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1557Y1 - 말뚝 파일의 두부 연결구조 - Google Patents

말뚝 파일의 두부 연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1557Y1
KR200331557Y1 KR20-2003-0022766U KR20030022766U KR200331557Y1 KR 200331557 Y1 KR200331557 Y1 KR 200331557Y1 KR 20030022766 U KR20030022766 U KR 20030022766U KR 200331557 Y1 KR200331557 Y1 KR 20033155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le
concrete
head
connection structure
reinforcing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276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대중
Original Assignee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3-002276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155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155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1557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223Details of top sections of foundation pil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담수화 설비와 같은 거대 구조물을 지지하기 위하여 지반에 설치되는 말뚝 파일의 두부(頭部)를 상부 구조물인 구체 콘크리트와 연결함에 있어서 상기 구체 콘크리트에 내에 근입되는 말뚝 파일의 두부에 대한 새로운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서는, 지반에 형성된 말뚝 파일의 두부가 돌출되어 상부 구조물의 구체 콘크리트에 근입되어 말뚝 파일의 두부와 구체 콘크리트가 일체로 연결되는 말뚝 파일의 두부 연결구조로서, 말뚝 파일의 두부가 위치하는 곳과 그 주변을, 구체 콘크리트의 바닥레벨보다 소정 깊이 아래로 더 파내려간 상태에서, 말뚝 파일의 두부를 구체 콘크리트 바닥 레벨 이상으로 돌출시켜 구체 콘크리트에 근입시키므로써, 말뚝 파일의 두부 주위에서 구체 콘크리트 내의 보강 철근의 피복 두께가 과도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말뚝 파일의 두부 연결구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말뚝 파일의 두부 연결구조{Connecting Structure for Head of Pile}
본 고안은 구체 콘크리트와 연결되는 말뚝 파일의 두부 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담수화 설비와 같은 거대 구조물을 지지하기 위하여 지반에 설치되는 말뚝파일의 두부(頭部)를 상부 구조물인 구체 콘크리트와 연결함에 있어서 상기 구체 콘크리트에 내에 근입되는 말뚝 파일의 두부에 대한 새로운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지중에 설치되어 상부 구조물을 지지하는 말뚝 파일은, 그 두부(頭部)가, 상부 구조물의 구체 콘크리트내에 소정 길이로 근입되어 상부 구조물의 구체 콘크리트와 일체화된다. 도 1에는 말뚝 파일의 일예로서 현장 타설 콘크리트 말뚝 파일(1)의 두부가 종래의 연결구조에 따라 구체 콘크리트(10)에 근입되어 일체로 연결되어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지반에 말뚝 타설공을 형성한 후 말뚝 철근(2)을 설치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말뚝 파일(1)을 형성하고, 그 상부에 구체 콘크리트(10)를 타설하여 형성하게 된다. 이 때, 말뚝 파일(1)의 두부는 지면으로부터 소정 길이 이상, 예를 들면 약 100 mm 이상의 길이로 돌출되어 상기 구체 콘크리트(10) 내에 근입된다. 도 1에서 부재번호 3은 말뚝 파일(1)의 타설 후 버려지는 콘크리트를 부어 형성하는 버림 콘크리트층(3)이다. 상기 버림 콘크리트층(3)의 표면에는 방수 시트(4)를 설치하게 되며, 말뚝 파일(1)의 돌출되어 있는 두부 측면에는 시멘트 몰타르 필렛부(5)를 형성한 후 그 외면에 방수 시트(4)를 설치한다. 도 1에서 부재번호 6은 구체 콘크리트(10)의 보강 철근(6)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말뚝 파일(1)의 두부 상단과 상기 구체 콘크리트(10)의 보강 철근(6)과의 사이 간격(h1)은 구체 콘크리트(10)의 굵은 골재 치수를 고려하여 약 25~50mm의 철근 피복 두께를 가져야 한다. 그런데, 종래의 연결구조에서는 버림 콘크리트층(3)이 지면에 평탄하게 형성되어 있고, 말뚝 파일(1)의 두부가 버림 콘크리트층(3)으로부터 소정 길이의 돌출 높이(h2)(약 100mm 정도)로 돌출되어 있으므로, 말뚝 파일(1) 주변에서는 상기 구체 콘크리트(10)의 보강 철근(6)과 상기 버림 콘크리트층(3)간의 간격, 즉 상기 말뚝 파일(1) 주변에서 보강 철근(6)의 피복 두께(h)는 말뚝 파일(1) 두부의 돌출 높이(h2)에 상기 말뚝 파일(1) 두부 상단에서의 보강 철근(6)과의 간격(h1)을 합한 두께가 된다.
