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99207B1 - 거더의 재질 및 지간의 길이가 서로 다른 신구 교량이서로 접속 연결되는 부분에 설치되어 서로 다른 신축량을흡수할 수 있도록 하는 연결이음장치 및 이의 설치방법 - Google Patents

거더의 재질 및 지간의 길이가 서로 다른 신구 교량이서로 접속 연결되는 부분에 설치되어 서로 다른 신축량을흡수할 수 있도록 하는 연결이음장치 및 이의 설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99207B1
KR100599207B1 KR1020030050864A KR20030050864A KR100599207B1 KR 100599207 B1 KR100599207 B1 KR 100599207B1 KR 1020030050864 A KR1020030050864 A KR 1020030050864A KR 20030050864 A KR20030050864 A KR 20030050864A KR 100599207 B1 KR100599207 B1 KR 1005992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bridge
new
old
bridg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508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11830A (ko
Inventor
정기영
Original Assignee
(주)평화엔지니어링
정기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평화엔지니어링, 정기영 filed Critical (주)평화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0300508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99207B1/ko
Publication of KR200500118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118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92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92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6Arrangement, construction or bridging of expansion join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2/00Methods or apparatus for repairing or strengthening existing bridges ; Methods or apparatus for dismantling b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처짐 및 신축이 서로 다른 교량을 측면으로 나란히 접하게 하거나, 교량을 이루고 있는 거더의 재질이 서로 다른 교량 또는 신구 교량 간에 고정지점과 활동지점 및 지간길이가 서로 다른 교량이 서로 연결접속되어 차량의 통행이 이루어질 때 연결접속부에는 재질이 서로 다르거나 지간길이 및 지지점의 종류가 서로 다르게 설치되므로서 서로 다른 종방향 신축량과 상하 변위량에 차이가 있어 연결접속부에 설치된 연결장치가 탈락을 이루거나 돌출되는 등으로 인하여 차량이 연결접속부를 통과시 승차감이 저하되거나 차량의 윤하중의 충격하중으로 인하여 연결부의 파손이 되어 교량의 내구연한에 치명적인 영향을 주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접속 연결부에 단위 연결판넬을 다수개 설치한 연결이음장치를 설치하여 종방향 및 수직방향의 변위를 흡수하여 교량의 접속연결부의 연결이음상태를 양호하게 하여 접속연결부의 통과차량의 승차감을 향상시키면서 교량에서 발생되는 각종 변위에도 적절히 대응하여 교량의 내구연한을 연장시켜줄 수 있는 연결이음장치의 설치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거더의 재질 및 지간의 길이가 서로 다른 신구 교량이 서로 접속 연결되는 부분에 설치되어 서로 다른 신축량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하는 연결이음장치 및 이의 설치방법{Joint connecting apparatus for absorbing different expansion and contraction each other with installed at the connecting point between new bridge and old bridg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도 1(a)(b)는 본 발명의 연결이음장치가 설치되는 접속연결부의 한 예를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연결이음장치가 