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4609B1 - 교량의 이물질 차단형 신축이음장치 - Google Patents
교량의 이물질 차단형 신축이음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84609B1 KR101184609B1 KR1020120050105A KR20120050105A KR101184609B1 KR 101184609 B1 KR101184609 B1 KR 101184609B1 KR 1020120050105 A KR1020120050105 A KR 1020120050105A KR 20120050105 A KR20120050105 A KR 20120050105A KR 101184609 B1 KR101184609 B1 KR 10118460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upport frame
- finger
- fingers
- plate
- space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9000013013 elastic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7373 indent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3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11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6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5
- 229920001971 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4
- 150000003839 salt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0079 Memory foam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790 adhesive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99 cork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260 corro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797 corro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816 latex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126 latex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8210 memory foa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856 pac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084 poly(chloropr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5977 Eth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6311 Urethane 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53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602 cont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145 finger joint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821 foam rubb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703 hydr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515 penet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554 vinyl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303 wrinkles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6—Arrangement, construction or bridging of expansion joints
- E01D19/065—Joints having sliding plate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8—Damp-proof or other insulating layers; Drainage arrangements or devices ; Bridge deck surfacings
- E01D19/083—Waterproofing of bridge decks; Other insulations for bridges, e.g. thermal ; Bridge deck surfac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량의 신축이음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장치 내부로의 이물질 유입이 방지될 수 있도록 한 신축이음장치에 관한 것이다.
그 구성은, 교량의 두 상판에서 이들이 마주하는 각 단부에 각각 배치되는 제1 및 제2 지지프레임; 상기 제1지지프레임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2지지프레임 측으로 돌출되는 다수의 제1핑거 및 이들 사이사이에 상기 제2지지프레임 측으로 개방된 다수의 제1공간부를 갖는 제1핑거플레이트; 상기 제2지지프레임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지지프레임 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각 제1공간부에 각각 위치하게 되는 다수의 제2핑거 및 이들 사이사이에 상기 제1지지프레임 측으로 개방되어 상기 각 제1핑거가 각각 위치하게 되는 다수의 제2공간부를 갖는 제2핑거플레이트; 및 상호 맞물린 상기 제1핑거플레이트이 각 제1핑거와 상기 제2핑거플레이트의 각 제2공간부, 상기 제1핑거플레이트의 각 제1공간부와 상기 제2핑거플레이트의 각 제2핑거에 개재되는 메움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메움부재는 신축성 재질의 블록(block)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두 핑거플레이트 사이에 신축성 재질로 이루어진 블록형의 메움부재가 구비됨에 따라, 장치 내부로의 이물질 유입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메움부재가 장치와 함께 원활하게 신축 동작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 구성은, 교량의 두 상판에서 이들이 마주하는 각 단부에 각각 배치되는 제1 및 제2 지지프레임; 상기 제1지지프레임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2지지프레임 측으로 돌출되는 다수의 제1핑거 및 이들 사이사이에 상기 제2지지프레임 측으로 개방된 다수의 제1공간부를 갖는 제1핑거플레이트; 상기 제2지지프레임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지지프레임 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각 제1공간부에 각각 위치하게 되는 다수의 제2핑거 및 이들 사이사이에 상기 제1지지프레임 측으로 개방되어 상기 각 제1핑거가 각각 위치하게 되는 다수의 제2공간부를 갖는 제2핑거플레이트; 및 상호 맞물린 상기 제1핑거플레이트이 각 제1핑거와 상기 제2핑거플레이트의 각 제2공간부, 상기 제1핑거플레이트의 각 제1공간부와 상기 제2핑거플레이트의 각 제2핑거에 개재되는 메움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메움부재는 신축성 재질의 블록(block)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두 핑거플레이트 사이에 신축성 재질로 이루어진 블록형의 메움부재가 구비됨에 따라, 장치 내부로의 이물질 유입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메움부재가 장치와 함께 원활하게 신축 동작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교량의 신축이음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장치 내부로의 이물질 유입이 원천적으로 차단될 수 있도록 한 신축이음장치에 관한 것이다.
교량의 이물질 차단형 신축이음장치에 관한 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755996호(2007년 09월 06일 공고, 이하 '선행기술'이라고 함) "이물질방지 핑거조인트 구조"가 제시되어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상측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된 제1 결합부를 형성하고, 일측으로는 측면에 가이드홈을 형성한 핑거와 상기 핑거의 핑거산과 핑거홈에 덮개 결합부를 형성한 제1 핑거플레이트와 상기 제1 핑거플레이트와 동일한 형상으로 대향되게 설치된 제2 핑거플레이트로 이루어진 핑거플레이트부;
상기 핑거 측면에 형성된 가이드홈에 결합하는 베어링과 상기 베어링과 결합하는 핀을 형성하고, 상기 핀의 외측으로 결합하는 이탈방지핀과 스프링으로 구성된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와 결합하는 핀결합부와 중공부를 내측에 형성하고, 가장자리에는 상기 핑거의 핑거산과 핑거홈에 형성된 덮개 결합부와 결합하는 덮개 결합부재를 형성한 주름형상의 덮개부로 이루어진 이물질 방지부;
상기 핑거플레이트부의 하측에 형성되며, 상측으로 제1 결합부와 동일한 위치에 제2 결합부를 형성하고, 일측으로는 일정한 이격거리와 일정한 폭으로 제1 보조핑거를 형성한 제1 보조핑거플레이트를 형성하고, 상기 제1 보조핑거플레이트와 대향되게 형성되되 일정한 이격거리와 일정한 폭으로 제2 보조핑거를 형성한 제2 보조핑거플레이트로 이루어진 보조핑거플레이트부"를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서,
신축이음장치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신축이음장치의 기능 및 수명이 연장될 수 있도록 한 기술이다.
