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91810B1 -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및 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및 그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1810B1
KR101291810B1 KR1020130020617A KR20130020617A KR101291810B1 KR 101291810 B1 KR101291810 B1 KR 101291810B1 KR 1020130020617 A KR1020130020617 A KR 1020130020617A KR 20130020617 A KR20130020617 A KR 20130020617A KR 101291810 B1 KR101291810 B1 KR 1012918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vertical
bridge
expansion joint
lowe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06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구자화
Original Assignee
진형건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진형건설(주) filed Critical 진형건설(주)
Priority to KR10201300206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181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18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18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6Arrangement, construction or bridging of expansion joints
    • E01D19/065Joints having sliding pl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8Damp-proof or other insulating layers; Drainage arrangements or devices ; Bridge deck surfacings
    • E01D19/083Waterproofing of bridge decks; Other insulations for bridges, e.g. thermal ; Bridge deck surfac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및 그 시공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교량용 신축이음장치는 교량의 상판과 상판 사이에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상판과 상판 사이에서 대향되는 일측에 서로 엇갈리는 깍지낀 형상으로 제 1 이격공간을 갖는 다수의 핑거부를 돌출 형성하여 설치되는 한 쌍의 상부플레이트; 상기 상부플레이트의 하측에 설치되는 한 쌍의 하부플레이트; 상기 상부플레이트와 상기 하부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되는 이물질 막음판; 상기 하부플레이트의 하측에 설치되는 한 쌍의 수직플레이트; 상기 상부플레이트 및 상기 하부플레이트를 통한 이물질의 침투나 누수를 방지하도록 수직플레이트 사이에 설치되는 방수부재; 및 상기 방수부재 아래에 배치되어 지지하는 신축고무 지지판을 포함하며, 상기 하부플레이트는, 대향되는 일측에 서로 엇갈리는 요철 형상으로 제 2 이격공간을 갖는 다수의 요철부가 돌출 형성되되, 상기 요철부는 상기 핑거부를 적어도 하나 이상 지지할 수 있는 면적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부플레이트의 핑거부를 하부플레이트의 요철부에 의해 집중적으로 지지하여 상부플레이트 및 하부플레이트에 가해지는 하중에 대한 전체적인 지지력을 높이게 됨으로써, 핑거부가 차량 통과 시 반복 하중의 누적으로 인한 파손이 발생하더라도 차량의 충격을 최소화하도록 지지할 수 있고, 상부플레이트의 두께를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및 그 시공방법{EXPANSION JOINT APPARATUS FOR BRIDGE STRUCTUR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상호 연접된 한 쌍의 교량 상판 사이에 유간을 두고 대향 배치되는 한 쌍의 상부플레이트에 서로 깍지낀 형상으로 제 1 이격공간이 형성된 핑거부를 상부플레이트의 하측에 설치되는 하부플레이트로 지지함으로써 차량 통과 시 가해지는 하중에 대한 지지력을 높이면서도 상판의 두께를 줄일 수 있고, 기존 교량 상판 사이에 설치된 레일 조인트의 보수공사 시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 건축물과 같이 큰 규모의 구조물에는 온도변화, 그 크리프(Creep) 및 건조수축(Shrinkage), 시공 오차, 재하 하중. 지진 및 지반의 침하 등의 여러 원인에 의한 변형 응력이 작용되어 만약 해당 응력이 해방되지 않고 구속되게 된다면 구조물에 균열을 발생시키고 파손시킬 우려가 있다. 이에 따라, 대형 구조물의 건조 시에는 필수적으로 그 일정구간마다 유격되는 틈새인 이음틈새부를 두고 있으며, 이 이음틈새부에는 별도의 신축이음장치를 설치하여 구조물의 변형에 따른 동적거동을 원활히 수용하면서 해당 이음틈새부를 폐쇄하도록 하고 있다.