신구 교량의 접속연결부에 설치된 것을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도 2에서 교량의 접속연결부에 설치된 연결이음장치의 A-A단면을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도 2에서 교량의 접속 연결부에 설치된 연결이음장치의 B-B단면을 보여주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탄성패드를 상세히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고정 볼트를 보여주는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구 교량 11; 거더
12; 교각 13; 포장면
20; 신설 교량
30; 접속연결부
40; 연결이음장치
50; 단위 연결판넬 51; 수직판
52; 상부 지지플랜지 53; 고무시트
54; 하부 지지플랜지 55; 걸고리
56; 장공 57; 홈
60; 탄성패드 61; 탄성체
62; 철판 또는 와이어 63; 베이스 플레이트
64; 연결판 65; 볼트이음
70; 고정볼트 71; 너트
72; 볼트 73; 스토퍼
본 발명은 신구 교량의 서로 다른 신축량에 의하여 발생되는 교량과 교량이 서로 연결되는 접속 연결부에 연결이음장치를 설치하여 종방향 및 수직방향의 변위를 흡수하여 교량의 접속연결부의 연결이음상태를 양호하게 하여 접속연결부의 통과차량의 승차감을 향상시키면서 교량에서 발생되는 각종 변위에도 적절히 대응하여 교량의 내구연한을 연장시켜줄 수 있는 연결이음장치의 설치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연결이음장치는 강판으로 제작된 단위 연결판넬의 길이방향의 양측면에 돌출된 상부 지지플랜지를 형성하고 일정 높이의 수직판을 폭방향의 양측면 상부에 설치하면서, 상기 단위 연결패널의 네방향의 측면에 고무시트(53)를 부착 설치하고, 상기 단위 연결판넬의 네모서리 부분의 상부 플랜지 하부면에 일정 크기의 탄성패드를 부착 설치하면서 폭방향에 복수개의 홈을 양측단부에 설치하고, 홈내에 걸고리를 설치한 후에 일측의 길이방향으로 장공을 복수개 형성하되 장공의 홈은 폭방향으로 형성되도록 제작하고,
상기 단위 연결판넬을 신구 교량의 접속 연결부를 따라 종방향으로 설치시 상기 상부 지지플랜지가 양측에 설치된 거더의 일측에 얹혀져 설치되기 위하여 거더의 일측에 거더의 하부가 돌출되게 하부 지지플랜지를 형성하여 상기 단위 연결판넬을 상기 하부 지지플랜지상에 안착설치하여 연결이음장치를 설치한 후에 인접한 신구교량의 포장면의 높이에 맞게 형성설치된 상기 수직판내에 아스콘을 타설하여 포장면을 설치하여 신구 교량의 포장면과 유연하게 연결되도록 설치하는 연결이음장치의 설치방법이다. 이러한 설치방법의 개념은 교량 거더사이에 상기 연결이음장치를 설치하여 결과적으로 작은 교량을 신구 교량의 접속 연결부의 거더사이에 더 설치되게 하는 것으로서, 이때 발생하는 상대적인 수직 처짐이나 교량 종방향 신축 이동을 상기 단위 연결판넬에 부착된 탄성패드의 탄성변형으로 흡수시켜 신축작용이나 상하변형에 대응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기존 익스펜숀 조인트를 사용할 수 없는 신구 교량의 상대 처짐이 큰 경우에도 본 발명의 연결이음장치는 사용할 수 있다.
왜냐하면, 신설 교량에만 고정볼트로 설치된 단위 연결판넬에 의하여 신구 교량간의 처짐이 서로 상이하여 단차가 발생하더라도 상기 연결판넬의 일측에만 설치된 장공에 고정볼트를 이용하여 신설교량의 거더에 고정하면 구교량에서 발생되는 신축량에 신축적으로 대응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신구 교량을 서로 연결접속하여 차량이 통행할 때 연결접속부에서 발생되는 신축량을 연결접속부에 설치된 연결이음장치가 흡수하여 차량의 승차감을 향상시키면서 접속 연결부를 주행하는 차량의 충격하중으로 인하여 연결부가 파괴되는 것을 방지하여 교량의 내구연한을 연장시켜주면서 교량의 유지보수관리에 소요되는 인건비 및 관리비를 절감하기 위함이다.
종래에는 신구 교량의 서로 다른 신축량에 의하여 발생되는 교량과 교량이 서로 연결되는 접속 연결부에 철판을 설치하거나 신구 교량이 서로 만나는 부분에 탄성패드를 삽입한 신축이음장치를 설치하여 왔으나 신축량이 서로 다르므로 연결부에 설치된 철판이 이탈되거나 돌출되어 연결부를 통과하는 차량의 승차감을 훼손시키며 통과 차량의 충격하중에 의하여 연결부가 손상을 받게되어 교량이 파손되어 빈번하게 보수작업을 빈번하게 실시하게되거나 또는 연결부의 사이가 벌어져 차량 의 운행이 매우 위험한 상황을 초래하게되는 문제점이 싱존하여 왔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제안된 것으로서, 신구 교량이 서로 연결되어 발생되는 접속 연결부에 종방향 및 상하 방향에서 발생되는 변위를 흡수할 수 있는 단위 연결판넬로 이루어진 연결이음장치를 설치하여 교량의 접속 연결부를 보호하면서 