상기 선행기술은 제1 및 제2 핑거플레이트에 주름진 형태로 이루어져 신축 동작하게 되는 이물질 방지부를 구비함에 따라, 신축이음장치 내부로의 이물질 유입이 방지되도록 하고는 있으나,
상기 이물질 방지부의 구조가 복잡할 뿐만 아니라, 이물질 방지부의 장착을 위하여 상기 제1 및 제2 핑거플레이트에 가이드홈 및 덮개 결합부를 형성해야 함으로써 그 제작이 까다롭고, 많은 제작비가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이물질 방지부의 주름 사이에 끼인 이물질이 고착화 됨에 따라, 상기 이물질 방지부의 신축 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구조가 간단하고, 신축 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교량의 이물질 차단형 신축이음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교량의 이물질 차단형 신축이음장치는,
교량의 두 상판에서 이들이 마주하는 각 단부에 각각 배치되는 제1 및 제2 지지프레임;
상기 제1지지프레임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2지지프레임 측으로 돌출되는 다수의 제1핑거 및 이들 사이사이에 상기 제2지지프레임 측으로 개방된 다수의 제1공간부를 갖는 제1핑거플레이트;
상기 제2지지프레임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지지프레임 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각 제1공간부에 각각 위치하게 되는 다수의 제2핑거 및 이들 사이사이에 상기 제1지지프레임 측으로 개방되어 상기 각 제1핑거가 각각 위치하게 되는 다수의 제2공간부를 갖는 제2핑거플레이트; 및
상호 맞물린 상기 제1핑거플레이트이 각 제1핑거와 상기 제2핑거플레이트의 각 제2공간부, 상기 제1핑거플레이트의 각 제1공간부와 상기 제2핑거플레이트의 각 제2핑거에 개재되는 메움부재;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메움부재는 신축성 재질의 블록(block)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1지지프레임과 상기 제1핑거플레이트에 개재되고, 상기 제2지지프레임 측으로 돌출되는 다수의 제3핑거 및 이들 사이사이에 상기 제2지지프레임 측으로 개방된 다수의 제3공간부를 갖는 제3핑거플레이트; 및
상기 제2지지프레임과 상기 제2핑거플레이트에 개재되고, 상기 제1지지프레임 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각 제3공간부에 각각 위치하게 되는 다수의 제4핑거 및 이들 사이사이에 상기 제1지지프레임 측으로 개방되어 상기 각 제3핑거가 각각 위치하게 되는 다수의 제4공간부를 갖는 제4핑거플레이트;
를 더 포함하되,
상기 각 제1핑거와 상기 각 제3핑거, 상기 각 제2핑거와 상기 각 제4핑거는 상부에서 바라보았을 때 상호 엇갈리게 배치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1지지프레임은 상기 제1핑거플레이트를 받치는 제1수평플레이트, 상기 제1수평플레이트 단부에서 하향 절곡된 제1수직플레이트, 그리고 상기 제1수직플레이트 중간부에서 상기 제2지지프레임 측으로 돌출되는 다수의 제1서브핑거와 이들 사이사이에 상기 제2지지프레임 측으로 개방된 다수의 제1서브공간부를 갖는 제1서포트플레이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지지프레임은 상기 제2핑거플레이트를 받치는 제2수평플레이트, 상기 제2수평플레이트 단부에서 하향 절곡된 제2수직플레이트, 그리고 상기 제2수직플레이트 중간부에서 상기 제1지지프레임 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각 제1서브공간부에 각각 위치하게 되는 다수의 제2서브핑거와 이들 사이사이에 상기 제1지지프레임 측으로 개방되어 상기 각 제1서브핑거가 각각 위치하게 되는 다수의 제2서브공간부를 갖는 제2서포트플레이트로 이루어지며,
상호 맞물린 상기 제1 및 제2 서포트플레이트의 각 서브핑거 상부에는 방수용 신축성 매트가 배치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매트의 양단부 하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고정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서포트플레이트 상부 각각에는 상기 고정홈에 삽입되는 바(bar)형 고정부재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1 및 제2 핑거플레이트의 각 핑거 단부 측 상단부, 상기 제1 및 제2 핑거플레이트의 각 공간부 내벽 측 상단부 각각에는 돌출형 수평삽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메움부재는 이의 양단부에 상기 수평삽입부와의 상호 암수 결합을 위한 요입형 대응수평삽입부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1 및 제2 핑거플레이트의 각 핑거 단부, 상기 제1 및 제2 핑거플레이트의 각 공간부 내벽 각각에는 하방 내측 경사형 슬로프가 형성되고,
상기 메움부재는 이의 양단부에 상기 슬로프와의 상호 밀착을 위한 대응슬로프가 형성되어 단면이 상협하광(上狹下廣) 형상을 갖는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1 및 제2 핑거플레이트의 각 핑거 양측면 중앙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요입형 활주부가 형성되고,
상기 메움부재의 양측면에는 상기 활주부에 끼워지는 돌출형 대응활주부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1 및 제2 핑거플레이트 각각에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다수의 관통공;
상기 관통공과 대응되게 상기 제1 및 제2 지지프레임 배열되는 대응관통공;
상기 관통공과 상기 대응관통공에 삽입되는 볼트;
상기 대응관통공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볼트 하단부에 체결되는 너트;
상기 볼트의 헤드를 감싸도록 상기 관통공에 결합되는 상부밀폐캡; 및
상기 너트를 감싸도록 상기 대응관통공 하측에 배치되는 하부밀폐캡;
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관통공은 하부 관통부와, 상기 관통부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관통부 상부에 형성되고 내측에 상기 볼트의 헤드가 위치하게 되는 암나사부와, 상기 암나사부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암나사부 상부에 형성되는 안착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밀폐캡은 내측에 헤드 수용부를 갖고 상기 암나사부에 체결되는 수나사부와, 상기 수나사부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볼트의 헤드를 덮되 상기 안착부에 위치하게 되는 커버부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의한 교량의 이물질 차단형 신축이음장치는,
두 핑거플레이트 사이에 신축성 재질로 이루어진 블록형의 메움부재가 구비됨에 따라, 장치 내부로의 이물질 유입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메움부재가 장치와 함께 원활하게 신축 동작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교량의 이물질 차단형 신축이음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교량의 이물질 차단형 신축이음장치의 단면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메움부재가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메움부재가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메움부재가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교량의 이물질 차단형 신축이음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교량의 이물질 차단형 신축이음장치의 단면 구성도.
