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52800Y1 - 도로의 중앙분리구 - Google Patents

도로의 중앙분리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52800Y1
KR200252800Y1 KR2020010020631U KR20010020631U KR200252800Y1 KR 200252800 Y1 KR200252800 Y1 KR 200252800Y1 KR 2020010020631 U KR2020010020631 U KR 2020010020631U KR 20010020631 U KR20010020631 U KR 20010020631U KR 200252800 Y1 KR200252800 Y1 KR 20025280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body
road
fixing hole
present
centr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1002063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양원
Original Assignee
박양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양원 filed Critical 박양원
Priority to KR202001002063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280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280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2800Y1/ko

Links

Landscapes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도로의 중앙분리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폐타이어를 재활용한 고무재의 블록본체를 형성하여 도로의 중앙선에 돌출되게 설치함으로써 차량의 중앙선 침범의 방지 및 많은 교통사고를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중앙분리구는, 측단면 형상이 상측보다 저측이 크게 형성되어 있음과 함께 차량의 진행 방향과 대향하는 면은 경사면(10a)으로 이루어지며 내부에 수직의 고정구멍(10b)이 형성된 블록본체(10)와; 상부가 상기 블록본체(10)의 고정구멍(10b) 상단에 지지되며 하부가 고정구멍(10b)을 수직으로 관통하는 고정구(20)와; 도로면에 삽입 설치되어 상기 관통한 고정구(20)의 하부를 결합 지지시키는 앵커볼트(30)와;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블록본체(10)를 고정구(20)와 앵커볼트(30)에 의해 도로면(100)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차량의 진행방향과 대향되는 양 경사면(10a)에 야광반사판(40)을 부착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블록 본체(10)의 표면으로 다양한 색깔의 야광도료(42)를 도포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은 운전시 운전자의 도로시야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그 구성이 간단하여 생산단가를 낮출 수 있으며 운전자의 중앙선 침범을 방지함으로써 중앙선 침범에 대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도로의 중앙분리구{Central Reserve for Road}
본 고안은 도로의 중앙분리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폐타이어를 재활용한 고무재의 블록본체를 형성하여 도로의 중앙선에 돌출되게 설치함으로써 차량의 중앙선 침범 방지 및 많은 교통사고를 미연에 예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현재 폐타이어 처리는 심각한 환경문제로서 친환경 처리방법을 연구 중에 있다.
본 고안은 폐타이어를 파분쇄하여 고무가루로 만들고 이것을 성형하여 야광 및 원색칼라의 블록본체을 만듬으로써 폐타이어를 100%로 처리가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중앙선 침범 방지는 물론, 야간에 운전자가 선명한 야광 도로 중앙선을 볼 수 있게 하여 눈의 피로를 최대한 줄일 수 있고 또 우천시 중앙분리구의 식별이 용이함으로 교통사고를 상당량 감소시킬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시가도로의 미관은 물론 일반도로, 고속도로, 산업도로 및 지방도로 등에 적용이 가능토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많이 보급되어 있는 중앙선 침범을 방지할 수 있는 종래 장치들로는 소형의 주물형 분리표시, 원형파이프 형식의 중앙선 분리대, 레일식의 도심 도로 중앙선 등을 들 수 있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소형의 주물형 분리표시(50)는 외형이 금속재의 주물로 이루어지고 측면에는 합성수지재의 반사판(51)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 높이가 상당히 낮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설치 후 상당한 시간이 지나면 반사판에 이물질이 쌓이고 차량의 충격으로 반사판이 잘 깨지므로 야간에 차량을 운전하는 운전자의 눈에 잘 띄지 않아 큰 도움을 줄 수 없고 그 높이가 낮기 때문에 차량이 주물형 분리표시(50)를 타고 넘더라도 큰 타격을 입지 않는다. 