교량에서 발생되는 변위를 흡수하여 교량에 변위로 인한 응력의 발생을 방지함과 동시에 운행하는 차량의 승차감을 향상시켜주고 차량의 충격하중으로부터 교량의 접속 연결부를 보호하여 교량이 파괴되는 것을 방지하여 교량의 내구연한을 연장시켜 주어 교량의 유지보수관리에 소요되는 인건비 및 관리비를 절감시켜 줄 수 있는 연결이음장치의 설치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강판으로 제작된 단위 연결판넬(50)의 길이방향의 양측면에 돌출된 상부 지지플랜지(52)를 형성하고 일정 높이의 수직판(51)을 폭방향의 양측면 상부에 설치하면서, 상기 단위 연결패널의 네방향의 측면에 고무시트(53)를 부착 설치하고, 상기 단위 연결판넬의 네모서리 부분의 상부 지지플랜지(52) 하부면에 일정 크기의 탄성패드(60)를 부착 설치하면서 폭방향에 복수개의 홈(57)을 양측부에 설치하고 홈(57)내에 걸고리(55)를 설치한 후에 일측의 길이방향으로 장공을 복수개 형성하되 장공(56)의 홈은 폭방향으로 형성되는 단위 연결판넬(50)을 제작하고,
상기 단위 연결판넬(50)을 신구 교량이 서로 연결되는 접속연결부를 따라 종방향으로 설치시 상기 상부 지지플랜지(52)가 양측에 설치된 거더(11)의 일측에 얹혀져 설치되기 위하여 거더(11)의 일측에 거더(11)의 하부가 돌출되게 하부 지지플랜지(54)를 형성하여 상기 단위 연결판넬(50)을 상기 하부 지지플랜지(54)상에 안착설치하여 연결이음장치(40)를 설치한 후에 인접한 신구교량(10,20)의 포장면(13)의 높이에 맞게 형성설치된 상기 수직판(51)내에 아스콘을 타설하여 포장면(13)을 설치하여 신구 교량(10,20)의 포장면(13)과 유연하게 연결되도록 설치하는 연결이음장치(40)의 설치방법에 특징이 있다.
상기 단위 연결판넬(50)을 이용하여 교량의 접속 연결부(30)에 설치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a) 신구 교량(10,20)을 서로 접하게 설치하여 접속 연결부(30)를 형성하는 단계;
b) 상기 접속 연결부(30)의 인접한 교량의 거더(11)의 측면에 상부를 절취하고 하부에 돌출된 하부 지지플랜지(54)를 형성하면서 고정볼트(70)를 앵커링하는 단계
c) 강판으로 제작된 박스형의 판넬(50)의 길이방향 양측면에 상부가 돌출된 상부 지지플랜지(52)를 형성하고 네방향의 측면에 고무시트(53)를 부착시켜 단위 연결판넬(50)을 형성하는 단계;
d) 상기 단위 연결판넬(50)의 네모서리 부분의 하부에 탄성패트(60)를 부착시키는 단계;
삭제
e) 상기 단위 연결판넬(50)을 상기 하부 지지플랜지(54) 상부에 안착시키고 고정볼트(70)를 이용하여 상기 단위 연결판넬(50)의 길이방향에 복수개 설치된 장공(56)에 삽입고정설치하여 연결이음장치(40)의 설치를 완료하는 단계;
f) 상기 연결이음장치(40)의 상부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된 일정 높이의 수직판(51)의 높이 이상으로 아스콘을 포장하여 인접한 교량의 포장면(13)과 원활하게 연결되도록 하는 단계; 및
g) 상기 고무 시트(53)와 신구 교량(10,20) 거더(11)와의 사이 및 단위 연결판넬(50)과의 사이가 밀실하게 밀착되도록 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다.
상기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a)(b)는 본 발명의 연결이음장치가 설치되는 접속연결부의 예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기존 교량(10)에 별도의 신설 교량(20)을 설치하면서 신구 교량(10,20) 간에 접속 연결하여 상호 차량이 통과운행할 수 있도록 접속 연결부(30)를 형성한 것이다. (a)도는 직선의 구교량의 측면에 곡선으로 신설되어 접하게 설치되는 교량의 접속 연결부를 보여주는 것이고, (b)도는 직선의 구 교량의 측면에 또 다른 직선의 신설 교량을 접하게 설치하면서 접속 연결부를 형성하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
상기 기존 교량(10)은 예를 들어 강박스 거더로 이루어지고 신설되어 기존 교량(10)의 측면에 접속되어 연결설치된 신설 교량(20)은 피시(PC) 콘크리트 거더 교량으로 이루어진 경우 각각의 거더(11)에 발생되는 종방향의 변위량과 상하방향으로 발생되는 변위량 및 비틈 변위량이 상호 다르게되어 결국 상기 접속연결부가 서로 고저차가 발생되게되어 상기 접속 연결부(30)에 설치된 연결장치가 탈락되거나 서로 뒤틀려 돌출되는 현상이 발생되게 된다. 또한, 기존 교량(10)의 교각(12)이 설치된 지간길이 및 지점의 종류가 신설되는 교량의 교각(12)이 설치된 지간길이와 지점의 종류가 상호 다르게 설치된 경우에도 또한 다양하게 발생되는 변위를 흡수할 수 없게되어 접속 연결부(30)에는 과도한 응력 및 차량의 충격에 의한 충격 하중이 빈번하게 작용하여 피로에 의한 교량의 파괴가 발생되게 된다.