도 2는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교량의 이물질 차단형 신축이음장치의 단면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메움부재가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메움부재가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메움부재가 적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교량의 이물질 차단형 신축이음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교량의 이물질 차단형 신축이음장치의 단면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교량의 이물질 차단형 신축이음장치(이하, '신축이음장치'라고 함)는 크게 제1지지프레임(100), 제2지지프레임(200), 제1핑거플레이트(300), 제2핑거플레이트(400) 및 메움부재(500)로 이루어진다.
이하 각 구성에 대해 살펴보면,
상기 제1 및 제2 지지프레임(100, 200)은
교량의 두 상판(10)에서 이들이 마주하는 각 단부(端部)에 각각 배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1지지프레임(1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핑거플레이트(300)를 받치는 제1수평플레이트(110),
상기 제1수평플레이트(110) 단부에서 하향 절곡된 제1수직플레이트(120),
그리고 상기 제1수직플레이트(120) 중간부에서 상기 제2지지프레임(200) 측으로 돌출되는 다수의 제1서브핑거(131)와 이들 사이사이에 상기 제2지지프레임(200) 측으로 개방된 다수의 제1서브공간부(132)를 갖는 제1서포트플레이트(130)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지지프레임(2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핑거플레이트(400)를 받치는 제2수평플레이트(210),
상기 제2수평플레이트(210) 단부에서 하향 절곡된 제2수직플레이트(220),
그리고 상기 제2수직플레이트(220) 중간부에서 상기 제1지지프레임(100) 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각 제1서브공간부(132)에 각각 위치하게 되는 다수의 제2서브핑거(231)와 이들 사이사이에 상기 제1지지프레임(100) 측으로 개방되어 상기 각 제1서브핑거(131)가 각각 위치하게 되는 다수의 제2서브공간부(232)를 갖는 제2서포트플레이트(23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제1지지프레임(100)의 제1수평플레이트(110)와 제1수직플레이트(120), 상기 제2지지프레임(200)의 제2수평플레이트(210)와 제2수직플레이트(220)는 각각 앵글 스틸(angle steel)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 서포트플레이트(130, 230)는 볼트이음, 용접 등에 의해 상기 제1 및 제2 수직플레이트(120, 220)에 각각 결합된다.
그리고 상호 맞물린 상기 제1 및 제2 서포트플레이트(130, 230)의 각 서브핑거(131, 231) 상부에는 매트(600)가 배치된다.
상기 매트(600)는 고무와 같이 방수성 및 신축성이 우수한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제1 및 제2 지지프레임(100, 200) 사이의 누수(漏水)를 방지하게 된다.
상기 매트(600)는 그 상면이 상기 제1 및 제2 지지프레임(100, 200)의 상면과 일치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매트(600)의 안정적인 장착을 위하여, 상기 매트(600)의 양단부 하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고정홈(610)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서포트플레이트(130, 230) 상부 각각에는 상기 고정홈(610)에 삽입되는 바(bar)형 고정부재(133, 233)가 형성된다.
상기 고정부재(133, 233)는 상기 제1 및 제2 서포트플레이트(130, 230)에 평강(flat steel)을 용접함으로써 형성시킬 수 있다.
상기 매트(600)는 교량 수축 시 상기 고정부재(133, 233)에 걸리어 더욱 원활하게 팽창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핑거플레이트(300, 400)는
각각 상기 제1 및 제2 지지프레임(100, 200) 상부에 배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제1핑거플레이트(3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지지프레임(200) 측으로 돌출되는 다수의 제1핑거(310),
그리고 상기 각 제1핑거(310) 사이사이에 형성되되, 상기 제2지지프레임(200) 측으로 개방된 다수의 제1공간부(3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2핑거플레이트(4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지지프레임(100) 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각 제1공간부(320)에 각각 위치하게 되는 다수의 제2핑거(410),
그리고 상기 각 제2핑거(410) 사이사이에 형성되되, 상기 제1지지프레임(100) 측으로 개방되어 상기 각 제1핑거(310)가 각각 위치하게 되는 다수의 제2공간부(4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결국, 상기 제1핑거플레이트(300)의 제1핑거(310)는 상기 제2핑거플레이트(400)의 제2공간부(420)에 위치하게 되고, 상기 제2핑거플레이트(400)의 제2핑거(410)는 상기 제1핑거플레이트(300)의 제1공간부(320)에 위치하게 됨으로써, 상기 제1 및 제2 핑거플레이트(300, 400)의 각 핑거(310, 410)는 상호 맞물리는 형태가 된다.