이와 같이, 종래의 연결구조에서는, 말뚝 파일(1)의 두부 주변에서는 일반적인 철근의 피복 두께 정도의 말뚝 파일(1) 두부와 보강 철근(6)간의 간격(h1)에 말뚝 파일(1) 두부의 근입을 위한 돌출 높이(h2)가 추가된 두께(h)가 구체 콘크리트(10)의 보강 철근(6)의 피복두께가 되기 때문에 일반 토목 시방서에서 요구하는 일반적인 피복두께인 약 50~100mm를 과도하게 초과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과도한 철근 피복 두께는 결국 구체 콘크리트 표면에 발생할 수 있는 균열의 폭이 일반 규정치 보다 커지게 한다. 그런데, 담수화 설비와 같이 방수가 필요한 구조물이나, 유해한 환경에 노출되는 조건에서 시공되는 구조물에서는 이와 같은 큰 균열폭으로 인하여 누수 및 철근 부식이 발생하게 되며, 이러한 누수, 철근 부식 등은 구조물의 성능을 저하시킬 뿐만 아니라, 구조물의 사용연한을 당초의 설계 목표보다 감소시키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위와 같은 종래의 말뚝 파일의 두부 연결구조가 가지는 문제점들을 극복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말뚝 파일의 두부가 구체 콘크리트에 근입됨으로 인하여, 말뚝 파일의 두부 주변에서 구체 콘크리트의 보강 철근의 철근 피복 두께가 과도하게 증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말뚝 파일의 두부 연결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말뚝 파일의 일예로서 현장 타설 콘크리트 말뚝 파일의 두부가 종래의 연결구조에 따라 구체 콘크리트(10)에 근입되어 일체로 연결되어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라 현장 타설 콘크리트 말뚝 파일의 두부가 구체 콘크리트(10)에 근입되어 일체로 연결되어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1 : 말뚝 파일 10 : 구체 콘크리트
3 : 버림 콘크리트층 4 : 방수 시트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서는, 지반에 형성된 말뚝 파일의 두부가 돌출되어 상부 구조물의 구체 콘크리트에 근입되어 말뚝 파일의 두부와 구체 콘크리트가 일체로 연결되는 말뚝 파일의 두부 연결구조로서, 말뚝 파일의 두부가 위치하는 곳과 그 주변을, 구체 콘크리트의 바닥레벨보다 소정 깊이 아래로 더 파내려간 상태에서, 말뚝 파일의 두부를 구체 콘크리트 바닥 레벨 이상으로 돌출시켜 구체 콘크리트에 근입시키므로써, 말뚝 파일의 두부 주위에서 구체 콘크리트 내의 보강 철근의 피복 두께가 과도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말뚝 파일의 두부 연결구조가 제공된다.
이하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도 1과 유사한 형태의 단면도로서, 말뚝 파일의 일예로서 현장 타설 콘크리트 말뚝 파일(1)의 두부가, 본 고안에 의한 연결구조에 따라 구체 콘크리트(10)에 근입되어 일체로 연결되어 있는 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에 있어서, 앞서 도 1과 관련하여 설명한 부재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재번호를 사용하였는 바, 동일한 부재에 대해서는 반복 설명을 생략한다.
본 고안에 의한 연결구조에서 말뚝 파일(1)의 시공과정을 살펴보면, 우선 지반에 말뚝 타설공을 형성한 후 말뚝 철근(2)을 설치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말뚝 파일(1)을 형성한다. 상기 말뚝 파일(1)의 상부에 구체 콘크리트(10)를 타설하여 형성하되, 말뚝 파일(1)의 두부는 지면으로부터 소정 길이 이상, 예를 들면 약 100 mm 이상의 돌출 높이(h2)로 돌출되어 상기 구체 콘크리트(10) 내에 근입되도록 한다.
이와 같은 과정에서 종래의 연결구조와는 달리, 본 고안에서는, 말뚝 파일(1)의 두부를 단순히 구체 콘크리트(10)의 평평한 바닥 레벨에서 소정의 돌출 높이(h2)로 돌출시키는 것이 아니라, 말뚝 파일(1) 두부 설치 위치와 그 주변을 구체 콘크리트(10)의 바닥 레벨에서 소정 깊이(h3)로 더 파내려간 상태에서, 말뚝 파일(1)의 두부가 상기 낮아진 바닥 레벨에서 소정의 돌출 높이(h2)로 돌출되도록 한다.
후속하여, 말뚝 파일(1)의 타설 후 버려지는 콘크리트를 부어 버림 콘크리트층(3)을 형성하고, 말뚝 파일(1)의 돌출되어 있는 두부 측면에는 시멘트 몰타르 필렛부(5)를 형성한 후, 그 외면과 버림 콘크리트층(3)의 표면에는 방수 시트(4)를 설치한다. 이후, 위와 같은 말뚝 파일(1) 위로 구체 콘크리트(10)를 타설하여 상기 돌출된 말뚝 파일(1)의 두부가 구체 콘크리트(10) 내에 근입되어 일체화되도록 한다.
