의 돌담 문양이 형성된 경계석의 모식도이고, 도 2b 및 2c는 실제 제작된 돌담형 경계석 사진
도 3a 및 3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직선형 경계석의 모식도
도 4a 및 4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아웃코너형 경계석의 모식도
도 5a 및 5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인코너형 경계석의 모식도
도 6a 내지 6d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경계석을 시공한 모식도
도 7a 및 7b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직선형 경계석의 모식도
도 8a 및 8b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아웃코너형 경계석의 모식도
도 9a 및 9b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인코너형 경계석의 모식도
도 10a 및 10b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경계석을 시공한 모식도
본 발명은 독특한 외관을 지니며, 시공 후 물리적 안정성이 향상된 돌담형 경계석을 제안한다.
본 발명에 따른 경계석은 개별 단위 경계석을 인접하여 배치하고 시공이 완료되었을 때, 인접하는 경계석 사이의 경계면이 육안으로 쉽게 식별되지 않고 자연스러운 돌담 문양의 외관을 제공한다. 특히 인접한 경계석 사이의 경계면을 위에서 또는 정면에서 바라볼 때 바닥면이나 후면이 보이지 않는다.
뿐만 아니라, 경계석 시공 시 바닥면의 콘크리트 기초층 뿐만 아니라 인접한 경계석 사이의 측면 후방에 충진 공간이 마련되어 있어 콘크리트 결합층이 더 부가될 수 있고, 그 결과 경계석간의 결합력이 우수하며 외력에 대한 내충격성이 크게 향상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돌담형 경계석은 도로경계석이나 보차도경계석으로 활용될 수 있으며, 직선형 경계석은 물론, 곡선형 경계석에도 쉽게 적용할 수 있다. 또한, KS 규격에 따른 콘크리트 경계 블록의 A형, B형, C형, SA형, SB형, SC형 등에 모두 적용 가능하다.
도 2a는 본 발명의 돌담 문양이 형성된 경계석(100)의 모식도이다. 경계석은 기본적으로 육면체 형상의 기하학적 바디를 가지며, 양측면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인접한 경계석과의 연결을 위해 돌출 구조로 형성된다. 경계석의 표면에는 자연석의 표면 형상과 유사한 입체적인 문양이 형성되며, 예를 들어 제주도 현무암을 축성하여 만들어진 돌담 형태의 문양이 형성될 수 있다. 돌담 문양(P)은 적어도 경계석의 정면(101a) 및 상면(101b)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결과 외부에 노출되는 경계석의 표면이 모두 돌담 문양을 보이게 된다. 이러한 경계석은 천연석에 가까운 외관을 지니면서도 육면체의 바디와 (후술하는) 측면 돌출부 형태로 인하여 시공과 설치가 용이하다.
특히 제주도 현무암 돌담(제주 전통의 밭담) 형태의 문양이 경계석의 정면과 상면에 형성됨으로써 도시 미관이나 도로 경관이 독특하고 자연스럽게 변화될 수 있다. 도 2b는 실제 제작된 돌담형 경계석을 보인 것으로, 두 개의 경계석을 인접하여 배치하고 결합한 모습을 보이고 있으며, 외관 형태가 일반적인 제주도의 돌담과 동일한 것을 알 수 있다.
경계석은 일반적인 콘크리트 재질을 이용할 수 있고, 표면에 형성되는 돌담 문양을 고려하여 해당 문양이 마련된 몰드를 제작하고 이 몰드에 콘크리트 재료나 시멘트 재료를 충진하고 성형하여 완성할 수 있다. 도 2c는 몰드에서 양생되고 있는 경계석을 예시적으로 보이고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돌담형 경계석의 외관, 특히 양측면의 형태를 중심으로 기술적 구성 및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후술하는 실시예에서 각 경계석은 형태상의 특징을 설명하기 위해 편의상 돌담 문양을 배제하나 실제 경계석에는 모두 돌담 문양이 포함되어야 한다.
