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7996B1 - 블럭 아웃 깊이 낮춤 가능형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 Google Patents

블럭 아웃 깊이 낮춤 가능형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7996B1
KR101607996B1 KR1020150098546A KR20150098546A KR101607996B1 KR 101607996 B1 KR101607996 B1 KR 101607996B1 KR 1020150098546 A KR1020150098546 A KR 1020150098546A KR 20150098546 A KR20150098546 A KR 20150098546A KR 101607996 B1 KR101607996 B1 KR 1016079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plates
bridge
vertical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85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혜자
경용수
성봉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원레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원레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원레일
Priority to KR10201500985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799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79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79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6Arrangement, construction or bridging of expansion join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6Arrangement, construction or bridging of expansion joints
    • E01D19/062Joints having intermediate beam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6Arrangement, construction or bridging of expansion joints
    • E01D19/065Joints having sliding pl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블럭 아웃 깊이 낮춤 가능형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에 관한 것으로, 종단면이 "┏┓"을 갖고 일측면과 저면에는 몰탈 또는 콘크리트와의 접촉성 증대를 위한 다수의 스터드가 정해진 간격을 두고 설치된 형태를 갖고 교량의 상판 접촉부 단부에서 서로 대칭된 형태에서 정해진 깊이로 매설되는 한 쌍의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의 상면 중 블럭 아웃이 위치되는 후방부 상면에 각각 가로 및 세로방향으로 교차되게 배치된 형태에서 용접을 통해 상호 일체로 고정 설치되어 블럭 아웃 공간부 내로 타설되는 몰탈 또는 콘크리트와의 접촉성 증대와 강도를 강화시켜 주는 복수의 철근과; 상기 지지판의 상면 중 전방부 상면에 각각 용접을 통해 고정 설치되어 핑거형 또는 레일형 플레이트 및 플레이트 받침부재를 받쳐 지지해 주는 기능과 앵커 볼트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사각 바와; 종단면이 "┓" 또는 "┏"을 갖고 수직판이 상호 대향되는 형태로 상기 사각 바 상면에 올려져 상기 핑거형 또는 레일형 플레이트와 함께 앵커 볼트들을 통해 사각 바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 설치되는 한 쌍의 플레이트 받침부재와; 상기 플레이트 받침부재들의 상면에서 서로 대응되는 방향으로 위치된 후 앵커 볼트들을 통해 상기 사각 바 상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 설치되는 한 쌍의 핑거형 또는 레일형 플레이트;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신축이음장치의 설치 및 보수가 용이하도록 교량 상판의 단부(즉, 상판 접촉부) 상면에 형성시키는 블럭 아웃(Block Out)의 깊이는 최소한으로 낮출 수 있으면서도 슬래브의 두께는 최대한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신축이음장치가 설치되는 상단 단부 부분의 강성은 크게 증가시킬 수 있고, 특히 누수 및 붕괴의 위험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어 교량의 신축이음장치 자체의 기능에 따른 신뢰도와 상품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블럭 아웃 깊이 낮춤 가능형 교량용 신축이음장치{Block Out lowering depth can type expansion joints for bridges}
본 발명은 블럭 아웃 깊이 낮춤 가능형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교량의 상판 접촉부 사이에 설치되는 신축이음장치 하단부에 종단면이 "┏┓"을 갖고 일측면과 저면에는 다수의 스터드가 정해진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상면에서 길이 방향으로는 앵커 고정용 사각 바와 철근이 용접 설치된 지지판을 고정 설치하여 신축이음장치를 상기 지지판의 사각 바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방식을 통해 블럭 아웃의 깊이를 줄일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교량 상판 단부의 몰탈 또는 콘크리트 크랙으로 인한 누수문제를 강판의 연속성으로 방지할 수 있도록 발명한 블럭 아웃 깊이 낮춤 가능형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용 신축이음장치는 교량 또는 고가도로 등의 연접한 상판 사이에 설치되어 상판 자체의 단부를 보호하면서도 교량이나 고가도로를 통과하는 차량이 원활하게 주행할 수 있는 장치로, 온도변화에 의한 신축, 콘크리트의 재령에 따른 건조수축과 크리이프(Creep) 등에 의한 이동과 회전을 원활하게 함은 물론 빗물이나 각종 오물이 하부로 유입됨으로 인한 교량받침의 부식이나 콘크리트의 부식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신축이음장치는 통상 중소 교량에 사용되는 것과 비교적 길이가 긴 장대 교량에 설치하는 경우 등의 타입으로 크게 나뉠 수 있으며, 또한, 교량 폭 길이에 맞추어 일체 레일로 마련하는 레일타입과 신축량이 큰 효과를 기대하면서 설치되는 핑커 타입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러한 종래의 신축이음장치들 중 레일타입 신축이음장치의 경우는, 교량 상판 사이에 설치하는 레일의 길이를 교량 폭 길이의 일체 레일로 마련하여 설치해야 하므로 신설은 용이하나 유지보수가 곤란하며 비교적 고가이다.