그리고 상호 맞물린 상기 제1 및 제2 핑거(310, 410)는 각각 상기 제2 및 제1 공간부(420, 320)의 일부 구간에만 진입되도록 배치되는데, 이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핑거플레이트(300, 400)는 교량의 신축 시 상기 제1 및 제2 공간부(320, 420)에 의해 상호 이격 동작되거나 근접 동작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및 제2 공간부(320, 420)는 신축을 위한 유간(遊間)을 제공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1 및 제2 지지프레임(100, 200)과 상기 제1 및 제2 핑거플레이트(300, 400)의 결합을 위하여,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및 제2 핑거플레이트(300, 400) 각각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다수의 관통공(800)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지지프레임(100, 200) 각각에는 상기 각 관통공(800)과 대응되게 배열되는 다수의 대응관통공(700)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공(800)과 상기 대응관통공(700)에 삽입되는 볼트(20)와,
상기 대응관통공(700)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볼트(20) 하단부에 체결되는 너트(30)와,
상기 볼트(20)의 헤드(21)를 감싸도록 상기 관통공(800)에 결합되는 상부밀폐캡(900)과,
상기 너트(30)를 감싸도록 상기 대응관통공(700) 하측에 배치되는 하부밀폐캡(1000)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관통공(8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관통부(810)와, 상기 관통부(810)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관통부(810) 상부에 형성되고 내측에 상기 볼트(20)의 헤드(21)가 위치하게 되는 암나사부(820)와, 상기 암나사부(820)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암나사부(820) 상부에 형성되는 안착부(830)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상부밀폐캡(9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에 헤드(21) 수용부(911)를 갖고 상기 암나사부(820)에 체결되는 수나사부(910)와, 상기 수나사부(910)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볼트(20)의 헤드(21)를 덮되 상기 안착부(830)에 위치하게 되는 커버부(920)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상기 볼트(20)를 상기 관통공(800)의 관통부(810)와 상기 대응관통공(700)을 지나도록 상기 너트(30)에 체결함으로써, 상기 제1 및 제2 지지프레임(100, 200)과 상기 제1 및 제2 핑거플레이트(300, 400)을 상호 결합할 수 있으며,
이후, 상기 관통공(800)의 암나사부(820)에 상기 상부밀폐캡(900)의 수나사부(910)를 체결하여 상기 관통공(800)의 안착부(820)에 상기 상부밀폐캡(900)의 커버부(920)가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볼트(20)로 빗물이나, 제설(除雪) 작업 시 살포되는 염수 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밀폐캡(1000)은 상기 너트(30) 및 상기 볼트(20) 하단부를 밀폐시키게 됨으로써, 상판(10) 제작을 위한 콘크리트의 양생 시 수화반응을 위하여 살포된 물에 의해 상기 너트(30) 및 볼트(20)가 부식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착부(820) 바닥면과 상기 커버부(920) 하면에는 공지의 패킹(packing)(930)이 개재될 수 있으며,
상기 커버부(920) 상면에는 상기 상부밀폐캡(900)의 체결을 위한 공구삽입홈(92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메움부재(500)는
신축성 재질의 블록(block)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호 맞물린 상기 제1핑거플레이트(300)의 각 제1핑거(310)와 상기 제2핑거플레이트(400)의 각 제2공간부(420), 상기 제1핑거플레이트(300)의 각 제1공간부(320)와 상기 제2핑거플레이트(400)의 각 제2핑거(410)에 개재(介在)된다.
상기 메움부재(500)는 일반적인 고무나 코르크(cork)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상기 제1 및 제2 핑거플레이트(300, 400)에 의한 신축 정도를 감안할 때에 일반적인 고무나 코르크보다 더욱 우수한 신축성을 갖는 라텍스(latex), 스펀지(sponge), 메모리폼(memory foam), 우레탄고무, EVR(Ethylene Vinyl Rubber) 또는 CR(Chloroprene Rubber) 계통의 발포고무 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공간부(320, 420)에 배치된 상기 메움부재(500)는 그 상면이 상기 제1 및 제2 핑거플레이트(300, 400)의 상면과 일치하게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국, 상기 메움부재(500)는 상기 제1 및 제2 공간부(320, 420)에 면밀하게 끼워져 제1 및 제2 공간부(320, 420)를 메우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공간부(320, 420)를 통하여 신축이음장치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고, 특히 빗물이나, 제설 작업 시 살포된 염수가 장치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여 빗물 또는 염수에 의해 장치가 부식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메움부재(500)는 상기 제1 및 제2 공간부(320, 420)를 메움으로써 신축이음장치의 상면을 평탄하게 함에 따라, 차량 통행 시 발생하는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및 제2 핑거플레이트(300, 400)와 상기 메움부재(500)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움부재(500)의 이탈 방지를 위하여 다양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먼저, 도 3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상기 제1 및 제2 핑거플레이트(300, 400)의 각 핑거(310, 410) 단부, 상기 제1 및 제2 핑거플레이트(300, 400)의 각 공간부(320, 420) 내벽 각각에는 하방 내측 경사형 슬로프(340, 440)가 형성되고,
상기 메움부재(500)는 이의 양단부(兩端部)에 상기 슬로프(340, 440)와의 상호 밀착을 위한 대응슬로프(520)가 형성된다.
