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53717B1 - 다웰바를 구비하고 배수홈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받침슬래브를 이용한 콘크리트 슬래브의 이음구조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슬래브 이음시공방법 - Google Patents

다웰바를 구비하고 배수홈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받침슬래브를 이용한 콘크리트 슬래브의 이음구조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슬래브 이음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53717B1
KR101153717B1 KR1020100047827A KR20100047827A KR101153717B1 KR 101153717 B1 KR101153717 B1 KR 101153717B1 KR 1020100047827 A KR1020100047827 A KR 1020100047827A KR 20100047827 A KR20100047827 A KR 20100047827A KR 101153717 B1 KR101153717 B1 KR 1011537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ab
concrete
dowel bar
support
concrete slab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78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28401A (ko
Inventor
남영국
손영태
Original Assignee
(주)한맥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맥기술 filed Critical (주)한맥기술
Priority to KR10201000478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53717B1/ko
Publication of KR201101284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284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537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537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02Arrangement or construction of joints; Methods of making joints; Packing for joints
    • E01C11/04Arrangement or construction of joints; Methods of making joints; Packing for joints for cement concrete paving
    • E01C11/14Dowel assembly ; Design or construction of reinforcements in the area of join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16Reinforcements
    • E01C11/18Reinforcements for cement concrete pav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16Elements joined together
    • E01C2201/167Elements joined together by reinforcement or mes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로의 교량 접속부, 콘크리트 도로 포장 등과 같이 양측의 콘크리트 슬래브가 접속되는 콘크리트 슬래브의 이음부에서, 양측 콘크리트 슬래브 내에 다웰바를 설치하되, 양측 콘크리트 슬래브의 하부에 받침슬래브를 형성하여 다웰바를 고정 설치함으로써, 지반의 침하 등으로 인하여 양측 콘크리트 슬래브 간의 단차(상면의 높이차) 발생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새로운 구성의 콘크리트 슬래브 이음구조 및 이를 이용한 이음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접속되는 양측 콘크리트 슬래브(100, 200)의 서로 마주하는 단부의 하부에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로 사전 제작된 받침슬래브(30)를 매립 설치하되, 받침슬래브(30)에는, 수평매립부(42)와 지지결합부(41)로 이루어져 ㄷ자로 절곡된 형태의 설치부재(40)를 설치하고, 다웰바(10)를 지지결합부(41)에 결합하여 양측 콘크리트 슬래브(100, 200)의 서로 마주하는 단부에 걸쳐서 종방향으로 배치하고, 상기 받침슬래브(30)의 상면에는 지표수가 횡방향으로 흐를 수 있도록 오목하게 배수홈(31)을 형성한 상태에서, 다웰바(10) 및 지지결합부(41)가 매립되도록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상기 양측 콘크리트 슬래브(100, 200)가 상기 받침슬래브(30) 위에 설치되어 있는 구성을 가지는 콘크리트 슬래브의 이음구조와 그 이음시공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다웰바를 구비하고 배수홈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받침슬래브를 이용한 콘크리트 슬래브의 이음구조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슬래브 이음시공방법{Connecting Structure and Method of Concrete Slabs using Bottom Slab having Dowel bars and Drainage Channel}
본 발명은 도로의 교량 접속부, 콘크리트 도로 포장 등에서 콘크리트 슬래브를 서로 접속하는 콘크리트 슬래브의 이음구조 및 그 이음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양측의 콘크리트 슬래브가 접속되는 콘크리트 슬래브의 이음부에서, 양측 콘크리트 슬래브 내에 다웰바(Dowel bar)를 설치하되, 양측 콘크리트 슬래브의 하부에 받침슬래브를 형성하여 다웰바를 고정 설치함으로써, 지반의 침하 등으로 인하여 양측 콘크리트 슬래브 간의 단차(상면의 높이차) 발생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새로운 구성의 콘크리트 슬래브 이음구조 및 이를 이용한 이음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두께를 가지는 콘크리트 슬래브를 지면 위에 설치함에 있어서, 이웃하는 콘크리트 슬래브 간에는 이음부가 존재하게 된다. 특히, 교량과 접속되는 도로의 경우, 도로와 접속되는 교량 접속부에는 완충슬래브와 접속슬래브가 종방향으로 연속 배치되는 구조를 가지게 된다. 이러한 교량 접속부뿐만 아니라, 일반 콘크리트 슬래브를 이용한 도로 포장에 있어서도, 양측 콘크리트 슬래브가 종방향으로 서로 연속 배치되면서, 이웃한 콘크리트 슬래브 사이에는 이음부가 존재하게 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라 양측 콘크리트 슬래브(100, 200)가 접속되는 이음부의 상태를 투시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선 A-A에 따른 단면도이다.