그리고, 신축량에 따라 다수의 레일을 평행하게 설치하는 경우에는 레일과 레일 사이를 조인트 실(Joint Seal)을 끼워 사용하므로 누수가 많이 발생할 수 있으며, 다수의 레일을 설치하므로 레일과 레일 사이에 형성되는 갭(Gap)에 의해 차량 통과시 주행소음을 더욱 가중시킬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차륜의 충격진동이 크기 때문에 이러한 충격진동은 상부구조를 통해 하부의 교좌장치를 통해 결국, 교각에 전달되어 전체적으로 교량의 수명을 단축시키게 되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핑거 타입일 경우에는, 골부와 정부가 반복적인 파형상을 이루는 수평부재의 이격 틈새를 통해 하방으로 이물이 침투하기가 매우 용이하다는 문제점이 있는데, 특히 이러한 이격 틈새로 오랫동안 누수가 될 경우에는, 수평부재를 포함한 상부구조물을 부식시키게 되어 상부구조물을 이루는 철근 및 빔 등을 포함한 콘크리트의 부식을 가져오게 되고, 결국 하부구조물의 크랙을 유발시켜 상부구조물을 지지하는 교좌장치를 부식시킴으로써 전체적인 응력 및 기계적 강도를 떨어뜨려 그 수명을 단축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에는, 누수의 배출구조를 위해 교량 상부에 설치되는 공간, 소위 블럭 아웃(Block Out)의 깊이가 깊을 수밖에 없어 시공의 어려움을 안게 되며, 이에 의해 하중의 분산효과가 균일하지 않게 되어 전체적인 안정성 및 견고성을 기대하기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즉, 최소 블럭 아웃 깊이가 고려됨으로써 신축이음장치의 설치위치에 대한 콘크리트 두께가 두꺼워지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부득이하게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설치구간의 콘크리트 두께가 얇게 설계된 경우, 또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보수공사시 단부의 두께가 얇아 적용 신축이음장치에 맞는 블럭 아웃 공사시 블럭 아웃 하단의 콘크리트 두께가 얇아져 붕괴, 누수의 위험 등이 발생하는 문제점을 노출하게 된다.
다시 말해 교량의 슬래브 상판 단부 콘크리트에 신축이음장치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최소 블럭 아웃 깊이가 정해져 있는데, 이는 신축이음장치를 설치하기 위한 최소 공간으로써 반드시 지켜져야 한다.
그러나, 교량의 설계시 혹은 교량 보수시 부득이하게 교량 단부의 슬래브 두께가 얇아 적용하고자 하는 신축이음장치의 최소 블럭 아웃을 고려할 경우, 블럭 아웃 하단의 두께가 얇게 되는 상황이 발생한다.
이는 추후에 누수와 콘크리트 박리, 혹은 단부 슬래브 강성저하에 크나큰 손상을 초래하는 경우가 발생하며, 이는 추가적으로 누수의 원인으로 진행하여 하단의 교량받침과 콘크리트의 부식 등을 초래한다.
이를 두 가지로 구분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신설 교량의 경우, 설계시 반드시 신축이음장치의 최소 블럭 아웃 깊이를 고려하여 슬래브의 두께를 적용하여 설계하는데, 이로 인하여 단부의 슬래브 두께가 두꺼워지는 경향이 있으며, 이는 교량의 하중증가에 따른 경제성 저하를 초래하게 된다.