이에 의해 상기 메움부재(500)는 단면이 상협하광(上狹下廣)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슬로프(340, 440)에 밀착됨으로써 상측으로의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다음, 도 4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상기 제1 및 제2 핑거플레이트(300, 400)의 각 핑거(310, 410) 단부 측 상단부, 상기 제1 및 제2 핑거플레이트(300, 400)의 각 공간부(320, 420) 내벽 측 상단부 각각에는 돌출형 수평삽입부(330, 430)가 형성되고,
상기 메움부재(500)는 이의 양단부에 상기 수평삽입부(330, 430)와의 상호 암수 결합을 위한 요입형 대응수평삽입부(510)가 형성된다.
이에 의해 상기 메움부재(500)는 이의 양단부 하부가 상기 수평삽입부(330, 430) 하측에 끼워지는 형태가 됨으로써 상측으로의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그리고, 도 5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상기 제1 및 제2 핑거플레이트(300, 400)의 각 핑거(310, 410) 양측면 중앙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요입형 활주부(350, 450)가 형성되고,
상기 메움부재(500)의 양측면에는 상기 활주부(350, 450)에 끼워지는 돌출형 대응활주부(530)가 형성된다.
이에 의하면 상기 메움부재(500)가 길이방향을 따라 고정됨으로써 더욱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으며, 상측뿐만 아니라 하측으로의 이탈도 방지될 수 있다.
상기 활주부(350, 450) 및 대응활주부(530)의 구성은 필요에 따라, 상기 수평삽입부(330, 430) 및 대응수평삽입부(510), 또는 상기 슬로프(340, 440) 및 대응슬로프(520) 구성과 함께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메움부재(5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의 양단부(兩端部)에 상기 제1 및 제2 핑거플레이트(300, 400)의 각 핑거(310, 410) 단부, 그리고 상기 제1 및 제2 핑거플레이트(300, 400)의 각 공간부(320, 420) 내벽과 접하게 되는 접착제층(540)을 형성하여 상기 제1 및 제2 핑거플레이트(300, 400)에 부착함으로써 외부로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신축이음장치를 살펴보기로 한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신축이음장치는,
상기 제1지지프레임(100)과 상기 제1핑거플레이트(300)에 개재되고, 상기 제2지지프레임(200) 측으로 돌출되는 다수의 제3핑거(1310) 및 이들 사이사이에 상기 제2지지프레임(200) 측으로 개방된 다수의 제3공간부(1320)를 갖는 제3핑거플레이트(1300) 및
상기 제2지지프레임(200)과 상기 제2핑거플레이트(400)에 개재되고, 상기 제1지지프레임(100) 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각 제3공간부(1320)에 각각 위치하게 되는 다수의 제4핑거(1410) 및 이들 사이사이에 상기 제1지지프레임(200) 측으로 개방되어 상기 각 제3핑거(1310)가 각각 위치하게 되는 다수의 제4공간부(1420)를 갖는 제4핑거플레이트(140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제1핑거플레이트(300)의 각 제1핑거(310)와 상기 제3핑거플레이트(1300)의 각 제3핑거(1310), 상기 제2핑거플레이트(400)의 각 제2핑거(410)와 상기 제4핑거플레이트(1400)의 각 제4핑거(1410)는 상부에서 바라보았을 때 상호 엇갈리게 배치된다.
이에 의해, 상기 제3핑거플레이트(1300)의 각 제3핑거(1310)는 상기 제1핑거플레이트(300)의 각 제1공간부(320) 하부를 밀폐시키게 되고, 상기 제4핑거플레이트(1400)의 각 제4핑거(1410)는 상기 제2핑거플레이트(400)의 각 제2공간부(420) 하부를 밀폐시키게 됨으로써, 상기 제1 및 제2 핑거플레이트(300, 400)의 각 핑거(310, 410)와 상기 메움부재(500)의 틈새로 유입된 이물질을 다시 한번 차단하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교량의 이물질 차단형 신축이음장치"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상판
20 ; 볼트
21 ; 헤드
30 ; 너트
100 ; 제1지지프레임
110 ; 제1수평플레이트 120 ; 제1수직플레이트