도 3a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직선형 경계석(110)의 사시도이고, 도 3b는 경계석의 정면, 평면, 및 좌우측면을 보이고 있다.
경계석은 상면, 하면, 전면, 후면, 및 양측면을 포함하는 경계 블럭 본체와, 경계 블럭 본체의 양측면에 일체화된 돌출부로 구성된다. 직선형 경계석은 정면(111a)과 상면(111b)은 직사각형 형태이며, 좌우측면(111c, 111d)은 위아래가 구분되는 직사각 입체 구조를 갖는다.
제1돌출부(112)는 경계 블럭 본체의 제1측면(좌측면)에 일체화되며, 제1측면의 상부(112a)는 만입되고 하부(112b)는 돌출되어 형성된다. 또한, 제2돌출부(113)는 경계 블럭 본체의 제1측면 반대쪽의 제2측면(우측면)에 일체화되며, 제2측면의 상부(113a)는 돌출되고 하부(113b)는 만입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1측면의 제1돌출부는 만입된 상부와 돌출된 하부에 의해 만들어지는 평면도적 형태(S112)가 도 3a 및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삼각형이며, 제2측면의 제2돌출부의 돌출된 상부와 만입된 하부에 의해 만들어지는 평면도적 형태(S113) 역시 삼각형인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돌출부의 돌출된 면(도 3b의 111b의 왼쪽 측면)과, 상기 제2돌출부의 만입된 면(도 3b의 111b의 오른쪽 측면 - 점선 표기)은 경계 블럭 본체의 전면과 후면을 잇는 가상의 수직선에 대해 소정의 각을 이루도록 경사진 형태로 형성된 것을 볼 수 있다.
제1돌출부와 제2돌출부는 인접한 경계석 사이에서 경계 부분에 해당하며 인접한 경계석이 서로 끼워 결합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2측면의 제2돌출부의 평면도적(plan view) 면적(S113)은 상기 제1측면의 제1돌출부의 평면도적 면적(S112) 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다. 이로 인하여, 두 경계석이 인접하여 결합될 때, 제1경계석의 제1돌출부와 제2경계석의 제2돌출부가 상호 끼움 결합되면서도 후술하는 바와 같이 두 돌출부 사이에 공간이 마련되어 콘크리트 등 충진 물질이 채워질 수 있고, 이로 인하여 경계석간의 결합을 더욱 견고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돌담형 경계석은 직선 도로에서 도로와 보행로를 구분하는데 사용될 뿐만 아니라, 사거리나 원형 교차로 등 곡선 형태의 경계석이 필요한 구간에서도 사용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기술적 구성이 유사한 아웃코너형 및 인코너형 경계석을 추가로 제안한다.
도 4a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아웃코너형 경계석(120)의 사시도이고, 도 4b는 경계석의 정면, 평면, 및 좌우측면을 보이고 있다. 아웃코너형 경계석은 바깥으로 돌출된 볼록한 곡선 형태의 경계석을 시공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경계석은 상면, 하면, 전면, 후면, 및 양측면을 포함하는 경계 블럭 본체와, 경계 블럭 본체의 양측면에 일체화된 돌출부로 구성되며, 정면(121a)은 직사각 형태이고 상면(121b)은 사다리꼴 형태로 형성된다. 좌우측면(121c, 121d)은 직선형 경계석과 동일하게 위아래가 구분되는 직사각 입체 구조를 갖는다.