양측의 콘크리트 슬래브(100, 200)가 접속되는 이음부에서, 접속면의 상부에는 수축줄눈(20)이 존재하게 되고, 양측 콘크리트 슬래브(100, 200)의 내부에는 다웰바(10)가 존재한다. 즉, 다웰바(10)가 양측 콘크리트 슬래브(100, 200)에 걸쳐서 슬래브 내부에 매립되어 구비되는 것이다. 양측 콘크리트 슬래브(100, 200)의 횡방향으로 이러한 다웰바(10)는 복수개로 배치된다.
상기 다웰바(10)가 양측 콘크리트 슬래브(100, 200)의 중간에 매립될 수 있도록 다웰바(10)는 철사 등으로 이루어진 지지부재(11)에 의해 양측이 각각 지지되는데, 상기 지지부재(11)의 하단에는 고정부재(12)가 구비되어 있고 고정부재(12)의 하면에는 고정핀(13)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지지부재(11)의 상단은 다웰바(10)와 결합되어 있다. 상기 지지부재(11)의 하단에 구비된 고정핀(13)이 지면에 박혀서 고정되어 지지부재(11)가 상부를 향하게 서있게 되고, 지지부재(11)와 양단부가 각각 결합된 다웰바(10)가 지면으로부터 떨어져서 양측 콘크리트 슬래브(100, 200) 중간의 매립 위치에 존재하게 된다.
콘크리트 슬래브가 놓인 지반은, 지표수의 유입으로 인한 지지력 약화, 다짐 불량 등으로 인하여 침하될 수 있고, 특히 양측 콘크리트 슬래브(100, 200) 각각의 아래에 있는 지반에 서로 다른 정도의 침하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지반 침하로 인하여 이음부에서 양측 콘크리트 슬래브(100, 200) 사이에는 단차가 발생할 수 있는데, 콘크리트 슬래브 간의 단차는 콘크리트 슬래브(100, 200) 위를 주행하는 차량 등에 큰 충격을 주어 주행 안전을 위협하게 되고 차량에 손상을 유발할 뿐만 아니라, 콘크리트 슬래브 자체에도 파괴를 일으킨다.
위에서 살펴본 종래의 콘크리트 슬래브 이음구조에서는, 양측 콘크리트 슬래브(100, 200) 사이에 발생하는 침하를 단지 다웰바(10)만이 저항하는 구조이므로, 결국 지반의 침하 등의 현상이 일어나게 되면, 양측 콘크리트 슬래브(100, 200) 사이에 단차가 발생하는 것을 피할 수 없으며, 결국 위에서 살펴본 것과 같은 차량 주행 안전 위협, 차량 손상 유발, 콘크리트 슬래브의 파괴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위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콘크리트 슬래브를 타설하기 전에, 고정핀(13)을 현장에서 지반에 박아서 다웰바(10)와 결합된 지지부재(11)를 설치하게 되는데, 현장에서 이러한 작업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고정핀(13)의 박음 위치가 일정하지 않게 되어 다웰바(10)의 설치 위치가 양측 콘크리트 슬래브(100, 200)의 종방향 축보다 기울어지게 설치될 가능성이 있다. 다웰바(10)의 설치 축이 양측 콘크리트 슬래브(100, 200)의 종방향 축과 어긋나는 경우, 즉 다웰바(10)가 비뚤게 설치되는 경우에는, 다웰바(10)와 콘크리트 슬래브 간의 일체화를 통한 하중전달 기능의 저하가 유발될 수 있다.
또한 단순히 고정핀(13)을 지면에 박아서 지지부재(11)를 설치하는 것이므로, 콘크리트 슬래브(100, 200)를 타설할 때, 지지부재(11)가 쓰러지거나 애초에 설치하였던 위치를 벗어나게 되어 다웰바(10)가 설계를 통해 예정된 위치에 놓이지 않게 될 수 있으며, 이러한 현상은 위와 마찬가지로 다웰바(10)와 콘크리트 슬래브 간의 일체화를 통한 하중전달 기능의 저하를 유발하게 된다.