130 ; 제1서포트플레이트
131 ; 제1서브핑거 132 ; 제1서브공간부
133 ; 고정부재
200 ; 제2지지프레임
210 ; 제2수평플레이트 220 ; 제2수직플레이트
230 ; 제2서포트플레이트
231 ; 제2서브핑거 232 ; 제2서브공간부
233 ; 고정부재
300 ; 제1핑거플레이트
310 ; 제1핑거 320 ; 제1공간부
330 ; 수평삽입부 340 ; 슬로프
350 ; 활주부
400 ; 제2핑거플레이트
410 ; 제2핑거 420 ; 제2공간부
430 ; 수평삽입부 440 ; 슬로프
450 ; 활주부
500 ; 메움부재
510 ; 대응수평삽입부 520 ; 대응슬로프
530 ; 대응활주부 540 ; 접착제층
600 ; 매트
610 ; 고정홈
700 ; 대응관통공
800 ; 관통공
810 ; 관통부 820 ; 암나사부
830 ; 안착부
900 ; 상부밀폐캡
910 ; 수나사부
911 ; 수용부
920 ; 커버부
921 ; 공구삽입홈
930 ; 패킹
1000 ; 하부밀폐캡
1300 ; 제3핑거플레이트
1310 ; 제3핑거 1320 ; 제3공간부
1400 ; 제4핑거플레이트
1410 ; 제4핑거 1420 ; 제4공간부
20 ; 볼트
21 ; 헤드
30 ; 너트
100 ; 제1지지프레임
110 ; 제1수평플레이트 120 ; 제1수직플레이트
130 ; 제1서포트플레이트
131 ; 제1서브핑거 132 ; 제1서브공간부
133 ; 고정부재
200 ; 제2지지프레임
210 ; 제2수평플레이트 220 ; 제2수직플레이트
230 ; 제2서포트플레이트
231 ; 제2서브핑거 232 ; 제2서브공간부
233 ; 고정부재
300 ; 제1핑거플레이트
310 ; 제1핑거 320 ; 제1공간부
330 ; 수평삽입부 340 ; 슬로프
350 ; 활주부
400 ; 제2핑거플레이트
410 ; 제2핑거 420 ; 제2공간부
430 ; 수평삽입부 440 ; 슬로프
450 ; 활주부
500 ; 메움부재
510 ; 대응수평삽입부 520 ; 대응슬로프
530 ; 대응활주부 540 ; 접착제층
600 ; 매트
610 ; 고정홈
700 ; 대응관통공
800 ; 관통공
810 ; 관통부 820 ; 암나사부
830 ; 안착부
900 ; 상부밀폐캡
910 ; 수나사부
911 ; 수용부
920 ; 커버부
921 ; 공구삽입홈
930 ; 패킹
1000 ; 하부밀폐캡
1300 ; 제3핑거플레이트
1310 ; 제3핑거 1320 ; 제3공간부
1400 ; 제4핑거플레이트
1410 ; 제4핑거 1420 ; 제4공간부
Claims (8)
- 교량의 두 상판(10)에서 이들이 마주하는 각 단부에 각각 배치되는 제1 및 제2 지지프레임(100, 200);
상기 제1지지프레임(100)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2지지프레임(200) 측으로 돌출되는 다수의 제1핑거(310) 및 이들 사이사이에 상기 제2지지프레임(200) 측으로 개방된 다수의 제1공간부(320)를 갖는 제1핑거플레이트(300);
상기 제2지지프레임(200)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지지프레임(100) 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각 제1공간부(320)에 각각 위치하게 되는 다수의 제2핑거(410) 및 이들 사이사이에 상기 제1지지프레임(100) 측으로 개방되어 상기 각 제1핑거(310)가 각각 위치하게 되는 다수의 제2공간부(420)를 갖는 제2핑거플레이트(400);
상호 맞물린 상기 제1핑거플레이트(300)의 각 제1핑거(310)와 상기 제2핑거플레이트(400)의 각 제2공간부(420), 상기 제1핑거플레이트(300)의 각 제1공간부(320)와 상기 제2핑거플레이트(400)의 각 제2핑거(410)에 개재되고, 신축성 재질의 블록(block) 형상으로 이루어진 메움부재(500);
상기 제1지지프레임(100)과 상기 제1핑거플레이트(300)에 개재되고, 상기 제2지지프레임(200) 측으로 돌출되는 다수의 제3핑거(1310) 및 이들 사이사이에 상기 제2지지프레임(200) 측으로 개방된 다수의 제3공간부(1320)를 갖는 제3핑거플레이트(1300); 및
상기 제2지지프레임(200)과 상기 제2핑거플레이트(400)에 개재되고, 상기 제1지지프레임(100) 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각 제3공간부(1320)에 각각 위치하게 되는 다수의 제4핑거(1410) 및 이들 사이사이에 상기 제1지지프레임(200) 측으로 개방되어 상기 각 제3핑거(1310)가 각각 위치하게 되는 다수의 제4공간부(1420)를 갖는 제4핑거플레이트(140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각 제1핑거(310)와 상기 각 제3핑거(1310), 상기 각 제2핑거(410)와 상기 각 제4핑거(1410)는 상부에서 바라보았을 때 상호 엇갈리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의 이물질 차단형 신축이음장치.