제1돌출부(122)는 경계 블럭 본체의 제1측면(좌측면)에 일체화되며, 제1측면의 상부(122a)는 만입되고 하부(122b)는 돌출되어 형성된다. 또한, 제2돌출부(123)는 경계 블럭 본체의 제1측면 반대쪽의 제2측면(우측면)에 일체화되며, 제2측면의 상부(123a)는 돌출되고 하부(123b)는 만입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1측면의 제1돌출부는 만입된 상부와 돌출된 하부에 의해 만들어지는 평면도적 형태(S122)가 도 4a 및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삼각형이며, 제2측면의 제2돌출부의 돌출된 상부와 만입된 하부에 의해 만들어지는 평면도적 형태(S123) 역시 삼각형인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돌출부의 만입된 면(도 4b의 121b의 왼쪽 측면 굵은 실선)과, 상기 제2돌출부의 만입된 면(도 4b의 121b의 오른쪽 측면 - 점선 표기)은 경계 블럭 본체의 전면과 후면을 잇는 가상의 수직선에 대해 소정의 각을 이루도록 경사진 형태로 형성된 것을 볼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하여 인접한 경계석들이 소정 각도로 꺽인 상태로 결합될 수 있어 곡선 형태의 경계석을 시공할 수 있다.
아웃코너형 경계석 역시 제1돌출부와 제2돌출부는 인접한 경계석 사이에서 경계 부분에 해당하며 인접한 경계석이 서로 끼워 결합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2측면의 제2돌출부의 평면도적 면적(S123)은 상기 제1측면의 제1돌출부의 평면도적 면적(S122) 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다. 이로 인하여, 두 경계석이 인접하여 결합될 때, 제1경계석의 제1돌출부와 제2경계석의 제2돌출부가 상호 끼움 결합되면서도 후술하는 바와 같이 두 돌출부 사이에 공간이 마련되어 콘크리트 등 충진 물질이 채워질 수 있다.
도 5a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인코너형 경계석(130)의 사시도이고, 도 5b는 경계석의 정면, 평면, 및 좌우측면을 보이고 있다. 인코너형 경계석은 안쪽으로 만입된 오목한 곡선 형태의 경계석을 시공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경계석은 상면, 하면, 전면, 후면, 및 양측면을 포함하는 경계 블럭 본체와, 경계 블럭 본체의 양측면에 일체화된 돌출부로 구성되며, 정면(131a)은 직사각형 형태이고 상면(111b)은 역사다리꼴 형태로 형성된다. 좌우측면(131c, 131d)은 직선형 경계석과 동일하게 위아래가 구분되는 직사각 입체 구조를 갖는다.
제1돌출부(132)는 경계 블럭 본체의 제1측면(좌측면)에 일체화되며, 제1측면의 상부(132a)는 만입되고 하부(132b)는 돌출되어 형성된다. 또한, 제2돌출부(133)는 경계 블럭 본체의 제1측면 반대쪽의 제2측면(우측면)에 일체화되며, 제2측면의 상부(133a)는 돌출되고 하부(133b)는 만입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1측면의 제1돌출부는 만입된 상부와 돌출된 하부에 의해 만들어지는 평면도적 형태(S132)가 도 5a 및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삼각형이며, 제2측면의 제2돌출부의 돌출된 상부와 만입된 하부에 의해 만들어지는 평면도적 형태(S133) 역시 삼각형인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돌출부의 돌출된 면(도 5b의 131b의 왼쪽 측면)과, 상기 제2돌출부의 만입된 면(도 5b의 131b의 오른쪽 측면 - 점선 표기)은 경계 블럭 본체의 전면과 후면을 잇는 가상의 수직선에 대해 소정의 각을 이루도록 경사진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제1돌출부와 제2돌출부는 인접한 경계석 사이에서 경계 부분에 해당하며 인접한 경계석이 서로 끼워 결합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2측면의 제2돌출부의 평면도적 면적(S133)은 상기 제1측면의 제1돌출부의 평면도적 면적(S132) 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다. 이로 인하여, 두 경계석이 인접하여 결합될 때, 제1경계석의 제1돌출부와 제2경계석의 제2돌출부가 상호 끼움 결합되면서도 후술하는 바와 같이 두 돌출부 사이에 공간이 마련되어 콘크리트 등 충진 물질이 채워질 수 있다.