특히, 종래의 위와 같은 구조에서는 수축줄눈(20)을 통해 우수 등의 지표수가 유입되는데, 이러한 지표수는 아무런 저지 없이 콘크리트 슬래브(100, 200) 아래의 지반으로 유입되어 이음부에서의 지반의 지지력 약화를 유발하게 된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양측의 콘크리트 슬래브가 접속되는 이음부에서의 지반 침하로 인한 단차 발생을 방지하여, 그에 따른 차량 주행 안정성 약화, 콘크리트 슬래브 자체의 손상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다웰바와 결합된 지지부재의 현장 설치 작업을 배제하여 다웰바의 부정확한 배치에 따른 하중전달 기능 저하를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다웰바와 지지부재가 설치된 상태에서 콘크리트 슬래브 시공을 위한 콘크리트를 타설할 때, 지지부재를 지반에 고정시키는 고정핀이 지반에서 빠져서 지지부재의 위치 및 다웰바의 설치 위치가 부정확해지는 것을 사전에 방지함으로써, 다웰바의 부정확한 배치에 따른 하중전달 기능 저하를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수축줄눈을 통해 유입되는 지표수가 콘크리트 슬래브 아래의 지반으로 직접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지반의 지지력 약화에 따른 단차 발생을 최소화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위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두께를 가지는 콘크리트 슬래브의 단부가 종방향으로 마주하여 연속적으로 접속되는 이음구조로서, 접속되는 양측 콘크리트 슬래브의 서로 마주하는 단부의 하부에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로 사전 제작된 받침슬래브가 그 상면이 지면과 동일한 높이에 있도록 지반에 매립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받침슬래브에는, 종방향으로 배치되어 받침슬래브 내에 매립되어 있는 수평매립부와, 상기 수평매립부의 양단부와 일체로 연결되어 있으며 받침슬래브의 상면 외부로 뻗어있고 외측 단부가 다웰바의 양단부에 결합되는 지지결합부로 이루어져 ㄷ자로 절곡된 형태의 설치부재가 설치되어 있고; 다웰바는 양측 콘크리트 슬래브의 서로 마주하는 단부에 걸쳐서 종방향으로 배치되는데, 상기 지지결합부의 외측 단부가 각각 다웰바의 단부와 결합되어 상기 다웰바가 설치부재와 일체로 되어 지면으로부터 떨어져서 양측 콘크리트 슬래브 내에 매립되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받침슬래브의 상면에서 양측 콘크리트 슬래브의 단부가 마주접하는 면의 아래에는, 지표수가 횡방향으로 흐를 수 있도록 오목하게 배수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다웰바 및 외부로 돌출되어 있는 설치부재의 지지결합부가 매립되도록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상기 양측 콘크리트 슬래브가 상기 받침슬래브 위에 설치되어 있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슬래브의 이음구조가 제공된다.
두께를 가지는 콘크리트 슬래브의 단부가 종방향으로 마주하여 연속적으로 접속되도록 하는 이음부에서, 양측 콘크리트 슬래브의 서로 마주하게 될 단부의 하부 위치에, 지반에 터파기를 하고; 종방향으로 배치되어 받침슬래브 내에 매립되는 수평매립부와, 상기 수평매립부의 양단부와 일체로 연결되어 있으며 받침슬래브의 상면 외부로 뻗어있고 외측 단부가 다웰바의 양단부에 결합되는 지지결합부로 이루어져 ㄷ자로 절곡된 형태의 설치부재가 설치되어 있으며, 양측 콘크리트 슬래브의 단부가 마주접하는 면이 존재하게 될 위치의 아래에는 지표수가 횡방향으로 흐를 수 있도록 오목하게 배수홈이 형성되어 있도록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로 사전 제작된 받침슬래브를 그 상면이 지면과 동일한 높이에 있도록 상기 지반의 터파기된 위치에 매립 설치하며; 상기 받침슬래브의 상부에서 상기 지지결합부의 외측 단부를 각각 다웰바의 단부에 결합시켜 상기 다웰바가 설치부재와 일체로 되어 종방향으로 지면으로부터 떨어져서 배치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다웰바 및 외부로 돌출되어 있는 설치부재의 지지결합부가 매립되도록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측 콘크리트 슬래브의 단부가 상기 받침슬래브 위에서 서로 마주접하도록 양측 콘크리트 슬래브를 접속하여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슬래브의 이음시공방법이 제공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받침슬래브는 횡방향으로 복수개가 연속배치되어 접합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받침슬래브의 횡방향 접속부에는 오목부와 볼록부로 이루어진 전단키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받침슬래브가 횡방향으로 복수개가 연속배치되어 접합될 때, 상기 받침슬래브의 내부에 횡방향으로 관통공을 형성하고 관통공 내에 긴장재를 배치하여 긴장력을 부여하여 복수개의 받침슬래브를 조립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공장에서 받침슬래브를 프리캐스트 방식으로 사전 