따라서 안전불감증을 지닌 운전자의 중앙선 침범이 용이함에 따라 중앙선을 침범한 교통사고가 많이 발생할 우려가 있으며 또 무단유턴 등을 하기가 용이하므로 교통 위반사례가 빈번히 이루어지고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안전사고를 예방할 목적으로 이면도로를 완전히 분리할 있도록 설치한 원형파이프 도로 중앙선 분리대 및 레일식 도심 도로 중앙선은 설치 후 시간이 지남에 따라 파손이 심각하여 도심 도로의 미관을 저해하며 또 설치시 시공 공사비가 많이 들어가므로 국가적인 낭비를 초래하는 문제점을 낳았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그 목적으로 하는 것은, 폐타이어를 재활용한 블록본체를 성형하고 성형한 블록본체에 야광반사판을 부착시킨 다음 블록본체를 고정구와 앵커볼트를 이용해 도로의 중앙면에 고정시켜 야간 및 우천운전시 운전자의 시야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그 구성이 간단하여 생산단가 및 시공설치비를 낮출 수 있으며 운전 불감증을 지닌 운전자의 중앙선 침범을 방지함으로써 중앙선 침범에 대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함은 물론 교통위반 사례를 줄일 수 있도록 한 도로의 중앙분리구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에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관한 중앙분리구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관한 중앙분리구의 사용상태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관한 중앙분리구의 설치상태 예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종래 중앙분리장치의 사용상태사시도
〈도면중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중앙분리구
10, 10'. 블록본체 --- 10a. 경사면, 10b. 고정구멍
20. 고정구 --- 20a. 머리부 20b. 체결부
30. 앵커볼트
40, 40'. 야광반사판
100. 도로면
110. 중앙선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도로의 중앙분리구는, 측단면 형상이 상측보다 저측이 크게 형성되어 있음과 함께 차량의 진행 방향과 대향하는 면은 경사면으로 이루어지며 내부에 수직의 고정구멍이 형성된 블록본체와, 상부가 상기 블록본체(10)의 고정구멍 상단에 지지되며 하부가 고정구멍을 수직으로 관통하는 고정구와, 도로면에 삽입 설치되어 상기 관통한 고정구의 하부를 결합 지지시키는 앵커볼트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블록본체를 고정구와 앵커볼트에 의해 도로면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차량의 진행방향과 대향되는 양 경사면에 야광반사판을 부착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블록 본체의 표면으로 다양한 색깔의 야광도료를 도포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은 도로의 중앙선 부분에 돌출되게 설치됨으로써 우천운전시나 야간운전시 운전자의 도로시야를 확보하여 안전운전을 할 수 있게 하며 반대측 차선으로 차량이 진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하 본 고안의 구체적인 일 실시예(직사각반달형)를 도면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관한 중앙분리구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있다.
본 고안 중앙분리구(1)의 특징적인 구성은 블록본체(10)와 고정구(20), 앵커볼트(30), 야광반사판(40)으로 형성되어 있다.
참조부호 10은 블록본체로서, 폐타이어를 재활용한 고무재로 미세한 입자로 분쇄하여 성형작업을 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블록본체(10)의 성형과정을 간단히 살펴보면, 먼저 폐타이어를 고정식 슈레더를 이용하여 분쇄한 후 고무가루, 철심, 섬유 등을 분리하고, 여기서 분리된 고무가루를 합성수지, 안료 등과 배합하여 블록본체(10)를 성형한다. 이 때, 블록본체(10)는 어떤 색의 안료를 사용하였는지의 여부에 따라 다양한 색깔의 블록본체(10)을 얻을 수 있으며 유색의 도료 대신 야광도료(42)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블록본체(10)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측단면 형상이 상부가 둥근 반달형으로 상측보다 저측이 크게 형성되어 있음과 함께 차량의 진행 방향과 대향하는 면은 경사면(10a)으로 이루어지며 내부에 수직의 고정구멍(10b)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에서 측단면 형상이 상측보다 저측을 크게 형성한 것은 블록본체(10)를 도로면에 설치시 안정성 및 미관을 고려한 것이다.
또 블록본체(10)는 폭방향(W)보다 차량진행 방향 즉, 길이방향(L)을 더 크게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높이(H)는 차량이 진입시 타고 넘기에 용이치 못하도록 차량에 큰 충격을 줄 수 있도록 하여 운전자의 중앙선 침범을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블록본체(10)의 반원형의 상면 중앙 길이방향으로는 블록본체(10)를 도로면(100)에 고정시키는 수단인 고정구(20)가 지지, 관통될 수 있도록 한 고정구멍(10b)이 두 개 또는 그 이상 형성되도록 하며 고정구멍(10b)은 상부가 고정구(20)를 지지할 수 있도록 걸림턱을 형성하고 있다.