일례로, 대형 구조물이 교량인 경우를 살펴보면, 교량은 하부의 다수개의 교각과 이 교각의 상부에 안착되어 도로를 형성하게 되는 다수개의 상판으로 구성되며, 그 상판과 연결되는 부분에는 양쪽 상판의 동적거동을 원활히 수용할 수 있도록 적정 유격 폭으로 이음틈새부가 구비되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이음틈새부를 수평방향으로 연결하여 폐쇄함으로써 그 상부의 상판에서 주행하게 되는 차량이 원활히 주행가능하면서, 또한 빗물이나 각종 이물질이 해당 이음틈새부를 통해 유입되어 낙하 됨으로써 교량의 하부 시설물들을 오염시키고 부식시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이음틈새부에는 신축가능한 신축이음장치가 설치되게 된다.
신축이음장치는 해당하는 구조물의 안정성과 내구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면서, 구조물의 전체 구성 중에서도 가장 파손 및 교체빈도가 높은 요소로서, 우수한 성능을 발휘할 수 있어야 한다.
신축이음장치에 요구되는 성능으로서는 기본적으로 신축기능과 밀폐기능을 완벽하면서 내구성 있게 제공할 수 있어야 함은 물론, 그 신속한 시공이 가능하여 보수 시의 교통통제 등을 가능한 줄일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신축이음장치에는 대표적으로 그 형태에 따라서 레일(Rail)형, 핑거(Finger)형, 모노셀(Mono cell)형 등이 있는데, 이중 레일형은 상대적으로 이음틈새부의 유격 간격이 넓어서 허용 신축량이 많아야 하는 경우, 예컨대 규모가 큰 장대교량 등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의 일례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1166433호가 개시되었다.
교량용 신축이음장치는 상호 인접된 한 쌍의 교량 상판 사이에 상호 마주보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핑거블록과, 핑거블록의 하부에 제 1 플레이트 및 제 2 플레이트를 구성하여 설치되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제 1 플레이트 및 제 2 플레이트 사이에 설치되는 차수재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교량용 신축이음장치는 상호 인접된 한 쌍의 교량 상판 사이에서 양쪽 상판의 원활한 신축작용을 도모하여 동적거동 시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는 특징을 가진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교량용 신축이음장치는 차량 통과 시 핑거블록에 형성된 핑거부에 반복 하중이 집중되어 누적되고, 이에 따라 핑거부가 쉽게 파손되는 문제가 있다. 핑거부의 파손은 핑거블록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게 되므로 자칫 잘못하면 교량을 통과하는 차량에 심각한 피해를 줄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종래의 교량용 신축이음장치는 핑거부의 강성을 높이기 위하여 핑거블록의 두께가 두꺼워질 수밖에 없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1166433호(등록일자: 2012년 07월 11일)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상호 연접된 한 쌍의 교량 상판 사이에 유간을 두고 대향 배치되는 한 쌍의 상부플레이트에 서로 깍지낀 형상으로 제 1 이격공간이 형성된 핑거부를 상부플레이트의 하측에 설치되는 하부플레이트로 지지함으로써 차량 통과 시 가해지는 하중에 대한 지지력을 높이고, 상판의 두께를 줄일 수 있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과제는, 기존 교량의 상판 사이에 설치된 레일 조인트의 보수공사 시 상판 사이에서 레일 조인트만을 제거하는 시공범위의 최소화를 통해 신속하고 안전한 시공을 도모함으로써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의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는, 본 발명에 따라, 교량의 상판과 상판 사이에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로서, 상기 상판과 상판 사이에서 대향되는 일측에 서로 엇갈리는 깍지낀 형상으로 제 1 이격공간을 갖는 다수의 핑거부를 돌출 형성하여 설치되는 한 쌍의 상부플레이트; 상기 상부플레이트의 하측에 설치되는 한 쌍의 하부플레이트; 상기 상부플레이트와 상기 하부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되는 이물질 막음판; 상기 하부플레이트의 하측에 설치되는 한 쌍의 수직플레이트; 상기 상부플레이트 및 상기 하부플레이트를 통한 이물질의 침투나 누수를 방지하도록 수직플레이트 사이에 설치되는 방수부재; 및 및 상기 방수부재 아래에 배치되어 지지하는 신축고무 지지판을 포함하며, 상기 하부플레이트는, 대향되는 일측에 서로 엇갈리는 요철 형상으로 제 2 이격공간을 갖는 다수의 요철부가 돌출 형성되되, 상기 요철부는 상기 핑거부를 적어도 하나 이상 지지할 수 있는 면적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수직플레이트는, 상기 하부플레이트의 하측을 