제작할 때부터 미리 설치부재의 하부를 받침슬래브에 매립시켜 다웰바를 받침슬래브상면에 배열하게 되므로, 현장에서 지지부재를 설치하던 종래 기술과는 달리, 설치부재의 설치방향 및 다웰바의 설치방향이 양측 콘크리트 슬래브의 종방향 축과 일치하게 되고 다웰바가 비뚤게 설치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다웰바가 비뚤게 설치됨으로 인한 문제점(다웰바의 하중전달능력 저하 등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던 종래 기술과 달리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이 발생하지 않게 되는 효과가 발휘된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설치부재의 수평매립부가 받침슬래브의 콘크리트 내에 매립되어 있으므로, 받침슬래브에 견고하게 고정되며, 따라서 종래 기술이 가지고 있던 문제점, 즉, 콘크리트 슬래브를 타설할 때, 지지부재가 쓰러지거나 제 위치를 벗어나게 되어 다웰바가 설계된 위치에 놓이지 않게 되는 현상이, 본 발명에서는 일어나지 않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다웰바와 콘크리트 슬래브 간의 일체화를 통한 하중전달 기능 손상의 염려가 없다는 효과가 발휘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로 이루어져 강체를 이루고 있는 받침슬래브에 의해 양측 콘크리트 슬래브의 이음부가 지지되므로, 양측 콘크리트 슬래브의 이음부에서 양측 콘크리트 슬래브의 높이에 차이가 생기는 단차가 발생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서는 문제가 되었던 단차 발생으로 인한 차량 주행 안정성 약화, 콘크리트 슬래브 자체의 손상 등이 발생하는 것이 본 발명에서는 원천적으로 차단되는 효과가 발휘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에서는 받침슬래브의 상면에 배수홈이 형성되어 있고, 양측 콘크리트 슬래브의 단부가 마주접하는 면의 틈으로 통해서 유입된 지표수는 배수홈을 따라 횡방향으로 흘러가게 되어, 지반으로 직접 침투하지 않게 되며, 따라서 지표수 유입으로 인한 지반의 지지력 약화 현상 및 그에 따른 단차 발생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발휘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라 양측 콘크리트 슬래브가 접속되는 상태를 투시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선 A-A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양측 콘크리트 슬래브가 접속되는 상태를 투시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선 B-B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서 아직 양측 콘크리트 슬래브가 시공되지 아니한 상태에서, 다웰바가 구비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받침슬래브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서 양측 콘크리트 슬래브의 횡방향(폭방향)으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받침슬래브가 조립되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 않는다.
도 3에는 본 발명에 따라 양측 콘크리트 슬래브(100, 200)가 접속되는 이음부의 상태를 투시한 상태로 보여주는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도 3의 선 B-B에 따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5에는 본 발명에서 아직 양측 콘크리트 슬래브(100, 200)가 시공되지 아니한 상태에서, 다웰바(10)가 구비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받침슬래브(30)가 이음부에 설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6에는 양측 콘크리트 슬래브(100, 200)의 횡방향으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받침슬래브가 조립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명세서에서, 양측 콘크리트 슬래브(100, 200)가 접속되는 방향 즉, 도 3에서 화살표 C-C로 표시된 방향을 "종방향"이라고 부르고, 종방향과 수직하게 상기 양측 콘크리트 슬래브(100, 200)의 폭방향을 "횡방향"이라고 부른다. 따라서 후술하는 받침슬래브(30)의 "길이방향"은 실질적으로 상기한 "종방향"이 되며, 받침슬래브(30)의 폭방향은 "횡방향"이 된다.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른 콘크리트 슬래브 이음구조에서는, 양측 콘크리트 슬래브(100, 200)가 접속되는 이음부에서 콘크리트 슬래브(100, 200) 하부에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로 제작된 받침슬래브(30)가 설치된다. 즉, 두께와 종방향으로 소정 폭을 가지도록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로 제작된 받침슬래브(30)가, 그 상면이 지면과 동일한 높이에 있도록 지반에 매립 설치되는 것이다.