둘째 보수 교량의 경우에는 다양한 경우의 수가 발생하는데, 그 일례로 신축이음장치 설치 단부 슬래브의 두께를 알 수 없는 경우인데 이 경우 신축이음장치 보수시 최소 블럭 아웃 확보를 위한 작업시 슬래브 붕괴 등의 위험을 초래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고, 다른 예로 보수 교량의 슬래브 두께가 얇은 경우 최소 블럭 아웃 적용시 블럭 아웃 하단의 슬래브 두께가 얇아져 붕괴 혹은 차후의 누수 및 박리 등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0870085호(2008년 11월 17일)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411895호(2014년 06월 19일)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0427908호(2004년 04월 08일)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0645918호(2006년 11월 07일)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교량의 상판 접촉부 사이에 설치되는 신축이음장치 하단부에 종단면이 "┏┓"을 갖고 일측면과 저면에는 몰탈 또는 콘크리트와의 접촉성 증대를 위한 다수의 스터드가 정해진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상면에서 길이 방향으로는 앵커 고정용 사각 바와 블럭 아웃 공간부의 강도 강화 및 콘트리트와의 접촉성 증대를 위한 철근들이 가로 세로방향으로 용접 설치된 구성의 지지판을 고정 설치하여 신축이음장치를 상기 지지판의 사각 바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신축이음장치의 설치 및 보수가 용이하도록 교량 상판의 단부(즉, 상판 접촉부) 상면에 형성시키는 블럭 아웃(Block Out)의 깊이는 최소한으로 낮출 수 있으면서도 슬래브의 두께는 최대한 확보할 수 있음은 물론 신축이음장치가 설치되는 상단 단부 부분의 강성은 크게 증가시킬 수 있고, 특히 누수 및 붕괴의 위험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블럭 아웃 깊이 낮춤 가능형 교량용 신축이음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교량의 상판들 접촉부 사이에 한 쌍의 핑거형 플레이트 또는 서로 대향되는 수직면의 상방부에서 가로방향으로 종단면이 "U"자 형상을 갖는 배수 유도판의 걸림돌기가 끼워져 걸려지는 배수 유도판 걸림홈이 형성된 한 쌍의 레일형 플레이트를 착탈 가능하게 설치한 구성을 갖는 신축이음장치에 있어서, 종단면이 "┏┓"을 갖고 일측면과 저면에는 몰탈 또는 콘크리트와의 접촉성 증대를 위한 다수의 스터드가 정해진 간격을 두고 설치된 형태를 갖고 교량의 상판 접촉부 단부에서 서로 대칭된 형태에서 정해진 깊이로 매설되는 한 쌍의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의 상면 중 블럭 아웃이 위치되는 후방부 상면에 각각 가로 및 세로방향으로 교차되게 배치된 형태에서 용접을 통해 상호 일체로 고정 설치되어 블럭 아웃 공간부 내로 타설되는 몰탈 또는 콘크리트와의 접촉성 증대와 강도를 강화시켜 주는 복수의 철근과; 상기 지지판의 상면 중 전방부 상면에 각각 용접을 통해 고정 설치되어 핑거형 또는 레일형 플레이트 및 플레이트 받침부재를 받쳐 지지해 주는 기능과 앵커 볼트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사각 바와; 종단면이 "┓" 또는 "┏"을 갖고 수직판이 상호 대향되는 형태로 상기 사각 바 상면에 올려져 상기 핑거형 또는 레일형 플레이트와 함께 앵커 볼트들을 통해 사각 바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 설치되는 한 쌍의 플레이트 받침부재와; 상기 플레이트 받침부재들의 상면에서 서로 대응되는 방향으로 위치된 후 앵커 볼트들을 통해 상기 사각 바 상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 설치되는 한 쌍의 핑거형 또는 레일형 플레이트;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지지판들의 외측 수직판과 상기 플레이트 받침부재들의 수직판은 서로 근접된 교량 상판들의 접촉부 수직면과 일치되게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플레이트 받침부재들의 수직판 내면과 이에 대향하는 상기 사각 바의 외측면 사이에는 몰탈 또는 콘크리트가 타설되지 않는 공간부가 형성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핑거형 플레이트들의 저부에서 일정거리를 두고 서로 대향된 형태로 설치되는 상기 플레이트 받침부재들의 수직판 외면 사이에는 누수방지용 패드를 삽입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핑거형 플레이트들의 저부에서 일정거리를 두고 서로 대향된 형태로 설치되는 상기 플레이트 받침부재들의 수직판 사이에는 종단면이 "U"자 형상을 갖게 성형한 배수 유도판을 착탈 가능하게 설치하되, 상기 배수 유도판의 양측 상단부에 돌출 형성한 걸림돌기가 상기 플레이트 받침부재들의 수직판 외측 상부에서 가로방향으로 성형한 배수 유도판 걸림홈에 착탈 가능하게 끼워져 고정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블럭 아웃 깊이 낮춤 가능형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에 의하면, 교량의 상판 접촉부 사이에 설치되는 신축이음장치 하단부에 종단면이 "┏┓"을 갖고 일측면과 저면에는 몰탈 또는 콘크리트와의 접촉성 증대를 위한 다수의 스터드가 정해진 간격을 두고 설치된 지지판들을 설치하되, 상기 지지판의 상면에서 길이 방향으로는 앵커 고정용 사각 바와 블럭 아웃 공간부의 강도 강화 및 콘트리트와의 접촉성 증대를 위한 철근들이 가로 세로방향으로 용접을 통해 고정 설치하여 신축이음장치를 상기 지지판의 사각 바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신축이음장치의 설치 및 보수가 용이하도록 교량 상판의 단부(즉, 상판 접촉부) 상면에 형성시키는 블럭 아웃(Block Out)의 깊이는 최소한으로 낮출 수 있으면서도 슬래브의 두께는 최대한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신축이음장치가 