지지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수직보강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직보강재는, 상기 수직플레이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다수의 수직보강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직보강재는, 상기 요철부의 하측을 지지하도록 상기 하부플레이트의 저면 및 상기 수직플레이트의 내측면에 용접 고정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직보강재는, 상기 요철부에 대해 견고한 지지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직삼각형 형상의 평판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는, 본 발명에 따라, 교량용 신축이음장치를 교량 상판 사이에 기 설치된 레일 조인트의 보수공사를 위해 시공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교량의 상판 사이에 기 설치된 보수대상 레일 조인트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상판 사이에서 상기 레일 조인트를 고정하도록 형성된 콘크리트의 일부를 제거하고, 상기 콘크리트에 일체화된 상기 레일 조인트의 수평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절단하여 상기 상판 사이에서 완전히 제거한 뒤 절단부위를 그라인딩 작업하는 단계; 및
상기 하부플레이트의 하측에 수직플레이트, 수직보강재, 방수부재 및 신축고무 지지판을 순차적으로 현장 조립한 뒤 상기 하부플레이트를 상기 레일 조인트가 제거된 상판 사이에 안착시켜 상기 수평부와 용접하여 고정하고 상기 하부플레이트의 상부면에 이물질 막음판과 상기 상부플레이트를 차례로 적층하여 위치시킨후에 이들을 상기 하부플레이트에 볼팅 체결하여 일체로 결합한 뒤 상기 상부플레이트의 가장자리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상기 상판과 일체화되도록 양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의 시공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부플레이트의 핑거부를 하부플레이트의 요철부로 집중적으로 지지하여 상부플레이트 및 하부플레이트에 가해지는 하중에 대한 전체적인 지지력을 높일 수 있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를 제공함으로써, 핑거부가 차량 통과 시 반복 하중의 누적으로 인한 파손이 발생하더라도 차량의 충격을 최소화하도록 지지할 수 있고, 상부플레이트의 두께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수직플레이트의 내측에 하부플레이트에 형성된 요철부를 지지할 수 있는 수직보강재를 설치함으로써, 요철부의 지지강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상부플레이트와 하부플레이트 사이에 지그재그형 이물질 막음판을 배치함으로써, 신축고무로 이루어진 방수부재에 이물질이 쌓이는 것을 최소화하여 방수부재의 파손을 줄이며, 상부플레이트의 거동을 원활하게 하여 제품 수명을 연장시키게 된다.
또한, 방수부재 아래에 신축고무 지지판을 배치하여 수직플레이트에 고정 설치함으로써, 신축고무로 이루어진 방수부재의 처짐을 방지하여 방수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하게 된다.
아울러, 기존 교량의 상판 사이에 기 설치된 레일 조인트의 보수공사 시 상판 사이에서 파손된 레일 조인트만을 제거하는 변형의 최소화를 도모하면서도 신속하고 안전한 보수작업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보수공사에서 발생하는 단점인 환경적, 경제적인 문제를 쉽게 해결하면서도 우수한 시공성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의 시공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의 평면도이며,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의 측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신축이음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연접된 한 쌍의 교량 상판과 상판 사이에 설치되는 한 쌍의 상부플레이트(110)와, 상부플레이트(110)의 하측에 설치되는 한 쌍의 하부플레이트(120)와, 하부플레이트(120)의 하측에 설치되는 한 쌍의 수직플레이트(130)와, 그리고 상부플레이트(110) 및 하부플레이트(120)를 통한 이물질의 침투나 누수를 방지할 수 있도록 수직플레이트(130) 사이에 설치되는 방수부재(140)를 포함한다.
한 쌍의 상부플레이트(1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신축이음장치(100)의 상측에 설치되는 구성이다.
상부플레이트(110)의 대향되는 일측에는 서로 엇갈리도록 깍지낀 형상으로 돌출되는 다수의 핑거부(112)가 형성된다. 즉, 핑거부(112)는 상부플레이트(110)의 대향되는 일측에서 서로 엇갈리게 배치되도록 깍지낀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는 구성이다.