상기 받침슬래브(30)에는 다웰바(10)와 결합되는 설치부재(40)가 구비되고, 상기 설치부재(40)에 의해 다웰바(10)가 양측 콘크리트 슬래브(100, 200)의 이음부에 걸쳐서 종방향으로 매립 설치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설치부재(40)는, 종방향으로 배치되어 받침슬래브(30) 내에 매립되는 수평매립부(42)와, 상기 수평매립부(42)의 양단부와 일체로 연결되어 있으며 받침슬래브(30)의 상면 외부로 뻗어있고 외측 단부가 다웰바(10)의 양단부에 결합되는 지지결합부(41)로 이루어져 있다. 즉, 도면에 예시된 것처럼, 상기 설치부재(40)는 수평매립부(42)와 양단의 지지결합부(41)로 이루어진 ㄷ자로 절곡된 형태의 부재로 이루어진 것이며, 이러한 설치부재(40)의 수평매립부(42)가 받침슬래브(30) 내에 매립되고 지지결합부(41)가 받침슬래브(30) 위쪽 외부로 돌출되도록, 상기 설치부재(40)가 받침슬래브(30)에 일체로 구비되어 있는 것이다. 지지결합부(41)의 외측 단부는 각각 다웰바(10)의 단부와 결합되어 상기 다웰바(10)가 설치부재(40)와 일체로 되어 있다. 이러한 다웰바(10)와 설치부재(40)가 구비된 받침슬래브(30)는 공장에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로 미리 제작된다. 상기 지지결합부(41)는 굵은 철사, 철근 등의 부재로 만들어질 수 있으며, 지지결합부(41)의 외측 단부를 구부려서 상기 다웰바(10)를 물어서 결합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수평매립부(42) 역시 지지결합부(41)와 마찬가지로 굵은 철사, 봉 부재 등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도면에는 받침슬래브(30)에 1개의 다웰바(10)와 설치부재(40)가 구비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다웰바(10)와 설치부재(40)는 횡방향으로 받침슬래브(30)에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다웰바(10)를 미리 지지결합부(41)에 결합하여 다웰바(10)와 설치부재(40)의 조립체를 만든 후, 상기 설치부재(40)의 수평매립부(42)가 받침슬래브(30)의 콘크리트 내에 매립되도록 할 수도 있고, 우선 설치부재(40)를 받침슬래브(30)의 콘크리트 내에 매립 설치한 상태에서, 설치부재(40)의 지지결합부(41) 단부에 다웰바(10)를 결합할 수도 있다. 물론 다웰바(10)는 후술하는 것처럼 설치부재(40)가 구비된 받침슬래브(30)가 지반에 놓인 후에, 설치부재(40)에 결합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공장에서 받침슬래브(30)를 프리캐스트 방식으로 사전 제작할 때부터 미리 설치부재(40)의 하부를 받침슬래브(30)에 매립시켜 다웰바(10)를 받침슬래브(30) 상면에 배열하게 된다. 그러므로 현장에서 지지부재(11)를 설치하던 종래 기술과는 달리, 설치부재(40)의 설치방향 및 다웰바(10)의 설치방향이 양측 콘크리트 슬래브(100, 200)의 종방향 축과 일치하게 되고 다웰바(10)가 비뚤게 설치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다웰바(10)가 비뚤게 설치됨으로 인한 문제점(다웰바의 하중전달능력 저하 등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던 종래 기술과 달리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이 발생하지 않게 되는 장점이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설치부재(40)의 수평매립부(42)가 받침슬래브(30)의 콘크리트 내에 매립되어 있으므로, 받침슬래브(30)에 견고하게 고정되며, 따라서 종래 기술이 가지고 있던 문제점, 즉, 콘크리트 슬래브(100, 200)를 타설할 때, 지지부재(11)가 쓰러지거나 제 위치를 벗어나게 되어 다웰바(10)가 설계된 위치에 놓이지 않게 되는 현상이, 본 발명에서는 