설치되는 상단 단부 부분의 강성은 크게 증가시킬 수 있고, 특히 누수 및 붕괴의 위험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어 교량의 신축이음장치 자체의 기능에 따른 신뢰도와 상품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등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신축이음장치가 설치된 교량의 일부 절취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신축이음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가 적용(핑거형 플레이트 적용)된 교량의 일부 절취 측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 중 플레이트 받침부재들 사이에 배수 유도판을 설치한 교량의 일부 절취 측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이 적용된 신축이음장치 중 핑거형 플레이트의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가 적용(레일형 플레이트 적용)된 교량의 일부 절취 측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신축이음장치가 설치된 교량의 일부 절취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신축이음장치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가 적용(핑거형 플레이트 적용)된 교량의 일부 절취 측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 중 플레이트 받침부재들 사이에 배수 유도판을 설치한 교량의 일부 절취 측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이 적용된 신축이음장치 중 핑거형 플레이트의 평면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가 적용(레일형 플레이트 적용)된 교량의 일부 절취 측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따르면 본 발명 장치는,
교량의 상판(1)들 접촉부 사이에 한 쌍의 핑거형 플레이트(2a) 또는 서로 대향되는 수직면의 상방부에서 가로방향으로 종단면이 "U"자 형상을 갖는 배수 유도판(9)의 걸림돌기(91)가 끼워져 걸려지는 배수 유도판 걸림홈(24)이 형성된 한 쌍의 레일형 플레이트(2b)를 착탈 가능하게 설치한 구성을 갖는 신축이음장치에 있어서,
종단면이 "┏┓"을 갖고 일측면과 저면에는 몰탈 또는 콘크리트와의 접촉성 증대를 위한 다수의 스터드(32)가 정해진 간격을 두고 설치된 형태를 갖고 교량의 상판(1) 접촉부 단부에서 서로 대칭된 형태에서 정해진 깊이로 매설되는 한 쌍의 지지판(3)과;
상기 지지판(3)의 상면 중 블럭 아웃(11)이 위치되는 후방부 상면에 각각 가로 및 세로방향으로 교차되게 배치된 형태에서 용접을 통해 상호 일체로 고정 설치되어 블럭 아웃 공간부 내로 타설되는 몰탈 또는 콘크리트와의 접촉성 증대와 강도를 강화시켜 주는 복수의 철근(4)과;
상기 지지판(3)의 상면 중 전방부 상면에 각각 용접을 통해 고정 설치되어 핑거형 또는 레일형 플레이트(2a)(2b)와 플레이트 받침부재(6)를 받쳐 지지해 주는 기능과 앵커 볼트(7)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사각 바(5)와;
종단면이 "┓" 또는 "┏"을 갖고 수직판(61)이 상호 대향되는 형태로 상기 사각 바(5) 상면에 올려져 상기 핑거형 또는 레일형 플레이트(2a)(2b)와 함께 앵커 볼트(7)들을 통해 사각 바(5)에 각각 착탈 가능하게 고정 설치되는 한 쌍의 플레이트 받침부재(6)와;
상기 플레이트 받침부재(6)들의 상면에서 서로 대응되는 방향으로 위치된 후 앵커 볼트(7)들을 통해 상기 사각 바(5) 상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 설치되는 한 쌍의 핑거형 또는 레일형 플레이트(2a)(2b);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지지판(3)들의 외측 수직판(31)과 상기 플레이트 받침부재(6)들의 수직판(61)은 서로 근접된 교량 상판(1)들의 접촉부 수직면과 일치되게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플레이트 받침부재(6)들의 수직판(61) 내면과 이에 대향하는 상기 사각 바(5)의 외측면 사이에는 몰탈 또는 콘크리트가 타설되지 않는 공간부(10)가 형성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핑거형 플레이트(2a)들의 저부에서 일정거리를 두고 서로 대향된 형태로 설치되는 상기 플레이트 받침부재(6)들의 수직판(61) 외면 사이에는 누수방지용 패드(8)를 삽입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핑거형 플레이트(2a)들의 저부에서 일정거리를 두고 서로 대향된 형태로 설치되는 상기 플레이트 받침부재(6)들의 수직판(61) 사이에는 종단면이 "U"자 형상을 갖게 성형한 배수 유도판(9)을 착탈 가능하게 설치하되, 상기 배수 유도판(9)의 양측 상단부에 돌출 형성한 걸림돌기(91)가 상기 플레이트 받침부재(6)들의 수직판(61) 외측 상부에서 가로방향으로 성형한 배수 유도판 걸림홈(62)에 착탈 가능하게 끼워져 고정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블럭 아웃 깊이 낮춤 가능형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에 대한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블럭 아웃 깊이 낮춤 가능형 교량용 신축이음장치는 도 1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교량의 상판(1)들 접촉부 사이에 설치되는 신축이음장치를 한 쌍의 지지판(3)과, 상기 지지판(3)의 상면에 설치되는 복수의 철근(4) 및 사각 바(5)들을 포함하여 한 쌍의 플레이트 받침부재(6) 및 핑거형 또는 레일형 플레이트(2a)(2b)로 형성하여 블럭 아웃(Block Out)의 깊이는 최소한으로 낮출 수 있으면서도 슬래브의 두께는 최대한 확보할 수 있도록 한 것을 주요기술 구성요소로 한다.