이러한 상부플레이트(110)는 상호 연접된 한 쌍의 교량 상판과 상판 사이에서 핑거부(112)가 서로 일정한 간격을 갖도록 설치된다.
즉, 상부플레이트(110)는 핑거부(112) 사이에 제 1 이격공간(114)을 형성하며, 제 1 이격공간(114)은 교량의 수평 변위 시 이를 상쇄시키기 위해서 상부플레이트(110)의 사이를 일정한 간격만큼 서로 이격시키는 것이다.
한 쌍의 하부플레이트(1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플레이트(110)의 하측에 볼팅 체결되어 일체로 설치되는 구성이다.
하부플레이트(120)의 대향되는 일측에는 서로 엇갈리는 요철 형상으로 돌출되는 다수의 제 1 요철부(122)가 형성된다. 즉, 제 1 요철부(122)는 하부플레이트(120)의 대향되는 일측에서 서로 엇갈리게 배치되도록 요철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는 구성이다.
이때, 제 1 요철부(122)는 하부플레이트(120)의 대향되는 일측에 상부플레이트(110)의 핑거부(112)를 적어도 하나 이상 지지할 수 있는 면적을 갖는 마름모 형상이나 사다리꼴 형상으로 돌출되거나 또는 사각 형상으로 돌출 형성된다.
이외에도 제 1 요철부(122)는 상부플레이트(110)의 핑거부(112)를 적어도 하나 이상 지지할 수 있는 면적을 갖는다면 파형 형상이나 삼각 형상을 포함하여 다양한 형상으로 돌출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하부플레이트(120)의 제 1 요철부들(122)은 서로 일정한 간격을 갖도록 설치된다. 즉, 하부플레이트(120)는 제 1 요철부(122) 사이에 제 2 이격공간(124)을 형성하며, 제 2 이격공간(124)은 교량의 수평 변위 시 이를 상쇄시키기 위해서 상부플레이트(110)에 형성된 제 1 이격공간(114)과 마찬가지로 하부플레이트(120)의 사이를 일정한 간격만큼 서로 이격시키는 것이다.
이때, 요철부(122)는 상부플레이트(110)에 형성된 핑거부(112)를 적어도 하나 이상 지지할 수 있는 충분한 면적을 갖도록 형성됨에 따라, 핑거부(112)의 안정적인 지지를 통해 상부플레이트(110)를 통과하는 차량으로부터 가해지는 하중에 대한 지지력을 높이면서도 상부플레이트(110)의 두께를 줄일 수 있게 된다.
즉, 제 1 요철부(122)는 상부플레이트(110)에 형성된 핑거부(112)를 집중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상부플레이트(110) 및 하부플레이트(120)에 가해지는 하중에 대한 전체적인 지지강도를 높이게 됨으로써, 핑거부(112)가 차량 통과 시 반복 하중의 누적으로 인한 파손이 발생하더라도 차량의 충격을 최소화하도록 지지할 수 있게 되며, 이를 통해 상부플레이트(110)의 두께를 줄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부플레이트(110)와 하부플레이트(120) 사이에는 이물질 막음판(150)이 배치된다. 이물질 막음판(150)은 하부플레이트(120)와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다. 즉, 이물질 막음판(150)의 대향되는 일측에는 서로 엇갈리는 요철 형상으로 돌출되는 다수의 제 2 요철부(152)가 형성된다. 즉, 제 2 요철부(152)는 이물질 막음판(150)의 대향되는 일측에서 서로 엇갈리게 배치되도록 요철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는 구성이다. 제 2 요철부(152)는 하부플레이트(120)의 제 1 요철부(122)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구성된다.
한 쌍의 수직플레이트(1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플레이트(120)의 하측에 용접을 통해 일체로 설치되는 구성이다. 즉, 수직플레이트(130)는 하부플레이트(120)를 지지하도록 설치되는 것이다.