이러한 접속연결부(30)에 본 발명에 의한 연결이음장치(40)를 설치하여 상기와 같은 교량에 미치는 악영향을 감소 내지는 방지하고자 하는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연결이음장치가 신구 교량이 서로 접하는 접속연결부에 설치된 것을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강판으로 제작된 단위 연결판넬(50)의 길이방향의 양측면에 돌출된 상부 지지플랜지(52)를 형성하고 일정 높이의 수직판(51)을 길이방향의 양측면 상부에 설치하면서, 상기 단위 연결패널(50)의 네방향의 측면에 고무시트(53)를 부착설치하고, 상기 단위 연결판넬의 네모서리 부분의 상부 플랜지(52) 하부면에 일정크기의 탄성패드(60)를 부착 설치하면서 폭방향에 복수개의 홈(57)을 양측부에 설치하고, 홈(57)내에 걸고리(55)를 설치한 후에 일측의 길이방향으로 복수개의 장공을 형성하되 장공(56)의 홈은 폭방향으로 형성되도록 단위 연결판넬(50)을 제작하고,
상기 단위 연결판넬(50)을 신구 교량이 서로 접하는 접속 연결부를 따라 종방향으로 설치시 상기 상부 지지플랜지(52)가 양측에 설치된 거더(11)의 일측에 얹혀져 설치되기 위하여 거더(11)의 일측에 거더의 하부가 돌출되게 하부 지지플랜지(54)를 형성하여 상기 단위 연결판넬(50)을 상기 하부 지지플랜지(54)상에 안착설치하여 연결이음장치(40)를 설치한다.
상기의 연결이음장치(40)를 설치한 후에 인접한 신구교량(10,20)의 포장면(13)의 높이에 맞게 형성설치된 상기 수직판(51)내에 아스콘을 타설하여 포장면(13)을 설치하여 신구 교량(10,20)의 포장면(13)과 유연하게 연결되도록 설치한다.
상기 단위 연결판넬(50)의 네모서리 전부분에 걸쳐 부착된 고무시트(53)는 상기 신구 교량(10,20)의 사이에 설치되어 거더(11)의 일측면과 상호 접촉연결되면서 거더(11)에서 발생되는 변위를 상쇄시켜 주면서 포장면(13)에서 발생되는 우수와 같은 수분이 상기 연결이음장치(40)와 거더(11) 사이로 누수되어 부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단위 연결판넬(50)의 일측면의 길이방향으로 장공이 복수개 설치되되 장공(56)의 홈은 폭방향으로 설치하고 상기 하부 지지플랜지(54)의 상부에 앵커된 볼트(72)를 상기 장공(56)에 삽입관통시키면서 볼트(72)의 상부에 일정한 간격을 갖으면서 설치된 스토퍼(73)의 상부에 너트(71)로 고정하도록 한 고정볼트(70)는 상기 신구 교량(10,20)이 접속 연결부(30)에 발생되는 상하방향의 변위에 신축적으로 대응하기 위하여 일정한 길이의 장공(56)이 폭방향으로 형성되 도록 하여 장공(56)내에 설치된 볼트(72)와 스토퍼(73)가 장공(56)내에서 일정 범위를 갖으면서 거동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상부 지지플랜지(52)의 하부에 부착되어 하부 지지플랜지(54)의 상면에 설치된 탄성패드(60)는 단위 연결판넬(50)에 작용하는 상하 변위량과 종방향의 변위에 대응하기 위하여 설치한다.
상기 단위 연결판넬(50)을 접속연결부(30)에 설치하여 연결이음장치(40)를 장착하는 것은 신구 교량(10,20)의 거더(11)가 공히 기존의 익스펜션 죠인트의 설치가 불가능한 두께이거나 각각의 교량의 신축량 및 지지점의 위치가 각각 다르므로서 변위량에 차이가 있어 기존의 익스펜션 죠인트를 설치하여도 상기 교량에서 발생되는 각종 변위량을 흡수하지 못하게되어 교량 접속연결부(30)가 파손되거나 차량의 승차감을 개선시키지 못하게 되는 경우에 본 발명의 연결이음장치(40)를 설치하게된다.