또 블록본체(10)의 차량의 진행 방향과 대향하는 양 경사면(10a)에는 아크릴 재질로 형성한 야광반사판(40)이 삽입 부착되어 있어 야간운전시 운전자의 도로 시야를 밝게 확보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참조부호 20은 고정구로서, 나사형상으로 머리부(20a)는 상기 고정구멍(10b)의 상부 걸림턱에 지지되고 체결부(20b)는 고정구멍(10b)을 관통하여 상기 블록본체(10)에 아래에 배치되는 앵커볼트(30)에 고정할 수 있도록 한다.
앵커볼트는 블록본체(10)를 고정하기 전에 상기 고정구멍(10b)과 대향된 위치의 도로면(100) 중앙에 기삽입되어 고정하도록 한다.
상기의 구성을 가진 블록본체(10)의 표면에는 성형 후 야광반사판(40)의 효과를 더욱 부각시키기 위한 다양한 색깔의 야광도료(42)를 도포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고안을 설치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따른 도로의 중앙분리구(1)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먼저 상기 블록본체(10)가 설치될 위치를 설정한 다음, 고정구멍(10b)과 대향되게 도로면(100)에 구멍을 형성하고 해머 등으로 상기 앵커볼트(30)를 강제로 박아 도로면(100)에 압입 고정시킨다.
다음으로, 상기 앵커볼트(30)의 상면으로 블록본체(10)를 위치시킨 후 상기 고정구(20)를 블록본체(10)의 고정구멍(10b)을 관통하여 앵커볼트(30)에 체결하면 앵커볼트의 저부가 확장되면서 구멍에 강하게 밀착되고 따라서 블록본체(10)를 도로면에 단단히 고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중앙분리구(1)가 도로의 중앙면에 다수 설치된 도면으로서, 중앙분리구(1)의 사이 간격은 150㎝ 내지 210㎝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설치되는 각 도로의 사정에 따라 다양한 색깔 즉, 주황, 노랑, 녹색, 흰색 등의 야광도료(42)를 입힌 것을 사용한 것이다.
본 고안의 중앙분리구(1)는 [표1]과 같은 다양한 크기의 규격을 가지는 바, 이러한 크기의 규격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표1] 직사각반달형
길이(L) 폭(W) 높이(H)
1 300 100 100
2 350 120 150
3 400 130 175
4 450 140 200
5 500 150 250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직사각사다리꼴형)를 나타내는 사시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중앙분리구(1)는 블록본체(10')의 하측은 직사각형 형상이며 상측은 상면이 폭이 좁은 사다리꼴의 형상을 하고 있으며 폭방향보다 길이방향이 더 크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사용 및 설치는 앞서 설명한 전 실시예와 같이 동일하며, 본 고안 또한 [표2]와 같은 다양한 크기의 규격을 가지는 바, 이러한 크기의 규격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표2] 직사각사다리꼴형
길이(L1) 폭(W1) 높이(H1+H2)
1 100 100 100
2 200 100 100
3 250 120 125
4 300 120 150
5 350 120 200
본 고안에 따른 도로의 중앙분리구(1)는 상기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을 할 수 있음은 당업자로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자명하다 할 것이다.
예를 들어, 블록본체(10) 제작 과정시 유색의 안료 대신 야광성 안료를 사용하거나 차량의 진행방향 경사면(10a)외에 블록본체의 양측면이나 상면에 야광반사판(30)을 부착 형성하거나 또는 길이방향을 더 길게 형성하거나 상기 고정구멍(10b)을 고정구의 결합시 고무재의 탄성을 염려한 관통공을 형성한 철심을 갖는 등의 용이한 변형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임은 당연한 것이라 하겠다.