수직플레이트(130)의 내측에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플레이트(120)의 하측을 지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수직보강재(132)가 설치된다. 즉, 수직보강재(130)는 하부플레이트(120)에 형성된 요철부(122)를 지지하도록 설치되는 구성이다.
이를 위해서, 수직보강재(132)는 직삼각형 형상의 평판으로 형성되어 하부플레이트(120)의 저면 및 수직플레이트(130)의 내측면에 용접 고정되도록 설치된다.
이때, 수직보강재(132)는 제 1 요철부(122)의 하측을 지지하도록 수직플레이트(13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며, 이에 제 1 요철부(122)에 대해 견고한 지지력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본 실시예의 수직보강재(132)는 제 1 요철부(122)의 하측에 한 개씩 설치되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써 수직보강재(132)는 하중에 대한 제 1 요철부(122)의 지지강도를 높일 수 있도록 다수 개가 설치될 수도 있다.
한편, 방수부재(14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플레이트(110) 및 하부플레이트(120)를 통한 이물질의 침투나 누수를 방지할 수 있도록 수직플레이트(130) 사이에 설치되는 구성이다. 바람직하게는, 방수부재(140)는 주름형상의 신축고무로 제조되어 수직플레이트(130)에 볼팅 체결되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방수부재(140)는 상부플레이트(110)의 제 1 이격공간(114)과 하부플레이트(120)의 제 2 이격공간(124)을 통한 이물질의 침투나 누수를 방지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이때, 방수부재(140)는 이물질이나 누수 등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고무 재질 대신에 방수기능 및 신축성을 갖는 합성수지로 형성될 수도 있다.
방수부재(140)의 아래에는 신축고무 지지판(160)이 배치된다. 신축고무 지지판(160)의 대향되는 일측에는 서로 엇갈리도록 요철형상으로 돌출되는 다수의 제 3 돌출부(162)가 형성된다. 이러한 신축고무 지지판(160)은 방수부재(140)의 아래에 배치된 상태에서 일측면이 수직플레이트(130)에 볼팅 체결되도록 설치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신축이음장치(100)는 상부플레이트(110)의 핑거부(112)를 하부플레이트(120)의 요철부(122)를 통해 집중적으로 지지하여 상부플레이트(110) 및 하부플레이트(120)에 가해지는 하중에 대한 전체적인 지지력을 높이게 됨으로써, 핑거부(112)가 차량 통과 시 반복 하중의 누적으로 인한 파손이 발생하더라도 차량의 충격을 최소화하도록 지지할 수 있고, 상부플레이트(110)의 두께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수직플레이트(130)의 내측에 하부플레이트(120)에 형성된 요철부(122)를 지지할 수 있는 수직보강재(132)를 설치함으로써, 요철부(122)의 지지강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상부플레이트(110)와 하부플레이트(120) 사이에 지그재그형 이물질 막음판(150)을 배치함으로써, 신축고무로 이루어진 방수부재(140)에 이물질이 쌓이는 것을 최소화하여 방수부재(140)의 파손을 줄이며, 상부플레이트(110)의 거동을 원활하게 하여 제품 수명을 연장시키게 된다.
또한, 방수부재(140) 아래에 신축고무 지지판(160)을 배치하여 수직플레이트(130)에 고정 설치함으로써, 신축고무로 이루어진 방수부재(140)의 처짐을 방지하여 방수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하게 된다.
한편,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의 시공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의 시공방법은 교량의 상판(P1, P2) 사이에 기 설치된 보수대상 레일 조인트(10)를 확인하는 단계와, 상판(P1, P2) 사이에서 레일 조인트(10)를 제거하는 단계와, 그리고 레일 조인트(10)가 제거된 상판(P1, P2) 사이에 상부플레이트(110)와 하부플레이트(120), 이물질 막음판(150), 수직플레이트(130), 방수부재(140) 및 신축고무 지지판(160)을 현장 조립하여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신축이음장치는 교량의 상판(P1, P2) 사이에 신규로 시공되거나 또는 교량의 상판(P1, P2) 사이에 기 설치된 레일 조인트(10)의 파손 시 이를 보수하기 위해 시공되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교량 상판(P1, P2) 사이에 기 설치된 레일 조인트(10)의 보수공사를 위해 시공되는 과정을 일례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연접된 한 쌍의 교량 상판(P1, P2) 사이에 기 설치된 레일 조인트(10)가 파손되는 등의 상황이 발생하게 되면, 교량을 통행하는 차량의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보수공사를 실시해야만 한다.