상기 단위 연결판넬(50)의 상부의 폭방향에 복수개 설치된 홈(57)내에 걸고리(55)를 설치한 것은 상기 단위 연결판넬(50)을 설치하기 위하여 운반하고자 할때 걸고리(55)를 이용하여 운반하여 설치하고, 향후 유지보수시 상기 걸고리(55)에 중장비를 연결하여 들어올려 보수를 한 다음 다시 설치하는데 사용하고자 하기 위함이다.
상기 단위 연결판넬(50)에 형성된 장공(56)이 일측의 길이방향에만 설치된 것은 상기 단위 연결판넬(50)을 일측 즉 다시말해 신설 또는 기존 교량(10, 20)에 고정볼트(70)에 의해 단위 연결판넬(50)을 고정하도록 하고 타측에 설치된 기존 또 는 신설 교량(10, 20)에는 단위 연결판넬(50)이 구속되지 않게하여 상하 변위에 상기 단위 연결판넬(50)이 대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며 장공(56)에 삽입된 볼트(72)의 상부로서 너트(71)의 하부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스토퍼(73)를 설치한 것은 상기 신설 교량(20)에서 발생된 상하 변위에 따라 상기 단위 연결판넬(50)이 상하로 거동할 때 일정량 이상 거동하지 못하게 하기 위함이다.
상기 단위 연결판넬(50)의 규격은 일반적으로 폭 0.5 ~ 2m, 길이 2 ~ 4m로 하되 크기는 변위 량의 크기에 따라 그 크기를 변경하여 적용한다.
도 3은 도 2에서 교량의 접속연결부에 설치된 연결이음장치의 A-A단면을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상기 도 2에서 신구 교량이 서로 접하는 접속 연결부를 따라 단위 연결판넬을 다수개 설치하여 연결이음장치를 설치한 것의 상기 단위 연결판넬의 네모서리 부분의 하부에 부착된 탄성패드가 거더의 하부 지지플랜지 상부에 설치된 것이다.
도 4는 도 2에서 교량의 접속 연결부에 설치된 연결이음장치인 단위 연결판넬의 B-B단면을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강판으로 제작된 단위 연결판넬(50)의 길이방향의 양측면에 돌출된 상부 지지플랜지(52)를 형성하고 일정 높이의 수직판(51)을 길이방향의 양측면 상부에 설치하면서, 복수개의 장공(56)은 일측의 길이방향으로 형성하되 장공(56)의 홈은 폭방향으로 형성되도록 제작한 단위 연결판넬(50)을 거더의 일측에 형성된 하부 지지플랜지 상부에 설치하고 하부 지지플랜지의 상부에 앵커된 고정볼트를 장공에 체결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탄성패드를 상세히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고무와 같은 탄 성체(61)의 중간에 복수개 이상의 철판 또는 와이어(62)를 설치하고 상기 탄성체(61)의 상부에 철판인 연결판(64)을 설치하고 그 위에 탄성패드(60)의 크기보다 큰 철판의 재질인 베이스 플레이트(63)를 설치하면서 볼트 이음(65)을 한 탄성패드(60)이다.
상기 탄성패드(60)를 상기 단위 연결판넬(50)의 네모서리 부분의 상부 지지플랜지(52)의 하부에 설치하기 위하여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63)의 외측부분과 단위 연결판넬(50)과 볼트이음(65)을 한 단위 연결판넬(50)을 거더의 일측부에 형성된 하부 지지플랜지(54) 상부에 설치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탄성체의 중간에 복수개 이상의 철판 또는 와이어를 설치하는 것은 탄성체에 강성을 부여하기 위함으로서 상기 단위 연결판넬의 상부에 하중이 작용할 때 상기 탄성패드의 탄성체가 파괴되지 않고 상기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일반적으로 탄성패드(60)의 규격은 두께가 40 ~ 60㎜이며 바람직한 두께는 50㎜이다. 상기 탄성패드(60)의 두께는 상하 변위량이 큰 경우에는 탄성 패드(60)의 두께를 두껍고 폭이 좁게하고, 비틈 거동이 큰 경우에는 탄성 패드(60)의 두께가 두껍고 길이를 짧게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고정 볼트를 보여주는 도면으로서, 볼트(72)의 상부에 일정한 간격을 갖으면서 설치된 스토퍼(73)의 상부에 너트(71)로 고정하도록 한다. 고정볼트(70)는 상기 신구 교량(10,20)이 접속 연결부(30)에 발생되는 상하방향의 변위에 신축적으로 대응하기 위하여 일정한 길이의 장공(56)이 폭방향으로 형성되 도록 하여 장공(56)내에 설치된 볼트(72)가 상하 변위에 따라 거동하면서 거동량이 일정 한계내에서 거동할 수 있게 스토퍼(73)를 설치한다.