본 고안의 중앙분리구(1)는 운전시 운전자의 도로 시야를 더 멀리 확보할 수 있음은 물론 그 구성을 간단하게 하여 설치사용이 용이하며 폐타이어를 이용함으로써 생산단가를 낮출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 도로 중앙면에 돌출되게 설치함으로써 운전 불감증을 지닌 운전자의 중앙선 침범을 방지하여 중앙선 침범에 대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함은 물론 교통위반 사례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3)

  1. 측단면 형상이 상측보다 저측이 크게 형성되어 있음과 함께 차량의 진행 방향과 대향하는 면은 경사면(10a)으로 이루어지며 내부에 수직의 고정구멍(10b)이 형성된 블록본체(10)와;
    상부가 상기 블록본체(10)의 고정구멍(10b) 상단에 지지되며 하부가 고정구멍(10b)을 수직으로 관통하는 고정구(20)와;
    도로면에 삽입 설치되어 상기 관통한 고정구(20)의 하부를 결합 지지시키는 앵커볼트(30)와;
    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블록본체(10)를 고정구(20)와 앵커볼트(30)에 의해 도로면(100)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의 중앙분리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진행방향과 대향되는 양 경사면(10a)에 야광반사판(40)을 부착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의 중앙분리구.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 본체(10)의 표면으로 다양한 색깔의 야광도료(42)를 도포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로의 중앙분리구.
KR2020010020631U 2001-07-09 2001-07-09 도로의 중앙분리구 KR20025280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0631U KR200252800Y1 (ko) 2001-07-09 2001-07-09 도로의 중앙분리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10020631U KR200252800Y1 (ko) 2001-07-09 2001-07-09 도로의 중앙분리구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0769A Division KR20030005465A (ko) 2001-07-09 2001-07-09 도로의 중앙분리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2800Y1 true KR200252800Y1 (ko) 2001-11-17

Family

ID=731047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10020631U KR200252800Y1 (ko) 2001-07-09 2001-07-09 도로의 중앙분리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2800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6859B1 (ko) * 2001-11-13 2009-09-09 알스톰 콘크리트 슬래브 내의 앵커링 요소의 보유 강도 보강 방법
KR101170973B1 (ko) 2010-04-12 2012-08-03 (주)에덴공사 차선 규제봉 또는 주차블록 고정 방법 및 고정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6859B1 (ko) * 2001-11-13 2009-09-09 알스톰 콘크리트 슬래브 내의 앵커링 요소의 보유 강도 보강 방법
KR101170973B1 (ko) 2010-04-12 2012-08-03 (주)에덴공사 차선 규제봉 또는 주차블록 고정 방법 및 고정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15499A (en) Traffic lane delineator
WO2005113897A1 (en) A road line safety pillar
KR100655768B1 (ko) 도로의 조명차선 시스템
KR20110131633A (ko) 도로용 중앙분리대
KR200252800Y1 (ko) 도로의 중앙분리구
CA2207926C (en) Traffic sign
KR100525944B1 (ko) 배수 시설이 구비된 공동 주택 단지 진입 도로 과속 방지턱
KR100436390B1 (ko) 도로교통 안전 경계석 시공방법 및 그 구조
KR100625468B1 (ko) 도로용 중앙분리대
KR20030005465A (ko) 도로의 중앙분리구
KR100949672B1 (ko) 미끄럼방지 기능이 구비된 도로표지병
KR200274543Y1 (ko) 조립식 차선분리대
KR0119966Y1 (ko) 도로용 경계블록
KR200419650Y1 (ko) 융착식 도료를 이용한 도로 표지병
WO2010143754A1 (ko) 미끄럼방지 기능이 구비된 도로표지병
KR101111029B1 (ko) 탈착식 중앙 분리대
KR200260471Y1 (ko) 표지병
KR100372977B1 (ko) 조립식 가드레일
KR200234664Y1 (ko) 도로경계블럭
KR200239175Y1 (ko) 도로안전분리대
KR200270838Y1 (ko) 폐타이어를주재로한도로중앙분리대장치
KR200391852Y1 (ko) 조립식 횡단보도
KR200215182Y1 (ko) 조립식 가드레일
KR200430984Y1 (ko) 차선표시구
KR200222519Y1 (ko) 도로용 중앙분리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