이때, 상기 한 쌍의 지지판(3)은 소정높이와 가로방향 길이 및 폭을 갖는 "ㄷ지 형강과 같이 종단면이 대략 "┏┓"을 갖는 것으로, 일측면 수직판(31)과 저면(즉, 천정면)에는 몰탈 또는 콘크리트와의 접촉성 증대를 위한 다수의 스터드(32)를 정해진 간격을 두고 용접을 통해 고정 설치한 형태를 갖는다.
이와 같은 지지판(3)들은 교량의 상판(1) 제작시 상호 접촉되는 부분의 단부에서 서로 대칭된 형태를 갖도록 하여 블럭 아웃(11) 부분에 정해진 깊이로 매립 설치되어 신축이음장치가 설치되는 교량 상판(1)의 양단부에 대한 강성을 증대시켜 줌은 물론 신축이음장치의 견고하게 받쳐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 상기 복수의 철근(4)은 "┏┓"으로 절곡 성형한 복수의 수직 철근(41)을 상기 지지판(3)의 상면 중 블럭 아웃(11)이 위치되는 후방부 상면에 정해진 간격을 두고 수직방향으로 용접 설치하고, 상기 복수의 수평 철근(42)은 상기 수직 철근(41)의 내측에서 길이방향으로 위치시킨 다음 용접을 통해 상호 일체로 고정시켜 수직 철근(41)들과 수평 철근(42)들이 가로 및 세로방향으로 교차되게 결합된 형태를 갖는다.
이와 같은 복수의 철근(4)은 블럭 아웃 공간부 내로 타설되는 몰탈 또는 콘크리트와의 접촉성을 증대시켜 줌과 동시에 그 강도를 강화시켜 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사각 바(5)는 상면에 정해진 간격을 두고 복수의 앵커 볼트 결합공(53)이 형성된 형태를 갖고 상기 지지판(3)의 상면 중 전방부 상면에 각각 용접을 통해 고정 설치된 상태에서, 후술하는 핑거형 또는 레일형 플레이트(2a)(2b) 및 플레이트 받침부재(6)들이 일정 높이를 유지하도록 받쳐 지지해 주는 기능을 수행함은 물론 핑거형 또는 레일형 플레이트(2a)(2b)와 플레이트 받침부재(6)들을 고정시켜 주는 앵커 볼트(7)들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상면에 복수의 철근(4)과 사각 바(5)이 일체로 용접을 통해 설치된 상기 지지판(3)은 신설교량의 경우 상판(1) 제작시 미리 삽입 설치하여 줄 수 있어 블럭 아웃 깊이를 최소 블럭 아웃 깊이로 줄일 수 있고, 또 보수교량의 경우는 신축이음장치가 설치될 하단부에 본 발명이 적용된 지지판(3)을 삽입 설치한 다음 그 위에 신축이음장치를 고정함으로써 블럭 아웃의 깊이를 명확하게 줄일 수 있다.
이때, 상기 교량의 상판(1) 단부 콘크리트 크랙으로 인한 누수문제는 강판으로 된 지지판(3)의 연속성으로 인하여 이를 해결할 수 있다.
또, 상기 한 쌍의 플레이트 받침부재(6)는 종단면이 "┓" 또는 "┏" 형상을 갖는 긴 철판 절곡 성형한 형태를 갖는 것으로, 수평 면상에는 정해진 간격을 두고 복수의 앵커 볼트 통과공(63)이 천공된 형태를 갖는다.