상기 탄성 패드(60)의 두께, 폭 및 단위 연결판넬(50)의 규격은 신구 교량(10,20)의 상대적인 종방향 신축량, 단위 연결판넬(50)의 비틈 거동량 및 상대 상하 변위량에 따라 결정하여 적용한다.
본 발명은 신구 교량이 서로 만나서 교차하는 접속 연결부에 설치되는 연결이음장치가 신구 교량의 신축 변위량 및 비틈 변위량등과 같은 변위량을 흡수하여 교량의 접속연결부를 통과하는 차량의 승차감을 향상시키면서 접속 연결부를 경계로 한 신구 교량의 서로 다른 변위량을 흡수하여 접속 연결부가 원활하게 이음부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접속연결부에서 발생되는 차량의 충격하중을 감소시켜 교량의 내구연한을 증가시켜 주고, 단위 연결판넬의 재질은 구조용 강재를 사용하므로서 신 교량의 내구성과 동일하게하고 탄성패드도 신설되는 교량에 사용하는 것과 동일한 것을 사용하여 내구연한이 동일하며 특별한 유지관리가 필요치 않으나 불측의 관리가 필요한 경우에는 상기 단위 연결판넬에 사용된 고정볼트를 해체하여 보수하면 간단히 유지보수가 종료되므로 유지보수 작업이 아주 간단하며, 신설 교량의 유지관리보수비용을 절감하고 유지관리에 소요되는 노력을 줄일 수 있는 매우 경제적이면서 효율적인 교량의 연결이음부를 연결하는 연결이음장치의 설치방법인 것이다.

Claims (10)

  1. 신구교량이 서로 접하여 연결되는 연결부에 대하여 설치하는 연결장치에서, 신구교량이 서로 접하게 되는 종방향의 부분에 신구교량의 거더의 양측면에 돌출 설치된 하부지지플랜지의 상부에 양측면에 돌출된 상부 지지플랜지가 형성된 단위 연결판넬을 교량의 길이방향으로 연결조립하여 연결이음장치를 설치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단위 연결판넬은 길이방향의 양측면에 돌출된 상부 지지플랜지를 형성하고, 일정 높이의 수직판을 길이방향의 양측면 상부에 설치하면서 상기 단위 연결판넬의 네방향의 측면에 고무시트를 부착설치하고, 상기 단위 연결판넬의 네모서리 부분의 상부플랜지 하부면에 일정 크기의 탄성패드를 부착설치하면서, 폭방향에 복수개의 홈을 양측부에 설치하고, 홈내에 걸고리를 설치한 후에 복수개 장공의 홈을 형성한 것에 특징이 있는 거더의 재질 및 지간의 길이가 서로 다른 신구 교량이 서로 접속연결되는 부분에 설치되어 서로 다른 신축량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하는 연결이음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장공의 홈은 상기 단위 연결판넬의 폭방향으로 형성하되 장공은 일측면에만 길이방향으로 복수개 형성되도록 하여 신구 교량의 거더에서 발생하는 상하 변위량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한 것에 특징이 있는 거더의 재질 및 지간의 길이가 서로 다른 신구 교량이 서로 접속 연결되는 부분에 설치되어 서로 다른 신축량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하는 연결이음장치.
  4.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장공에는 상기 하부 지지플랜지상에 앵커된 고정볼트가 삽입관통되는 것에 특징이 있는 거더의 재질 및 지간의 길이가 서로 다른 신구 교량이 서로 접속 연결되는 부분에 설치되어 서로 다른 신축량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하는 연결이음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볼트는 볼트의 상부에 일정한 간격을 갖으면서 설치된 스토퍼의 상부에 너트로 고정하도록 한 것에 특징이 있는 거더의 재질 및 지간의 길이가 서로 다른 신구 교량이 서로 접속 연결되는 부분에 설치되어 서로 다른 신축량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하는 연결이음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패드는 고무와 같은 탄성체의 중간에 복수개 이상의 철판 또는 와이어를 설치하고 상기 탄성체의 상부에 철판인 연결판을 설치하고 그 위에 탄성패드의 크기보다 큰 철판의 재질인 베이스 플레이트를 설치하면서 볼트 이음(65)을 한 것에 특징이 있는 거더의 재질 및 지간의 길이가 서로 다른 신구 교량이 서로 접속 연결되는 부분에 설치되어 서로 다른 신축량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하는 연결이음장치.