위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연결구조에서는, 말뚝 파일(1)의 두부에서는, 바닥레벨이 더 파내려가 있는 상태이므로, 말뚝 파일(1)의 두부가 필요한 정도의 근입길이(h2)로 돌출되어 있더라도, 말뚝 파일(1)의 두부 단부가 종래의 구조에 비하여 구체 콘크리트(10)의 바닥레벨 위로 적게 돌출하게 된다.
요컨대, 본 고안에 의한 연결구조에서는, 말뚝 파일(1)의 두부 주변에서 보강 철근(6)의 피복 두께(h)는, 말뚝 파일(1)의 두부 상단과 보강 철근(6)과의 간격(h1)과 말뚝 파일(1) 두부의 근입길이(h2)를 더한 종래의 연결구조에서의 보강 철근(6) 피복 두께에서 말뚝 파일(1)의 설치를 위하여 파내려간 깊이(h3)를 뺀 길이가 된다. 그러므로, 본 고안에 의한 연결구조에서는, 말뚝 파일(1)의 두부 주변에서 보강 철근(6)의 피복 두께(h)가, 종래의 연결구조에 비하여, 말뚝 파일(1)의 두부의 설치를 위하여 파내려간 깊이만큼 줄어들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서는 말뚝 파일(1)의 두부 단부와 보강 철근(6) 사이에 일반적인 콘크리트의 철근 피복 두께가 확보되더라도, 말뚝 파일(1)의 주변에서 구체 콘크리트(10) 내의 보강 철근(6)의 피복 두께(h1)가 종래의 경우처럼 과도하게 되지 아니한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종래의 연결구조에서와 같이 말뚝 파일(1)의 두부 주변에서 보강 철근(6)의 과도한 철근 피복 두께로 인하여 발생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게 된다.
즉, 보강 철근(6)의 철근 피복 두께가 과도하게 됨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균열폭의 확대, 그에 따른 누수, 철근 부식, 구조물의 성능저하, 내구연한 감소 등과 같이 종래의 연결구조가 가지고 있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에서는, 보강 철근(6)의 철근 피복 두께를 줄이므로써, 구체 콘크리트(10)의 타설을 위한 콘크리트의 물량이 그만큼 줄어들게 되므로, 그에 따른 원가 절감의 효과도 발휘하게 된다.
이상에서 본 고안의 연결구조를 설명함에 있어서, 현장 타설 콘크리트 말뚝 파일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연결구조가 적용될 수 있는 말뚝 파일은 위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강관 말뚝 파일,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말뚝 파일 등의 다양한 형식의 말뚝 파일에도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지반에 형성된 말뚝 파일의 두부가 돌출되어 상부 구조물의 구체 콘크리트에 근입되어 말뚝 파일의 두부와 구체 콘크리트가 일체로 연결되는 말뚝 파일의 두부 연결구조로서,
    말뚝 파일의 두부가 위치하는 곳과 그 주변을, 구체 콘크리트의 바닥레벨보다 소정 깊이 아래로 더 파내려간 상태에서, 말뚝 파일의 두부를 구체 콘크리트 바닥 레벨 이상으로 돌출시켜 구체 콘크리트에 근입시키므로써, 말뚝 파일의 두부 주위에서 구체 콘크리트 내의 보강 철근의 피복 두께가 과도하게 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말뚝 파일의 두부 연결구조.