이와 같은 플레이트 받침부재(6)들은 수직판(61)이 서로 인접한 상판(1)들의 접촉부를 향해 상호 대향되게 한 상태에서 상기 사각 바(5) 상면에 올려진 후 상기 핑거형 또는 레일형 플레이트(2a)(2b)와 함께 앵커 볼트(7)들을 통해 사각 바(5)에 각각 착탈 가능하게 고정 설치되어 상기 사각 바(5)의 상면에서 핑거형 또는 레일형 플레이트(2a)(2b)를 안정적으로 받쳐줌은 물론 서로 인접한 상판(1)들의 접촉부 수직면 일부를 가려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지지판(3) 및 플레이트 받침부재(6)들을 교량의 상판(1) 단부에 설치함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3)들의 외측 수직판(31)과 상기 플레이트 받침부재(6)들의 수직판(61)은 서로 근접된 교량 상판(1)들의 접촉부 수직면과 일치되게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플레이트 받침부재(6)들을 핑거형 또는 레일형 플레이트(2a)(2b)와 함께 상기 지지판(3)의 상면에 고정 설치된 사각 바(5)의 상부에 올려놓고 앵커 볼트(7)들을 통해 고정 설치하였을 때, 상기 플레이트 받침부재(6)들의 수직판(61) 내면과 이에 대향하는 상기 사각 바(5)의 외측면 및 지지판(3)의 상면 일부 사이에 몰탈 또는 콘크리트가 타설되지 않는 공간부(10)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플레이트 받침부재(6)들의 수직판(61) 내면과 사각 바(5)의 외측면 및 지지판(3)의 상면 일부 사이에 비록 속이 빈 공간부(10)가 형성된다 하더라도 종단면이 "┓" 또는 "┏" 형상을 갖는 상기 플레이트 받침부재(6)의 강성에 의해 핑거형 또는 레일형 플레이트(2a)(2b)들의 처짐 등을 완벽히 방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신축이음장치의 보수 등을 위해 상기 핑거형 또는 레일형 플레이트(2a)(2b)와 플레이트 받침부재(6)들을 지지판(3)의 사각 바(5)로부터 분리시킬 때, 공간부(10) 상에 몰탈 또는 콘크리트가 전혀 타설되어 있지 않은 상태이므로 원활히 분리할 수 있음은 물론 추후 새로운 핑거형 또는 레일형 플레이트(2a)(2b)와 플레이트 받침부재(6) 등을 원활히 설치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한 쌍의 핑거형 또는 레일형 플레이트(2a)(2b) 중 서로 대향되는 면에 골부와 정부가 반복적인 파형상으로 성형된 핑거형 플레이트(2a)들은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앵커 볼트 통과공(23)이 정해진 간격을 두고 천공된 공지의 것으로, 상기 플레이트 받침부재(6)들의 상면에서 서로 대응되는 방향으로 위치된 후 앵커 볼트(7)들을 통해 상기 사각 바(5) 상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 설치된다.
또, 상기 한 쌍의 핑거형 또는 레일형 플레이트(2a)(2b) 중 레일형 플레이트(2b)들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단면이 대략 "┛" 또는 "┗" 형상을 갖고 서로 대향되는 수직면의 상방부에서 가로방향으로 종단면이 "U"자 형상을 갖는 배수 유도판(9)의 걸림돌기(91)가 끼워져 걸려지는 배수 유도판 걸림홈(24)이 형성되고, 또한 수평판 상에는 복수의 앵커 볼트 통과공(23)이 정해진 간격을 두고 천공된 공지의 것으로, 상기 플레이트 받침부재(6)들의 상면에서 서로 대응되는 방향으로 위치된 후 앵커 볼트(7)들을 통해 상기 사각 바(5) 상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 설치됨은 물론 서로 대향되는 수직면 사이에는 종단면이 "U"자 형상을 갖는 배수 유도판(9)이 착탈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와 같이 공지된 상기 핑거형 또는 레일형 플레이트(2a)(2b)들은 교량 상판(1) 자체의 단부를 보호하고, 교량을 통과하는 차량이 원활하게 주행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함은 물론 온도변화에 따른 교량 상판의 길이 변화(즉, 상판들의 틈새 간격 변화)에 대응하여 신축성 있게 유동되며 상판들의 접촉부에서 큰 틈새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상기한 핑거형 또는 레일형 플레이트(2a)(2b)들 중 핑거형 플레이트(2a)들을 본 발명이 적용된 교량의 신축이음장치에 적용할 경우에는, 상기 핑거형 플레이트(2a)들의 저부에서 일정거리를 두고 서로 대향되게 설치된 상기 플레이트 받침부재(6)들의 수직판(61) 외면 사이에 도 1 내지 3과 같이 교량 상판(1)들 사이의 접촉부 틈새를 통한 누수 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탄성력과 누수방지 기능이 매우 양호한 고무 등으로 성형한 