일어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다웰바(10)와 콘크리트 슬래브 간의 일체화를 통한 하중전달 기능 손상의 염려가 없다는 효과가 발휘된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받침슬래브(30)의 상면에는 오목하게 파인 배수홈(31)이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받침슬래브(30)의 상면에서 양측 콘크리트 슬래브(100, 200)의 단부가 마주접하는 면의 아래에는, 지표수가 횡방향으로 흐를 수 있도록 오목하게 배수홈(31)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 배수홈(31)은 수축줄눈(20) 등과 같은 양측 콘크리트 슬래브(100, 200) 간의 틈으로 통해서 지표수가 유입될 때, 이러한 유입 지표수가 홈을 따라 흐르는 통로이다. 상기 배수홈(31)은 받침슬래브(30)의 상면에서 횡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되는데, 배수홈(31)으로 유입된 지표수가 콘크리트 슬래브(100, 200)의 횡방향 측면으로 흐를 수 있도록 양쪽 방향으로 경사진 구배를 가지거나 또는 한쪽 방향으로 경사진 구배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수축줄눈(20) 등과 같은 양측 콘크리트 슬래브(100, 200)의 단부가 마주접하는 면의 틈으로 통해서 지표수가 유입되더라도, 유입 지표수는 상기 배수홈(31)을 따라 횡방향으로 흘러가게 되어, 지반으로 직접 침투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지표수가 지반으로 직접 침투하지 않게 되므로, 지표수 유입으로 인한 지반의 지지력 약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배수홈(31)을 따라 횡방향으로 흘러간 지표수는 예를 들어, 별도의 홈을 통해 양측 콘크리트 슬래브(100, 200) 하부의 지반과 무관한 위치로 배수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받침슬래브(30)를 이용한 본 발명의 이음부 시공방법을 살펴보면, 우선 노상 또는 동상방지층 등을 포설하고 다짐하여 콘크리트 슬래브가 설치된 지반을 형성한다. 양측 콘크리트 슬래브(100, 200)가 접속될 이음부 위치에서, 상기한 받침슬래브(30)가 놓일 공간을 확보하도록 지반의 터파기를 수행한다.
설치부재(40)가 결합되어 있도록 프리캐스트 방식으로 미리 제작된 받침슬래브(30)를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터파기된 위치에 놓는다. 설치부재(40)에 다웰바(10)가 결합되어 있는 상태에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다웰바(10)의 양측 단부가 각각 양측 콘크리트 슬래브(100, 200) 내에 매립되도록, 상기 받침슬래브(30) 위로 콘크리트 슬래브(100, 200)를 형성한다.
본 발명에서 양측 콘크리트 슬래브(100, 200)의 이음부 즉, 종방향으로 서로 마주하는 양측 콘크리트 슬래브(100, 200)의 단부는 지반 위에 직접 놓이는 것이 아니라, 콘크리트 슬래브로 이루어진 받침슬래브(30) 위에 놓이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로 이루어져 강체를 이루고 있는 받침슬래브(30)에 의해 양측 콘크리트 슬래브(100, 200)의 이음부가 지지되므로, 양측 콘크리트 슬래브(100, 200)의 이음부에서 양측 콘크리트 슬래브(100, 200)의 높이에 차이가 생기는 단차가 발생하지 않게 된다. 특히, 양측 콘크리트 슬래브(100, 200)의 이음부 즉, 양측 콘크리트 슬래브(100, 200)의 마주하는 단부와, 그 하부의 받침슬래브(30)는 실질적으로 다웰바(10) 및 설치부재(40)에 의해 일체화되어 있다. 따라서 이러한 일체화된 구조에서는 양측 콘크리트 슬래브(100, 200) 사이에 단차가 생길 수 없다. 그러므로 종래 기술에서는 문제가 되었던 단차 발생으로 인한 차량 주행 안정성 약화, 콘크리트 슬래브 자체의 손상 등이 발생하는 것이 원천적으로 차단되는 효과가 발휘된다.