- 교량의 두 상판(10)에서 이들이 마주하는 각 단부에 각각 배치되는 제1 및 제2 지지프레임(100, 200);
상기 제1지지프레임(100)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2지지프레임(200) 측으로 돌출되는 다수의 제1핑거(310) 및 이들 사이사이에 상기 제2지지프레임(200) 측으로 개방된 다수의 제1공간부(320)를 갖는 제1핑거플레이트(300);
상기 제2지지프레임(200)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지지프레임(100) 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각 제1공간부(320)에 각각 위치하게 되는 다수의 제2핑거(410) 및 이들 사이사이에 상기 제1지지프레임(100) 측으로 개방되어 상기 각 제1핑거(310)가 각각 위치하게 되는 다수의 제2공간부(420)를 갖는 제2핑거플레이트(400);
상호 맞물린 상기 제1핑거플레이트(300)의 각 제1핑거(310)와 상기 제2핑거플레이트(400)의 각 제2공간부(420), 상기 제1핑거플레이트(300)의 각 제1공간부(320)와 상기 제2핑거플레이트(400)의 각 제2핑거(410)에 개재되고, 신축성 재질의 블록(block) 형상으로 이루어진 메움부재(50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1지지프레임(100)은 상기 제1핑거플레이트(300)를 받치는 제1수평플레이트(110), 상기 제1수평플레이트(110) 단부에서 하향 절곡된 제1수직플레이트(120), 그리고 상기 제1수직플레이트(120) 중간부에서 상기 제2지지프레임(200) 측으로 돌출되는 다수의 제1서브핑거(131)와 이들 사이사이에 상기 제2지지프레임(200) 측으로 개방된 다수의 제1서브공간부(132)를 갖는 제1서포트플레이트(130)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지지프레임(200)은 상기 제2핑거플레이트(400)를 받치는 제2수평플레이트(210), 상기 제2수평플레이트(210) 단부에서 하향 절곡된 제2수직플레이트(220), 그리고 상기 제2수직플레이트(220) 중간부에서 상기 제1지지프레임(100) 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각 제1서브공간부(132)에 각각 위치하게 되는 다수의 제2서브핑거(231)와 이들 사이사이에 상기 제1지지프레임(100) 측으로 개방되어 상기 각 제1서브핑거(131)가 각각 위치하게 되는 다수의 제2서브공간부(232)를 갖는 제2서포트플레이트(230)로 이루어지며,
상호 맞물린 상기 제1 및 제2 서포트플레이트(130, 230)의 각 서브핑거(131, 231) 상부에는 방수용 신축성 매트(600)가 배치되되, 상기 매트(600)의 양단부 하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고정홈(610)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서포트플레이트(130, 230) 상부 각각에는 상기 고정홈(610)에 삽입되는 바(bar)형 고정부재(133, 233)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의 이물질 차단형 신축이음장치.
- 교량의 두 상판(10)에서 이들이 마주하는 각 단부에 각각 배치되는 제1 및 제2 지지프레임(100, 200);
상기 제1지지프레임(100)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2지지프레임(200) 측으로 돌출되는 다수의 제1핑거(310) 및 이들 사이사이에 상기 제2지지프레임(200) 측으로 개방된 다수의 제1공간부(320)를 갖는 제1핑거플레이트(300);
상기 제2지지프레임(200)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지지프레임(100) 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각 제1공간부(320)에 각각 위치하게 되는 다수의 제2핑거(410) 및 이들 사이사이에 상기 제1지지프레임(100) 측으로 개방되어 상기 각 제1핑거(310)가 각각 위치하게 되는 다수의 제2공간부(420)를 갖는 제2핑거플레이트(400);
상호 맞물린 상기 제1핑거플레이트(300)의 각 제1핑거(310)와 상기 제2핑거플레이트(400)의 각 제2공간부(420), 상기 제1핑거플레이트(300)의 각 제1공간부(320)와 상기 제2핑거플레이트(400)의 각 제2핑거(410)에 개재되고, 신축성 재질의 블록(block) 형상으로 이루어진 메움부재(50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1 및 제2 핑거플레이트(300, 400)의 각 핑거(310, 410) 양측면 중앙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요입형 활주부(350, 450)가 형성되고,
상기 메움부재(500)의 양측면에는 상기 활주부(350, 450)에 끼워지는 돌출형 대응활주부(53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의 이물질 차단형 신축이음장치.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핑거플레이트(300, 400)의 각 핑거(310, 410) 단부 측 상단부, 상기 제1 및 제2 핑거플레이트(300, 400)의 각 공간부(320, 420) 내벽 측 상단부 각각에는 돌출형 수평삽입부(330, 430)가 형성되고,
상기 메움부재(500)는 이의 양단부에 상기 수평삽입부(330, 430)와의 상호 암수 결합을 위한 요입형 대응수평삽입부(51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의 이물질 차단형 신축이음장치.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핑거플레이트(300, 400)의 각 핑거(310, 410) 단부, 상기 제1 및 제2 핑거플레이트(300, 400)의 각 공간부(320, 420) 내벽 각각에는 하방 내측 경사형 슬로프(340, 440)가 형성되고,
상기 메움부재(500)는 이의 양단부에 상기 슬로프(340, 440)와의 상호 밀착을 위한 대응슬로프(520)가 형성되어 단면이 상협하광(上狹下廣)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의 이물질 차단형 신축이음장치.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핑거플레이트(300, 400) 각각에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되는 다수의 관통공(800);
상기 관통공(800)과 대응되게 상기 제1 및 제2 지지프레임(100, 200) 배열되는 대응관통공(700);
상기 관통공(800)과 상기 대응관통공(700)에 삽입되는 볼트(20);
상기 대응관통공(700)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볼트(20) 하단부에 체결되는 너트(30);
상기 볼트(20)의 헤드(21)를 감싸도록 상기 관통공(800)에 결합되는 상부밀폐캡(900); 및
상기 너트(30)를 감싸도록 상기 대응관통공(700) 하측에 배치되는 하부밀폐캡(1000);