이와 같은 직선형 경계석과 곡선 시공을 위한 아웃코너형 경계석 및 인코너형 경계석은 개별적으로 또는 상호 선택적으로 시공하여 다양한 구조의 경계석을 구현할 수 있다. 도 6a 내지 6d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경계석들을 시공하여 직선과 곡선 형태의 경계석들(C100)을 도시한 모식도이다.
도 6a를 참조하면, 직선형 경계석(110A, 110B)이 상호 인접하여 연결되어 있고, 좌측으로는 볼록한 곡선을 제공하기 위해 아웃코너형 경계석(120A, 120B)이 연속되어 결합되어 있으며, 우측으로는 오목한 곡선을 제공하기 위해 인코너형 경계석(130A, 130B)이 연속되어 결합되어 있다. 도면에서 화살표는 경계석들의 정면을 표현하고 있다. 각 경계석들은 상부 측면이 상호 인접하여 경계를 이루며, 경계 지점의 하부에는 어느 하나의 경계석의 돌출부의 돌출된 부위가 다른 하나의 경계석의 돌출부의 만입된 부위로 삽입되어 있다. 인접한 두 경계석은 경계 지점의 도로 바닥면이 상부로 노출되지 않으며, 두 돌출부의 결합된 부분에는 작은 공간이 마련되어 콘크리트 등의 충진물이 투입될 수 있다.
도 6b는 직선형 경계석간의 결합 부위를 확대하여 도시하고 있다. 각 경계석은 상면이 인접하여 경계(B1)를 이루고 있고, 경계 지점과 다른 위치에서 각 경계석의 돌출부가 상호 결합된 구조를 이룬다. 구체적으로 제1 직선형 경계석(110A)의 제1돌출부 하부의 돌출 부위(112b)가 제2 직선형 경계석(110B)의 제2돌출부의 만입된 부위(113b)에 삽입되며, 두 돌출부의 결합 부위에는 각 돌출부의 평면도적 면적 차이로 인하여 빈 공간(FS1)이 마련된다. 직선형 경계석이 인접하여 결합될 때 인접한 경계석 사이의 경계면을 위에서 또는 정면에서 바라볼 때 바닥면이나 후면이 보이지 않는다. 따라서, 인접하는 경계석 사이의 경계면이 육안으로 쉽게 식별되지 않고 자연스러운 돌담 문양이 연속되어 있는 외관을 제공할 수 있다.
도 6c는 직선형 경계석과 아웃코너형 경계석의 연결 부위를 확대하여 도시하고 있다. 제2 직선형 경계석(110B)과 제1 아웃코너형 경계석의 상면 및 정면이 인접하여 배치된 상태에서, 제2 직선형 경계석의 제1돌출부의 돌출된 부위(112b)가 제1 아웃코너형 경계석(120A)의 제2돌출부의 만입된 부위(123b)에 삽입되고, 두 돌출부의 결합 부위에는 각 돌출부의 평면도적 면적 차이로 인하여 빈 공간(FS12)이 마련된다. 이 공간에도 콘크리트 등의 충진물이 투입될 수 있다. 또한, 제1 아웃코너형 경계석(120A)의 좌측에는 제2 아웃코너형 경계석(120B)이 인접하여 배치되며, 제1 아웃코너형 경계석(120A)의 제1돌출부의 돌출된 부위(122b)가 제2 아웃코너형 경계석(120B)의 제2돌출부의 만입된 부위(123b)에 삽입되어 있고, 두 돌출부의 결합 부위에는 각 돌출부의 평면도적 면적 차이로 인하여 빈 공간(FS2)이 마련되어 있으며, 이 공간에도 콘크리트 등의 충진물이 투입될 수 있다.