이를 위해서 교량의 상판(P1, P2) 사이에 기 설치된 보수대상 레일 조인트(10)를 확인한다.
다음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존 교량의 상판(P1, P2) 사이에 설치된 레일 조인트(10)를 제거하고 본 발명의 신축이음장치(100)를 설치하기 위해서, 레일 조인트(10)의 주변에 상판(P1, P2)과 고착된 콘크리트(C)의 일부를 제거한 뒤 산소 절단기를 이용하여 레일 조인트(10)를 절단한다.
이때, 콘크리트(C)에 일체화된 레일 조인트(10)의 수평부(10A)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 즉 레일 조인트(10)의 양측에 형성된 수직부(10B)의 하단을 절단하여 상판(P1, P2) 사이에서 레일 조인트(10)를 완전히 제거한 뒤 절단부위를 그라인딩 작업한다.
다음으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판(P1, P2) 사이에서 레일 조인트(10)가 완전히 제거되면, 하부플레이트(120)의 하측에 수직플레이트(130), 수직보강재(132), 방수부재(140) 및 신축고무 지지판(160)을 순차적으로 현장 조립한 상태에서 하부플레이트(120)를 레일 조인트(10)의 수평부(10A)에 안착시키고 용접하여 일체화되도록 고정한다. 이후 하부플레이트(120)의 상부에 이물질 막음판(150)과 상부플레이트(110)를 위치시키고 이들을 하부플레이트(120)에 볼팅 체결하여 일체로 결합하고 상부플레이트(110)의 가장자리에 콘크리트(C)를 타설하여 상판(P1, P2)과 일체화되도록 양생시킴으로써 보수공사를 완료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교량용 신축이음장치(100)의 시공방법은, 기존 레일 조인트(10)의 파손에 따른 보수공사 시 레일 조인트(10)가 제거된 자리에 신축이음장치(100)를 현장 조립하여 설치함으로써, 상판(P1, P2) 사이에서 파손된 레일 조인트(10)만을 제거하는 변형의 최소화를 도모하면서도 신속하고 안전한 보수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은 기존 교량의 상판(P1, P2) 사이에 기 설치된 레일 조인트(10)의 보수공사 시 상판(P1, P2) 사이에서 파손된 레일 조인트(10)만을 제거하는 변형의 최소화를 도모하면서도 신속하고 안전한 보수작업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보수공사에서 발생하는 단점인 환경적, 경제적인 문제를 쉽게 해결하면서도 우수한 시공성을 제공할 수 있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되며, 변형된 실시에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10: 상부플레이트 112: 핑거부
114: 제 1 이격공간 120: 하부플레이트
122: 요철부 124: 제 2 이격공간
130: 수직플레이트 132: 수직보강재
140: 방수부재 150 : 이물질 막음판
160 : 신축고무 지지판

Claims (10)

  1. 교량의 상판과 상판 사이에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로서,
    상기 상판과 상판 사이에서 대향되는 일측에 서로 엇갈리는 깍지낀 형상으로 제 1 이격공간을 갖는 다수의 핑거부를 돌출 형성하여 설치되는 한 쌍의 상부플레이트;
    상기 상부플레이트의 하측에 설치되는 한 쌍의 하부플레이트;
    상기 하부플레이트의 하측에 설치되는 한 쌍의 수직플레이트;
    상기 상부플레이트 및 상기 하부플레이트를 통한 이물질의 침투나 누수를 방지하도록 수직플레이트 사이에 설치되는 방수부재; 및
    상기 상부플레이트와 상기 하부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된 이물질 막음판 - 상기 이물질 막음판은 상기 하부플레이트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상부플레이트와 상기 하부플레이트 사이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플레이트와 상기 하부플레이트에 일체로 체결되도록 설치됨 -;을 포함하며,
    상기 하부플레이트는,
    대향되는 일측에 서로 엇갈리는 요철 형상으로 제 2 이격공간을 갖는 다수의 제 1 요철부가 돌출 형성되되, 상기 제 1 요철부는 상기 핑거부를 적어도 하나 이상 지지할 수 있는 면적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부재의 아래쪽에 배치된 신축고무 지지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고무 지지판의 대향되는 일측에는 서로 엇갈리도록 요철형상으로 돌출되는 다수의 제 3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신축고무 지지판은 상기 방수부재의 아래에 배치된 상태에서 일측면이 상기 수직플레이트에 볼팅 체결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플레이트는, 상기 하부플레이트의 하측을 지지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수직보강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수직보강재는, 상기 수직플레이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일정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다수의 수직보강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보강재는, 상기 요철부의 하측을 지지하도록 상기 하부플레이트의 저면 및 상기 수직플레이트의 내측면에 용접 고정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보강재는, 상기 요철부에 대해 견고한 지지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직삼각형 형상의 평판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10. 