한편 양측 콘크리트 슬래브(100, 200)의 횡방향 폭이 크거나 또는 기타 이유에서, 받침슬래브(30)를 길이방향으로 즉, 콘크리트 슬래브(100, 200)의 횡방향으로 복수개 접속하여 설치할 수도 있다. 즉,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복수개의 받침슬래브(30)를 콘크리트 슬래브(100, 200)의 횡방향으로 접속하여 설치하는 경우, 받침슬래브(30)의 횡방향 접속부에는 전단키(32)를 설치할 수도 있다. 또한 위와 같은 받침슬래브(30)의 횡방향 접속구조를 더욱 견고히 하기 위해서, 받침슬래브(30) 내부에 콘크리트 슬래브(100, 200)의 횡방향으로 관통공을 형성하고 관통공 내에 긴장재(50)를 배치하여 긴장력을 부여하여 조립할 수도 있다. 또한 위와 같은 받침슬래브(30)의 횡방향 접속부 즉, 종방향으로 배치되는 받침슬래브(30)가 서로 마주하는 면에는 고무판 등과 같이 탄성재 또는 기타 공지의 재질로 이루어진 지수판 또는 차수판이 설치되어 누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구성이 구비될 수 있다. 도면에서 부재번호 33은 볼록한 전단키(32)가 삽입되는 오목부(33)이다.
10: 다웰바, 30: 받침슬래브, 31: 배수홈, 40: 설치부재

Claims (4)

  1. 두께를 가지는 콘크리트 슬래브(100, 200)의 단부가 종방향으로 마주하여 연속적으로 접속되는 이음구조로서,
    접속되는 양측 콘크리트 슬래브(100, 200)의 서로 마주하는 단부의 하부에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로 사전 제작된 받침슬래브(30)가 그 상면이 지면과 동일한 높이에 있도록 지반에 매립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받침슬래브(30)에는, 종방향으로 배치되어 받침슬래브(30) 내에 매립되는 수평매립부(42)와, 상기 수평매립부(42)의 양단부와 일체로 연결되어 있으며 받침슬래브(30)의 상면 외부로 뻗어있고 외측 단부가 다웰바(10)의 양단부에 결합되는 지지결합부(41)로 이루어져 ㄷ자로 절곡된 형태의 설치부재(40)가 설치되어 있고;
    다웰바(10)는 양측 콘크리트 슬래브(100, 200)의 서로 마주하는 단부에 걸쳐서 종방향으로 배치되는데, 상기 지지결합부(41)의 외측 단부가 각각 다웰바(10)의 단부와 결합되어 상기 다웰바(10)가 설치부재(40)와 일체로 되어 지면으로부터 떨어져서 양측 콘크리트 슬래브(100, 200) 내에 매립되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받침슬래브(30)의 상면에서 양측 콘크리트 슬래브(100, 200)의 단부가 마주접하는 면의 아래에는, 지표수가 횡방향으로 흐를 수 있도록 오목하게 배수홈(3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다웰바(10) 및 외부로 돌출되어 있는 설치부재(40)의 지지결합부(41)가 매립되도록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상기 양측 콘크리트 슬래브(100, 200)가 상기 받침슬래브(30) 위에 설치되어 있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슬래브의 이음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슬래브(30)는 횡방향으로 복수개가 연속배치되어 접합되는데,
    상기 받침슬래브(30)의 횡방향 접속부에는 오목부와 볼록부로 이루어진 전단키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슬래브의 이음구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슬래브(30)는 횡방향으로 복수개가 연속배치되어 접합되는데,
    상기 받침슬래브(30)의 내부에 횡방향으로 관통공을 형성하고 관통공 내에 긴장재(50)를 배치하여 긴장력을 부여하여 복수개의 받침슬래브(30)가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슬래브의 이음구조.
  4. 두께를 가지는 콘크리트 슬래브(100, 200)의 단부가 종방향으로 마주하여 연속적으로 접속되도록 하는 이음부에서, 양측 콘크리트 슬래브(100, 200)의 서로 마주하게 될 단부의 하부 위치에, 지반에 터파기를 하고;
    종방향으로 배치되어 받침슬래브(30) 내에 매립되는 수평매립부(42)와, 상기 수평매립부(42)의 양단부와 일체로 연결되어 있으며 받침슬래브(30)의 상면 외부로 뻗어있고 외측 단부가 다웰바(10)의 양단부에 결합되는 지지결합부(41)로 이루어져 ㄷ자로 절곡된 형태의 설치부재(40)가 설치되어 있으며, 양측 콘크리트 슬래브(100, 200)의 단부가 마주접하는 면이 존재하게 될 위치의 아래에는 지표수가 횡방향으로 흐를 수 있도록 오목하게 배수홈(31)이 형성되어 있도록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로 사전 제작된 받침슬래브(30)를 그 상면이 지면과 동일한 높이에 있도록 상기 지반의 터파기된 위치에 매립 설치하며;
    상기 받침슬래브(30)의 상부에서 상기 지지결합부(41)의 외측 단부를 각각 다웰바(10)의 단부에 결합시켜 상기 다웰바(10)가 설치부재(40)와 일체로 되어 종방향으로 지면으로부터 떨어져서 배치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다웰바(10) 및 외부로 돌출되어 있는 설치부재(40)의 지지결합부(41)가 매립되도록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측 콘크리트 슬래브(100, 200)의 단부가 상기 받침슬래브(30) 위에서 서로 마주접하도록 양측 콘크리트 슬래브(100, 200)를 접속하여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슬래브의 이음시공방법.