  7. 제 1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패드의 두께는 40 ~ 60㎜인 것에 특징이 있는 거더의 재질 및 지간의 길이가 서로 다른 신구 교량이 서로 접속 연결되는 부분에 설치되어 서로 다른 신축량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하는 연결이음장치.
  8. 제 1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패드의 두께는 신구 교량의 상하 변위량이 큰 경우에는 탄성 패드의 두께를 두껍고 폭이 좁게하고, 비틈 거동이 큰 경우에는 탄성 패드의 두께가 두껍고 길이를 짧게 하는 것에 특징이 있는 거더의 재질 및 지간의 길이가 서로 다른 신구 교량이 서로 접속 연결되는 부분에 설치되어 서로 다른 신축량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하는 연결이음장치.
  9.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연결판넬에 설치한 장공은 상기 단위 연결판넬의 일측의 길이방향에만 설치하되 기존 또는 신설 교량의 거더에 설치하여 고정볼트로 고정하는 것에 특징이 있는 거더의 재질 및 지간의 길이가 서로 다른 신구 교량이 서로 접속 연결되는 부분에 설치되어 서로 다른 신축량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하는 연결이음장치.
  10. 신구 교량이 서로 접하여 연결되는 연결부에 설치하는 연결장치의 설치방법에 있어서,
    a) 신구 교량을 서로 접하게 설치하여 접속 연결부를 형성하는 단계;
    b) 상기 접속 연결부의 인접한 교량의 거더의 측면에 상부를 절취하고 하부에 돌출된 하부 지지플랜지를 형성하면서 고정볼트를 앵커링하는 단계
    c) 강판으로 제작된 박스형의 판넬의 길이방향 양측면에 상부가 돌출된 상부 지지플랜지를 형성하고 네방향의 측면에 고무시트를 부착시켜 단위 연결판넬을 형성하는 단계;
    d) 상기 단위 연결판넬의 네모서리부분의 하부에 탄성패드를 부착시키는 단계;
    e) 상기 단위 연결판넬을 상기 하부 지지플랜지 상부에 안착시키고 고정볼트를 이용하여 상기 단위 연결판넬의 길이방향에 복수개 설치된 장공에 삽입고정설치하여 연결이음장치의 설치를 완료하는 단계;
    f) 상기 연결이음장치의 상부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된 일정 높이의 수직판의 높이 이상으로 아스콘을 포장하여 인접한 교량의 포장면과 원활하게 연결되도록 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는 거더의 재질 및 지간의 길이가 서로 다른 신구 교량이 서로 접속 연결되는 부분에 설치되어 서로 다른 신축량을 흡수할 수 있도록 하는 연결이음장치의 설치방법.