도 6d는 직선형 경계석과 인코너형 경계석의 연결 부위를 확대하여 도시하고 있다. 제1 직선형 경계석(110A)과 제1 인코너형 경계석(130A)의 상면 및 정면이 인접하여 배치된 상태에서, 제1 인코너형 경계석의 제1돌출부의 돌출된 부위(132b)가 제1 직선형 경계석(110A)의 제2돌출부의 만입된 부위(113b)에 삽입되고, 두 돌출부의 결합 부위에는 각 돌출부의 평면도적 면적 차이로 인하여 빈 공간(FS13)이 마련된다. 이 공간에도 콘크리트 등의 충진물이 투입될 수 있다. 또한, 제1 인코너형 경계석(130A)의 우측에는 제2 인너형 경계석(130B)이 인접하여 배치되며, 제2 인코너형 경계석(130B)의 제1돌출부의 돌출된 부위(132b)가 제1 인코너형 경계석(130A)의 제2돌출부의 만입된 부위(133b)에 삽입되어 있고, 두 돌출부의 결합 부위에는 각 돌출부의 평면도적 면적 차이로 인하여 빈 공간(FS3)이 마련되어 있으며, 이 공간에도 콘크리트 등의 충진물이 투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각 경계석의 결합 부위에 마련되는 각 충진 공간(FS1,FS12,FS13,FS2,FS3)은 콘크리트나 기타 결합제가 충진되어 두 경계석의 결합력을 더욱 강화시키고, 시공된 경계석의 물리적 강도 및 안정성을 향상시킨다. 충진 공간은 인접한 두 경계석의 정면 및 상면에는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경계석이 설치된 장소의 미관을 해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경계석은 정면 형태나 측면 돌출부 구조를 변화시키면서도 동일한 기능과 시공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도 7a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직선형 경계석(210)의 사시도이고, 도 7b는 경계석의 정면, 평면, 및 좌우측면을 보이고 있다.
경계석은 상면, 하면, 전면, 후면, 및 양측면을 포함하는 경계 블럭 본체와, 경계 블럭 본체의 양측면에 일체화된 돌출부로 구성되며, 상면(211b)은 직사각형 형태이지만 앞선 제1실시예와 달리 경계석의 정면(211a)은 'ㄱ'자와 'ㄴ'자가 결합된 계단형 모양을 보이고 있다. 좌우측면(211c, 211d)은 위아래가 구분되는 직사각 입체 구조를 갖는다.
제1돌출부(212)는 경계 블럭 본체의 제1측면(좌측면)에 일체화되며, 앞선 제1실시예에서와 달리, 제1측면의 상부(212a)가 돌출되고 하부(212b)는 만입되어 제1돌출부가 형성된다. 또한, 제2돌출부(213)는 경계 블럭 본체의 제1측면 반대쪽의 제2측면에 일체화되며, 제2측면의 상부(213a)는 만입되고 하부(213b)는 돌출되어 형성된다. 또한, 제1측면의 제1돌출부는 돌출된 상부와 만입된 하부에 의해 만들어지는 평면도적 형태(S212)가 도 7a 및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다리꼴 모양의 사각 형태이며, 제2측면의 제2돌출부의 만입된 상부와 돌출된 하부에 의해 만들어지는 평면도적 형태(S213)는 삼각형으로 형성된다.
또한, 제1돌출부의 만입된 면(도 7b의 211b의 왼쪽 점선 표기)과, 제2돌출부의 돌출된 면(도 7b의 211b의 오른쪽 측면 - 213b 부분)은 경계 블럭 본체의 전면과 후면을 잇는 가상의 수직선에 대해 소정의 각을 이루도록 경사진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제1돌출부와 제2돌출부는 인접한 경계석 사이에서 경계 부분에 해당하며 인접한 경계석이 서로 끼워 결합되도록 하며, 제1측면의 제1돌출부의 평면도적(plan view) 면적(S212)이 제2측면의 제2돌출부의 평면도적 면적(S213) 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다. 이로 인하여, 두 경계석이 인접하여 결합될 때, 제1경계석의 제1돌출부와 제2경계석의 제2돌출부가 상호 끼움 결합되면서도 두 돌출부 사이에 충진 공간이 마련될 수 있다.