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관통공(800)은 하부 관통부(810)와, 상기 관통부(810)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관통부(810) 상부에 형성되고 내측에 상기 볼트(20)의 헤드(21)가 위치하게 되는 암나사부(820)와, 상기 암나사부(820)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암나사부(820) 상부에 형성되는 안착부(830)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밀폐캡(900)은 내측에 헤드(21) 수용부(911)를 갖고 상기 암나사부(820)에 체결되는 수나사부(910)와, 상기 수나사부(910)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볼트(20)의 헤드(21)를 덮되 상기 안착부(830)에 위치하게 되는 커버부(92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의 이물질 차단형 신축이음장치.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50105A KR101184609B1 (ko) | 2012-05-11 | 2012-05-11 | 교량의 이물질 차단형 신축이음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50105A KR101184609B1 (ko) | 2012-05-11 | 2012-05-11 | 교량의 이물질 차단형 신축이음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184609B1 true KR101184609B1 (ko) | 2012-09-21 |
Family
ID=471138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50105A KR101184609B1 (ko) | 2012-05-11 | 2012-05-11 | 교량의 이물질 차단형 신축이음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184609B1 (ko)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91810B1 (ko) | 2013-02-26 | 2013-07-31 | 진형건설(주) |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및 그 시공방법 |
US20150013259A1 (en) * | 2013-07-12 | 2015-01-15 | Macneil Ip Llc | Floor tile expansion joint |
KR101571887B1 (ko) * | 2013-11-22 | 2015-11-25 | 주식회사 대일휀스 |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
KR102051614B1 (ko) * | 2019-06-05 | 2019-12-04 | 대봉비엠텍 주식회사 | 교량용 핑거조인트 장치 |
KR102495543B1 (ko) * | 2022-02-07 | 2023-02-06 | 미래이에스씨 주식회사 | 분리 및 이탈이 방지되는 신축이음장치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4316170A (ja) * | 2003-04-14 | 2004-11-11 | Nippon Steel Corp | 橋梁の伸縮連結装置 |
JP2008031631A (ja) * | 2006-07-26 | 2008-02-14 | Nitta Ind Corp | 伸縮装置 |
KR100868806B1 (ko) * | 2008-06-27 | 2008-11-17 | (주)우주엔지니어링 | 교량 신축이음 빗물 누수받이 |
-
2012
- 2012-05-11 KR KR1020120050105A patent/KR101184609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4316170A (ja) * | 2003-04-14 | 2004-11-11 | Nippon Steel Corp | 橋梁の伸縮連結装置 |
JP2008031631A (ja) * | 2006-07-26 | 2008-02-14 | Nitta Ind Corp | 伸縮装置 |
KR100868806B1 (ko) * | 2008-06-27 | 2008-11-17 | (주)우주엔지니어링 | 교량 신축이음 빗물 누수받이 |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91810B1 (ko) | 2013-02-26 | 2013-07-31 | 진형건설(주) |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및 그 시공방법 |
US20150013259A1 (en) * | 2013-07-12 | 2015-01-15 | Macneil Ip Llc | Floor tile expansion joint |
US8973328B2 (en) * | 2013-07-12 | 2015-03-10 | Macneil Ip Llc | Floor tile expansion joint |
US8997419B1 (en) | 2013-07-12 | 2015-04-07 | Macneil Ip Llc | Modular floor tile system with expansion joint |
KR101571887B1 (ko) * | 2013-11-22 | 2015-11-25 | 주식회사 대일휀스 | 교량용 신축이음장치 |
KR102051614B1 (ko) * | 2019-06-05 | 2019-12-04 | 대봉비엠텍 주식회사 | 교량용 핑거조인트 장치 |
KR102495543B1 (ko) * | 2022-02-07 | 2023-02-06 | 미래이에스씨 주식회사 | 분리 및 이탈이 방지되는 신축이음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184609B1 (ko) | 교량의 이물질 차단형 신축이음장치 | |
CA2975519C (en) | Expansion joint seal and expansion joint | |
US10851542B2 (en) | Fire and water resistant, integrated wall and roof expansion joint seal system | |
US9322163B1 (en) | Flexible expansion joint seal | |
KR101374606B1 (ko) | 교량용 방수 신축이음장치 | |
KR102111779B1 (ko) | 배수시트가 없는 핑거형 신축이음장치 | |
KR102054196B1 (ko) | 구조적 빌딩 패널을 위한 빌딩 구성 요소 | |
US20090011167A1 (en) | Modular Mat | |
KR200418125Y1 (ko) | 바닥재용 데크 | |
KR100755996B1 (ko) | 이물질방지 핑거조인트 구조 | |
KR20150118697A (ko) | 다방향성 주름부를 갖는 중공형 지수판 | |
JP6391293B2 (ja) | 大沈下用可撓止水継手及びそれを用いた目地の耐震補強方法 | |
KR101877466B1 (ko) | 캐노피용 고정몰딩바 구조체 | |
KR101565546B1 (ko) | 다방향성 주름부를 갖는 지수판을 이용한 콘크리트 암거 구조물 | |
US5312672A (en) | Sealing strip for wall and floor joints | |
JP6370189B2 (ja) | 止水部材及びそれを用いた止水構造 | |
KR101162754B1 (ko) | 상하 거동형 신축 이음 장치 | |
KR200472065Y1 (ko) | 측방 방수 구조를 갖는 교량의 신축이음장치 | |
AU2009202866A1 (en) | Sealing device | |
KR101204897B1 (ko) | Sts 보온일체형 물탱크 | |
JP2010019016A (ja) | 遊間用止水材 | |
KR100502076B1 (ko) | 교량구조물 | |
KR101529257B1 (ko) | 지붕판넬용 마감부재 | |
JP7091825B2 (ja) | 止水構造及び止水構造の施工方法 | |
JP7064294B2 (ja) | 押出成型セメント板の接合部止水構造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923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627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710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626 Year of fee payment: 8 |