KR1020030050864A 2003-07-24 2003-07-24 거더의 재질 및 지간의 길이가 서로 다른 신구 교량이서로 접속 연결되는 부분에 설치되어 서로 다른 신축량을흡수할 수 있도록 하는 연결이음장치 및 이의 설치방법 KR1005992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0864A KR100599207B1 (ko) 2003-07-24 2003-07-24 거더의 재질 및 지간의 길이가 서로 다른 신구 교량이서로 접속 연결되는 부분에 설치되어 서로 다른 신축량을흡수할 수 있도록 하는 연결이음장치 및 이의 설치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50864A KR100599207B1 (ko) 2003-07-24 2003-07-24 거더의 재질 및 지간의 길이가 서로 다른 신구 교량이서로 접속 연결되는 부분에 설치되어 서로 다른 신축량을흡수할 수 있도록 하는 연결이음장치 및 이의 설치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3874U Division KR200332005Y1 (ko) 2003-07-24 2003-07-24 거더의 재질 및 지간의 길이가 서로 다른 신구 교량이서로 접속 연결되는 부분에 설치되어 서로 다른 신축량을흡수할 수 있도록 하는 연결이음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1830A KR20050011830A (ko) 2005-01-31
KR100599207B1 true KR100599207B1 (ko) 2006-07-13

Family

ID=372237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50864A KR100599207B1 (ko) 2003-07-24 2003-07-24 거더의 재질 및 지간의 길이가 서로 다른 신구 교량이서로 접속 연결되는 부분에 설치되어 서로 다른 신축량을흡수할 수 있도록 하는 연결이음장치 및 이의 설치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9920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7925B1 (ko) * 2007-12-21 2008-09-10 코레일트랙 주식회사 거더 신축부 완화용 콘크리트 궤도
KR100975673B1 (ko) * 2010-02-03 2010-08-17 콘비젼스 주식회사 도로 변에 시공되는 확장 자전거 도로 및 이 시공 방법
CN107476632A (zh) * 2017-09-07 2017-12-15 北京城建集团有限责任公司 控制施工期间隔震支座上下法兰板相对水平位移的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9860B1 (ko) * 2005-04-08 2007-01-16 이영희 교량용 좌,우 비대칭형 프리텐션 프리캐스트 빔 거더
CN102086000B (zh) * 2009-12-08 2012-11-07 五冶集团上海有限公司 超大、超重箱型吊车梁的现场拼接及安装方法
KR102039092B1 (ko) * 2019-06-11 2019-11-01 대창이엔지 주식회사 후타콘크리트 보강이 가능한 신축이음장치 및 그 시공방법
CN113882251A (zh) * 2021-11-18 2022-01-04 上海市政工程设计研究总院(集团)有限公司 一种复合变位梳齿形伸缩装置及其施工方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7925B1 (ko) * 2007-12-21 2008-09-10 코레일트랙 주식회사 거더 신축부 완화용 콘크리트 궤도
KR100975673B1 (ko) * 2010-02-03 2010-08-17 콘비젼스 주식회사 도로 변에 시공되는 확장 자전거 도로 및 이 시공 방법
CN107476632A (zh) * 2017-09-07 2017-12-15 北京城建集团有限责任公司 控制施工期间隔震支座上下法兰板相对水平位移的方法
CN107476632B (zh) * 2017-09-07 2019-03-29 北京城建集团有限责任公司 控制施工期间隔震支座上下法兰板相对水平位移的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1830A (ko) 2005-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40422B2 (ja) 既設支承装置の支承交換工法および支承装置
KR101291810B1 (ko)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및 그 시공방법
KR100599207B1 (ko) 거더의 재질 및 지간의 길이가 서로 다른 신구 교량이서로 접속 연결되는 부분에 설치되어 서로 다른 신축량을흡수할 수 있도록 하는 연결이음장치 및 이의 설치방법
KR19980042966A (ko) 신축 이음장치
KR100812102B1 (ko) 핑거형 교량 신축이음장치
KR101607996B1 (ko) 블럭 아웃 깊이 낮춤 가능형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KR20060111215A (ko) 교량용 신축 조인트 및 그 조립식 공법
KR100798654B1 (ko) 하이브리드 시스템을 갖는 신축이음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784721B1 (ko) 배수시트 교체가 용이한 도로교 핑거형 신축이음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
KR100700947B1 (ko) 신축이음장치의 고무씰 보호부재
JP5164234B2 (ja) 橋梁用伸縮ジョイント
KR200332005Y1 (ko) 거더의 재질 및 지간의 길이가 서로 다른 신구 교량이서로 접속 연결되는 부분에 설치되어 서로 다른 신축량을흡수할 수 있도록 하는 연결이음장치
KR100303287B1 (ko) 무교좌및무신축이음형교대구조
KR100427908B1 (ko) 콘크리트 비 해체 조립형 신축이음 보수공법
KR200403788Y1 (ko) 교량의 신축이음장치
KR102104673B1 (ko) 신축이음장치
JP5111194B2 (ja) 橋梁用伸縮装置及び橋梁用伸縮構造
KR100622008B1 (ko) 일체식 교대 교량의 합성구조
CN210288097U (zh) 梳齿状弹性伸缩构件及填缝模块
KR200432583Y1 (ko) 복공판이 필요 없는 임시 가설교량
CN112176857A (zh) 梳齿状弹性伸缩构件及填缝模块
KR100564093B1 (ko) 발포성 고무를 이용한 교량의 신축이음구조
KR200245373Y1 (ko) 교체가능한 교량신축이음구조
CN213951930U (zh) 一种桥梁伸缩缝装置
JP2007231631A (ja) 高架道路の荷重支持型伸縮継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26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