도 8a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아웃코너형 경계석(220)의 사시도이고, 도 8b는 경계석의 정면, 평면, 및 좌우측면을 보이고 있다. 경계석은 정면(221a)은 'ㄱ'자 구조의 형태이고 상면(221b)은 사다리꼴 형태이며, 좌우측면(221c, 221d)은 위아래가 구분되는 직사각 입체 구조를 갖는다.
제1돌출부(222)는 경계 블럭 본체의 제1측면(좌측면)에 일체화되며, 제1측면의 상부(222a)는 돌출되고 하부(222b)는 만입되어 있다. 또한, 제2돌출부(223)는 경계 블럭 본체의 제1측면 반대쪽의 제2측면(우측면)에 일체화되며, 제2측면의 상부(223a)는 만입되고 하부(223b)는 돌출되어 형성된다. 제1측면의 제1돌출부는 돌출된 상부와 만입된 하부에 의해 만들어지는 평면도적 형태(S222)는 사다리꼴 형태의 사각형이며, 제2측면의 제2돌출부의 만입된 상부와 돌출된 하부에 의해 만들어지는 평면도적 형태(S223)는 삼각형이고, 제1돌출부의 평면도적 면적(S222)은 제2돌출부의 평면도적 면적(S223) 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다.
제1돌출부의 돌출된 면(도 8b의 222a)과 만입된 면(도 8b의 222b)과, 제2돌출부의 만입된 면(도 8b의 223a)과 돌출된 면(도 8b의 223b)은 평면도(도 8b의 221b 참조)에서 볼 때 모두 소정의 각을 이루도록 경사진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하여 인접한 경계석들이 소정 각도로 꺽인 상태로 결합될 수 있어 곡선 형태의 경계석을 시공할 수 있다.
도 9a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인코너형 경계석(230)의 사시도이고, 도 9b는 경계석의 정면, 평면, 및 좌우측면을 보이고 있다. 경계석의 정면(231a)은 'ㄱ'자와 'ㄴ'자가 결합된 계단형 형태이고 상면(231b)은 역사다리꼴 형태이며, 좌우측면(221c, 221d)은 위아래가 구분되는 직사각 입체 구조를 갖는다.
제1돌출부(232)는 경계 블럭 본체의 제1측면(좌측면)에 일체화되며, 제1측면의 상부(232a)는 돌출되고 하부(232b)는 만입되어 있다. 또한, 제2돌출부(233)는 경계 블럭 본체의 제1측면 반대쪽의 제2측면(우측면)에 일체화되며, 제2측면의 상부(233a)는 만입되고 하부(233b)는 돌출되어 형성된다. 제1측면의 제1돌출부는 돌출된 상부와 만입된 하부에 의해 만들어지는 평면도적 형태(S232)는 사다리꼴 형태의 사각형이며, 제2측면의 제2돌출부의 만입된 상부와 돌출된 하부에 의해 만들어지는 평면도적 형태(S233)는 삼각형이고, 제1돌출부의 평면도적 면적(S232)이 제2돌출부의 평면도적 면적(S233) 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다.
제1돌출부의 돌출된 면(도 9b의 232a)과, 제2돌출부의 만입된 면(도 9b의 233a)과 돌출된 면(도 9b의 233b)은 평면도(도 9b의 231b 참조)에서 볼 때 모두 소정의 각을 이루도록 경사진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하여 인접한 경계석들이 소정 각도로 꺽인 상태로 결합될 수 있어 곡선 형태의 경계석을 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2실시예에 따른 직선형 경계석과 곡선 시공을 위한 아웃코너형 경계석 및 인코너형 경계석을 개별적으로 또는 상호 선택적으로 시공하여 다양한 구조의 경계석을 구현할 수 있으며, 도 10a에 제2실시예에 따른 경계석을 시공한 예를 모식적으로 보이고 있다.