제 1 항, 및 제 4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교량용 신축이음장치를 교량 상판 사이에 기 설치된 레일 조인트의 보수공사를 위해 시공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교량의 상판 사이에 기 설치된 보수대상 레일 조인트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상판 사이에서 상기 레일 조인트를 고정하도록 형성된 콘크리트의 일부를 제거하고, 상기 콘크리트에 일체화된 상기 레일 조인트의 수평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을 절단하여 상기 상판 사이에서 완전히 제거한 뒤 절단부위를 그라인딩 작업하는 단계; 및
    상기 상판과 상판 사이에서 설치된 한 쌍의 상부플레이트의 하측에 한 쌍의 하부플레이트를 설치하고, 상기 하부플레이트의 하측에 수직플레이트, 수직보강재, 방수부재 및 신축고무 지지판을 순차적으로 현장 조립한 뒤 상기 하부플레이트를 상기 레일 조인트가 제거된 상판 사이에 안착시켜 상기 수평부와 용접하여 고정하고 상기 하부플레이트의 상부면에 이물질 막음판과 상기 상부플레이트를 차례로 적층하여 위치시킨후에 이들을 상기 하부플레이트에 볼팅 체결하여 일체로 결합한 뒤 상기 상부플레이트의 가장자리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상기 상판과 일체화되도록 양생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의 시공방법.
KR1020130020617A 2013-02-26 2013-02-26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및 그 시공방법 KR1012918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0617A KR101291810B1 (ko) 2013-02-26 2013-02-26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및 그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0617A KR101291810B1 (ko) 2013-02-26 2013-02-26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및 그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91810B1 true KR101291810B1 (ko) 2013-07-31

Family

ID=489983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0617A KR101291810B1 (ko) 2013-02-26 2013-02-26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및 그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1810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0633B1 (ko) 2015-06-22 2016-06-15 최은철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KR101762145B1 (ko) * 2016-09-21 2017-07-27 최은철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보수 교체 공법 및 그 장치
CN107100071A (zh) * 2017-05-16 2017-08-29 南昌大学 一种能减小冲击损坏及防水隔音的伸缩缝装置及其施工方法
CN110172905A (zh) * 2019-06-26 2019-08-27 中铁二十三局集团建筑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无缝式伸缩缝结构
CN112695627A (zh) * 2020-12-17 2021-04-23 河南交控建设工程有限公司 一种模块化桥梁伸缩缝装置
KR102375815B1 (ko) * 2021-11-10 2022-03-17 진형건설(주) 엇갈림갭판을 구비한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KR20240027350A (ko) 2022-08-23 2024-03-04 한국도로공사 교량 신축이음 협착 인지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8425B1 (en) 2002-06-11 2003-12-03 Dae Weon Park Non-smash replacement method of expansion joint device of bridge and expansion joint device
KR20080084552A (ko) * 2007-12-06 2008-09-19 고삼석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및 그 시공방법
KR101050426B1 (ko) * 2010-10-28 2011-07-19 김영범 이중 캔틸래버 슬라이딩형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KR101184609B1 (ko) 2012-05-11 2012-09-21 김영범 교량의 이물질 차단형 신축이음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8425B1 (en) 2002-06-11 2003-12-03 Dae Weon Park Non-smash replacement method of expansion joint device of bridge and expansion joint device