대략 사각 봉 형상의 누수방지용 패드(8)를 삽입 설치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누수방지용 패드(8) 대신 도 4와 같이 상기 핑거형 플레이트(2a)들의 저부에서 일정거리를 두고 서로 대향되게 설치된 상기 플레이트 받침부재(6)들의 수직판(61) 사이에 종단면이 "U"자 형상을 갖게 성형한 배수 유도판(9)을 착탈 가능하게 설치하여 교량 상판(1)들 사이의 접촉부 틈새를 통한 유입되는 우수 등을 상판들의 양측면부로 유도해서 배출할 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배수 유도판(9)의 양측 상단부에는 걸림돌기(91)를 일체로 돌출 성형하고, 상기 플레이트 받침부재(6)들의 수직판(61) 외측 상부에서 가로방향으로는 배수 유도판 걸림홈(62)를 더 성형하여 상기 배수 유도판(9)의 걸림돌기(91)들이 상기 플레이트 받침부재(6)들의 배수 유도판 걸림홈(62)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하면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교량의 상판(1) 접촉부 사이에 설치되는 신축이음장치 하단부에 종단면이 "┏┓"을 갖는 지지판(3)들을 설치하되, 상기 지지판(3)의 상면에는 앵커 고정용 사각 바(5)와 블럭 아웃 공간부의 강도 강화 및 콘트리트와의 접촉성 증대를 위한 복수의 철근(4)들을 고정 설치하여 신축이음장치를 상기 지지판(3)의 사각 바(5)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교량 상판의 단부의 강성을 크게 증대시킬 수 있어 신축이음장치의 설치 및 보수가 용이하도록 교량 상판의 단부(즉, 상판 접촉부) 상면에 형성시키는 블럭 아웃(Block Out)의 깊이는 최소한으로 낮출 수 있으면서도 슬래브의 두께는 최대한 확보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신축이음장치가 설치되는 상단 단부 부분의 강성은 크게 증가시킬 수 있고, 특히 누수 및 붕괴의 위험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어 교량의 신축이음장치 자체의 기능에 따른 신뢰도와 상품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상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한 실시 예 및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내용만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
1 : 상판 11 : 블럭 아웃
2a : 핑거형 플레이트 2b : 레일형 플레이트
23 : 앵커 볼트 통과공 24 : 배수 유도판 걸림홈
3 : 지지판
31 : 수직판 32 : 스터드
4 : 철근
41 : 수직 철근 42 : 수평 철근
5 : 사각 바 53 : 앵커 볼트 결합공
6 : 플레이트 받침부재 61 : 수직판
62 : 배수 유도판 걸림홈 63 : 앵커 볼트 통과공
7 : 앵커 볼트
8 : 누수방지용 패드
9 : 배수 유도판 91 : 걸림돌기
10 : 공간부

Claims (5)

  1. 교량의 상판들 접촉부 사이에 한 쌍의 핑거형 플레이트 또는 레일형 플레이트를 착탈 가능하게 설치한 구성을 갖는 신축이음장치에 있어서,
    종단면이 "┏┓"을 갖고 일측면과 저면에는 몰탈 또는 콘크리트와의 접촉성 증대를 위한 다수의 스터드가 정해진 간격을 두고 설치된 형태를 갖고 교량의 상판 접촉부 단부에서 서로 대칭된 형태에서 정해진 깊이로 매설되는 한 쌍의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의 상면 중 블럭 아웃이 위치되는 후방부 상면에 각각 가로 및 세로방향으로 교차되게 배치된 형태에서 용접을 통해 상호 일체로 고정 설치되어 블럭 아웃 공간부 내로 타설되는 몰탈 또는 콘크리트와의 접촉성 증대와 강도를 강화시켜 주는 복수의 철근과;
    상기 지지판의 상면 중 전방부 상면에 각각 용접을 통해 고정 설치되어 핑거형 또는 레일형 플레이트 및 플레이트 받침부재를 받쳐 지지해 주는 기능과 앵커 볼트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는 사각 바와;
    종단면이 "┓" 또는 "┏"을 갖고 수직판이 상호 대향되는 형태로 상기 사각 바 상면에 올려져 상기 핑거형 또는 레일형 플레이트와 함께 앵커 볼트들을 통해 사각 바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 설치되는 한 쌍의 플레이트 받침부재와;
    상기 플레이트 받침부재들의 상면에서 서로 대응되는 방향으로 위치된 후 앵커 볼트들을 통해 상기 사각 바 상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 설치되는 한 쌍의 핑거형 또는 레일형 플레이트;로 구성하되,
    상기 지지판들의 외측 수직판과 상기 플레이트 받침부재들의 수직판은 서로 근접된 교량 상판들의 접촉부 수직면과 일치되게 설치하고.