KR1020100047827A 2010-05-24 2010-05-24 다웰바를 구비하고 배수홈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받침슬래브를 이용한 콘크리트 슬래브의 이음구조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슬래브 이음시공방법 KR1011537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7827A KR101153717B1 (ko) 2010-05-24 2010-05-24 다웰바를 구비하고 배수홈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받침슬래브를 이용한 콘크리트 슬래브의 이음구조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슬래브 이음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7827A KR101153717B1 (ko) 2010-05-24 2010-05-24 다웰바를 구비하고 배수홈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받침슬래브를 이용한 콘크리트 슬래브의 이음구조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슬래브 이음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8401A KR20110128401A (ko) 2011-11-30
KR101153717B1 true KR101153717B1 (ko) 2012-07-19

Family

ID=453965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7827A KR101153717B1 (ko) 2010-05-24 2010-05-24 다웰바를 구비하고 배수홈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받침슬래브를 이용한 콘크리트 슬래브의 이음구조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슬래브 이음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5371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85977B (zh) * 2018-11-20 2024-04-05 保利长大港航工程有限公司 一种防裂混凝土面板及其施工方法
CN111485471B (zh) * 2020-05-11 2022-03-11 山东智行咨询勘察设计院 适用于装配式路面的湿接缝结构及施工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2452B1 (ko) 2005-02-01 2006-09-13 현대제철 주식회사 부분합성된 멀티 h형강 거더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2452B1 (ko) 2005-02-01 2006-09-13 현대제철 주식회사 부분합성된 멀티 h형강 거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28401A (ko) 2011-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58373B1 (ko) 교량의 신축이음 장치
KR101607996B1 (ko) 블럭 아웃 깊이 낮춤 가능형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KR101389285B1 (ko) 단부 격벽 일체형 교대 흉벽 pc블록을 이용한 거더교의 교대 단부 일체화 방법
KR101153717B1 (ko) 다웰바를 구비하고 배수홈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받침슬래브를 이용한 콘크리트 슬래브의 이음구조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슬래브 이음시공방법
KR101020414B1 (ko) 교량용 신축이음구조
KR102457875B1 (ko) 프리캐스트 옹벽 구조물
WO2009026807A1 (fr) Dispositif d'expansion de pont integre
JP2518390Y2 (ja) 張出歩道ブロック及びそれを用いた張出歩道構造
KR200331557Y1 (ko) 말뚝 파일의 두부 연결구조
JP3328802B2 (ja) 橋梁における排水装置
KR200420394Y1 (ko) 역 티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옹벽블록
KR20210108262A (ko) 도로 측구 보수공법
KR20130059823A (ko) 교량 신축이음의 매립형 누수방지장치
JP4834649B2 (ja) 盛土構造物を構築する盛土構造及び盛土構造構成用の擁壁ブロック並びに盛土構造物の構築工法
JP2005097999A (ja) 張り出し歩道構造及びそれに用いられる土台部ブロック
JP3125818U (ja) 側溝ユニット及びグレーチング蓋の構造
KR200233617Y1 (ko) 라멘교
KR200264354Y1 (ko) 교량 상판의 신축 이음장치
KR102427300B1 (ko) 연속화슬래브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슬래브교량 및 그 시공 방법
KR200312792Y1 (ko) 배수기능을 강화한 교량의 신축이음장치
KR200212269Y1 (ko) 도로설비
CN213653096U (zh) 防止路面跳车的道路排水横沟
JP2873780B2 (ja) 水路用ブロック
KR101292694B1 (ko) 교량의 신축이음누수방지 시공방법
KR100488130B1 (ko) 조립식 옹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6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