직선형 경계석(210)이 상호 인접하여 연결되어 있고, 좌측으로는 볼록한 곡선을 제공하기 위해 아웃코너형 경계석(220)이 연속되어 결합되어 있으며, 우측으로는 오목한 곡선을 제공하기 위해 인코너형 경계석(230)이 연속되어 결합되어 있다. 각 경계석들은 상부 측면이 상호 인접하여 경계를 이루며, 경계 지점의 하부에는 어느 하나의 경계석의 돌출부의 돌출된 부위가 다른 하나의 경계석의 돌출부의 만입된 부위로 삽입되어 있다. 인접한 두 경계석은 경계 지점의 도로 바닥면이 상부로 노출되지 않으며, 두 돌출부의 결합된 부분에는 작은 공간이 마련되어 콘크리트 등의 충진물이 투입될 수 있다.
도 10b는 직선형 경계석과 아웃코너형 경계석의 연결 부위를 확대하여 도시g한 것으로, 직선형 경계석(210)과 제1 아웃코너형 경계석(220A)의 상면 및 정면이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다. 직선형 경계석의 제1돌출부의 만입된 부위(212b)에 제1 아웃코너형 경계석(220A)의 제2돌출부의 돌출된 부위(223b)가 삽입되어 있고, 두 돌출부의 결합 부위에는 각 돌출부의 평면도적 면적 차이로 인하여 빈 공간(FS12)이 마련된다. 이 공간에 콘크리트 등의 충진물이 투입될 수 있다. 또한, 제1 아웃코너형 경계석(220A)의 좌측에는 제2 아웃코너형 경계석(220B)이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고, 제1 아웃코너형 경계석(220A)의 제1돌출부의 만입된 부위(222b)에 제2 아웃코너형 경계석(220B)의 제2돌출부의 돌출된 부위(223b)에 삽입되어 있으며, 두 돌출부의 결합 부위에는 각 돌출부의 평면도적 면적 차이로 인하여 빈 공간(FS2)이 마련되어 있고, 이 공간에도 콘크리트 등의 충진물이 투입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돌담형 경계석은 인접하는 경계석 사이의 결합력이 뛰어나고 외력에 대한 내구성이 향상되며, 직선형 시공 뿐만 아니라 사거리 또는 회전 교차로에서 곡선 구간의 시공이 용이하다. 또한, 전술한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에서 제시한 각 경계석들을 조합하여 도로 상황이나 보행로 구조에 따른 여러가지 형태로 경계석의 시공 구조를 변화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와 같은 특정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에서 제시한 기술적 사상, 구체적으로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수정, 변경, 또는 개선될 수 있을 것이다.
100:경계석 101a:정면
101b:상면 110:직선형 경계석
111a:정면 111b:상면
111c:좌측면 111d:우측면
112:제1돌출부 112a:제1측면 상부
112b:제1측면 하부 113:제2돌출부
113a:제2측면 상부 113b:제2측면 하부
120:아웃코너형 경계석 130:인코너형 경계석
210:직선형 경계석 220:아웃코너형 경계석
230:인코너형 경계석 P:돌담 문양
FS1,FS12,FS13,FS2,FS3:충진 공간

Claims (5)

  1. 상면, 하면, 전면, 후면, 및 양측면을 포함하는 경계 블럭 본체와,
    상기 경계 블럭 본체의 제1측면에 일체화되며, 제1측면의 상부는 만입되고 하부는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1돌출부와,
    상기 경계 블럭 본체의 제1측면 반대쪽의 제2측면에 일체화되며, 제2측면의 상부는 돌출되고 하부는 만입되어 형성되는 제2돌출부와,
    상기 경계 블럭 본체의 적어도 상면 및 전면에 형성되는 돌담 문양을 포함하며,
    상기 제2측면의 제2돌출부의 평면도적(plan view) 면적은 상기 제1측면의 제1돌출부의 평면도적 면적 보다 크고,
    상기 제1돌출부의 돌출된 면과 만입된 면, 상기 제2돌출부의 돌출된 면과 만입된 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경계 블럭 본체의 전면과 후면을 잇는 가상의 수직선에 대해 소정의 각을 이루도록 경사진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1측면의 제1돌출부의 평면도적 형태는 삼각형이고, 상기 제2측면의 제2돌출부의 평면도적 형태는 삼각형 또는 사다리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담형 경계석.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계 블럭 본체의 상면 모양은 직사각형, 사다리꼴, 역사다리꼴 중의 어느 하나의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담형 경계석.