KR20080084552A (ko) * 2007-12-06 2008-09-19 고삼석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및 그 시공방법
KR101050426B1 (ko) * 2010-10-28 2011-07-19 김영범 이중 캔틸래버 슬라이딩형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KR101184609B1 (ko) 2012-05-11 2012-09-21 김영범 교량의 이물질 차단형 신축이음장치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0633B1 (ko) 2015-06-22 2016-06-15 최은철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KR101762145B1 (ko) * 2016-09-21 2017-07-27 최은철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보수 교체 공법 및 그 장치
CN107100071A (zh) * 2017-05-16 2017-08-29 南昌大学 一种能减小冲击损坏及防水隔音的伸缩缝装置及其施工方法
CN110172905A (zh) * 2019-06-26 2019-08-27 中铁二十三局集团建筑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无缝式伸缩缝结构
CN110172905B (zh) * 2019-06-26 2024-04-05 中铁二十三局集团建筑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无缝式伸缩缝结构
CN112695627A (zh) * 2020-12-17 2021-04-23 河南交控建设工程有限公司 一种模块化桥梁伸缩缝装置
CN112695627B (zh) * 2020-12-17 2023-10-13 河南交控建设工程有限公司 一种模块化桥梁伸缩缝装置
KR102375815B1 (ko) * 2021-11-10 2022-03-17 진형건설(주) 엇갈림갭판을 구비한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KR20240027350A (ko) 2022-08-23 2024-03-04 한국도로공사 교량 신축이음 협착 인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1810B1 (ko)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및 그 시공방법
KR101053485B1 (ko) ㄷ자형 플레이트를 이용한 조립식 신축이음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신설/보수 시공공법
KR101784721B1 (ko) 배수시트 교체가 용이한 도로교 핑거형 신축이음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084669B1 (ko) 교체가 용이한 모노셀형 신축이음장치 및 이의 교체공법
KR100798654B1 (ko) 하이브리드 시스템을 갖는 신축이음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280988B1 (ko) 슬라이드와 탄성 신축 이음 장치 및 이 시공 방법
KR101506118B1 (ko)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및 이의 시공 및 보수방법
US9957676B2 (en) Roadway joint device
AU2014336082A1 (en) Transition slab between the abutment and the deck of a bridge with expansion and contraction joints having a long service life, and methods for absorbing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movements of the deck of a bridge
KR101975259B1 (ko) 교량의 비지지점 신축이음장치
KR101365436B1 (ko) 교량용 신축 이음 장치
KR100599207B1 (ko) 거더의 재질 및 지간의 길이가 서로 다른 신구 교량이서로 접속 연결되는 부분에 설치되어 서로 다른 신축량을흡수할 수 있도록 하는 연결이음장치 및 이의 설치방법
KR101693767B1 (ko) 신축 이음을 구비한 프리캐스트 바닥판 시공방법
KR101234705B1 (ko) 핑거 조인트 어셈블리 및 그것을 구비한 교량의 상판 연결장치
KR101317953B1 (ko) 분절식 레일 조인트 및 그 시공방법
KR20170022430A (ko) 모노셀 조인트 보수방법
KR101229000B1 (ko) 교량용 신축이음장치와 이의 제작 및 설치방법
KR20200081951A (ko) 설치 시공성이 향상된 신축이음장치 및 그 시공방법
KR102305121B1 (ko) 가황식 배수시트 및 방수도포재를 이용한 유지보수가 용이한 누수방지 신축이음장치
KR101084668B1 (ko) 콘크리트와의 부착력이 우수한 모노셀형 신축이음장치
KR101320564B1 (ko) 교량의 신축이음부 구조
KR100736858B1 (ko) 배수관을 갖는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및 그의 시공 방법
KR101048422B1 (ko) 신축이음장치
KR102047159B1 (ko) 횡단 레벨차 슬래브용 코너레벨강절재 및 이를 이용한 봉함재 설치공법
KR102641328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슬래브 임시 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8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