    상기 플레이트 받침부재들의 수직판 내면과 이에 대향하는 상기 사각 바의 외측면 사이에는 몰탈 또는 콘크리트가 타설되지 않는 속이 빈 공간부가 형성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럭 아웃 깊이 낮춤 가능형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50098546A 2015-07-10 2015-07-10 블럭 아웃 깊이 낮춤 가능형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KR1016079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8546A KR101607996B1 (ko) 2015-07-10 2015-07-10 블럭 아웃 깊이 낮춤 가능형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8546A KR101607996B1 (ko) 2015-07-10 2015-07-10 블럭 아웃 깊이 낮춤 가능형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07996B1 true KR101607996B1 (ko) 2016-03-31

Family

ID=556523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8546A KR101607996B1 (ko) 2015-07-10 2015-07-10 블럭 아웃 깊이 낮춤 가능형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7996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95184A (zh) * 2017-10-20 2019-04-30 马鞍山市中水路桥机械制造有限责任公司 一种可调节式指形板及其组件
CN110181211A (zh) * 2019-04-16 2019-08-30 厦门新长诚钢构工程有限公司 一种搭接式箱型梁
KR20200134406A (ko) * 2019-05-22 2020-12-02 주식회사 리얼테크 신축이음장치
KR102220374B1 (ko) 2020-08-11 2021-02-25 매크로드 주식회사 유간협착시 노면돌출방지 및 자동으로 유간이 보정되는 신축이음장치
CN113106844A (zh) * 2021-04-14 2021-07-13 河北中通铁路配件有限公司 一种可调节限位间隙的防松型防落梁挡块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31105U (ja) 1996-05-13 1996-11-22 日本鉄塔工業株式会社 橋梁における櫛形伸縮継ぎ手構造
KR100427908B1 (ko) * 2002-03-26 2004-04-28 매크로드주식회사 콘크리트 비 해체 조립형 신축이음 보수공법
KR200416825Y1 (ko) * 2006-03-03 2006-05-23 대창이엔지 주식회사 교량 상판의 신축이음구
KR101028507B1 (ko) * 2008-06-12 2011-04-11 (주)엠피기술산업 마감콘크리트가 필요 없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및 그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31105U (ja) 1996-05-13 1996-11-22 日本鉄塔工業株式会社 橋梁における櫛形伸縮継ぎ手構造
KR100427908B1 (ko) * 2002-03-26 2004-04-28 매크로드주식회사 콘크리트 비 해체 조립형 신축이음 보수공법
KR200416825Y1 (ko) * 2006-03-03 2006-05-23 대창이엔지 주식회사 교량 상판의 신축이음구
KR101028507B1 (ko) * 2008-06-12 2011-04-11 (주)엠피기술산업 마감콘크리트가 필요 없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및 그시공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695184A (zh) * 2017-10-20 2019-04-30 马鞍山市中水路桥机械制造有限责任公司 一种可调节式指形板及其组件
CN110181211A (zh) * 2019-04-16 2019-08-30 厦门新长诚钢构工程有限公司 一种搭接式箱型梁
KR20200134406A (ko) * 2019-05-22 2020-12-02 주식회사 리얼테크 신축이음장치
KR102209681B1 (ko) * 2019-05-22 2021-01-29 주식회사 리얼테크 신축이음장치
KR102220374B1 (ko) 2020-08-11 2021-02-25 매크로드 주식회사 유간협착시 노면돌출방지 및 자동으로 유간이 보정되는 신축이음장치
CN113106844A (zh) * 2021-04-14 2021-07-13 河北中通铁路配件有限公司 一种可调节限位间隙的防松型防落梁挡块
CN113106844B (zh) * 2021-04-14 2022-08-02 河北中通铁路配件有限公司 一种可调节限位间隙的防松型防落梁挡块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7996B1 (ko) 블럭 아웃 깊이 낮춤 가능형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KR100558373B1 (ko) 교량의 신축이음 장치
KR100743043B1 (ko) 신축이음장치의 고무방수부재
KR101062223B1 (ko) 누수방지 기능이 향상된 교량 신축이음장치
KR100736858B1 (ko) 배수관을 갖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및 그의 시공 방법
KR101389996B1 (ko) 교량의 방수형 신축이음 장치
KR101020414B1 (ko) 교량용 신축이음구조
KR100593462B1 (ko) 조립식 건축용 지붕체의 연결부재
KR100303287B1 (ko) 무교좌및무신축이음형교대구조
KR102202618B1 (ko) 단부확장 돌출플랜지와 받침 콘크리트 블럭을 갖는 강거더 및 이를 이용한 무조인트교량 시공방법
KR101365436B1 (ko) 교량용 신축 이음 장치
KR100602217B1 (ko)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KR100599207B1 (ko) 거더의 재질 및 지간의 길이가 서로 다른 신구 교량이서로 접속 연결되는 부분에 설치되어 서로 다른 신축량을흡수할 수 있도록 하는 연결이음장치 및 이의 설치방법
KR100622008B1 (ko) 일체식 교대 교량의 합성구조
KR200409831Y1 (ko) 조립식 건축용 지붕체의 연결부재
JP2019199731A (ja) 道路橋伸縮装置用止水装置
KR101153717B1 (ko) 다웰바를 구비하고 배수홈을 갖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받침슬래브를 이용한 콘크리트 슬래브의 이음구조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슬래브 이음시공방법
KR101195307B1 (ko) 교량 신축이음장치, 교량 신축이음부용 보강장치 및 이를 구비한 교량 신축이음부
KR100957039B1 (ko) 교량용 방수 내진 신축이음장치
KR200398418Y1 (ko) 배수관을 갖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JP6579931B2 (ja) 橋梁における床版連結構造
KR102305121B1 (ko) 가황식 배수시트 및 방수도포재를 이용한 유지보수가 용이한 누수방지 신축이음장치
KR101004739B1 (ko) 신축이음장치
KR101376517B1 (ko) 교량용 방호벽 일체형 바닥판 및 교량용 바닥판 구조체
KR101914243B1 (ko) 신축이음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