  4. 삭제
  5. 삭제
KR1020180085064A 2018-07-20 2018-07-20 돌담형 경계석 KR1021302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5064A KR102130209B1 (ko) 2018-07-20 2018-07-20 돌담형 경계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5064A KR102130209B1 (ko) 2018-07-20 2018-07-20 돌담형 경계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9956A KR20200009956A (ko) 2020-01-30
KR102130209B1 true KR102130209B1 (ko) 2020-07-03

Family

ID=693220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5064A KR102130209B1 (ko) 2018-07-20 2018-07-20 돌담형 경계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020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7906B1 (ko) * 2009-06-16 2010-04-01 상록종합건설주식회사 호안블럭
JP2011094438A (ja) * 2009-11-02 2011-05-12 Ibicon:Kk 連結型境界ブロック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7906B1 (ko) * 2009-06-16 2010-04-01 상록종합건설주식회사 호안블럭
JP2011094438A (ja) * 2009-11-02 2011-05-12 Ibicon:Kk 連結型境界ブロッ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9956A (ko) 2020-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45122B2 (en) Efficiently installable and durable embedment tile for producing tactilely-detectable surfaces
US4665673A (en) Monolithic surface ornamentation of pre-cast reinforced concrete wall
US4354773A (en) Ground covering element having raised portions at the useful side which are separated from one another by dummy gaps, a ground covering element group of such ground covering elements, and a method of producing such ground covering elements
US8544222B2 (en) Embedment plate for pedestrian walkways with reinforced projections
US4769191A (en) Monolithic surface ornamentation of pre-cast reinforced concrete wall
MX2007006123A (es) Bloque de muro de contencion con conexion de caras.
US9027290B2 (en) Embedment plate for pedestrian walkways with reinforced projections
US20170007493A1 (en) Embedment plate for pedestrian walkways with reinforced projections
JP3640654B2 (ja) ブロック
KR102130209B1 (ko) 돌담형 경계석
US6688805B1 (en) Pre-cast curbside access ramp and methods of making and installing the same
RU2153553C2 (ru) Брусчатка из бетона
KR100984019B1 (ko) 조립식 횡단보도
KR20110108500A (ko) 매립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과속방지턱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과속방지턱 시공방법
JP4087566B2 (ja) 現場でコンクリートスラブの間を関節接合した状態で瓦状に重ねる方法
KR20130037927A (ko) 합성목재와 투수콘크리트가 일체화된 투수블록
US2033028A (en) Pavement curb
KR200446327Y1 (ko) 미끄럼방지용 경계석
CN216141834U (zh) 一种榫卯结构钢筋混凝土复合路缘石
CN207210879U (zh) 一种城市混凝土路缘石
JP3510519B2 (ja) 舗装用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
KR102596597B1 (ko) 경계석 연결 고정용 링크 유닛 및 그 링크 유닛을 이용한 경계석 시공방법
KR200364436Y1 (ko) 건축물 외장재용 코너벽돌
CN214459330U (zh) 一种加强型路缘石
KR200212558Y1 (ko) 인터록킹형 도로 경계블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