KR20-2003-0022766U 2003-07-14 2003-07-14 말뚝 파일의 두부 연결구조 KR20033155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2766U KR200331557Y1 (ko) 2003-07-14 2003-07-14 말뚝 파일의 두부 연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2766U KR200331557Y1 (ko) 2003-07-14 2003-07-14 말뚝 파일의 두부 연결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1557Y1 true KR200331557Y1 (ko) 2003-11-01

Family

ID=494182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2766U KR200331557Y1 (ko) 2003-07-14 2003-07-14 말뚝 파일의 두부 연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1557Y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44205A (ko) * 2022-04-07 2023-10-16 박봉근 휨모멘트 향상을 위한 강관말뚝 두부보강구조
KR20230156458A (ko) * 2022-05-06 2023-11-14 박봉근 휨모멘트 향상과 균등한 수직하중분포를 위한 강관말뚝 두부보강구조
KR20240003826A (ko) * 2022-07-04 2024-01-11 박봉근 휨모멘트 향상과 균등한 수직하중분포를 위한 phc말뚝의 두부보강구조
KR102631860B1 (ko) * 2022-07-25 2024-01-30 박봉근 휨모멘트 향상과 균등한 수직하중분포를 위한 강관말뚝 두부보강구조
KR20240024602A (ko) * 2022-08-17 2024-02-26 박봉근 전단키를 구비한 phc말뚝 및 이를 이용한 phc말뚝의 두부 보강구조
KR20240024601A (ko) * 2022-08-17 2024-02-26 박봉근 전단홈을 구비한 phc말뚝 및 이를 이용한 phc말뚝의 두부 보강구조
KR102658249B1 (ko) * 2022-10-17 2024-04-16 박봉근 캡형상의 확대기초 하부주철근에 의한 휨모멘트 향상과 균등한 수직하중분포를 위한 말뚝 두부보강구조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44205A (ko) * 2022-04-07 2023-10-16 박봉근 휨모멘트 향상을 위한 강관말뚝 두부보강구조
KR102631858B1 (ko) * 2022-04-07 2024-01-30 박봉근 휨모멘트 향상을 위한 강관말뚝 두부보강구조
KR20230156458A (ko) * 2022-05-06 2023-11-14 박봉근 휨모멘트 향상과 균등한 수직하중분포를 위한 강관말뚝 두부보강구조
KR102635960B1 (ko) * 2022-05-06 2024-02-08 박봉근 휨모멘트 향상과 균등한 수직하중분포를 위한 강관말뚝 두부보강구조
KR20240003826A (ko) * 2022-07-04 2024-01-11 박봉근 휨모멘트 향상과 균등한 수직하중분포를 위한 phc말뚝의 두부보강구조
KR102631859B1 (ko) * 2022-07-04 2024-01-30 박봉근 휨모멘트 향상과 균등한 수직하중분포를 위한 phc말뚝의 두부보강구조
KR102631860B1 (ko) * 2022-07-25 2024-01-30 박봉근 휨모멘트 향상과 균등한 수직하중분포를 위한 강관말뚝 두부보강구조
KR20240024602A (ko) * 2022-08-17 2024-02-26 박봉근 전단키를 구비한 phc말뚝 및 이를 이용한 phc말뚝의 두부 보강구조
KR20240024601A (ko) * 2022-08-17 2024-02-26 박봉근 전단홈을 구비한 phc말뚝 및 이를 이용한 phc말뚝의 두부 보강구조
KR102650570B1 (ko) * 2022-08-17 2024-03-21 박봉근 전단홈을 구비한 phc말뚝 및 이를 이용한 phc말뚝의 두부 보강구조
KR102650575B1 (ko) * 2022-08-17 2024-03-21 박봉근 전단키를 구비한 phc말뚝 및 이를 이용한 phc말뚝의 두부 보강구조
KR102658249B1 (ko) * 2022-10-17 2024-04-16 박봉근 캡형상의 확대기초 하부주철근에 의한 휨모멘트 향상과 균등한 수직하중분포를 위한 말뚝 두부보강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25153B1 (en) Arched culvert and method of manufacture
KR200331557Y1 (ko) 말뚝 파일의 두부 연결구조
JP4171470B2 (ja) 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補強方法
KR100535157B1 (ko) 프리캐스트 바닥판과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와의연결구조 및 그 연결시공방법
JP3648219B2 (ja) プレキャスト可撓ボックスカルバートおよびその施工法
KR20090098201A (ko) 말뚝을 이용한 기존 교량 기초지지력 증대방법
KR20040105940A (ko) 프리캐스트 바닥판과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와의연결구조 및 그 연결시공방법
KR100433653B1 (ko) 교량의 교대 뒷채움 배수로 시공방법
JP5310281B2 (ja) 円筒形貯槽の基礎構造
KR200420394Y1 (ko) 역 티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옹벽블록
KR101153717B1 (ko) 다웰바를 구비하고 배수홈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받침슬래브를 이용한 콘크리트 슬래브의 이음구조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슬래브 이음시공방법
KR20090095204A (ko) 수중 콘크리트 구조물의 보수 및 보강방법
KR100348794B1 (ko) 교량기초 보수공법
KR20020005876A (ko) 교량하부구조물의 시공방법 및 그의 구조
JPS6261737B2 (ko)
KR200234555Y1 (ko) 터널 라이닝용 거푸집
JP2515227B2 (ja) 現場打ちコンクリ―ト布基礎と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ト壁版との取付け方法
KR102427300B1 (ko) 연속화슬래브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슬래브교량 및 그 시공 방법
JP3168197B2 (ja) ケーソンのアンカー構造及びその施工方法
KR200271594Y1 (ko) 중공식 교각의 중공홀에 고인 물을 배수시키기 위한 교각구조
CN220183971U (zh) 一种室外装配式排水机构
KR100477623B1 (ko) 건축 지하 구조물 연약지반 부벽 설치 구조
CN214460585U (zh) 一种预制装配式给排水管道基座
JP2743279B2 (ja) 埋設物等の防護工法
KR102410140B1 (ko) 암거 구조물 저판 보수 및 보강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2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